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518B1 - 피부용 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용 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518B1
KR100918518B1 KR1020090031990A KR20090031990A KR100918518B1 KR 100918518 B1 KR100918518 B1 KR 100918518B1 KR 1020090031990 A KR1020090031990 A KR 1020090031990A KR 20090031990 A KR20090031990 A KR 20090031990A KR 100918518 B1 KR100918518 B1 KR 10091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ack composition
extract
sal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Original Assignee
김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인 filed Critical 김정인
Priority to KR102009003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용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 및 피부개선에 효과적인 피부용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용 팩 조성물은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습 및 영양을 공급해 피부를 보호하는 한편 피부의 탄력을 강화시키고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소금과 천연 식물성 재료들로 이루어지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고 자극이 적어 민감성 피부를 가진 자나 피부질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팩, 화장료, 피부개선, 보습, 소금, 쌀눈, 황금, 해초, 허브, 아이비, 은행잎

Description

피부용 팩 조성물{Composition for pack improving quality of skin}
본 발명은 피부용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혼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 및 피부개선에 효과적인 피부용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 중 가장 큰 기관으로 항상 외부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가지 자극이나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른 기관에 비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성과 소멸이 활발히 일어나는 기관이다. 또한, 물리적인 찰과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신체 내부의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며 태양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고,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물리적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 감염 등으로 인해 피부의 오염과 건조, 트러블, 피부면역체계 이상을 가져오며 결국 피부염이나 알러지 발생 및 악화를 야기한다.
피부염 중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여러 종의 습진 중의 하나의 타입으로 접촉 피부염이라고도 하는 습진 중의 대표적인 병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적 인 경과를 취하는 피부염증 질환의 하나로, 극심한 소양증과 면역학적 이상을 나타낸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일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환자는 소양증으로 인해 피부를 자주 긁게 되고 이로 인해 2차 감염 및 태선화, 수면방해, 흉한 외형상의 문제로 야기되는 우울증, 열등감, 심리적 위축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으로 소아 때에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보습효과 및 피부염 개선효과를 가지는 팩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보습효과가 낮고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건강하고 윤택한 피부로 재생시키는 효과가 뒤떨어지며, 심한 경우 피부 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제재를 이용하여 부작용 없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 및 피부개선에 효과적인 피부용 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용 팩 조성물은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팩 조성물은 아이비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을 세척한 후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탈수시킨 다음 700 내지 90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브 오일은 라벤다, 로즈마리, 케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유카립투스,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를 포함하는 허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금 뿌리 추출물은 바닥에 게르마늄 볼이 깔린 발효용기에 세절한 황금 뿌리와 흙설탕을 투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용 팩 조성물에 의하면 보습 및 영양을 공급해 피부를 보호하는 한편 피부의 탄력을 강화시키고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소금과 천연 식물성 재료들로 이루어지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고 자극이 적어 민감성 피부를 가진 자나 피부질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피부용 팩 조성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소금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삼투압을 유지시켜 체액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살균 및 정화작용을 하여 피부에 유해한 세균을 없애준다. 본 발명에서 소금으로 천일염을 이용한다. 천일염을 세척한 후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탈수시킨 다음 소성하여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천일제염법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바다의 바닷물을 증발시켜 얻어진 천일염에서 각종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천일염을 용기에 담고 분사되는 물과 교반시켜 1회 내지 2회에 걸쳐 1차로 세척한다. 그리고 1차 세척된 천일염을 체에 밭치고 상방에서 물을 분사하여 1차 세척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천일염의 표면에 부착된 입자가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나 부유물을 제거하는 2차 세 척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세척에 의해 천일염에 포함된 부유물, 흙, 지푸라기, 모래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다음으로 세척된 천일염의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된 천일염을 체에 밭쳐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약 4 내지 6시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여 탈수시킨다. 이외에도 세척된 천일염을 탈수기에 투입하여 회전시켜 수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탈수과정을 거치면서 탈수된 천일염에 잔류하는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처리를 위해 700 내지 900℃의 고온 6 내지 8시간 동안 소성시킨다. 고온 소성에 의해 천연미네랄은 보존되면서 천일염에 남아 있는 이물질이 연소되고, 잔류하는 염화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소성된 천일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분화시킨다.
