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398B1 -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398B1
KR101467398B1 KR1020130083991A KR20130083991A KR101467398B1 KR 101467398 B1 KR101467398 B1 KR 101467398B1 KR 1020130083991 A KR1020130083991 A KR 1020130083991A KR 20130083991 A KR20130083991 A KR 20130083991A KR 101467398 B1 KR101467398 B1 KR 10146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valve
flow rate
gas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구
Original Assignee
김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구 filed Critical 김중구
Priority to KR102013008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from several sp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동종 또는 다종의 시료를 동시다발적으로 채집 가능하고 정확하고 신속하게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관로와, 복수의 이송관로 한쪽 끝부분으로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다른쪽 끝부분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복수의 이송관로에서 시료를 채집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샘플러와, 복수의 이송관로에서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량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Multitude Sampling Device for Measurement of Air Pollution}
본 발명은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종 또는 다종의 시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동시다발적으로 채집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확한 설정유량으로 대기중의 기체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대기 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가정, 자동차 등에서 여러 가지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공기 중에 확산되면서 대기오염이 유발되며 이러한 대기오염은 인간의 건강 생활과 정서 생활에 나쁜 영향을 주고, 생물의 생존에도 위협을 주며 기상 변화까지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대기의 오염 상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대기의 오염 정도 측정을 통해 대기오염 상태의 감시나 관리, 감독 등을 행하는 등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대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항목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항목과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등과 같은 배출가스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항목 등이 있고, 측정 항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측정법과 측정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기오염 측정시는 샘플링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대상항목에 대한 시료를 채집하게 되고, 채집방법에 따라 직접포집법, 용기포집법, 용매포집법, 고체포집법, 저온응축법, 포집여지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종래 직접 포집 방식을 적용한 샘플링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0499726호가 있다. 특허등록 제10-0499726호에는 챔버 내의 진공압력과 챔버 내부에 설치된 시료 포집낭 내부의 대기압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시료를 포집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샘플링장치는 동종 또는 다종의 오염물질을 동시다발적으로 샘플링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 회에 걸쳐 반복하여 샘플링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다종의 시료채집 및 채집시간의 단축 등을 위한 샘플링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종 또는 다종의 시료를 동시다발적으로 채집하거나 시간, 장소 등을 변경하면서 여러 회에 걸쳐 시료의 반복 채집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샘플링을 통해 대기오염 측정시 정확도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이송관로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 제어시 오리피스를 직접적으로 개폐하면서 개구면적을 가변시킴에 따라 정밀하고 신속한 유량제어가 가능하고, 임계 오리피스 영역내에서 유량 제어가 가능하므로 유용성이 증가하고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는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관로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 한쪽 끝부분으로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다른쪽 끝부분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에서 시료를 채집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샘플러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에서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량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량제어기는 상기 이송관로의 통로에 설치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오리피스밸브와, 상기 이송관로의 오리피스 앞쪽 부분 통로와 뒤쪽 부분 통로의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센서와, 상기 이송관로의 한쪽 끝부분 통로에 설치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차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체의 압력차 및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통해 기체의 유량을 구하고 검출유량과 설정유량의 차이를 연산하여 유량차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오리피스밸브장치에 출력하는 유량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관로의 통로를 가로막고 설치되며 중앙에는 오리피스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밸브는 상기 유량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스텝모터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리피스의 몸체 한쪽면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텝모터의 정역회전시 왕복운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오리피스구멍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밸브는 상기 이송관로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가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시 상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왕복운동장치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밸브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며 스크류축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의하면, 동종 또는 다종의 시료를 동시다발적으로 채집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간이나 장소 등을 변경하면서 여러 회에 걸쳐 시료를 반복 채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샘플링을 통해 대기오염 측정시 정확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의하면, 이송관로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량 제어시 오리피스를 직접적으로 개폐하면서 개구면적을 가변시킴에 따라 정밀하고 신속한 유량제어가 가능하고 임계 오리피스 영역내에서 유량 제어가 가능하므로 유용성이 및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유량제어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 및 오리피스밸브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 및 오리피스밸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밸브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밸브의 밸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 및 오리피스밸브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이송관로(2)와, 진공펌프(10)와, 복수의 샘플러(20)와, 복수의 유량제어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점선화살표는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이송관로(2)는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관로(2)의 한쪽 끝부분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덕트(4)가 설치된다.
상기 진공펌프(10)는 상기 유입덕트(4)를 통해 상기 이송관로(2)의 한쪽 끝부분으로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다른쪽 끝부분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샘플러(20)는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2)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덕트(4)를 통해 유입된 기체로부터 시료를 채집한다.
