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990A -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990A
KR20190056990A KR1020180140681A KR20180140681A KR20190056990A KR 20190056990 A KR20190056990 A KR 20190056990A KR 1020180140681 A KR1020180140681 A KR 1020180140681A KR 20180140681 A KR20180140681 A KR 20180140681A KR 20190056990 A KR20190056990 A KR 20190056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ow
flow path
sampling pump
pass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242B1 (ko
Inventor
윤종수
Original Assignee
윤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수 filed Critical 윤종수
Publication of KR20190056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2Orifices or nozz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샘플링 펌프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가 형성되는 유입부와, 유입 유로와 연통되며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유입 유로와 연통되어 유입 유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시료 채취부로 안내하며, 유입 유로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에어 샘플링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 변화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Flow rate sensing apparatus of air sampling pump}
본 발명은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샘플링 펌프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 변화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해물질을 사용하거나 유해인자가 발생하는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유해인자의 발생정도를 측정하여 개선 조치하는 작업환경 측정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및 미세입자 상태인 물질의 작업장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에어 샘플러가 이용되고 있다.
에어 샘플러는 작업자의 호흡기 30cm 인근에서 필터와 연결된 에어 샘플링 펌프를 이용하여 작업장의 공기를 일정시간 흡입하여 공기 시료를 채취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필터에 부착된 물질을 분석하여 작업장 내 유해 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보다 정확히 작업장 내 유해 환경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시간동안 필터로 공급되는 유량이 일정하여야 하므로, 에어 샘플링 펌프에서 필터로 공급하는 공기의 유량 변화를 정확히 측정한 후, 유량이 지정된 수치에서 변화할 경우 에어 샘플링 펌프를 조절하여 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에어 샘플링 펌프 유량 변화를 에어 샘플링 펌프의 입구 측 압력 변화를 통하여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에어 샘플링 펌프의 경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이용하여 공기를 유동 시키기 때문에, 입구측 압력이 진공으로 측정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즉,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 필터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 또한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 가능한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7-0138464호(명칭: 폐쇄형 루프 유동 제어 시스템이 있는 에어 샘플러, 공개일: 2017.12.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변화를 보다 정확히 측정 가능하게 하는, 에어 샘프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는,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110)가 형성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10)가 형성되는 가이드부(200);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시료 채취부(3)로 안내하며, 상기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 유로(310)가 형성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로(210)의 평균 유로 단면적은 상기 배출 유로(310)의 평균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상기 유입 유로(110)와 인접한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직경 감소유로(211)와,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를 통과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전달 유로(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 유로(110)의 직경은 4mm 내지 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 유로(310)의 직경은 1.7mm 내지 1.9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달 유로(212)의 직경은 0.9mm 내지 1.1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00)는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유입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유입부(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배출 유로(310)는 서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00)와 상기 유량감지센서(2)를 연결하는 튜브(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는, 유입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유량감지센서와 시료 채취부로 보내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측 유로와 공기를 시료 채취부로 보내는 배출 유로의 유로 단면적 비가 최적화되어, 유량감지센서에서 보다 정확하게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변화를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의 유체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가 튜브를 통해 유량감지센서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의 유로 직경 비 변경에 따른 실험 데이터.
도 6은 본 발명이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가 에어 샘플링 펌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에어 샘플링 펌프의 단면도.
도 8은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로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는,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110)가 형성된 유입부(100)와,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10)가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시료 채취부(3)로 안내하며, 상기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 유로(310)가 형성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된 후,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200)를 거쳐 유량감지센서(2)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배출부(300)를 거쳐 상기 새료 채취부(3)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00)는 내부에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1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00)는 내부에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어 유입 유로(110)로 유입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300)는 내부에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어 유입 유로(110)로 유입된 유체를 시료 채취부(3)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310)가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유로(110)로 유입된 유체가 유량감지센서(2)와 시료 채취부(3)로 분리되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배출 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동일하거나, 배출 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클 경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기체가 상기 가이드 유로(210)를 통해 유량감지센서(2)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배출 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을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게 하여, 유량 변화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양의 공기가 가이드 유로(2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00)와 상기 유량감지센서(2)가 튜브(400)로 연결되어, 에어 샘플링 펌프(1)의 배출 유량 변화 시 튜브(400)상에 형성된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에어 샘플링 펌프(1)의 배출 유량 변화를 측정한다.
즉, 상기 유량감지센서(2)는 튜브 내부공간(410) 상에 위치된 유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튜브 내부공간(410) 상에 위치된 유체의 압력 변화 시 에어 샘플링 펌프(1)의 배출 유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보다 잘 튜브 내부공간(410)으로 이동하여야, 유량감지센서(2)의 압력 측정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 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을 상기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게 하여, 유입 유로(1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대응하여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이 보다 민감하게 변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5의 (a)에는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클 경우 나타나는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는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과 동일할 때 나타나는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C)에는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을 때 나타나는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량감지센서(2)는 측정되는 압력을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압력 최고점(H)과, 측정되는 압력을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압력 최저점(L)을 가진다.