그리고 쌀눈은 필수아미노산과 토코페롤(비타민 E), 비타민 B1, B2, B6 이외에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분, 단백질, 리놀레산, 옥타코사놀, 감마오리자놀, 베타시스테롤, 쌀겨오일(Rice Bran oil)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중 리놀레산은 필수지방산으로 세포에 탄력성을 부여하고, 혈중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옥토코사놀은 스테미너 및 지구력증진에 기여하고, 감마오리자놀(r-Orizanol)은 오메가(Omega) 3,6,9, 독특하게 비타민F(Linoleic, Linolenic acids)를 함유하고 있음으로 인해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며, 쌀겨오일은 스쿠알렌을 함유하고 항산화 성분인 트코트리엔올이 함유되어 피부보습 및 활성을 도와주어 피부미용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처럼 쌀눈은 세포의 포괄적 영양성분이며 영양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천연 식물성이어서 본 발명에 첨가되었을 경우 피부에 적당한 보습과 유연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쌀눈은 제분기에서 분쇄된 분말형태로 상기 재료들과 혼합되거나, 물과 혼합하여 걸죽한 겔 상태로 상기 재료들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로 쌀눈과 물을 1: 5 ~10의 비율로 혼합한다.
해초로는 다시마, 톳, 파래 등을 단독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초는 건조 후 분쇄한 분말을 이용한다. 이러한 해초 분말은 풍부한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탄력강화, 피부조직재생 등에 유용하다. 또한 피부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하다.
해초분말은 분말형태 그대로 상기의 재료들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해초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걸죽한 겔 형태로 상기 재료들과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량비로 해초분말과 물을 1: 5 ~10의 비율로 혼합한다.
허브 오일은 항균, 항산화, 피부진정과 소염효과를 더할 뿐만 아니라 황금뿌리 발효액과 혼합될 때 발효액의 좋지 않은 냄새를 제거한다. 또한,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영양분을 보충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에 쉽게 흡수도도록 한다.
허브오일에 이용되는 허브로는 라벤다, 티트리, 로즈마리, 케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유카립투스,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를 포함하는 허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허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허브 오일은 통상의 정유 추출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정유 추출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정유 제조방법에는 정유를 실제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출시키는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압착해서 정유를 얻는 압착법(expression), 지방과 같은 불휘발성 용매에 흡수시켜 채취하는 흡착법(adsorption), 휘발성 용제(예를 들면 헥산, 에틸알콜, 벤젠 등)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용제 추출법(solvent extraction), 식물의 줄기나 뿌리 줄기에 상처를 내서 침출하는 수액을 수집하는 침출법(exudation) 및 초임계 가스추출법(supercritical extration, CO2 extraction)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허브오일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저분자량의 휘발성이 우수한 성분들만을 수득할 수 있다.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 상태의 허브의 잎과 꽃, 줄기를 일정 크기로 분쇄한 다음, 추출 반응기에 주입한다. 이어서, 추출 용매를 허브에 대해 일정 함량으로 주입한다. 사용 가능한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저극성 용매인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이 사용된다.
이때, 추출용매의 함량은 사용되는 용매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물 및 저급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조 분쇄된 식물의 중량에 대해 부피비로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배로 사용하고, 유기용매의 경우 0.5 내지 2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배로 사용한다.
허브 오일은 통상적인 증기증류 공정을 통하여 오일의 형태로 채취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한약재로 이용된다. 황금의 뿌리는 한의학에서는 염증성 질환을 열 (熱)이나 화 (火)로 비유하여 설명하고 이를 치료하는 작용을 가진 약물로 열을 내려준다 하여 청열사화 (淸熱瀉火)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하였다. 예전부터 청열시키는 약재로서 황금, 황련, 황백, 대황, 석고 등을 사용하여 왔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황금은 성질이 매우 고한 (苦寒)하여 장 (腸)과 폐 (肺)의 열성질환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리하여 외부의 사기가 인체에 침범하여 생기는 신열 (身熱), 해수 (기침), 열성 설사, 황달, 토혈 (吐血) 등의 질환에 주로 적용하였다. 현재, 약리학적으로 바이칼린 (baicalin), 바이칼레인 (baicalein), 우고닌 (wogonin) 등이 분리되어 있고 지사 (止瀉), 해열, 항염증 및 항암작용이 보고된바 있다
이러한 황금 뿌리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천연 항균제의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황금 뿌리 추출물은 피부알레르기, 트러블 등의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파라벤 등 합성방부제를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금 뿌리 추출물은 황금 뿌리에 물을 가하여 열수추출한 추출물이나 알콜 등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상온추출시킨 추출물 등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일정기간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금 뿌리를 발효시키는 경우 황금 뿌리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면서도 발효과정에 관여하는 발효 미생물에 의해 유용성분을 증대시킬 수 있다.
