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011B1 -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 Google Patents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011B1
KR101671011B1 KR1020160108629A KR20160108629A KR101671011B1 KR 101671011 B1 KR101671011 B1 KR 101671011B1 KR 1020160108629 A KR1020160108629 A KR 1020160108629A KR 20160108629 A KR20160108629 A KR 20160108629A KR 101671011 B1 KR101671011 B1 KR 10167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ilter
duct
wind tunne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태
정혁
국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티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티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티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0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00Ae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wind tunnels
    • G01M9/02Wind tunnels
    • G01M9/0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 및 하류 지점에서 미생물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일반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이외에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또한 측정할 수 있고,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수평 풍동 유닛 내부 공간에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생물 포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의 인출 과정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테스트 과정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WIND TUNNEL FOR TESTING FILTER WITH IMPACTER CHANGE MODULE}
본 발명은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 및 하류 지점에서 미생물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일반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이외에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또한 측정할 수 있고,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수평 풍동 유닛 내부 공간에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생물 포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의 인출 과정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테스트 과정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 입자(particle)는 작은 크기의 물질로서, 분자들보다는 다소 큰 크기를 갖고 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와 함께 물질의 5상 중의 하나를 이룬다. 통상적으로 미세 입자는 에어로졸을 구성하는 기체 매체에 고체 또는 액체의 부유 물질로 구현된다.
이러한 미세 입자는 소각로 배출 물질, 황사, 스모그 등의 대기 오염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이는 인간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로서, 최근에는 이러한 미세 입자에 의한 대기오염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로서, 대기 중의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예로들 수 있는데, 이러한 필터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필터링 대상 물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링 성능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종류의 다양한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들 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필터의 종류에 따라 테스트 방식이 달라 그 테스트 장치의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풍동 장치는 내부 공간에 시험물질 입자를 공기와 함께 유동시키고, 그 중간 구간에 시험대상필터를 삽입 장착하며,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및 하류에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여 시험대상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풍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설비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특정 필터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전용 풍동 장치만이 대규모 연구 기관 등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이는 그 구조상 특정 필터에 대한 성능만을 테스트할 수 있고 또 다른 필터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또 다른 풍동 장치를 마련해야 하므로, 하나의 풍동 장치를 통해 다양한 필터에 대한 성능을 측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풍동 장치의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풍동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구조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며, 사용 편의성 또한 매우 열악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8104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 및 하류 지점에서 미생물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일반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이외에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또한 측정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팩터와 같은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자동으로 수평 풍동 유닛에 인입하거나 인출시킬 수 있는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수평 풍동 유닛 내부 공간에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생물 포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의 인출 과정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테스트 과정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풍동 유닛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수평 필터 덕트를 용이하게 외부 공간으로 인출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필터 교체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수평 필터 덕트를 실린더에 의한 이송 가압력에 의해 인접 수평 덕트와 밀봉 결합되게 함으로써, 필터 교체 작업 이후 수평 필터 덕트의 결합 과정에서 밀봉 결합을 위한 별도의 볼트 체결 작업이 불필요하여 더욱 신속하고 편리한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평 풍동 유닛과, 수직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직 풍동 유닛을 서로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또는 필터 종류에 따라 수평 유동 또는 수직 유동을 형성하여 다양한 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험대상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덕트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수평 풍동 유닛;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파티클 측정 유닛;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 및 상기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자동 입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은 상기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임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입출 모듈은, 상기 수평 덕트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 덕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이동하여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외부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입출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 입자가 상기 수평 덕트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입자 유출 차단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유출 차단 수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상향 분사하는 다수개의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상기 수평 풍동 유닛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필터 교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교체 모듈은, 상기 수평 덕트 중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는 수평 필터 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 필터 