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70B1 -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70B1
KR102261070B1 KR1020200141317A KR20200141317A KR102261070B1 KR 102261070 B1 KR102261070 B1 KR 102261070B1 KR 1020200141317 A KR1020200141317 A KR 1020200141317A KR 20200141317 A KR20200141317 A KR 20200141317A KR 102261070 B1 KR102261070 B1 KR 102261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eta
fine dust
ray sourc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천
브엉 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using electron or ion
    • G01N23/225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using electron or ion using incident ion beams, e.g. proton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 G01N2001/2261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preventing condensation (heating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2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beta or electr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채취위치와 검출위치 사이를 이송할 수 있는 이동프레임(103) 및 이동프레임(103)의 이동수단; 이동프레임(103) 상에 탑재되고,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105)가 권취된 권취롤러(118) 및 사용된 필터(105)를 회수하는 필터롤러(106); 채취위치상에 설치되고,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유입관(101) 및 시료가스를 배출하는 시료유출관(111); 일측이 시료유출관(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필터(105)와 시료유입관(101)을 향하는 유출부모듈(108); 유출부모듈(108)의 타측을 필터(105)와 시료유입관(101)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하는 밀착수단; 검출위치상에 설치되고, 미세먼지가 포집된 필터(105)를 향해 베타레이를 조사하는 베타레이선원(116); 및 베타레이선원(116)과 대면하게 설치되어 필터(105)를 투과한 베타레이를 검출하는 검출기(117);로 구성되어 검출기(117)의 출력신호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Continuous Stack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with beta-ray technology}
본 발명은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미세먼지(fine dust), 초미세먼지(fine particle) 및 극초미세먼지(ultrafine particle)를 측정하는 데는 굴뚝내의 수분량이 크게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100℃ 이상인 고온 다습한 공기를 희석하여 수분을 낮추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터 조작의 논란이 있어 희석방식을 법으로 엄격히 금하고 있다.
또한,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하는 종래의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정확한 검출을 위해 검출기가 5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미세먼지 농도 검출(측정)기는 굴뚝으로부터의 배출되는 고온(100℃ 이상)의 시료가스로 인해 검출기가 쉽게 가열되었다. 이로 인해, 부정확한 측정 결과가 나왔고, 냉각을 위해 측정을 멈출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굴뚝의 배출가스에 대해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20-0089116 호 (연속적인 미세먼지 분석을 위한 수직형 듀얼 디졸베이터 및 그 동작방법),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158932 호 (미세먼지 분석기의 농도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의 굴뚝 배출가스로부터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료가스의 채취와 검출을 분리한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료가스의 수분 응축을 방지하고, 시료 측정 기준에 따른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료의 채취 시에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로써, 채취위치와 검출위치 사이를 이송할 수 있는 이동프레임(103) 및 이동프레임(103)의 이동수단; 이동프레임(103) 상에 탑재되고,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105)가 권취된 권취롤러(118) 및 사용된 상기 필터(105)를 회수하는 필터롤러(106); 채취위치상에 설치되고,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유입관(101) 및 시료가스를 배출하는 시료유출관(111); 일측이 시료유출관(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필터(105)와 시료유입관(101)을 향하는 유출부모듈(108); 유출부모듈(108)의 타측을 필터(105)와 시료유입관(101)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하는 밀착수단; 검출위치상에 설치되고, 미세먼지가 포집된 상기 필터(105)를 향해 베타레이를 조사하는 베타레이선원(116); 및 베타레이선원(116)과 대면하게 설치되어 필터(105)를 투과한 베타레이를 검출하는 검출기(117);로 구성되어 검출기(117)의 출력신호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동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모터(114); 및 프레임모터(114)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20);를 포함하고, 이동프레임(103)은 리드스크류(120) 상에서 왕복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105)는 스트립 형태이고, 필터(105)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필터롤러(106)에는 필터롤러용 모터(113)가 더 구비된다.
