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636A -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 Google Patents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636A
KR20170054636A KR1020150156980A KR20150156980A KR20170054636A KR 20170054636 A KR20170054636 A KR 20170054636A KR 1020150156980 A KR1020150156980 A KR 1020150156980A KR 20150156980 A KR20150156980 A KR 20150156980A KR 20170054636 A KR20170054636 A KR 2017005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pper housing
housing
microbial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식
정혁
안재진
김한혁
조혜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5015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4636A/ko
Publication of KR2017005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8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of the filter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8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of the filter type
    • G01N15/0625Optical scan of the depos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62Comparing before/after passage through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에 관한 것으로,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를 밀봉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결합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터 원단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필터 완제품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여 필터 완제품에 대한 다양한 성능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이동 모듈을 통해 상부 하우징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미생물 필터를 삽입 개재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밀봉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자동 작동하도록 할 수 있어 밀봉 결합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Filter Holding Unit for Testing Microorganism Filter}
본 발명은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를 밀봉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결합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터 원단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필터 완제품 또한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여 필터 완제품에 대한 다양한 성능 평가 또한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이동 모듈을 통해 상부 하우징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미생물 필터를 삽입 개재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밀봉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자동 작동하도록 할 수 있어 밀봉 결합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신종 인플루엔자A(H1N1)을 비롯하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과 같이 새로운 질병들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들은 전염성이 높아 그 질병의 확산 및 피해가 매우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 공기에는 이러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실내 공기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이 부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 미생물은 공기 감염 및 환경성 질병을 유발하여 건강에 더욱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이러한 질병의 전염 방지 및 예방을 위해 질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 필터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을 모두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로서, 이하에서는 미생물 필터라고 통칭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미생물 필터는 메디컬 섬유를 이용하여 미생물 입자(여기서, 미생물 입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에서도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한다.)를 필터링 하도록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마스크 형태 또는 방독면 정화 필터 등의 형태로 제품 개발이 될 수 있으며, 병원이나 연구소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 필터는 미생물 입자를 어느 정도로 필터링할 수 있는지 그 성능에 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한데, 현재 세계적으로 공인되어 있는 미생물에 대한 필터의 성능 평가는 의학용 마스크 제조 관련 검사규정인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F2101에 명시된 절차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생물 필터 성능 평가 기준은 성능 평가를 위한 최소한의 요건을 만족하는 기준을 규정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규정에 적합한 형태로 성능 평가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그 개발 수준은 매우 미미하여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생물 필터에 대한 정확한 성능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9719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를 밀봉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결합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터 원단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필터 완제품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여 필터 완제품에 대한 다양한 성능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동 모듈을 통해 상부 하우징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미생물 필터를 삽입 개재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밀봉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자동 작동하도록 할 수 있어 밀봉 결합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입자를 필터링하는 미생물 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 필터를 밀봉 장착할 수 있고, 상기 미생물 입자와 클린 에어가 혼합된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미생물 필터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으로서, 내부 공간에 상기 혼합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상호 근접 이동하여 밀봉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밀봉 결합되거나 분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상호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기 미생물 필터가 그 사이에 삽입 개재된 상태로 밀봉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별도의 미생물 발생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상부 하우징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완전 발달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유동 발달부와, 상기 상부 유동 발달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과 밀봉 결합되는 상부 필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밀봉 결합되는 하부 필터 결합부와,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로부터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동 발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필터 결합부는 상기 상부 유동 발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는 상기 하부 유동 발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작용하는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별도의 차압 센서가 연결되도록 압력 센싱 포트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는 각각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상기 혼합 공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공기 추출 포트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수평 이동 블록; 상기 수평 이동 블록의 상면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일측단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직 이동 블록; 및 일단부가 상기 수직 이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작동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를 밀봉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편리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필터 결합 부분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터 원단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필터 완제품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장착 가능하여 필터 완제품에 대한 다양한 성능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이동 모듈을 통해 상부 하우징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미생물 필터를 삽입 개재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밀봉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자동 작동하도록 할 수 있어 밀봉 결합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이 구비된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이 구비된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200)은 미생물 입자를 필터링하는 미생물 필터(BF)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미생물 필터(BF)를 밀봉 장착할 수 있는 장치로서,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에 사용된다.