덕트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를 상기 수평 필터 덕트와 결합 또는 이격되게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수평 덕트 이송 수단; 및 상기 수평 필터 덕트를 상류측에 인접한 수평 덕트로부터 이격시켜 일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필터 덕트 이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필터 덕트에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덕트 이송 수단 및 필터 덕트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필터 덕트를 인접한 수평 덕트로부터 이격되게 이송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유동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환 덕트; 및 수직 상승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상기 전환 덕트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 하강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풍동 유닛의 중간 구간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수직 풍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풍동 유닛 또는 수직 풍동 유닛을 이용하여 시험대상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 및 하류 지점에서 미생물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일반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이외에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또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팩터와 같은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자동으로 수평 풍동 유닛에 인입하거나 인출시킬 수 있는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수평 풍동 유닛 내부 공간에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생물 포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의 인출 과정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테스트 과정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풍동 유닛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수평 필터 덕트를 용이하게 외부 공간으로 인출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필터 교체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수평 필터 덕트를 실린더에 의한 이송 가압력에 의해 인접 수평 덕트와 밀봉 결합되게 함으로써, 필터 교체 작업 이후 수평 필터 덕트의 결합 과정에서 밀봉 결합을 위한 별도의 볼트 체결 작업이 불필요하여 더욱 신속하고 편리한 필터 교체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평 풍동 유닛과, 수직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직 풍동 유닛을 서로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또는 필터 종류에 따라 수평 유동 또는 수직 유동을 형성하여 다양한 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입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입출 모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수평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필터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전환 덕트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필터 교체 모듈의 수직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입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입출 모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수평 풍동 유닛(300)과, 파티클 측정 유닛(500)과,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과, 자동 입출 모듈(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풍동 유닛(300)은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구간에는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301)가 형성된다. 입자 주입 포트(30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시험물질 입자 발생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수평 풍동 유닛(300)에서 내부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수평 풍동 유닛(300)의 중간 구간 내부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고,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에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와 시험대상필터의 하류 지점에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게 되면, 시험대상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입자의 개수를 알 수 있으므로, 시험대상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에서 측정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가 100이고, 시험대상필터의 하류 지점에서 측정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가 5이면, 시험대상필터는 95%의 필터링 성능을 갖는 것으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수평 풍동 유닛(300)에 장착된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및 하류 지점으로부터 시험물질 입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점에 연결되는 2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와, 2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에 동시에 연결되어 각각의 측정 연결 호스(510)를 통해 공급되는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하나의 입자 계수기(520)와, 2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정 연결 호스(510)에 장착되는 개폐 밸브(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개폐 밸브(530)의 조작을 통해 특정 지점에서의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입자 계수기(520)는 미세 입자를 에어로졸 상태로 공기와 함께 유입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광학 입자 계수기 또는 응축핵 입자 계수기 등 일반적인 입자 계수기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 연결 호스(510)는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및 하류 지점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개폐 밸브(530)를 개폐 조작하여 특정 지점에서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풍동 유닛(300)의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에 연결된 측정 연결 호스(510)의 개폐 밸브(530)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 밸브(530)를 폐쇄하면, 수평 풍동 유닛(300)의 시험대상필터 상류 지점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할 수 있고, 이후, 수평 풍동 유닛(300)의 시험대상필터의 하류 지점에 연결된 측정 연결 호스(510)의 개폐 밸브(530)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 밸브(530)를 폐쇄하면, 수평 풍동 유닛(300)의 시험대상필터 하류 지점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은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다양한 필터 테스트를 위해 장착되며, 수평 풍동 유닛(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은 수평 풍동 유닛(300) 내부 공간을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여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임팩터가 적용될 수 있다. 임팩터란 유동하는 입자의 유동 관성력 차이를 이용하여 입자를 크기별로 포집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는 미생물 입자를 크기별로 단계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단 임팩터가 사용되며, 내부에는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여 배양할 수 있도록 배지가 구비된 샬레가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팩터를 이용하여 미생물 입자를 포집한 후, 이를 배양시켜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미생물 입자의 개수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팩터로 적용되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은 별도의 연결 호스(미도시)를 통해 수평 풍동 유닛(300)의 특정 지점에 연결되는 형태로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임팩터를 통한 미생물 입자 포집 정확도를 위해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이 수평 풍동 유닛(300)의 내부 공간에 직접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수평 풍동 유닛(300)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200)을 통해 지지되는데, 수평 풍동 유닛(300)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의 하부에는 수평 덕트(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 프레임(210)이 설치된다.