상기 샘플러(20)는 일반적으로 대기오염측정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포집여지방식을 이용한 샘플러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량제어기(30)는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2) 중앙쪽에서 이송되는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유량제어기(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로(2)의 통로에 설치되는 오리피스(31)와, 상기 오리피스(31)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오리피스밸브(40)와, 상기 이송관로(2)의 오리피스(31) 앞쪽 부분 통로와 뒤쪽 부분 통로의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센서(50)와, 상기 이송관로(2)의 한쪽 끝부분 통로에 설치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와, 상기 차압센서(50)에 의해 측정된 기체의 압력차 및 온도센서(6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통해 기체의 유량을 구하고 검출유량과 설정유량의 차이를 연산하여 유량차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오리피스밸브(40)에 출력하는 유량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송관로(2)의 통로를 가로막고 설치되고 중앙에는 오리피스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구멍(32)은 대략 가로 또는 세로로 길쭉한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리피스구멍(32)은 후술하는 밸브(48)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반원형상인 트랙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밸브(40)는 상기 오리피스(31)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밸브(40)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량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축(42)을 구비하는 스텝모터(41)와, 상기 이송관로(2)에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41)가 장착되는 지지대(43)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리피스(31)의 한쪽면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텝모터(41)의 정역회전시 왕복이동장치(44)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오리피스구멍(32)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텝모터(41)는 상기 유량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42)의 회전각도를 미세하게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밸브(48)의 이동 또한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리피스구멍(32)의 개구면적을 미세하게 변화시키면서 정밀하고 신속한 유량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밸브(48)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형상의 절개홈(4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오리피스구멍(32)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개구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반원형상인 절개홈(49)이 형성된다.
상기 왕복이동장치(44)는 상기 스텝모터(41)의 회전축(42)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축(45)과, 상기 스크류축(45)과 나사결합되고 스크류축(45)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축(4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밸브(48)와 일체로 연결되는 이송너트(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축(45)과 이송너트(46)는 볼스크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축(45)과 이송너트(46)는 상기 이송관로(2)의 내부에서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스크류축(45)은 상기 이송관로(2)의 일측을 관통하고 한쪽 끝부분이 스텝모터(41)의 회전축(42)과 연결되며 다른쪽 끝부분이 이송관로(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너트(46)는 상기 이송관로(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축(45)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 설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축(45)과 이송너트(46)는 상기 이송관로(2)의 외부에서 나사결합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이송관로(2)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48)의 한쪽 부분이 이송관로(2)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구멍(47)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48) 한쪽 끝부분에는 상기 이송너트(46)가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조립구멍(47)의 양측 모서리에는 한 쌍의 제1레일부(47a)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48)의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1레일부(47a)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47b)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레일부(47a)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레일부는(47b) 제1레일부(47a)에 대응하여 돌기 또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압센서(50)는 상기 이송관로(2)의 오리피스(31) 앞쪽 부분 통로와 뒤쪽 부분 통로의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상기 이송관로(2)의 한쪽 끝부분에서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유량제어부(70)는 상기 차압센서(50)에서 측정된 기체의 압력차 및 온도센서(60)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해 기체의 유량을 구하고 검출유량과 설정유량의 차이를 연산하여 유량차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오리피스밸브(40)에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유량제어부(70)는 검출유량과 설정유량과의 차이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41)의 회전축(42)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이 제어되면서 상기 밸브(48)가 왕복운동되고 오리피스구멍(32)의 개구면적을 변화되면서 유량이 제어된다.
2 : 이송관로 10 : 진공펌프
20 : 샘플러 30 : 유량제어기
31 : 오리피스 32 : 오리피스구멍
40 : 오리피스밸브 41 : 스텝모터
42 : 회전축 43 : 지지대
44 : 왕복이동장치 45 : 스크류축
46 : 이송너트 47 : 조립구멍
48 : 밸브 49 : 절개홈
50 : 차압센서 60 : 온도센서
70 : 유량제어부

Claims (6)

  1.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이송관로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 한쪽 끝부분으로 대기중의 기체가 유입되어 다른쪽 끝부분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에서 시료를 채집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샘플러와,
