KR102261158B1 -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158B1
KR102261158B1 KR1020200105042A KR20200105042A KR102261158B1 KR 102261158 B1 KR102261158 B1 KR 102261158B1 KR 1020200105042 A KR1020200105042 A KR 1020200105042A KR 20200105042 A KR20200105042 A KR 20200105042A KR 102261158 B1 KR102261158 B1 KR 10226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yer
temperature treatment
flavonoi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진
서화진
Original Assignee
김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진 filed Critical 김부진
Priority to KR102020010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말지방 생지를 수침하여 핏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생지정화단계(S11)와, 정화된 생지 1000g에 정제수 1L를 투입하고 40 ~ 5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는 저온처리단계(S12)와, 저온처리단계(S12)를 거친 후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추출물 20g과 정제수 1L를 투입하여 75 ~ 85℃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는 중온처리단계(S13)와, 중온처리단계(S13)를 거친 후 고형물은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오일층의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분리단계(S14)와, 1차분리단계(S14)를 거친 오일층에 정제수 또는 화장수 0.5L를 투입하고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는 2차분리단계(S15)와, 2차분리단계(S15)를 거친 후 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나노분쇄기에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한 후 2 ~ 4℃에서 보관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나노분쇄단계(S16)를 포함함에 따라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 건강 및 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ORSE OIL FLAVONOID COMPLEX EXTRACT}
본 발명은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유익한 각종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추출 및 조성하여 피부 건강 및 미용 작용을 도출하는 복합추출물로 제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천연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 및 수질의 악화는 물론 각종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면서 그로 인한 피부염이나 알러지 등 각종 피부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화학적 조성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이나 치료제에 과민 반응을 보이거나 증상을 더욱 악화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인체에 비교적 안전한 천연 원료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77262 호에는 화장료 조성물 전중량 기준으로 인진쑥을 에틸알코올:1,3-부틸렌 글리콜:물을 1:1:1∼1:5:8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쑥 추출물을 0.1∼5중량%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며,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17465 호에는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봉령, 백지마 및 백년초로부터 추출한 한방 식물추출물을 0.5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한다.
한편, 마유는 말의 지방을 정제 및 숙성과정을 거쳐 추출한 천연 오일로서 동, 식물성 오일 중에서 불포화지방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며 팔리톨레산 세라마이드와 리놀레산이 풍부하고 분자활동이 활발하여 피부 내 침투력이 높은 천연 보습 오일이다.
마유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14500 호에는 마유 추출물과 감귤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정제마유를 포함하며, 정제마유는 마유 추출물을 감귤박 추출물과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물을 감압하여 40~50℃로 증류하여 생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마유를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정제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30215 호에는 도축된 말고기 지방육을 물과 80∼12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지방육으로 부터 액화된 마유를 추출하는 원료 마유 추출단계와, 원료 마유에 함유되어 있는 점질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료 마유를 0.1% 농도의 인산으로 처리를 한 다음 60∼70℃의 물로 수세하는 탈검단계와, 인산 처리된 원료 마유에 2.5%의 농도로 희석된 가성소다를 가하여 60∼70℃의 물로 수세하는 탈산단계와, 원료 마유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탈색 및 탈취를 위하여 5%중량의 산성백토를 가한 다음 110∼120℃로 가온하여 교반하는 탈색 및 탈취단계와, 교반 및 가열된 마유를 필터프레스로 필터링함으로서 정제 중에 첨가된 산성백토를 제거하는 여과단계와, 안정적으로 정제된 87.8중량%에 대하여 항산화제 0.2중량%, 밀납 10중량%, 향료 2중량%를 각각 첨가하는 첨가물 혼합단계와, 첨가물이 혼합된 정제 마유를 150메쉬의 여과포를 통과시켜 상온에서 숙성시켜 물성을 안정화 시키는 숙성단계(S32)로 이루어지는 정제 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377262 호 (2003.03.26)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17465 호 (2005.09.28)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14500 호 (2016.04.21)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30215 호 (2005.11.22)