먼저, 이러한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는 미생물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미생물 필터(BF)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미생물 발생 유닛(100)과, 필터 홀딩 유닛(200)과, 입자 계측 유닛(300)과, 임팩터 모듈(400)과, 메인 배출 펌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생물 발생 유닛(100)은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 입자를 에어로졸 형태로 발생시키고, 발생된 미생물 입자를 클린 에어와 혼합하여 혼합 공기를 생성하며, 생성된 혼합 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미생물 발생 유닛(100)은 네뷸라이저(nebulizer) 또는 아토마이저(atomizer)로 미생물 입자를 분무하는 형태로 미생물 입자를 분무하여 발생시키는 미생물 입자 발생기(110)와, 이러한 미생물 입자 발생기(110)에 미생물 입자를 정량 공급하는 페리스탈틱 펌프(120)와, 미생물 입자 발생기(110)에 클린 에어를 공급하는 클린 에어 공급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발생 유닛(100)은 페리스탈틱 펌프(120)로부터 미생물 입자를 공급받고 클린 에어 공급기(130)로부터 클린 에어를 공급받아 미생물 입자 발생기(110)를 통해 이를 혼합하여 분무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미생물 입자가 혼합 함유된 혼합 공기를 후술하는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 공급한다.
필터 홀딩 유닛(200)은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흘러가도록 형성되며, 중간 구간에는 테스트 대상인 미생물 필터(BF)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와 같이 장착된 미생물 필터(BF)를 혼합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필터 홀딩 유닛(200)에는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혼합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입자 공급관(14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입자 공급관(140)은 내부의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가 살아있는 상태로 유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의 환경이 미생물의 생존에 적합하도록 온도 및 습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이러한 입자 공급관(140)에는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습도 조절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습도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입자 공급관(140)은 유리관 형태로 고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자 공급관(140)과 미생물 발생 유닛(100)은 별도의 플렉서블 연결 배관(14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입자 계측 유닛(300)은 혼합 공기가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혼합 공기는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간 구간에 장착된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가 미생물 필터(BF)에 일부 필터링되므로, 혼합 공기의 흐름을 따라 미생물 필터(BF)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류 및 하류 부분에서 미생물 입자의 개수가 차이가 있으며, 입자 계측 유닛(300)은 이러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입자 계측 유닛(300)은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여 유입시키고, 유입된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데, 그 개수 측정은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임팩터 모듈(400)은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한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혼합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임팩터란 유동하는 입자의 유동 관성력 차이를 이용하여 입자를 크기별로 포집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 모듈은 미생물 입자를 크기별로 단계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단 임팩터(410)가 사용되며, 내부에는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여 배양할 수 있도록 배지가 구비된 샬레가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 임팩터(410)에는 별도의 흡입 펌프(미도시)가 장착되어 다단 임팩터(410) 내부 공간으로 혼합 공기를 유입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출 펌프(500)에 연결되어 메인 배출 펌프(500)의 작동에 의해 다단 임팩터(410) 내부의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임팩터 모듈(400)은 필터 홀딩 유닛(200)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한 혼합 공기가 임팩터 모듈(4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임팩터 모듈(400)을 통해 포집된 미생물 입자는 추가적으로 배양된 후,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미생물 입자의 개수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배출 펌프(500)는 혼합 공기의 흐름이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필터 홀딩 유닛(200) 및 임팩터 모듈(400)을 통과하는 일정한 방향으로 발생하도록 필터 홀딩 유닛(200)에 연통되게 장착되는데, 필터 홀딩 유닛(200)과 메인 배출 펌프(500) 사이에 임팩터 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배출 펌프(500)는 별도의 배출 배관(501)을 통해 필터 홀딩 유닛(200) 및 임팩터 모듈(400)과 연결되는데, 배출 배관(501) 상에는 혼합 공기의 배출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기(51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배출 펌프(500)와 임팩터 모듈(400) 사이의 배출 배관(501) 상에는 혼합 공기가 메인 배출 펌프(50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혼합 공기 중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가 외부 배출되지 않도록 미생물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미생물 포집 수조(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 홀딩 유닛(200)과 임팩터 모듈(400) 사이에 연결된 배출 배관(501)에는 별도의 배출 포트(5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 포트(502)에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연결 배관이 결합되어 미생물 포집 수조(5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연결 구조를 통해 필요에 따라서는 메인 배출 펌프(50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부터 임팩터 모듈(400)을 거치지 않고 연결 배관을 통해 직접 미생물 포집 수조(520)를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 공기의 흐름은 본 장치의 작동 시작 단계에서 워밍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는 필터 홀딩 