이때,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클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내부공간(410) 상의 압력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압력 변화를 유량감지센서(2)에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 하고,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과 동일할 경우 역시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내부공간(410) 상의 압력 변화가 미소하여 유량감지센서(2)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상기 압력 최고점(H) 또는 압력 최저점(L) 사이에서만 변화하는 것으로 측정되어 에어 샘플링 펌프(1)의 유량 변화를 측정 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으므로, 배출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을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 변화가 충분한 변화량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샘플링 펌프(1)의 유량이 일정 수치 이상으로 상승 시 유량감지센서(2)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 최고점(H) 이상으로 올라가고, 샘플링 펌프(1)의 유량이 일정 수치 이하로 하강 시 유량감지센서(2)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압력 최저점(L) 이하로 내려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는 상기 가이드 유로(210)의 평균 유로 단면적이 상기 배출 유로(310)의 평균 유로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유로(110)는 상기 가이드 유로(210)를 통해 상기 튜브 내부공간(410)과 연통되며, 유입 유로(110)와, 가이드 유로(210)와, 튜브 내부공간(410) 상에 위치되는 공기가 서로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서로 압력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샘플링 펌프(1)를 통해 상기 유입 유로(110)로 유입되는 유체는 미량으로, 유입 유로(110)로 공기가 유입된 후 유입 유로(110) 상의 압력과, 튜브 내부공간(410) 상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기까지는 일정 이상의 시간이 걸리게 되어, 샘플링 펌프(1)의 배출 유량 변화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유량감지센서(2)의 압력 측정 민감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유로(210)의 평균 유로 단면적을 상기 배출 유로(310)의 평균 유로 단면적보다 좁게하여, 유비 유로(110)로 미세한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튜브 내부공간(410)의 압력이 이에 대응하여 신속히 변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배출 유로(310)와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샘플링 펌프(1)의 유량 변화를 유량감지센서(2)에서 즉시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크고, 상기 배출 유로(310)의 유로 단면적이 두 번째로 크고, 상기 가이드 유로(210)의 유로 단면적이 제일 작게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유로(110)와 인접한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직경 감소유로(211)와,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를 통과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전달 유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를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직경이 감소된 상기 전달유로(212)를 통해 유입 유로(110) 상의 기체가 보다 원활히 상기 튜브 내부공간(410)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유로(210)가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와,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된 직경 감소유로(211)의 최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전달 유로(212)로 구분될 시, 상기 유입 유로(110)의 직경(h1)은 4mm 내지 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 유로(310)의 직경(h2)은 1.7mm 내지 1.9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달 유로(212)의 직경(h3)은 0.9mm 내지 1.1mm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하며, 보다 좋은 효과를 내기 위한 정확한 직경은 상기 유입 유로(110)가 5mm, 상기 배출 유로(310)가 1.8mm, 상기 전달 유로(212)가 1mm일 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유입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유입부(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에어 샘플링 펌프(1)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압력 측정 민감도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압력 측정 민감도는 에어 샘플링 펌프(1)를 통해 유입 유로(110)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기존의 유체 입자의 밀집도가 바뀌며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부(200)를 상기 유입부(100)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인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배출부(300)를 유입부(100)의 측면에 배치하여,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후 유입 유로(110)로 유입된 유체 입자에 의해 튜브 내부공간(410)에 위치되는 유체의 압력이 배출 유로(310) 상에 위치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신속히 변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권장하며,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배출 유로(310)를 수직 배치함으로서 이러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가 결합된 에어 샘플러 펌프(1)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에서는 에어 샘플러 펌프(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샘플링 펌프(1)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10)와, 상기 입구부(10)에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 이동통로와,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경로 상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맥동을 저감시키는 에어 댐퍼(21)가 형성되는 몸체(20)와, 유체 이동통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20) 상에 일정 이상의 부피를 가지는 상기 에어댐퍼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20) 상에 형성된 상기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이동통로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상기 에어 댐퍼를 통과하게 되면서, 유체가 일정한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이동통로를 통과할 시 발생하는 맥동 현상을 최소화 가능한 것이다.