마유는 말의 지방을 정제 및 숙성과정을 거쳐 추출한 오일로서 원료 상태의 마유에는 각종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고 불안정한 물성으로 인해 소정의 정제과정을 거쳐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마유의 정제방법은 도축한 말의 지방으로부터 각종 유기용매 및 합성 보조제를 다량 사용하여 정제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거나 마유의 영양성분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유는 사람의 피지 성분과 가장 흡사하여 피부 내 침투력이 높은 천연 오일로서 피부 보습 및 보호에 주된 효과를 가지는 반면, 정제과정을 거치더라도 특유의 이취 및 이물감이 잔존하므로 마유 단독으로는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오일리한 사용감으로 인해 다량을 도포하기 어려우므로 사실상 알러지나 피부염 등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말지방 생지를 수침하여 핏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생지정화단계(S11)와,
정화된 생지 1000g에 정제수 1L를 투입하고 40 ~ 5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는 저온처리단계(S12)와,
상기 저온처리단계(S12)를 거친 후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추출물 20g과 정제수 1L를 투입하여 75 ~ 85℃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는 중온처리단계(S13)와,
상기 중온처리단계(S13)를 거친 후 고형물은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오일층의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분리단계(S14)와,
상기 1차분리단계(S14)를 거친 오일층에 정제수 또는 화장수 0.5L를 투입하고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는 2차분리단계(S15)와,
상기 2차분리단계(S15)를 거친 후 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나노분쇄기에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한 후 2 ~ 4℃에서 보관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나노분쇄단계(S16)를 포함함으로써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 건강 및 미용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복합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피부에 유익한 각종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추출 및 조성하여 제조하는 복합추출물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각종 유기용매나 합성 보조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정제마유를 추출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제마유의 추출 과정에서 식물성 천연 원료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피부 세포 보호, 항염, 주름개선, 보습, 항알러지,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 현저한 효능을 도출하고 보다 쾌적한 사용감 및 향취를 제공하여 피부 미용은 물론, 피부 건강 및 보호 효능을 가지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주원료를 이용한 실험 예 1 내지 6에 따른 실험 결과 표 및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은 피부에 유익한 각종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추출 및 조성하여 복합추출물로 제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피부 세포 보호, 항염, 주름개선 등 피부 건강 및 미용 작용을 도출하여 천연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유의 처리 과정에서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을 제조 및 혼합 조성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로서 생지정화단계(S11)와, 저온처리단계(S12)와, 중온처리단계(S13)와, 1차분리단계(S14)와, 2차분리단계(S15)와, 나노분쇄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생지정화단계(S11)는 말지방 생지를 수침하여 핏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마유에는 각종 불포화 지방산은 물론 자외선이나 노화로부터 피부 세포막을 보호하고 피부 속 깊이 보습 작용을 하여 주름 예방 및 혈행 개선에 효과적인 비타민 B1, B2, B6, B12와, 항산화 물질인 토코페롤을 다량 함유한다.
상기 생지정화단계(S11)는 도축한 말의 지방 조직으로부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각종 유기용매나 합성 보조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상온에서 수침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 가능한 핏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저온처리단계(S12)는 정화된 생지 1000g에 정제수 1L를 투입하고 40 ~ 5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저온처리단계(S12)는 정화된 생지를 상온보다 다소 높은 40 ~ 50℃에서 수침에 의해 처리하여 지방 조직을 이완하면서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온처리단계(S12)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조직이 응고되고, 과도하게 유지층 소실과 더불어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중온처리단계(S13)는 상기 저온처리단계(S12)를 거친 후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추출물 20g과 정제수 1L를 투입하여 75 ~ 85℃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온처리단계(S13)는 물층이 제거된 후 상층부에 분리되는 오일층에 플라보노이드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조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은 동결 건조된 분말 상태로 투입되므로 상기 중온처리단계(S13)에서는 오일층과의 교반이 원활하도록 75 ~ 85℃에서 일정량의 정제수와 함께 투입하여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오일층에 용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온처리단계(S13)의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식물성 원료로 이루어지는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손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은 벌화분추출물 10g과, 한방추출물 10g을 혼합하여 수득한다.