유닛(200)에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BF)를 장착한 상태에서,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미생물 입자가 함유된 혼합 공기를 발생 공급하여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시키고, 이 과정에서 입자 계측 유닛(300)을 통해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 개수의 변화량(미생물 필터(BF)의 상류 및 하류에서의 미생물 입자 개수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미생물 필터(BF)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임팩터 모듈(400)을 통해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여 배양한 후, 미생물 입자의 개수 및 종류를 후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자 계측 유닛(300)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한번 더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는 입자 계측 유닛(300)을 통해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미생물 필터의 성능 평가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임팩터 모듈(400)을 통해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여 배양한 후, 이를 후분석하여 입자 계측 유닛(300)의 측정 결과와 비교 검증할 수 있어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는 전술한 모든 구성요소, 즉 미생물 발생 유닛(100), 필터 홀딩 유닛(200), 입자 계측 유닛(300), 임팩터 모듈(400) 및 메인 배출 펌프(500) 들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별도의 바이오 안전 캐비넷(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이오 안전 캐비넷(600)은 미생물 입자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되게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미생물 입자를 살균할 수 있는 별도의 살균용 램프(610)가 장착될 수 있다. 살균용 램프(610)는 자외선 또는 적외선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에 대해 실시간으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입자 계측기(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간 입자 계측기(30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순히 임팩터 모듈(400)만 구비되어 임팩터 모듈(400)을 통해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필터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에 관한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에 대한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200)은 내부 공간에 혼합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과,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서로 밀봉 결합되거나 분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은 상호 근접 이동하여 밀봉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0)이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202)에 고정 장착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210)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모듈(230)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서로 밀봉 결합되거나 분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2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부 하우징(210)이 고정되고 하부 하우징(2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 모듈(230)은 하부 하우징(2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모듈(230)은 상부 하우징(210)을 단순히 상하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모듈(23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210)을 별도의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미도시)를 통해 상부 하우징(210)을 상하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기계 요소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모듈(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은 상호 밀봉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 이격되는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상호 분리 이격 상태에서 그 사이에,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220)의 상면에 테스트 대상 미생물 필터(BF)를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10)을 하부 하우징(220)에 근접 이동시키면,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은 그 사이에 미생물 필터(BF)가 삽입 개재된 상태로 상호 밀착 접촉하며 밀봉 결합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의 상호 밀착 접촉면에는 미생물 필터(BF)와의 밀봉 결합을 위해 별도의 실링 부재(205)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실링 부재(205)는 접촉면 둘레를 따라 2중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미생물 필터(BF)를 사이에 두고 밀착 결합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의 혼합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은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혼합 공기가 상부 하우징(210)을 통해 유입되어 하부 하우징(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혼합 공기는 상부 하우징(210)으로 유입되어 하부 하우징(220)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완전 발달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유동 발달부(211)와, 상부 유동 발달부(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부 하우징(220)과 밀봉 결합되는 상부 필터 결합부(212)를 포함하는 형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하우징(220)은 혼합 공기가 상부 하우징(210)으로부터 유입되도록 상부 하우징(210)과 밀봉 결합되는 하부 필터 결합부(222)와, 하부 필터 결합부(222)의 하부에 배치되며 혼합 공기가 하부 필터 결합부(222)로부터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동 발달부(221)를 포함하는 형태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발생 유닛(100)으로부터 상부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혼합 공기는 상부 하우징(210)의 상부 유동 발달부(2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이 발달하여 안정적인 층류 형성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안정화된 유동 상태에서 상부 필터 결합부(212)를 거쳐 하부 하우징(220)과의 사이에 장착되는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한다.