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590A -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590A
KR20230059590A KR1020210143919A KR20210143919A KR20230059590A KR 20230059590 A KR20230059590 A KR 20230059590A KR 1020210143919 A KR1020210143919 A KR 1020210143919A KR 20210143919 A KR20210143919 A KR 20210143919A KR 20230059590 A KR20230059590 A KR 2023005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ine dust
measuring device
fixing part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911B1 (ko
Inventor
주흥로
도기봉
이인우
전정은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엘
Priority to KR102021014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2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beta or electr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부 인렛(100); 상기 상부 인렛(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렛(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인렛(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A fine dust measuring device having an inlet sepa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측정 방식으로, 베타선법, 중량법 및 광 산란법 등이 있다. 베타선법은 미세먼지가 흡착된 필터 상부에 베타선을 조사하고 그 필터의 하부에서 조사된 베타선의 검출량을 이용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베타선법은 공기 흡입부에 분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10
Figure pat00001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며 설정유랑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에 10
Figure pat00002
이하의 먼지를 공급할 수 있다. 분리장치는 입경분리 구조 형태에 따라 사이클론(Cyclone)방식과 임팩터(impactor)방식 등이 존재한다. 베타선법에서 분리장치에서 걸러지는 입자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베타선법은 단독 디바이스로 또는 베타선법과 광산란식이 융합되는 형태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 특수한 형태로서, 베타선법은 네트워크로 저사양(예를 들어, 광산란식) 계측 방식과 네트워크로 연동하면서 계측 기능과 동시에 저사양의 계측값의 보정을 위한 기준값을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278289호
본 발명은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한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부 인렛(100); 상기 상부 인렛(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렛(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인렛(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인렛(400)의 내면은 상기 상부 인렛(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00)는 고정 프레임(100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인렛(100)은 상기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인렛(100)은 측부로 돌출된 거치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10)의 하부면은 상기 고정부(200)의 상부면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20)는 전방에 위치한 제 1 고정부(210) 및 후방에 위치한 제 2 고정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밀착된 제 1 고정부(210) 및 상기 제 2 고정부(220)가 내측에 형성하는 원통형 공간에 상기 상부 인렛(100)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인렛(400)은 상기 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타선 발생 모듈의 오염을 방지하고 베타선의 누수를 감소키셔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그 정확도가 유지되는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인렛과 하부 인렛의 분리 구조를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인렛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미세 먼지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미세 먼지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도 1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분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상부 인렛(100), 고정부(200), 이동부(300), 하부 인렛(400), 하우징(30) 및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내측에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측부로 돌출된 거치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하부 인렛(400)의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은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110)의 하부면은 고정부(200)의 상부면에 거치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의 상부에는 분리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기 설정된 입자 사이즈로 필터링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상하로 개구된 중공형일 수 있다. 고정부(20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부(20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고정 프레임(1000, 도 4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0)은 이동부(300)의 이동과 무관하게 고정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매체이면 형태에 제한이 없을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210, 도 7a 참조)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220, 도 7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서로 밀착되고, 체결공(201)을 통과하는 체결나사(P)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고정부(200)를 제 1 측과 제 2 측으로 양분하는 형태이며, 좌우로 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밀착된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가 내측에 형성하는 원통형 공간에 상부 인렛(100)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하부 연장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장부(23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가이드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상부 인렛(10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는 내측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이동부(300)의 상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의 내측은 상부 인렛(100)의 외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와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에 스프링(330)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원통형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330)의 하단은 이동부(300)에서 스프링(330)의 하단에 대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330)의 상단은 고정부(200)에서 스프링(330)의 상단에 대향하는 