도 7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20)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몸체(20A)와,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몸체(20B)와, 상기 상부 몸체(20A)와 상기 하부 몸체(20B)를 연결하는 중앙 몸체(20C)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댐퍼(21)는 상기 상부 몸체(20A)에 형성되는 유입 에어 댐퍼(21A)와, 상기 하부 몸체(20B)에 형성되는 배출 에어 댐퍼(21B)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부(30)가 상기 배출 에어 댐퍼(21B)와 상기 유입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구부(10)에 인접하게 상기 유입 에어 댐퍼(21A)를 형성하고, 상기 출구부(30)에 인접하게 상기 배출 에어 댐퍼(21B)를 형성하여, 위치에 따라 나타나는 유체의 유량 및 압력 편차를 최소화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샘플링 펌프(1)는 왕복운동 하여 상기 입구부(10)를 통해 유체를 빨아들인 후 출구부(30)로 유입된 유체를 방출시키는 피스톤(41)과, 상기 피스톤(41)을 왕복운동 시키는 동력장치(42)로 구성되는 동력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몸체(20C)에 상기 피스톤(41)이 왕복 운동하는 왕복운동공간(21C)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와 같은 상기 동력장치(42) 구동 시 상기 피스톤(41)이 왕복운동하는 힘에 의해, 외부 유체가 상기 입구부(10)로 흡입되고 상기 출구부(30)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41)의 왕복운동은 유체의 맥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통로 상에 상기 에어 댐퍼(21)를 형성하여, 피스톤(41)이 유체를 이동시킬 시 발생하는 맥동현상을 최소화 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에어 샘플링 펌프(1)의 내부 유로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입구부(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상부 몸체(20A)에 형성된 공기 유입로(22A)와, 상기 중앙 몸체(20C) 상에 형성된 공기 중앙 이동통로(22C)와, 상기 하부 몸체(20B) 상에 형성된 공기 배출로(22B)를 통하여 상기 출구부(30)로 배출되며, 상기 유입로(22A)와 상기 배출로(22B)는 상기 피스톤(41)의 길이방향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상부 몸체(20A)에 형성되는 상측 씰부(23A) 및 피스톤(41)의 길이방향 타측과 마주보는 하부 몸체(20B)에 형성된 하측 씰부(23B)와 연통되며, 피스톤(41)의 왕복운동에 대응하여 이동통로를 통해 유체가 흐르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 씰부(23A)는 피스톤(41)이 상측으로 이동 시 개방되는 상측 제1 단방향 씰부(23-1A)와, 피스톤(410)이 하측으로 이동 시 개방되는 상측 제2 단방향 씰부(23-2A)를 포함하고, 제1 단방향 씰부(23-1A)와 제2 단방향 씰부(23-2A)는 상부가 격리판(25A)에 의해 격리되되, 하부가 상측 통합공간(24A)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로(22A)는 입구부(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유입 에어 댐퍼(21A)로 안내하는 제1 공기 유입로(22A-1)와, 상측 제1 단방향 씰부(23-1A)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유입로(22A-2)와, 상측 제2 단방향 씰부(23-2A) 및 유입 에어 댐퍼(21A)를 연통하는 제3 공기 유입로(21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입구부(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 공기 유입로(22A-1)를 통해 상기 유입 에어 댐퍼(21A)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 에어 댐퍼(21A)로 유입된 기체 중 일부는 상기 제3 공기 유입로(22A-3)를 거쳐 상기 제2 단방향 씰부(23-2A)로 유입되거나, 개방된 하측으로 방출되며, 제2 단방향 씰부(23-2A)로 유입된 유체는 하측 통합공간(24A)을 거쳐, 제1 단방향 씰부(23-1A)로 이동한 후, 제2 공기 유입로(21A-2)를 거쳐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하측 씰부(23B)는 피스톤(41)이 상측으로 이동 시 개방되는 하측 제1 단방향 씰부(23-1B)와, 피스톤(41)이 하측으로 이동 시 개방되는 하측 제2 단방향 씰부(23-2B)를 포함하고, 하측 제1 단방향 씰부(23-1B)와 하측 제2 단방향 씰부(23-2B)는 하부가 하측 격리판(25B)에 의해 격리되되, 상부가 하측 통합공간(24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기 배출로(22B)는 제1 공기 중앙 이동로(22C-1)와 연통되며 하측 제2 단방향 씰부(23-2B)와, 배출 에어 댐퍼(21B)를 연통하는 제1 공기 배출로(22B-1)와, 제2 공기 중앙 이동로(22C-2)와 하측 제1 단방향 씰부(23-1B)를 연통하는 제2 공기 배출로(22B-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공기 중앙 이동로(22C-1)를 통해 하측으로 방출된 유체는, 상기 제1 공기 배출로(22B-1)를 통해 배출 에어 댐퍼(21B)로 유입되고, 제2 공기 중앙 이동로(22C-2)를 통해 하측으로 방출된 유체는 제2 공기 배출로(22B-2)를 통해 제1 단방향 씰부(23-1B)로 유입되며, 하측 제1 단방향 씰부(23-1B)로 유입된 유체는 하측 통합공간(24B)을 거쳐, 하측 제2 단방향 씰부(23-2B)로 이동한 후, 제1 공기 배출로(22B-1)를 거쳐 배출 에어 댐퍼(21B)로 유입된 후, 배출부(30)를 통해 방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30)를 통해 배출된 유체에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1000)의 유입부(100)가 결합되어, 배출부(30)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유입 유로(110)로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에어 샘플링 펌프 2 : 유량감지센서
3 : 시료 채취부
100 : 유입부 110 : 유입 유로
200 : 가이드부 210 : 가이드 유로
211 : 직경 감소유로 212 : 전달 유로
300 : 배출부 310 : 배출 유로

Claims (8)

  1. 에어 샘플링 펌프(1)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유로(110)가 형성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로(210)가 형성되는 가이드부(200); 및