황금뿌리 발효액을 얻기 위해 바닥에 게르마늄 볼이 깔린 발효용기에 세절한 황금 뿌리와 흙설탕을 투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다. 황금뿌리를 잘게 자른 후 황금 뿌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 50 내지 100중량부, 흙설탕 20 내지 30 중량부를 잘 혼합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황금뿌리와, 물, 흙설탕의 혼합물은 바닥에 게르마늄 볼이 깔린 옹기에 담아 20 내지 25℃에서 6 내지 10개월 동안 숙성시킨다. 게르마늄 볼은 황금뿌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를 옹기의 바닥에 깔아 이용한다. 게르마늄볼은 게르마늄 원석을 볼밀(ball milling)하여 분쇄한 다음 10~30 mm 직경을 갖는 볼로 성형한 후 800 ~1000℃에서 소성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게르마늄볼은 다공성 광물로서, 탈취, 흡착작용이 우수하여 발효시 좋지 않은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발효 후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이물질을 걸러내어 최종적으로 황금뿌리 발효액을 얻는다.
상기 재료들의 조성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쌀눈 2 내지 10중량부, 해초 5 내지 20중량부, 허브오일 1 내지 5중량부, 황금 뿌리 추출물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들은 천연제재들이고 인체에 해가 되는 성분들이 아니므로 몇 가지 재료들이 정해진 조성비를 벗어났다 하더라도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조성비를 따르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서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10 내지 99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겔의 제형을 가진다. 이러한 조성물은 그 자체만으로 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직접 발라 사용하는 경우 피부 보습, 각질제거, 피부개선효과 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팩 조성물을 순면, 부직포, 스판레이스, 펄프 등의 기재에 도포시켜 마스크 팩이나 바디 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팩 조성물을 자연건조시키거나 열풍 건조시켜 분말형상의 조성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공지된 성분을 더 포함하여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세정제, 비누, 베이비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팩 조성물은 아이비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아이비(Parthenocissus tricuspidata)는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덩굴식물이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아이비 추출 물은 본 발명의 팩 조성물에 함유되어 모세혈관계를 조절하는 작용으로 과도한 피지 분비를 억제시키고 피부를 탄력있게 하는 수렴효과를 나타내며, 다량의 비타민 C로 인하여 피부를 회복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부재생을 돕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은행잎(백과엽)은 은행나무의 잎으로 매우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은행잎이 함유하고 있는 중요 성분은 플라보노이드와 바이플라보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니딘, 테르펜락톤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중 은행잎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퀘르세틴(Querctin), 이소람네틴(Isorhamnetins), 3-O-메칠미리스티신(3-O-methylmyristicins), 켐프페롤(Kaempferol)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의 프리라디칼(유해산소) 제거, 항산화작용, 세포막 보호, 혈관질환개선, 혈압 강하작용 등을 가지며, 바이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는 아멘토 플라본(Amentoflavone), 바이로베틴(Bilobetin),5-메톡시바이로베틴, 깅제틴(Ginkgetin), 이소깅제틴(Isoginkgetin) 등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s)도 있으며, 페르펜락톤으로는 깅코라이드(Ginkgolide) A, B, C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은행잎의 유효성분들은 혈액순환 개선, 혈전 제거, 혈액노화 예방, 피부노화 억제, 건성피부 보호 및 얼굴의 잔주름을 막아주며 항균작용과 더불어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이비와 은행잎의 추출물은 통상적인 열수 추출, 냉침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아이비와 은행잎을 건조시킨 후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 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20 배 부피량을 가하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 3∼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 ℃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 또는 분사건조하여 얻어진 분말 형상의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아이비와 은행잎의 추출물은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과 혼합하여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이 제조된다. 이 경우 아이비와 은행잎 추출물은 소금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 비율로 혼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팩 조성물의 일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천일염을 물로 세척한 후 탈수시킨 다음 800℃에서 소성하여 분쇄한 소금 분말 390g, 쌀눈 분말과 물을 1:5중량비로 혼합한 제 1혼합물 87g, 해초분말과 물을 1:5중량비로 혼합한 제 2혼합물 202g, 허브오일 10g, 황금 뿌리 발효액 10g을 혼합하여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팩 조성물을 제조하되, 아이비 추출물 8g과 은행잎 추출물을 8g을 더 혼합하였다.