또한, 유출부모듈(108)로 이송되는 상기 필터(105)를 가열하기 위한 필터히터(10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시료유입관(101)에는 시료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히터(1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를 차폐하는 케이스(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출기(117)는 20℃ ~ 50℃ 의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밀착수단은, 유출부모듈(108)의 하부에서 밀착된 채로 회전 가능하며, 적어도 2개의 반경을 갖는 회전자(107); 및 회전자(107)를 회전시키는 회전자용 모터(113);를 포함한다.
또한, 시료유입관(101)의 단부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블럭(124); 및 상부블럭(124)과 상기 유출부모듈(108) 사이에 끼워지는 오링(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료유입관(101) 및 시료유출관(11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시료가스를 유동시키는 유출펌프(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전술한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있어서, 이동프레임(103)을 채취위치로 이송하는 단계(S100); 유출펌프(119)를 동작시켜 시료유입관(101)과 시료유출관(111)으로 시료가스를 유동시키면서 필터(105)에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30); 이동프레임(103)을 검출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S220); 및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로 상기 필터(105)에 대해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단계(S100) 내지 검출단계(S2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이송단계(S100) 내지 검출단계(S2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시료유입관(101)의 예열히터(102)와 유출부모듈(108)의 필터히터(109)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이송단계(S100) 이후, 필터롤러(106)에 의해 새필터(105)가 유출부모듈(108) 위치로 이송되는 단계(S110); 및 회전자(107)에 의해 유출부모듈(108)이 상승하여 새필터(105)를 고정하는 단계(S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포집단계(S130) 이후, 유출펌프(119)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200); 및 회전자(107)에 의해 유출부모듈(108)이 하강하는 단계(S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실시예로써,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305)가 권취된 권취롤러(318) 및 사용된 상기 필터(305)를 회수하는 필터롤러(306); 필터(305) 상에 설치되고,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유입관(301) 및 상기 시료가스를 배출하는 시료유출관(311); 시료유입관(301)으로부터 분지되는 바이패스관(350); 바이패스관(350) 상에 설치되어, 바이패스관(350)을 개폐하는 제 1 밸브(352); 시료유출관(311) 상에 설치되어, 시료유출관(311)을 개폐하는 제 2 밸브(354); 시료유입관(301)과 시료유출관(311) 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채취모듈(370); 시료유입관(301)과 시료유출관(311) 사이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검출모듈(360); 일측에 상기 채취모듈(370)이 연결되고, 타측에 검출모듈(360)이 연결되어 삽입과 분리중 하나를 선택하는 회동축(390)과 회동모터(313); 검출모듈(360)상에 설치되고, 미세먼지가 포집된 필터(305)를 향해 베타레이를 조사하는 베타레이선원(316); 및 베타레이선원(316)과 대면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305)를 투과한 베타레이를 검출하는 검출기(317);로 구성되어 검출기(317)의 출력신호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듈(360)은, 서로 이격된 베타레이선원(316)과 검출기(317); 베타레이선원(316)의 상부에 위치하고, 시료유입관(301)의 하부를 폐쇄하는 상부디스크(362); 및 베타레이선원(316)과 검출기(317)를 차폐하는 케이스(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출기(317)는 20℃ ~ 50℃ 의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채취모듈(37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시료유입관(301)의 하단을 폐쇄하는 하부디스크(3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전술한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있어서, 필터롤러(306)에 의해 새필터(305)가 시료채취 위치로 이송되는 단계(S300); 제 1 밸브(352)가 폐쇄되고, 제 2 밸브(354)가 개방되는 단계(S310); 회동축(390)에 의해 채취모듈(370)이 삽입되고, 하부디스크(372)가 시료유입관(301)의 하부를 폐쇄하는 단계(S320); 유출펌프(319)를 동작시켜 시료유입관(301)과 시료유출관(311)으로 시료가스를 유동시키면서 필터(305)에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330); 유출펌프(319)를 중지하고, 제 1 밸브(352)를 개방하는 단계(S400); 