상기 벌화분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벌화분은 꿀벌이 식물을 꽃에서 화분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꿀벌의 어금니에서 분비한 파로틴 및 타액과 섞여있는 입자이다. 공기중의 꽃가루는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나 벌화분을 섭취할 경우 알러지 예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벌화분추출물은 습식나노분쇄기에 벌화분 300g과, 정제수 3L를 투입하고 25℃에서 5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나노분쇄단계(S21)와, 나노분쇄단계(S21)를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2 ~ 4℃에서 보관하여 벌화분추출물을 수득하는 벌화분추출물수득단계(S22)에 의해 제조한다.
상기 벌화분은 단단한 외피로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대부분의 동물이나 곤충의 소화효소 및 산과 알칼리에 의해 분해가 잘 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벌화분을 용액에 노출할 경우 삼투 현상으로 발아공(Germpore)를 통해 유효성분이 일부 용출되나 그 효율이 매우 낮으므로 피부 외용으로 적용 시 효능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상기 벌화분을 정제수와 함께 습식나노분쇄기에 의해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벌화분의 외피를 초미세 분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미세 분쇄된 벌화분은 외피와 유효성분을 모두 사용하도록 동결건조하여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1원료인 분말화된 벌화분추출물을 수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한방추출물의 원료가 되는 치자는 혈압강하, 항균, 항염 작용을 하여 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석류는 천연 식물성 에스트로겐 및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효과적이며, 정향은 항산화, 항균, 항염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상기 한방추출물은 치자 100g과, 석류 100g과, 정향 100g에 50 ~ 80% 에탄올 용액 3L를 투입하고 5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원료추출단계(S31)와, 원료추출단계(S31)를 거친 후 10시간 동안 상온 숙성하는 숙성단계(S32)와, 숙성단계(S32)를 거친 후 필터로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하여 제거하는 용매제거단계(S33)와, 용매제거단계(S33)를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2 ~ 4℃에서 보관하여 한방추출물을 수득하는 한방추출물수득단계(S34)에 의해 제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한방추출물 역시 치자, 석류, 정향의 유효성분을 극대화하도록 추출 및 숙성 후 용매를 제거한 상태에서 동결건조에 의해 분말화하여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2원료인 한방추출물을 수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1차분리단계(S14)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을 혼합하는 중온처리단계(S13)를 거친 후 고형물은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오일층의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분리단계(S14)에서는 플라보노이드 추출물과의 혼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물 및 물층, 이물질을 오일층으로부터 1차로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2차분리단계(S15)는 상기 1차분리단계(S14)를 거친 오일층에 정제수 또는 화장수 0.5L를 투입하고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분리단계(S15)에서는 상기 1차분리단계(S14)에서 미쳐 분리되지 못한 오일층에 함유된 물층 및 이물질을 원심분리하여 오일층의 물리적인 순도를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나노분쇄단계(S16)는 상기 2차분리단계(S15)를 거친 후 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나노분쇄기에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한 후 2 ~ 4℃에서 보관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나노분쇄단계(S16)에서는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혼합물을 초미세분쇄 과정을 거친 복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기 전까지 저온 보관하여 유효성분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피부 외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조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나노분쇄단계(S16)를 거친 후에는 복합추출물에 천연색소 및 천연소재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발현하는 과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생지정화단계 내지 나노분쇄단계(S11~S16)에 의해 제조된 복합추출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젤, 크림, 팩, 비누,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이용하도록 구성한다.
<실험 예 1>
본 발명에 따른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주원료 중 하나인 마유의 성분 분석을 통한 효능 확인 실험.
마유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미혼합된 상태의 마유의 지방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하기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처 치유 및 세포 재생과 항균 효능을 가지는 팔미톨레산(오메가-7)과, 아토피와 피부트러블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올레산(오메가-9), 리놀레산(오메가-6), 리놀렌산(오메가-3) 등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예 2>
본 발명에 따른 벌화분추출물 및 한방추출물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능 실험.
1)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LDH release assay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5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LDH 유출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고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HEKa cell에서 항산화 단백질인 heme oxygenase (HO)-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6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대조군 대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HO)-1 mRNA를 약 10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며,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예 3>
본 발명에 따른 벌화분추출물 및 한방추출물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실험.