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330)은 상부 연장부(320)와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 및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과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에서 연장되며, 내측에 상부 인렛(100)을 수용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은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은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320)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과 상부 인렛(100)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연장부(320)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이동부(300)의 상부로 연장되는 가이드봉(3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봉(310)은 가이드공(23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봉(310)은 가이드공(23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3 하부 연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하부 연장부(350)는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관통하는 체결공(35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352)는 체결공(3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352)는 일단에 밀착부(352a)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352a)는 하부 인렛(400)의 외면에 밀착되어 하부 인렛(400)을 이동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부(300)는 하부로 연장되는 제 2 하부 연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제 3 하부 연장부(35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300)는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0)에 고정된 하부 인렛(400)도 이동부(3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부(300)는 가이드봉(31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230) 및 상부 연장부(320)의 외면이 밀착되는 제 1 하부 연장부(230)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상부 외측 영역에 홈 형태의 체결부(420,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420)에 제 2 하부 연장부(340)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 하부 연장부(340)는 하부 인렛(400)의 체결공(4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36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제 2 연장부(340)의 체결공(360) 및 하부 인렛(400)의 체결공(43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제 2 하부 연장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의 내측에 상부 인렛(100)의 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에 대향하는 하부 인렛(400)의 내면은 상부 인렛(100)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내면과 상부 인렛(100) 외면 사이에 오링(2)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 하단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인렛(400) 내부 영역에 경사부(410)가 구비될 수 잇다. 경사부(410)는 반경이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반경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경사부(410)는 하부 인렛(40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경사부(410)는 상부 인렛(10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수렴시켜 하부 인렛(400) 하부에 위치한 도입부(35, 도 5 참조)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에 대향할 수 있다.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 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하부 인렛(400) 하부의 개구된 영역은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의 하부면에 하부로 돌출된 압박부(440, 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압박부(440)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압박부(440)의 내주면은 도입부(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압박부(440)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필름(50, 도 4 참조)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필름(50)을 하우징(30)의 상부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압박부(440)는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미세먼지 포집 동작 동안 하부 인렛(400) 및 도입부(35)를 통과하는 공기가 압박부(440)와 필름(50) 사이 및 필름(50)과 하우징(30)의 상부면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하부 인렛(400)은 필름(50)과 이격되고,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부 인렛(400)과 필름(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름(50)은 하부 인렛(400)의 하부와 하우징(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름(50)은 하우징 제 1 측에 위치한 제 1 롤러(10) 및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롤러(20)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필름(50)은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연장되며, 필름(50)은 도입부(35)의 상부를 모두 덮을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측에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상부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도입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내측 수용 공간에는 도입부(35)를 통해 조사되는 베타선을 검출하는 베타선 검출기(31)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일측에는 배출구(34)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도입부(35)에서 배출구(34)까지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33)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일러 엑츄에이터(41)는 하우징(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일러(41)에 트레일러(42)가 탑재될 수 있다. 트레일러(42)에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탑재될 수 있다.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부로 베타선을 조사할 수 있다. 트레일러 엑츄에이터(41)가 트레일러(42)를 좌우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의 외측과 도입부(35) 간을 이동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포집 모드에서 동작할 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미세먼지 측정 장치가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동작할 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도입부(35)에 대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인렛(100)과 상부 인렛(100)의 하부한 하부 인렛(4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에서 도 1의 일부 구성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도시하였다.