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한 혼합 공기는 하부 하우징(220)의 하부 필터 결합부(222)를 거쳐 하부 유동 발달부(221)를 통과하는 형태로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다. 이후, 임팩터 모듈(400)을 통과한 후, 미생물 포집 수조(520)를 통해 혼합 공기에 잔존하는 미생물 입자를 포집시키고, 메인 배출 펌프(500)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혼합 공기가 필터 홀딩 유닛(200)에 장착된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부 유동 발달부(211)를 통해 안정화된 상태로 유동하게 되므로, 미생물 필터(BF)에 대한 성능 평가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필터 결합부(212)는 상부 유동 발달부(2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 필터 결합부(222)는 하부 유동 발달부(2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 필터(BF)를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봉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미생물 필터(BF)는 마스크, 방독면 정화 필터 등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단순히 미생물 필터(BF)의 원단(섬유 조직)을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삽입 개재하여 성능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원단을 이용하여 최종 제작된 필터, 마스크 등의 다양한 완제품에 대해 필터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실제 제품에 대한 성능 평가로서 더욱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완제품에 대한 필터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완제품을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삽입 개재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200)은 필터 원단 이외에도 다양한 필터 완제품을 밀봉 결합시킬 수 있도록 완제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상부 필터 결합부(212)와 하부 필터 결합부(222)를 필요에 따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완제품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입자 계측 유닛(300)은 혼합 공기가 필터 홀딩 유닛(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간 구간에 장착된 미생물 필터(BF)의 상류 및 하류 구간에서 각각 미생물 입자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데,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여 유입시키고, 유입된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입자 계측 유닛(300)은 제 1 입자 계측기(310)와 제 2 입자 계측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입자 계측기(310)는 필터 홀딩 유닛(200)에서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하기 이전 구간(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210) 내부 공간)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여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입자 계측기(320)는 필터 홀딩 유닛(200)에서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한 이후 구간(예를 들면, 하부 하우징(220) 내부 공간)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여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입자 계측기(310)는 상부 하우징(210)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도록 상부 하우징(210)과 연결되고, 제 2 입자 계측기(320)는 하부 하우징(220)으로부터 혼합 공기를 추출하도록 하부 하우징(2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에는 각각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혼합 공기를 입자 계측 유닛(300)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각각 공기 추출 포트(2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입자 계측기(310)와 제 2 입자 계측기(320)를 통해 미생물 필터(BF)를 중심으로 그 상류 및 하류 구간에서 미생물 입자 개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면, 미생물 입자를 함유한 혼합 공기가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양이 필터링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생물 필터(BF)의 필터링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입자 계측기(310)에서 측정한 미생물 입자의 개수가 100이고, 제 2 입자 계측기(320)에서 측정한 미생물 입자의 개수가 5이면, 미생물 필터(BF)는 95%의 필터링 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계측 유닛(300)은 이러한 미생물 입자 개수 측정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미생물 입자를 포집 배양하여 며칠 이후에나 그 입자 개수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비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자 계측 유닛(300)은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계측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계측기가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미생물 입자에 의해 반사 산란되는 빛을 이용하여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광학 입자 계측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입자 계측 유닛(300)은 필터 홀딩 유닛(200)으로부터 입자 계측 유닛(300)의 내부 공간으로 추출 유입된 혼합 공기에 광원을 통해 검사광을 조사하고, 이때, 혼합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에 의해 검사광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데, 이러한 반사광 또는 산란광을 검출하여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계측 유닛(300)은 살아있는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 형광 소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달성 가능하다. 살아있는 미생물 입자는 형광 물질에 대해 특정 반응을 하는 특성을 갖는데 반해, 죽어있는 미생물 입자 또는 일반 무생물 입자들은 형광 물질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자 계측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입자 계측기(310)는 상부 하우징(210)에 연결되고, 제 2 입자 계측기(320)는 하부 하우징(220)에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에는 각각 제 1 입자 계측기(310)와 제 2 입자 계측기(320)의 연결을 위해 공기 추출 포트(203)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에서는 각각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혼합 공기가 공기 추출 포트(203)를 통해 추출되어 각각 제 1 입자 계측기(310) 및 제 2 입자 계측기(320)로 흘러간다.