    복수의 상기 이송관로에서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유량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제어기는 상기 이송관로의 통로에 설치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오리피스밸브와, 상기 이송관로의 오리피스 앞쪽 부분 통로와 뒤쪽 부분 통로의 기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센서와, 상기 이송관로의 한쪽 끝부분 통로에 설치되고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차압센서에 의해 측정된 기체의 압력차 및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통해 기체의 유량을 구하고 검출유량과 설정유량의 차이를 연산하여 유량차를 제어신호로서 상기 오리피스밸브장치에 출력하는 유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관로의 통로를 가로막고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오리피스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밸브는 상기 유량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스텝모터와, 상기 이송관로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가 장착되는 지지대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리피스의 몸체 한쪽면에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텝모터의 정역회전시 왕복운동장치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오리피스구멍의 개구면적을 변화시키는 밸브와,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시 상기 밸브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운동장치는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밸브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며 스크류축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송너트를 포함하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오리피스구멍은 상기 밸브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양쪽 끝부분이 반원형상인 트랙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에는 상기 오리피스구멍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개구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반원형상인 절개홈을 더 형성하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은 상기 이송관로의 일측을 관통하고 한쪽 끝부분이 스텝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다른쪽 끝부분이 이송관로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이송너트는 상기 스크류축의 다른쪽 끝부분에 결합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의 일측에는 상기 밸브의 한쪽 부분이 이송관로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양측 모서리에 한 쌍의 제1레일부가 설치된 조립구멍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이송너트와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양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1레일부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부를 더 형성하는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KR1020130083991A 2013-07-17 2013-07-17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KR10146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91A KR101467398B1 (ko) 2013-07-17 2013-07-17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91A KR101467398B1 (ko) 2013-07-17 2013-07-17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398B1 true KR101467398B1 (ko) 2014-12-02

Family

ID=5267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991A KR101467398B1 (ko) 2013-07-17 2013-07-17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1400A (zh) * 2015-05-29 2015-12-23 福建拓普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采样装置
CN110161899A (zh) * 2019-04-24 2019-08-2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控制多气路自由切换的气压采集控制装置
CN115808422A (zh) * 2022-11-18 2023-03-17 中国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加氢站用维护设备
CN116893083A (zh) * 2023-07-20 2023-10-17 安徽医科大学 空气中纳米颗粒浓度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06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유압제어 시험용 가변 오리피스 장치
KR100872151B1 (ko) * 2008-06-27 2008-12-08 (주)두일테크 자동 차압 보정을 통한 등속흡인 정밀 제어 기능을구비하는 오토샘플러 및 이를 이용한 등속흡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06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유압제어 시험용 가변 오리피스 장치
KR100872151B1 (ko) * 2008-06-27 2008-12-08 (주)두일테크 자동 차압 보정을 통한 등속흡인 정밀 제어 기능을구비하는 오토샘플러 및 이를 이용한 등속흡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1400A (zh) * 2015-05-29 2015-12-23 福建拓普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采样装置
CN105181400B (zh) * 2015-05-29 2018-05-11 福建拓普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采样装置
CN110161899A (zh) * 2019-04-24 2019-08-23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控制多气路自由切换的气压采集控制装置
CN115808422A (zh) * 2022-11-18 2023-03-17 中国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加氢站用维护设备
CN115808422B (zh) * 2022-11-18 2023-08-08 中国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加氢站用维护设备
CN116893083A (zh) * 2023-07-20 2023-10-17 安徽医科大学 空气中纳米颗粒浓度检测装置
CN116893083B (zh) * 2023-07-20 2024-04-05 合肥市第三人民医院 空气中纳米颗粒浓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398B1 (ko) 대기오염 측정용 다중 샘플링장치
KR100872151B1 (ko) 자동 차압 보정을 통한 등속흡인 정밀 제어 기능을구비하는 오토샘플러 및 이를 이용한 등속흡인 제어 방법
US20160115850A1 (en) Exhaust gas analyzing system and pumping device
GB2375394A (en) Dust sampling device and method
CN104897534A (zh) 湿烟气在线粉尘仪
KR102179129B1 (ko) 굴뚝 배출가스의 고정오염원 통합측정장치
JP2006275983A (ja) フィルタ検査装置
JP2014173910A (ja) 排ガスサンプリング装置
US20080282764A1 (en) Calibration checking for continuous emissions monitoring system
CN103645127A (zh) 反吹式烟气污染物实时在线监测系统
KR20150047097A (ko) 오염도 측정을 위한 멀티 샘플링 포트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109655317B (zh) 基于动态稀释法的机动车尾气车载测试平台及采样方法
CN105277397A (zh) 车辆尾气收集装置、车辆尾气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US20050087028A1 (en) A multi-point sampling method for obtaining isokinetic fluid composition flows in a non-uniform velocity flow field
WO2016147098A1 (en) An integrated ambient air quality system
CN105043826B (zh) 一种智能恒温多路大气采样方法
KR20150117391A (ko) 다중 대기시료 채취장치
CN209783996U (zh) 一种基于动态稀释法的机动车尾气车载测试平台
TWI581305B (zh) 檢測污染位置的設備、檢測污染位置的方法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100794704B1 (ko) 공기 수집 장치
KR100637863B1 (ko) 희석을 이용한 굴뚝가스시료 채취장치
KR101683056B1 (ko)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CN103854949B (zh) 热解析进样器离子迁移谱气路
KR101027645B1 (ko) 샘플링 포트 클리닝 수단을 구비한 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48071A (ko) 오염입자 샘플링 유도관 모듈을 구비하는 오염입자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