    상기 유입 유로(110)와 연통되어 상기 유입 유로(110)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시료 채취부(3)로 안내하며, 상기 유입 유로(110)의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는 배출 유로(310)가 형성되는 배출부(300);를 포함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210)의 평균 유로 단면적은 상기 배출 유로(310)의 평균 유로 단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3.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상기 유입 유로(110)와 인접한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 유로(110)가 위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직경 감소유로(211)와,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직경 감소유로(211)를 통과한 유체를 유량감지센서(2)로 안내하는 전달 유로(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110)의 직경은 4mm 내지 6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 유로(310)의 직경은 1.7mm 내지 1.9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달 유로(212)의 직경은 0.9mm 내지 1.1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유입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부(300)는 상기 유입부(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배출 유로(310)는 서로 수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110)와 상기 가이드 유로(210)는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와 상기 유량감지센서(2)를 연결하는 튜브(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KR1020180140681A 2017-11-17 2018-11-15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KR102083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3509 2017-11-17
KR1020170153509 2017-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90A true KR20190056990A (ko) 2019-05-27
KR102083242B1 KR102083242B1 (ko) 2020-03-02

Family

ID=6667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81A KR102083242B1 (ko) 2017-11-17 2018-11-15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45B1 (ko) * 2020-02-17 2021-05-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극미량 시료흡입 및 유로 내부세척이 가능한 유체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89001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워터핀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용 총 잔류산화제 농도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284A (ja) * 1993-10-25 1995-05-12 Gastec:Kk パーソナルガスサンプラの流量計
JPH11132818A (ja) * 1997-10-31 1999-05-21 Yamatake Corp 流量計
JP2012062755A (ja) * 2009-03-31 2012-03-29 Ibiden Co Ltd 微粒子濃度測定装置
KR20170138464A (ko) 2015-04-16 2017-12-15 아이디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폐쇄형 루프 유동 제어 시스템이 있는 에어 샘플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284A (ja) * 1993-10-25 1995-05-12 Gastec:Kk パーソナルガスサンプラの流量計
JPH11132818A (ja) * 1997-10-31 1999-05-21 Yamatake Corp 流量計
JP2012062755A (ja) * 2009-03-31 2012-03-29 Ibiden Co Ltd 微粒子濃度測定装置
KR20170138464A (ko) 2015-04-16 2017-12-15 아이디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폐쇄형 루프 유동 제어 시스템이 있는 에어 샘플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01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워터핀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용 총 잔류산화제 농도 측정 장치
KR102257845B1 (ko) * 2020-02-17 2021-05-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극미량 시료흡입 및 유로 내부세척이 가능한 유체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42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624B1 (ko) 응축핵계수기
US8715573B2 (en) Fluidic system for a flow cytometer with temporal processing
US11268930B2 (en) Triggered sampling systems and methods
US10221844B2 (en) Fluid handling system for a particle processing apparatus
US8056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sampling
JP5771236B2 (ja) 血液分析装置
CN107771277B (zh) 凝结颗粒计数器伪计数性能
KR20190056990A (ko) 에어 샘플링 펌프의 유량 측정 보조 장치
JP6282079B2 (ja) 排ガス採取装置及び排ガス分析システム
KR101159762B1 (ko) 입자 측정 장치
EP305835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spiration pressure
JP2013134153A (ja) ミスト含有ガス分析装置
US20180172717A1 (en) Analysis apparatus
EP2244630B1 (en) A breath sampling system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CN104730216B (zh) 一种分析计量装置及液体分析系统
KR101462948B1 (ko) 임팩터 성능 평가 시스템
KR101137585B1 (ko) 분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 내 입자 검출 시스템
KR101467398B1 (ko)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KR101683056B1 (ko)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US20150300940A1 (en) Fluidic system and method
US20190086318A1 (en) Particle analyzing apparatus
CN104764860B (zh) 一种分析计量装置及液体分析系统
US11442005B2 (en) Gas analyser system
JP2005156438A (ja) 気液2相試料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