이러한 공기 추출 포트(203)를 통한 혼합 공기의 추출은 필터 홀딩 유닛(200)의 내부 공간에서 혼합 공기가 안정화된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공기 추출 포트(203)는 상부 하우징(210)의 상부 유동 발달부(211), 하부 하우징(220)의 하부 유동 발달부(221)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 홀딩 유닛(200)에는 미생물 필터(BF)의 상류 및 하류 사이에서 형성되는 압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차압 센서(20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혼합 공기가 미생물 필터(BF)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즉 미생물 필터(BF)가 미생물 입자를 필터링 하는 과정에서 압력 강하 현상이 어느 정도나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에 필터링되기 때문에,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 강하가 발생하는데, 미생물 필터(BF)의 경우 이러한 압력 강하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면, 미생물 필터(BF) 착용자의 호흡을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일정 범위 이하의 압력 강하만을 허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압 센서(201)를 통해 미생물 필터(BF)의 상류 및 하류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압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차압 센서(201)는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에는 각각 차압 센서(201)가 연결되는 압력 센싱 포트(20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0)이 베이스 프레임(202)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210)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 모듈(230)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231)과, 수평 가이드 레일(231)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평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수평 이동 블록(232)과, 수평 이동 블록(232)의 상면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233)과, 수직 가이드 레일(2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 가이드 레일(233)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일측단부가 상부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수직 이동 블록(234)과, 일단부가 수직 이동 블록(2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작동 실린더(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 가이드 레일(233)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홈(233-1)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고, 수직 이동 블록(234)의 측면에는 이러한 가이드 홈(233-1)에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234-1)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수직 이동 블록(234)의 수직 이동 경로가 가이드된다. 또한, 수직 이동 블록(234)과 작동 실린더(235)는 별도의 회전 가능한 체결구(236)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하우징(210)은 별도의 결합 볼트(T)를 통해 수직 이동 블록(23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235)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작동 실린더(235)에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작동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블록(232)은 수평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전진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수직 이동 블록(234)은 수직 가이드 레일(233)을 따라 하향 이동한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 동시 이동은 작동 실린더(235)가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상부 하우징(210)은 수직 이동 블록(234)과 함께 하향 이동 및 전진 이동하며 하부 하우징(220)의 상면에 밀봉 결합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는 테스트 대상인 미생물 필터(BF)가 삽입 개재되며, 동시에 밀봉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테스트 작업이 완료되면, 작동 실린더(235)에 유압 또는 고압이 배출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게 작동하게 된다. 피스톤 로드가 인인되게 작동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블록(232)은 수평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후진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수직 이동 블록(234)은 수직 가이드 레일(233)을 따라 상향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 상부 하우징(210)은 수직 이동 블록(234)과 함께 상향 이동 및 후진 이동하며 하부 하우징(22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홀딩 유닛(200)은 이와 같이 이동 모듈(230)을 통해 상부 하우징(210)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미생물 필터(BF)를 삽입 개재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호 밀봉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자동 작동하도록 할 수 있어 밀봉 결합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생물 발생 유닛 200: 필터 홀딩 유닛
201: 차압 센서 203: 공기 추출 포트
204: 압력 센싱 포트 205: 실링 부재
210: 상부 하우징 211: 상부 유동 발달부
212: 상부 필터 결합부 220: 하부 하우징
221: 하부 유동 발달부 222: 하부 필터 결합부
230: 이동 모듈 300: 입자 계측 유닛
310: 제 1 입자 계측기 320: 제 2 입자 계측기
400: 임팩터 모듈 410: 다단 임팩터
420: 흡입 펌프 500: 메인 배출 펌프
510: 유량 조절기 520: 미생물 포집 수조
600: 바이오 안전 케이스 610: 살균용 램프

Claims (8)

  1. 미생물 입자를 필터링하는 미생물 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상기 미생물 필터를 밀봉 장착할 수 있고, 상기 미생물 입자와 클린 에어가 혼합된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미생물 필터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으로서,