회동축(390)에 의해 채취모듈(370)을 분리하는 단계(S410); 회동축(390)에 의해 검출모듈(360)을 삽입하고, 제 2 밸브(354)를 폐쇄하는 단계(S420); 베타레이선원(316)과 검출기(317)로 필터(305)에 대해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출펌프(119)를 멈추고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제 1 밸브(352)와 바이패스관(3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경우에 따라 폐쇄하여 이 유로를 아예 만들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송단계(S300) 내지 검출단계(S3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이송단계(S300) 내지 검출단계(S3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시료유입관(301)의 예열히터(302)와 필터히터(309)가 가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온의 굴뚝 배출가스로부터 열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료가스의 채취와 검출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료 채취와 농도 검출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상호 단열을 구현함으로써 시료 채취모드에서의 고온 조건과 시료 검출모드에서의 항온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에 매우 민감한 베타레이 검출기를 보호하여 미세먼지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료가스의 수분 응축을 방지하고, 시료 측정 기준에 따른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료의 채취 시에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이 채취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 측정시스템이 검출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4는 도 1중 유출부모듈(108)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정면도,
도 5는 도 1중 유출부모듈(108)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출부모듈(108)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이 굴뚝(13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채취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검출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이 채취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속 측정시스템이 검출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중 검출모듈(360)과 채취모듈(370)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채취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검출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이 채취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 측정시스템이 검출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03)은 채취위치와 검출위치 사이를 이송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03)을 왕복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모터(114)와 프레임모터(114)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20);이다. 리드스크류(120)의 정역 회전에 의한 이동프레임(103)은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권취롤러(118)는 이동프레임(103)상에 탑재되고, 사용되지 않은 새필터(105)가 권취되어 있다.
필터롤러(106)도 이동프레임(103)상에 탑재되고, 사용된 필터(105)가 권취되어 있다. 필터롤러(106)는 필터롤러용 모터(112)에 의해 회전하며, 필터롤러(106)의 회전에 따라 권취롤러(118)로 회전한다. 필터롤러용 모터(112)는 일정각도씩 회전하여 필터(105)를 일정길이만큼만 이송시킨다.
필터(105)는 스트랩 형태(띠형상 또는 테이프 형상)이며,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시료유입관(101)은 채취위치상에 설치되고,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관로이다. 시료유입관(101)의 둘레에는 시료가스의 예열을 위해 예열히터(102)가 구비된다. 예열히터(102)는 펠티어 소자 또는 전열히터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곽에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모듈(108)은 시료유입관(101)과 시료유출관(111) 사이에 위치하며, 시료유입관(101)의 하단에서 밀착/밀착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밀착수단은 유출부모듈(108)의 타측을 필터(105)와 시료유입관(101)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밀착수단으로는 유출부모듈(108)의 하부에서 밀착된 채로 회전 가능하며, 타원형태의 회전자(107) 및 회전자(107)를 회전시키는 회전자용 모터(113)를 포함한다. 회전자용 모터(113)는 정역회전이 가능하거나 서보모터일 수 있다.
필터히터(109)는 유출부모듈(108)의 좌우에 배치되어 필터(105)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필터히터(109)는 펠티어 소자 또는 전열히터가 될 수 있다.