1)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PS(Lipopolysaccharid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7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2) Raw 264.7세포에서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LPS에 의한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8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iNO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예 4>
본 발명에 따른 벌화분추출물 및 한방추출물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산화, 주름개선 효능 실험.
1)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Collagenase mRNA 발현량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한방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도 9의 그래프 A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Collagenase mRNA가 뚜렷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벌화분추출물과 한방추출물을 병용 처리한 결과 도 9의 그래프 B에서와 같이 치자는 단독 처리한 것에 비해 Collagenase mRNA 억제 효과를 상승시켰으나 석류는 병용 처리 시 반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상기 Collagenase mRNA 발현량 억제 효능 평가결과를 참조하여 collagenase 단백질의 발현량을 ELISA 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0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Collagenase 단백질 합성이 뚜렷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예 5>
본 발명에 따른 벌화분추출물 및 한방추출물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보습 효능 실험.
각질세포에서 보습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과 hyaluronan 단백질의 정량 평가를 실시하여 화분 복합추출물의 보습효능을 검증하였다.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adult (HEKa) cell에서 aquaporin3 (AQP3) mRNA의 발현을 평가한 결과 도 11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대조군 대비 보습인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예 6>
본 발명에 따른 벌화분추출물 및 한방추출물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 실험.
1)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Lipoxygenase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 하기 도 12의 그래프 A, B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대조군(NDGA)에 비해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IgE와 DNP 자극에 의해 알러지 유발 후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한 결과 하기 도 13의 그래프 A, B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대조군(Ketotifen)에 비해 유의적으로 탈과립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RBL-2H3 세포를 이용하여 IgE와 DNP 자극에 의해 알러지 유발 후 유도되는 Th2 cytokine의 IL-4와 IL-13 유전자 발현량을 RT-PCR로 확인한 결과 도 14의 그래프 A, B에서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이 대조군(Con)에 비해 cytokine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은 마유 및 플라보노이드를 효과적으로 추출 및 조성하여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각종 유기용매나 합성 보조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정제마유를 추출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마유 추출물의 추출 과정에서 식물성 천연 원료로 이루어진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세포 보호, 항염, 주름개선, 보습, 항알러지 등에 현저한 효능을 도출하고 피부 미용은 물론, 피부 건강 및 보호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11: 생지정화단계 S12: 저온처리단계
S13: 중온처리단계 S14: 1차분리단계
S15: 2차분리단계 S16: 나노분쇄단계
S21: 나노분쇄단계 S22: 벌화분추출물수득단계
S31: 원료추출단계 S32: 숙성단계
S33: 용매제거단계 S34: 한방추출물수득단계

Claims (5)

  1. 말지방 생지를 수침하여 핏물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생지정화단계(S11)와,
    정화된 생지 1000g에 정제수 1L를 투입하고 40 ~ 5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는 저온처리단계(S12)와,
    상기 저온처리단계(S12)를 거친 후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을 제거하고, 플라보노이드 추출물 20g과 정제수 1L를 투입하여 75 ~ 85℃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는 중온처리단계(S13)와,
    상기 중온처리단계(S13)를 거친 후 고형물은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오일층의 하층부에 층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분리단계(S14)와,
    상기 1차분리단계(S14)를 거친 오일층에 정제수 또는 화장수 0.5L를 투입하고 원심분리기에서 4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는 2차분리단계(S15)와,
    상기 2차분리단계(S15)를 거친 후 분리되는 물층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나노분쇄기에 투입하여 25℃에서 1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한 후 2 ~ 4℃에서 보관하여 복합추출물을 수득하는 나노분쇄단계(S16)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은 벌화분추출물 10g과, 한방추출물 10g을 혼합하여 수득하고,
    상기 벌화분추출물은,
    습식나노분쇄기에 벌화분 300g과, 정제수 3L를 투입하고 25℃에서 5시간 동안 나노입자로 분쇄하는 나노분쇄단계(S21)와,
    나노분쇄단계(S21)를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2 ~ 4℃에서 보관하여 벌화분추출물을 수득하는 벌화분추출물수득단계(S22)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한방추출물은,
    치자 100g과, 석류 100g과, 정향 100g에 50 ~ 80% 에탄올 용액 3L를 투입하고 5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원료추출단계(S31)와,
    원료추출단계(S31)를 거친 후 10시간 동안 상온 숙성하는 숙성단계(S32)와,
    숙성단계(S32)를 거친 후 필터로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하여 제거하는 용매제거단계(S33)와,