<제 1실험예: 피부 자극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팩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 예 1 내지 2의 팩 조성물에 대한 피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테스트를 위해 10대에서 3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5명씩 총 15명의 여성을 상대로 위팔 부위에 소량의 시료를 첩포한 후 1시간 후에 피부 반응을 1차 육안 검사하고, 24시간 후에 다시 2차 육안 검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자극 정도
실시 예1 1차: ○, 2차: ○
실시 예2 1차: ○, 2차: ○
(○: 피부 변화 없음, △: 경미한 홍반이 나타남, ×:뚜렷한 홍반이 나타남)
상기의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팩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2실험예: 피부 개선 실험>
상기 실시 예 1 및 2의 팩 조성물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비교예로 시판중인 팩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피검자 30명을 선발하였다. 연령대는 20~40세였으며, 남자 12명 여자 18명이었다. 피검자들을 15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제 1그룹에는 실시예 1의 팩 조성물을, 제 2그룹에는 실시예 2의 팩 조성물을, 제 3그룹에는 비교예의 팩 조성물을 일주일 동안 얼굴 부위에 수시로 바르도록 하여 피부의 보습효과, 피부탄력효과, 가려움증 완화 정도에 대해서 5점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습효과 피부탄력효과 가려움증완화
실시예1 4.2 3.8 4.0
실시예2 4.3 4.5 4.2
비교예 3.5 2.7 2.2
(1:매우나쁘다, 2:나쁘다, 3:보통이다, 4:좋다, 5:매우좋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기존의 팩 조성물인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피부의 보습, 피부탄력, 가려움증 완화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이비 및 은행잎 추출물을 첨가한 실시 예 2가 피부탄력효과에서 실시 예 1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소금, 쌀눈, 해초, 허브오일, 황금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팩 조성물은 아이비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을 세척한 후 수분 및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 탈수시킨 다음 700 내지 900℃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팩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오일은 라벤다, 티트리, 로즈마리, 케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유카립투스,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를 포함하는 허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황금 뿌리 추출물은 바닥에 게르마늄 볼이 깔린 발효용기에 세절한 황금 뿌리와 흙설탕을 투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팩 조성물.
KR1020090031990A 2009-04-13 2009-04-13 피부용 팩 조성물 KR10091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90A KR100918518B1 (ko) 2009-04-13 2009-04-13 피부용 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90A KR100918518B1 (ko) 2009-04-13 2009-04-13 피부용 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518B1 true KR100918518B1 (ko) 2009-09-24

Family

ID=4135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90A KR100918518B1 (ko) 2009-04-13 2009-04-13 피부용 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2852A (zh) * 2013-09-26 2013-12-25 陈理敬 一种抗痘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3860426A (zh) * 2014-03-05 2014-06-18 广州市欣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护眼霜及其制备方法
CN112137929A (zh) * 2020-10-10 2020-12-29 昆山市双友日用化工有限公司 一种新型化妆品防腐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76A (ko) * 2000-11-13 2002-05-18 서상두 맛사지용 팩의 조성물
KR20060015824A (ko) * 2004-08-16 2006-02-21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미용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76A (ko) * 2000-11-13 2002-05-18 서상두 맛사지용 팩의 조성물
KR20060015824A (ko) * 2004-08-16 2006-02-21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미용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2852A (zh) * 2013-09-26 2013-12-25 陈理敬 一种抗痘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3860426A (zh) * 2014-03-05 2014-06-18 广州市欣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护眼霜及其制备方法
CN112137929A (zh) * 2020-10-10 2020-12-29 昆山市双友日用化工有限公司 一种新型化妆品防腐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323B1 (ko) 허브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9B1 (ko) 편백 추출물, 해송 추출물 및 백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2851A (ko) 와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DK167345B1 (da) Deodoriserende middel og anvendelse heraf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18518B1 (ko) 피부용 팩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760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모링가잎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0146A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85274B1 (ko)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2261158B1 (ko) 마유 플라보노이드 복합추출물 제조방법
KR10207299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JP2004035442A (ja) c−kit発現阻害剤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20220013224A (ko)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3237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07848B2 (ja) ディフェンシン産生促進剤、カテリシジン産生促進剤、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