시료유출관(111)의 일단은 유출부모듈(108)에 연결되고, 일측에는 유출펌프(119)가 설치되어 있다. 유출펌프(119)는 분당 1리터 이상의 시료가스를 유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5)는 검출위치에 구비되며, 내부에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가 내장된다. 온도에 민감한 검출기(117)를 위해 케이스(115)는 항온상태(예 : 50℃ 미만, 또는 30 ~ 40℃)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5)에 온도센서(미도시)와 환풍장치 또는 냉각장치(예 : 펠티어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베타레이선원(116)은 방사선 동위원소에 의해 베타선을 조사하며, 필터(105)를 통과한 후 검출기(117)에 다다른다. 검출기(117)는 조사되는 베타레이의 광량에 비례하여 전압이나 전류를 출력한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으며 저광량의 신호가 출력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으면 고광량의 신호가 출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 사이에는 이송된 필터(105)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중 유출부모듈(108)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중 유출부모듈(108)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유입관(101)의 하단 둘레에는 상부블럭(124)이 조립된다. 그리고, 오링(122)은 상부블럭(124)의 하면과 유출부모듈(108)의 상면 사이에 개제되어 밀봉상태를 유지하고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회전자(107)가 회전하면 유출부모듈(108)이 하강하여 하강위치에 놓이게 되고, 필터(105)가 그 사이를 빠져나와 검출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출부모듈(108)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부모듈(108)은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에는 오링(122)이 구비되고, 상부블럭(124)과 시료유입관(101)이 조립되며, 측면으로는 시료유출관(111)이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이 굴뚝(13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뚝(103)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가스중 일부는 등속흡인 프로브(132)를 통해 채취된다.
제 1 흡인펌프(136)는 입자분립기(134)에 연결되며 분당 4리터 이상 또는 이하의 시료가스를 유입하여 입자분립을 시킬 수도 있다.
시료유입부(110)는 입자분립기(134)와 본 발명의 연속측정시스템(140) 사이에 설치된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채취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검출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와 도 9의 흐름도는 연속해서 동작하며, 반복적으로 동작한다.
먼저, 프레임모터(114)와 리드스크류(120)가 회전하여 이동프레임(103)을 도 1과 같은 시료 채취위치로 이송한다(S100).
그 다음, 필터롤러용 모터(112)가 회전하여 필터롤러(106)가 일정 각도 회전한다. 그러면, 새필터(105)가 권취롤러(118)로부터 풀려서 유출부모듈(108)의 상부에 위치한다(S110).
그 다음, 회전자용 모터(113))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107)가 회전하고, 유출부모듈(108)이 상승하여 새필터(105)를 고정한다(S120). 구체적으로는 도 4와 같이, 유출부모듈(108)과 상부블럭(124)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오링(122)와 필터(105)가 끼워지게 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없는 내부 밀봉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유출펌프(119)를 동작시켜 시료유입관(101)과 시료유출관(111)으로 시료가스를 유동시킨다. 그러면 시료가스가 시료유입관(101), 필터(105) 및 시료유출관(1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포함된 미세먼지가 필터(105)에 포집된다(S130).
포집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되면, 유출펌프(119)를 정지시킨다(S200).
그 다음, 회전자용모터(113)를 동작시켜서 회전자(107)에 의해 유출부모듈(108)을 하강시킨다(S210).
그 다음, 프레임모터(114)를 역회전시켜서 이동프레임(103)을 도 3과 같은 검출위치로 이송시킨다(S220). 이때,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105)는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 사이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베타레이선원(116)에서 조사되는 베타레이가 필터(105)를 투과하여 검출기(117)에 도달하고, 검출기(117)에 미세먼지의 농도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기신호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한다(S230)
아울러, 전술한 이송단계(S100) 내지 검출단계(S2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시료유입관(101)의 예열히터(102)와 유출부모듈(108)의 필터히터(109)는 유입온도를 고려하여 각각 미리 정해진 온도(예 : 100℃ )로 가열된다. 특히, 필터히터(109)의 가열은 시료가스내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을 방지하여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회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완료되면, 베타레이선원(116)을 밀폐하고, 이동프레임(103)을 다시 채취위치로 이송한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이 채취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연속 측정시스템이 검출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유입관(301)과 시료유출관(311) 사이에서 채취모듈(370)과 검출모듈(36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거나 분리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모터(313)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동축(390)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제 1 회동아암(392)에는 상부디스크(362)를 포함하는 검출모듈(360)이 조립되고, 제 2 회동아암(394)에는 하부디스크(372)를 포함하는 채취모듈(370)이 조립된다.