    용매제거단계(S33)를 거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2 ~ 4℃에서 보관하여 한방추출물을 수득하는 한방추출물수득단계(S34)에 의해 제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5042A 2020-08-21 2020-08-21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KR102261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42A KR102261158B1 (ko) 2020-08-21 2020-08-21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42A KR102261158B1 (ko) 2020-08-21 2020-08-21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58B1 true KR102261158B1 (ko) 2021-06-03

Family

ID=7639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042A KR102261158B1 (ko) 2020-08-21 2020-08-21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81A (ko) 2021-12-01 2023-06-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말 복부지방으로부터의 유효 지방산을 함유한, 지방 산패취가 저감된 마유 추출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62B1 (ko) 2000-11-06 2003-03-26 애경산업(주)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55527A (ja) * 2004-03-09 2005-09-22 Matsuura Yakugyo Kk 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用組成物
KR100517465B1 (ko) 2003-01-15 2005-09-28 오세군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215B1 (ko) 2003-07-26 2005-11-22 제주녹산장영농조합법인 정제 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5597A (ko) * 2012-06-01 2013-12-11 뉴트라폴리스 (주)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마유가 함유된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523554B1 (ko) * 2014-04-07 2015-05-29 노병승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1614500B1 (ko) 2013-12-02 2016-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케이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0947A (ko) * 2014-11-21 2016-05-31 이종언 마유의 이상취 제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마유를 원료로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품
KR101682225B1 (ko) * 2014-10-30 2016-12-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케이수 마유 정제방법 및 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270B1 (ko) * 2016-09-05 2018-08-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정제방법과 정제마유 및 그 정제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0910A (ko) * 2018-01-26 2019-08-05 최윤식 나노화된 꿀벌 화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62B1 (ko) 2000-11-06 2003-03-26 애경산업(주)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7465B1 (ko) 2003-01-15 2005-09-28 오세군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215B1 (ko) 2003-07-26 2005-11-22 제주녹산장영농조합법인 정제 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255527A (ja) * 2004-03-09 2005-09-22 Matsuura Yakugyo Kk 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用組成物
KR20130135597A (ko) * 2012-06-01 2013-12-11 뉴트라폴리스 (주)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마유가 함유된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614500B1 (ko) 2013-12-02 2016-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케이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554B1 (ko) * 2014-04-07 2015-05-29 노병승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1682225B1 (ko) * 2014-10-30 2016-12-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케이수 마유 정제방법 및 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0947A (ko) * 2014-11-21 2016-05-31 이종언 마유의 이상취 제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마유를 원료로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품
KR101890270B1 (ko) * 2016-09-05 2018-08-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정제방법과 정제마유 및 그 정제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0910A (ko) * 2018-01-26 2019-08-05 최윤식 나노화된 꿀벌 화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181A (ko) 2021-12-01 2023-06-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말 복부지방으로부터의 유효 지방산을 함유한, 지방 산패취가 저감된 마유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0050A (zh)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US20070178061A1 (en) Therapeutic blended oil composition and method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61158B1 (ko)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KR20170004626A (ko) 누에 유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17465B1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CN110251448A (zh) 一种含有蜂胶提取物的美容用组合物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7966A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2346575A (ja) 残留塩素除去剤
KR102539176B1 (ko)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KR100918518B1 (ko) 피부용 팩 조성물
KR102287543B1 (ko) 두피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222B1 (ko) 모낭충 제거, 냄새 제거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391879B1 (ja) 美容方法
KR101387164B1 (ko) 잠분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잠분 분말이 함유된 미용비누 조성물
KR101512600B1 (ko) 두메부추를 이용한 미용재료의 제조방법
KR102533237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386773B2 (ja) 育毛剤
KR102293602B1 (ko) 마스카라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18002703A (ja) ソラヤシ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