1.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포집 모드에서의 동작
도 4를 참조하면, 포집 모드일 때, 하부 인렛(400)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압박부(440)가 필름(50)의 상부면을 하부로 압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부(400)와 필름(50)이 서로 밀착되고 및 필름(50)과 하우징(30) 상부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필름(50)과 하우징(30)이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밀착시 필요한 힘을 탄성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이동부(300)를 과도하게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압박부(440)가 필름(5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확하게 압박부(400)가 필름(50)을 가압하도록 구동 수단의 구동을 매우 정밀하게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부 인렛(400)은 하부 인렛(400)이 고정 설치된 이동부(300)의 하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의 상하 이동은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이 담당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태에서 상부 인렛(100) 내부 공간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부 인렛(100)을 통과한 공기는 하부 인렛(400)의 경사부(410)에 의해 중심 측으로 수렴되며, 수렴된 공기는 필름(50), 도입부(35) 및 유로(33) 순으로 경유하며, 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포집 모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하우징(30)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미세먼지 포집시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오염에 의한 측정 오차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베타선 소스 투입 모드 및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의 동작
도 5를 참조하면, 포집 모드가 완료되면, 하부 인렛(400)은 필름(50)과 이격되도록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인렛(400)은 하부 인렛(400)이 고정 설치된 이동부(3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인렛(40) 하단과 필름(50) 사이에서 도입부(35)에 대향하도록 베타선 발생 모듈(43)이 하우징(30) 외측에서 도입부(35)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일러 액츄에이터(41)는 트레일러(42)를 기동하여 베타선 발생 모듈(43)을 하우징(30) 외측에서 도입부(35)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베타선이 방출되는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하부는 필름(50)의 상부면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베타선을 방출하고, 그 방출되어 필름(50) 및 도입부(35)를 통과한 베타선을 베타선 검출기(31)가 검출할 수 있다. 베타선 검출기(31)는 검출된 베타선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라인(L)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과 같이 추가적으로,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하부 인렛(400)의 하부가 베타선 발생 모듈(43)에 접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베타선 발생 모듈(43)의 하부면은 압박부(440)에 의해 눌려지면서 필름(5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인렛(400)의 하부가 베타선 발생 모듈(43)에 접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베타선을 방출하고, 그 방출되어 필름(50) 및 도입부(35)를 통과한 베타선을 베타선 검출기(31)가 검출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모드에서 도 6과 같은 동작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부언하면, 도 5의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도 6과 같은 방식을 통해 누수되는 베타선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측정 정밀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 모드가 완료되면, 베타선 발생 모듈(43)은 도 4와 같이, 하우징(30)의 외측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분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를 참고하면, 하부 인렛(400)이 상부로 이동되어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분해 작업이 용이하게 하부 인렛(400)의 상하 이동 구간 중 최상부로 하부 인렛(400)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제 1 고정부(210)의 전면에 위치한 체결나사(P)를 제거한 후 제 1 고정부(210)를 제 2 고정부(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220)는 고정 프레임(100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제 1 고정부(210)가 제 2 고정부(2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 인렛(100)을 상부로 잡아 당겨 상부 인렛(100)을 고정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c 및 도 7d를 참고하면, 하부인렛(400) 측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제거한 후 하부 인렛(400)을 이동부(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7e에서와 같이, 세척 대상인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이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미세먼지를 필터에 용이하게 포집시키기 위해 경사부(410)를 구비한 하부 인렛(400)은 세척 작업이 용이하기 않다. 그리고, 경사부(410)는 미세 먼지가 잘 적층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을 분리형 타입으로 제작하고, 하부 인렛(400)을 낮은 깊이로 제작하는 것에 의해, 미세 먼지가 잘 적층되는 하부 인렛(400)의 세척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물론, 분리형 타입이어서 상부 인렛(100) 또한 깊이가 낮아지므로 상부 인렛(100)의 세척 작업 또한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인렛(100)이 하부 인렛(4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립하는 것에 의해 상부 인렛(100)을 통과한 공기가 상부 인렛(100)과 하부 인렛(400)이 접하는 영역에서 미세먼지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100 : 상부 인렛
110 : 거치부
200 : 고정부
201 : 체결공
210 : 제 1 고정부
220 : 제 2 고정부
230 : 제 1 하부 연장부
231 : 가이드공
300 : 이동부
310 : 가이드봉
320 : 상부 연장부
330 : 스프링
340 : 제 2 하부 연장부
350 : 제 3 하부 연장부
351 : 체결공
532 : 체결부
352a : 밀착부
360 : 체결공