권취롤러(318)에는 사용되지 않은 새필터(305)가 권취되어 있다.
필터롤러(306)에는 사용된 필터(305)가 권취되어 있다. 필터롤러(306)는 필터롤러용 모터(312)에 의해 회전하며, 필터롤러(306)의 회전에 따라 권취롤러(318)로 회전한다. 필터롤러용 모터(312)는 일정각도씩 회전하여 필터(305)를 일정길이만큼만 이송시킨다.
필터(305)는 스트랩 형태(띠형상 또는 테이프 형상)이며,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시료유입관(301)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관로이다. 시료유입관(301)의 둘레에는 시료가스의 예열을 위해 예열히터(302)가 구비된다. 예열히터(302)는 펠티어 소자 또는 전열히터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곽에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히터(309)는 시료유입관(301) 하단의 좌우에 배치되어 필터(305)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필터히터(309)는 펠티어 소자 또는 전열히터가 될 수 있다.
시료유출관(311)의 일단은 시료유입부(310)의 하단과 연결되고, 일측에는 유출펌프(319)가 설치되어 있다. 즉, 시료유입부(310)의 하단중 저부는 개방되어 있고, 측면으로는 시료유출관(311)이 연결된다. 개방된 시료유입부(310)의 저부에는 하부디스크(372) 또는 검출모듈(360)중 검출기(317) 측이 연결된다. 유출펌프(319)는 분당 1리터 이상의 시료가스를 유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315)는 검출모듈(360) 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검출기(317)가 내장된다. 온도에 민감한 검출기(317)를 위해 케이스(315)는 항온상태(예 : 50℃ 미만, 또는 30 ~ 40℃)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케이스(315)에 온도센서(미도시)와 환풍장치 또는 냉각장치(예 : 펠티어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베타레이선원(316)은 방사선 동위원소에 의해 베타선을 조사하며, 필터(305)를 통과한 후 검출기(317)에 다다른다. 검출기(317)는 조사되는 베타레이의 광량에 비례하여 전압이나 전류를 출력한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으며 저광량의 신호가 출력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으면 고광량의 신호가 출력된다.
바이패스관(350)은 시료유입관(301)으로부터 측면으로 분지되고,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 1 밸브(351)가 설치된다. 이때 바이패스관(350) 및 제 1 밸브(351)를 사용하지 않고 유출펌프(319)를 정지시키므로써 공기흐름을 멈출수가 있고 그 순간에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때는 바이패스가 생략될 수 있다.
검출모듈(360)은 상부에 상부디스크(362)와 베타레이선원(316)을 구비하며, 하부에 케이스(315)를 구비하고 일체로 회동할 수 있다. 상부디스크(362)는 시료가스의 유동방향에 대해 시료유입관(301)중 바이패스관(350) 다음의 단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검출기(317)와 케이스(315)는 시료유입관(301)의 하단 저부 단면에 회동되어 위치한다. 이로써, 베타레이선원(316)과 검출기(317) 사이에 필터(305)가 위치할 수 있다.
채취모듈(370)은 시료유입관(301) 중 검출모듈(360)의 상부를 대체하여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하부디스크(372)와 일체로 회동한다. 하부디스크(372)는 시료유입관(301)의 하단 저부 단면에 회동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채취모듈(370)은 시료가스가 필터(305)를 통과한 후 시료유출관(311)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시료유출관(311)에는 제 2 밸브(354)가 구비된다.
제 2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채취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측정시스템의 동작방법 중 검출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3의 흐름도와 도 14의 흐름도는 연속해서 동작하며, 반복적으로 동작한다. 먼저, 필터롤러용 모터(312)가 회전하여 필터롤러(306)가 일정 각도 회전한다. 그러면, 새필터(305)가 권취롤러(318)로부터 풀려서 한쌍의 필터히터(309) 사이에 위치한다(S300).