    내부 공간에 상기 혼합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상호 근접 이동하여 밀봉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서로 밀봉 결합되거나 분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상호 근접 이동함에 따라 상기 미생물 필터가 그 사이에 삽입 개재된 상태로 밀봉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별도의 미생물 발생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상부 하우징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혼합 공기가 유입되어 완전 발달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유동 발달부와, 상기 상부 유동 발달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과 밀봉 결합되는 상부 필터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밀봉 결합되는 하부 필터 결합부와,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혼합 공기가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로부터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동 발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터 결합부는 상기 상부 유동 발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필터 결합부는 상기 하부 유동 발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작용하는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별도의 차압 센서가 연결되도록 압력 센싱 포트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에는 각각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상기 혼합 공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공기 추출 포트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상부 하우징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수평 이동 블록;
    상기 수평 이동 블록의 상면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일측단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수직 이동 블록; 및
    일단부가 상기 수직 이동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작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1020150156980A 2015-11-09 2015-11-09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20170054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980A KR20170054636A (ko) 2015-11-09 2015-11-09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980A KR20170054636A (ko) 2015-11-09 2015-11-09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636A true KR20170054636A (ko) 2017-05-18

Family

ID=5904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980A KR20170054636A (ko) 2015-11-09 2015-11-09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46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20A (ko) * 2017-12-29 2019-07-09 코리아테크(주) 부품 청정도 검사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1157407A (zh) * 2019-12-26 2020-05-15 清华大学 用于测量微米颗粒碰壁临界粘附速度和恢复系数的系统
CN111948116A (zh) * 2020-09-09 2020-11-17 连云港绿田青湾空调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滤布检测装置
KR20230059590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060556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유해가스 필터 성능평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20A (ko) * 2017-12-29 2019-07-09 코리아테크(주) 부품 청정도 검사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1157407A (zh) * 2019-12-26 2020-05-15 清华大学 用于测量微米颗粒碰壁临界粘附速度和恢复系数的系统
CN111948116A (zh) * 2020-09-09 2020-11-17 连云港绿田青湾空调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滤布检测装置
CN111948116B (zh) * 2020-09-09 2021-12-28 连云港绿田青湾空调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滤布检测装置
KR20230059590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엑스엘 인렛의 분리 구조를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20230060556A (ko) * 2021-10-27 2023-05-08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유해가스 필터 성능평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190B1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EP2634580B1 (en) Virus detection device and virus detection method
US9880077B2 (en) Multi sampling port monitoring apparatus for measuring pollution level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10283769A1 (en) Leak detection method
CN102914522B (zh) 气、液联用激光诱导击穿光谱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671011B1 (ko)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CN211292462U (zh) 气溶胶粒子采集与进样系统
KR101462948B1 (ko) 임팩터 성능 평가 시스템
KR101683056B1 (ko)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CN108614082B (zh) 一种植物蒸腾在线监测仪
KR101671358B1 (ko) 다목적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KR101137585B1 (ko) 분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 내 입자 검출 시스템
CN106233118A (zh) 细胞抹片装置与细胞抹片方法
EP3372984A1 (en) Gas-borne fine particle measuring instrument and clean environmental device
KR101462949B1 (ko) 혼합수단을 구비하는 임팩터 성능 평가 시스템
CN205506642U (zh) 一种实时浮游菌计数仪的性能检测装置
KR20190056990A (ko)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CN112945825B (zh) 一种口罩细菌过滤效率实时检测方法
JP2015121561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の試験システム
TWI537040B (zh) 水平式濾材檢測系統
KR101547167B1 (ko) 가스 시료의 메탈에 대한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JP2013002922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の試験システム
US20230168159A1 (en) Gas Collection Device
CN109060466A (zh) 用于温室气体本底在线观测的样气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