400 : 하부 인렛
410 : 경사부
420 : 체결부
430 : 체결공
440 : 압박부
2 : 오링
10 : 제 1 롤러
20 : 제 2 롤러
30 : 하우징
31 : 베타선 검출기
33: 유로
34 : 배출구
35 : 도입부
L : 신호 라인
41 : 트레일러 액츄에이터
42 : 트레일러
43 : 베타선 발생 모듈
1000 : 고정 프레임

Claims (6)

  1. 상부 인렛(100);
    상기 상부 인렛(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인렛(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인렛(400)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렛(400)의 내면은 상기 상부 인렛(100)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200)는 고정 프레임(100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인렛(100)은 상기 고정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렛(100)은 측부로 돌출된 거치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10)의 하부면은 상기 고정부(200)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0)는 전방에 위치한 제 1 고정부(210) 및 후방에 위치한 제 2 고정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210) 및 제 2 고정부(220)는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밀착된 제 1 고정부(210) 및 상기 제 2 고정부(220)가 내측에 형성하는 원통형 공간에 상기 상부 인렛(100)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렛(400)은 상기 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0210143919A 2021-10-26 2021-10-26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57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19A KR102572911B1 (ko) 2021-10-26 2021-10-26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19A KR102572911B1 (ko) 2021-10-26 2021-10-26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590A true KR20230059590A (ko) 2023-05-03
KR102572911B1 KR102572911B1 (ko) 2023-08-31

Family

ID=8638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19A KR102572911B1 (ko) 2021-10-26 2021-10-26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789B2 (ja) * 2005-06-15 2011-06-01 興和株式会社 大気中微粒子測定装置
KR101050688B1 (ko) * 2008-11-04 2011-07-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미세먼지 측정용 베타게이지 교정장치 및 방법
KR101278289B1 (ko) 2012-01-30 2013-06-24 (주)켄텍 베타레이를 이용한 듀얼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535872B1 (ko) * 2015-01-26 2015-07-27 한라정공 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세척 및 표면 검사장치
KR20160103766A (ko) * 2015-02-25 2016-09-02 (주)켄텍 중금속 시료 포집이 동시 가능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KR20170054636A (ko) * 2015-11-09 2017-05-18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102261070B1 (ko) * 2020-08-03 2021-06-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789B2 (ja) * 2005-06-15 2011-06-01 興和株式会社 大気中微粒子測定装置
KR101050688B1 (ko) * 2008-11-04 2011-07-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미세먼지 측정용 베타게이지 교정장치 및 방법
KR101278289B1 (ko) 2012-01-30 2013-06-24 (주)켄텍 베타레이를 이용한 듀얼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535872B1 (ko) * 2015-01-26 2015-07-27 한라정공 주식회사 스터드 볼트 세척 및 표면 검사장치
KR20160103766A (ko) * 2015-02-25 2016-09-02 (주)켄텍 중금속 시료 포집이 동시 가능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KR20170054636A (ko) * 2015-11-09 2017-05-18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102261070B1 (ko) * 2020-08-03 2021-06-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레이선원을 이용한 굴뚝 미세먼지의 연속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911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5788B2 (ja) アッセイ装置、方法および試薬
KR101868824B1 (ko) 면역반응 진단 자동화 시스템
CN104520708B (zh) 用于从血液分离血浆进行胆红素水平评估的方法和设备
CA3080335C (en) Sample processing improvements for microscopy
KR101678175B1 (ko) 중금속 시료 포집이 동시 가능한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US20220170838A1 (en) Fluid composition sens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181456B2 (en) Fluid composition sens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40011812A1 (en) Fluid composition senso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763468B2 (ja) 光散乱を用いた液体内の粒子分類装置
KR20210016369A (ko) 종자 선별
WO2011145812A2 (ko) 입자 측정 장치
CN1688875A (zh) 用于接纳可拆卸介质部件的方法和设备
CN105738262B (zh) β射线法三通道大气颗粒物监测仪
KR20190079820A (ko)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의 포집부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KR102572911B1 (ko)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059581A (ko) 베타선 발생 모듈의 위치가 가변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145915B1 (ko) 다단 임팩터 모듈을 구비한 입자 측정 장치
WO2022217397A1 (zh) 一种便于上下料的全自动免疫分析仪
CN105445485A (zh) 一种吸样装置及流式荧光检测器
CN109073550A (zh) 用于具有照亮气溶胶样品的光源的测试单元的可移除插入件
CN117330583B (zh) 一种半导体照明检测设备及系统
KR101978406B1 (ko) 미세먼지 측정장치
JP6995029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生体分析装置
KR102615037B1 (ko) 교정 기능을 구비한 미세먼지필터를 이용한 베타레이 미세먼지 측정 장치
US202304055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able nozzle with cam latch engagement in flow cyto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