그 다음, 제 1 밸브(352)가 폐쇄되어 바이패스관(350)이 폐쇄되고, 제 2 밸브(354)가 개방되어 시료유출관(311)이 개방된다(S310).
그 다음, 회동모터(313)로 회동축(390)을 회동시켜 채취모듈(370)을 삽입한다(S320). 이때, 하부디스크(372)는 시료유입관(301)의 저부를 폐쇄한다(S320).
그 다음, 유출펌프(319)를 동작시켜 시료유입관(301)과 시료유출관(311)으로 시료가스를 유동시킨다. 그러면 시료가스가 시료유입관(301), 필터(305) 및 시료유출관(3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포함된 미세먼지가 필터(305)에 포집된다(S130).
포집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되면, 유출펌프(319)를 정지시킨다.
그 다음, 제 1 밸브(352)를 개방하여 바이패스관(350)을 개방한다(S400). 유입되는 시료가스는 시료유입관(301)으로부터 바이패스관(350)으로 통과하게 된다.
그 다음, 회동모터(313)로 회동축(390)을 회동시켜 채취모듈(370)을 분리하고(S410), 그 자리에 검출모듈(360)을 삽입한다(S420). 이때, 제 2 밸브(354)는 폐쇄한다. 그러면,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305)는 베타레이선원(316)과 검출기(317) 사이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베타레이선원(316)에서 조사되는 베타레이가 필터(305)를 투과하여 검출기(317)에 도달하고, 검출기(317)에 미세먼지의 농도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기신호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한다(S430)
아울러, 전술한 이송단계(S300) 내지 검출단계(S4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시료유입관(301)의 예열히터(302)와 필터히터(309)는 각각 미리 정해진 온도(예 : 100℃ )로 가열된다. 특히, 필터히터(309)의 가열은 시료가스내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을 방지하여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1회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이 완료되면, 베타레이선원(316)을 밀폐한다. 그 다음, 회동축(390)에 의해 검출모듈(360)이 분리되고, 채취모듈(370)이 삽입되며, 새필터(305)가 공급된다. 이를 통해 연속적인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1 : 시료유입관,
102 : 예열히터,
103 : 이동프레임,
104 : 필터지지대,
105 : 필터,
106 : 필터롤러,
107 : 회전자,
108 : 유출부모듈,
109 : 필터히터,
110 : 시료유입부,
111 : 시료유출관,
112 : 필터롤러용 모터,
113 : 회전자용 모터,
114 : 프레임모터,
115 : 케이스,
116 : 베타레이선원,
117 : 검출기,
118 : 권취롤러,
119 : 유출펌프,
120 : 리드스크류,
122 : 오링,
124 : 상부블럭,
130 : 굴뚝,
132 : 등록흡입 프로브,
134 : 입자분립기,
136 : 제 1 흡인펌프,
140 : 연속측정시스템,
301 : 시료유입관,
302 : 예열히터,
304 : 필터지지대,
305 : 필터,
306 : 필터롤러,
309 : 필터히터,
310 : 시료유입부,
311 : 시료유출관,
312 : 필터롤러용 모터,
313 : 회동용 모터,
315 : 케이스,
316 : 베타레이선원,
317 : 검출기,
318 : 권취롤러,
319 : 유출펌프,
350 : 바이패스관,
352 : 제 1 밸브,
354 : 제 2 밸브,
360 : 검출모듈,
362 : 상부디스크,
370 : 채취모듈,
372 : 하부디스크,
390 : 회동축,
392 : 제 1 회동아암,
394 : 제 2 회동아암.

Claims (20)

  1. 채취위치와 검출위치 사이를 이송할 수 있는 이동프레임(103) 및 상기 이동프레임(103)의 이동수단;
    상기 이동프레임(103) 상에 탑재되고, 시료가스로부터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105)가 권취된 권취롤러(118) 및 사용된 상기 필터(105)를 회수하는 필터롤러(106);
    상기 채취위치상에 설치되고, 상기 시료가스가 유입되는 시료유입관(101) 및 상기 시료가스를 배출하는 시료유출관(111);
    일측이 상기 시료유출관(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105)와 상기 시료유입관(101)을 향하는 유출부모듈(108);
    상기 유출부모듈(108)의 타측을 상기 필터(105)와 상기 시료유입관(101)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하는 밀착수단;
    상기 검출위치상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가 포집된 상기 필터(105)를 향해 베타레이를 조사하는 베타레이선원(116);
    상기 베타레이선원(116)과 대면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105)를 투과한 베타레이를 검출하는 검출기(117); 및
    상기 베타레이선원(116)과 상기 검출기(117)를 차폐하는 케이스(115);로 구성되어
    상기 검출기(117)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모터(114); 및
    상기 프레임모터(114)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2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103)은 상기 리드스크류(120) 상에서 왕복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5)는 스트립 형태이고,
    상기 필터(105)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롤러(106)에는 필터롤러용 모터(1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모듈(108)로 이송되는 상기 필터(105)를 가열하기 위한 필터히터(10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유입관(101)에는 상기 시료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히터(10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유출부모듈(108)의 하부에서 밀착된 채로 회전 가능하며, 적어도 2개의 반경을 갖는 회전자(107); 및
    상기 회전자(107)를 회전시키는 회전자용 모터(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유입관(101)의 단부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블럭(124); 및
    상기 상부블럭(124)과 상기 유출부모듈(108) 사이에 끼워지는 오링(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유입관(101) 및 상기 시료유출관(11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가스를 유동시키는 유출펌프(1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있어서,
    이동프레임(103)을 채취위치로 이송하는 단계(S100);
    유출펌프(119)를 동작시켜 시료유입관(101)과 시료유출관(111)으로 시료가스를 유동시키면서 필터(105)에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S130);
    상기 이동프레임(103)을 검출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S220); 및
    베타레이선원(116)과 검출기(117)로 상기 필터(105)에 대해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출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S100) 내지 상기 검출단계(S2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S100) 내지 상기 검출단계(S23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상기 시료유입관(101)의 예열히터(102)와 상기 유출부모듈(108)의 필터히터(109)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S100) 이후,
    필터롤러(106)에 의해 새필터(105)가 유출부모듈(108) 위치로 이송되는 단계(S110); 및
    회전자(107)에 의해 상기 유출부모듈(108)이 상승하여 상기 새필터(105)를 고정하는 단계(S1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단계(S130) 이후,
    상기 유출펌프(119)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200); 및
    회전자(107)에 의해 상기 유출부모듈(108)이 하강하는 단계(S2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141317A 2020-08-03 2020-10-28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KR10226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570A KR102288946B1 (ko) 2020-08-03 2021-02-26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711 2020-08-03
KR20200096711 2020-08-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570A Division KR102288946B1 (ko) 2020-08-03 2021-02-26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070B1 true KR102261070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17A KR102261070B1 (ko) 2020-08-03 2020-10-28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KR1020210026570A KR102288946B1 (ko) 2020-08-03 2021-02-26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570A KR102288946B1 (ko) 2020-08-03 2021-02-26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10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81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059590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111078A (ko) * 2022-01-17 2023-07-25 코스텍 주식회사 베타선 흡수법에 의한 베타선원, 검출기 일체형 미세 먼지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15031B1 (ko) * 2022-12-01 2023-12-19 (주)켄텍 미세먼지필터 절약기능을 구비한 베타레이 측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343A (ja) * 2004-12-03 2006-06-22 Kimoto Denshi Kogyo Kk 浮遊粒子状物質の測定装置
KR101721606B1 (ko) * 2016-11-10 2017-04-03 대한민국 릴형 미세먼지 성분 분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석 방법
KR101721607B1 (ko) * 2016-11-10 2017-04-03 대한민국 회전형 미세먼지 성분 분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석 방법
KR102052733B1 (ko) * 2019-03-07 2019-12-11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베타레이 기반의 굴뚝 내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00089116A (ko) 2019-01-16 2020-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적인 미세먼지 분석을 위한 수직형 듀얼 디졸베이터 및 그 동작방법
KR102158932B1 (ko) 2019-03-21 2020-09-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분석기의 농도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343A (ja) * 2004-12-03 2006-06-22 Kimoto Denshi Kogyo Kk 浮遊粒子状物質の測定装置
KR101721606B1 (ko) * 2016-11-10 2017-04-03 대한민국 릴형 미세먼지 성분 분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석 방법
KR101721607B1 (ko) * 2016-11-10 2017-04-03 대한민국 회전형 미세먼지 성분 분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석 방법
KR20200089116A (ko) 2019-01-16 2020-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적인 미세먼지 분석을 위한 수직형 듀얼 디졸베이터 및 그 동작방법
KR102052733B1 (ko) * 2019-03-07 2019-12-11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베타레이 기반의 굴뚝 내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158932B1 (ko) 2019-03-21 2020-09-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분석기의 농도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581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059590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572911B1 (ko) * 2021-10-26 2023-08-31 주식회사 엑스엘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600764B1 (ko) * 2021-10-26 2023-11-10 주식회사 엑스엘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111078A (ko) * 2022-01-17 2023-07-25 코스텍 주식회사 베타선 흡수법에 의한 베타선원, 검출기 일체형 미세 먼지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18659B1 (ko) * 2022-01-17 2023-12-28 코스텍 주식회사 베타선 흡수법에 의한 베타선원, 검출기 일체형 미세 먼지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15031B1 (ko) * 2022-12-01 2023-12-19 (주)켄텍 미세먼지필터 절약기능을 구비한 베타레이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946B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70B1 (ko)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US8012231B2 (en) Particulate matter analyzer, collecting filter and system for analyzing and collecting samples from fluids
CN102472730B (zh) 具有个别温度控制件的级联式气体色谱仪(cgc)及使用其的气体分析系统
CN100410649C (zh) 一种在线大气汞分析仪
WO2009003390A1 (en) Beta-ray soot concentration direct readout monitor and method for determining effective sample
JP2012524267A (ja) 呼気のサンプリングと検出用の携帯型ユニット、及び、呼気の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方法
US39124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metric analysis of liquid samples
JPH0545284A (ja) パーテイキユレート連続分析装置
CN109459396B (zh) 大气颗粒物碳同位素在线激光探测分析仪及其使用方法
CN107449685B (zh) 一种一体化β射线烟尘浓度直读监测装置
JP4839069B2 (ja) 浮遊粒子状物質測定装置
US20210018522A1 (en) Automatic analyzer
JP2007255914A (ja) 浮遊粒子状物質測定装置
KR20160129773A (ko) 중금속 연속 측정장치
EP3159674A1 (en) Measurement cell for saxs measurements and for dls measurements
Soo et al. Measurement of mass flow and density of aerosols in transport
JPH04331352A (ja) パーティキュレート分析装置
JP2005134270A (ja) 粒子状物質分析装置
JP3064030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気ガスの分析方法
JPS6038677A (ja) ヨウ素同位体の検知装置
JPH07318554A (ja) 全有機体炭素計
JP3345373B2 (ja) 濾紙への通気装置
JP2002340795A (ja) 同位体ガス測定装置
JP4294421B2 (ja) 大気中の浮遊粒子状物質捕集用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る分析方法
TWI635280B (zh) 氣體與氣膠成分監測裝置及氣固分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