수평 풍동 유닛(300)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수평 유입 덕트(311)와, 시험대상필터가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수평 필터 덕트(312)와, 수평 필터 덕트(312)의 상류에 위치하며 파티클 측정 유닛(500)의 측정 연결 호스(510)가 연결됨과 동시에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이 내부에 장착되는 수평 상류 샘플링 덕트(313)와,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며 파티클 측정 유닛(500)의 측정 연결 호스(510)가 연결됨과 동시에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이 내부에 장착되는 수평 하류 샘플링 덕트(313)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수평 풍동 유닛(300)에 연결되는 수직 풍동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도 5 및 도 6 참조), 이 경우, 수직 풍동 유닛(400)은 수평 풍동 유닛(300)의 중간 구간에 배치된 연결 덕트(314)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덕트(314)를 기준으로 상류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는 직선 형태로 배치되고, 연결 덕트(314)의 하류단에는 U자 형상의 곡선형 덕트(315)가 연결되며, 곡선형 덕트(315)의 하류에는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 316,317 등)가 연결 덕트(314)의 상류에 위치한 수평 덕트(310)와 평행한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하류 샘플링 덕트(316)는 곡선형 덕트(315)의 하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수평 풍동 유닛(3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 입자를 멸균할 수 있는 멸균 램프(3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멸균 램프(320)는 미생물 입자에 대한 필터링 성능 시험이 완료된 이후, 수평 풍동 유닛(300)의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미생물 입자를 멸균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자동 입출 모듈(900)은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을 수평 덕트(3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덕트(313,316)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318)를 개폐하도록 수평 덕트(313,31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플레이트(910)와, 승강 플레이트(91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930)를 포함한다. 임팩터는 승강 플레이트(910)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승강 플레이트(910)와 함께 승강 이동하여 수평 덕트(313,316)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외부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승강 플레이트(910)는 별도의 가이드 로드(92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승강 구동부(930)는 수평 덕트(313,316)의 내부 공간 또는 외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고,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입출 모듈(900)은, 승강 플레이트(910)가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수평 덕트(31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 입자가 수평 덕트(3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입자 유출 차단 수단(9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자 유출 차단 수단(940)은 승강 플레이트(9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상향 분사하는 다수개의 공기 분사 노즐(9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91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910)에 안착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이 수평 덕트(31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고, 이 상태로 미생물 입자를 측정하게 된다. 임팩터와 같은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은 별도의 연결 호스를 통해 미생물 입자를 포집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수평 덕트(310)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해당 공간의 미생물 입자를 직접 포집하는 것이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와 같은 상태로 테스트 시간이 완료되면,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을 외부로 인출해야 하는데, 이때, 승강 플레이트(910)를 하강 이동시켜 이와 함께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910)를 하강 이동시키면, 수평 덕트(310)의 내부 공간이 개구부(318)에 의해 개방되므로, 수평 덕트(310)의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미생물 입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 플레이트(9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공기 분사 노즐(941)을 통해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을 승강 플레이트(9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910)로부터 분리 인출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집된 미생물 입자를 별도로 배양하여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해 미생물 입자의 개수 및 종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이러한 자동 입출 모듈(900)을 통해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을 수평 풍동 유닛(300) 내부 공간에 편리하게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미생물 포집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600)의 인출 과정 또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생물 입자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미생물 입자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수평 풍동 유닛(300)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편리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필터 교체 모듈(800)이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중심으로 필터 교체 모듈(8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수평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의 필터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필터 교체 모듈(800)은 수평 풍동 유닛(300)의 수평 필터 덕트(312)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데,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과,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과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를 인접한 수평 덕트(310)로부터 이송시키도록 작동한다.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은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 중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는 수평 필터 덕트(312)를 기준으로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310)를 수평 필터 덕트(312)와 결합 또는 이격되게 수평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은,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310), 예를 들면, 연결 덕트(314), 곡선형 덕트(315) 및 곡선형 덕트(315)의 하류단에 결합되는 수평 덕트(317)에 대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수평 덕트 가이드 레일(812)과,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310)를 수평 덕트 가이드 레일(812)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덕트 이송 실린더(8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필터 덕트(312)와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310)는 수평 덕트 이송 실린더(811)의 이송 가압력에 의해 밀봉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평 필터 덕트(312)와 그 인접 수평 덕트(310)는 별도의 플랜지를 이용한 볼트 결합 구조를 채용하지 않아도 밀봉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대상필터의 교체를 위해 수평 필터 덕트(312)를 분리한 이후 다시 수평 필터 덕트(312)를 인접 수평 덕트(310)와 밀봉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수평 필터 덕트(312)의 밀봉 결합을 위한 별도의 볼트 체결 작업을 하지 않아도 수평 덕트 이송 실린더(811)의 이송 가압력에 의해 밀봉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시험대살필터의 교체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은 수평 필터 덕트(312)를 상류측에 인접한 수평 덕트(310:313)로부터 이격시켜 일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은, 수평 필터 덕트(312)가 상류측에 인접한 수평 덕트(31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 1 이송 가이드(821)와, 제 1 이송 가이드(821)가 상면에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822)와, 수평 필터 덕트(312)가 제 1 이송 가이드(821)의 이동 경로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플레이트(82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제 2 이송 가이드(8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에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한 수평 덕트(310), 예를 들면, 연결 덕트(314), 곡선형 덕트(315) 및 그 하류의 수평 덕트(317)를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격 거리 d2만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를 수평 덕트(310)의 이송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의 제 1 이송 가이드(821)을 따라 수평 필터 덕트(312)를 이격 거리 d3만큼 우측으로 이동시켜 그 상류의 수평 덕트(310:313)로부터 이격시킨 이후, 제 2 이송 가이드(823)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과정에 따라 수평 필터 덕트(312)는 인접한 수평 덕트(310)로부터 모두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 공간으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자유롭고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평 필터 덕트(312)를 외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면, 수평 필터 덕트(312)가 양측단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별도의 시험대상필터를 수평 필터 덕트(312)의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시험대상필터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장착 지그(미도시)에 장착된 상태로 수평 필터 덕트(312) 내부 공간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지그를 이용함으로써, 시험대상필터에 대한 삽입 과정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수평 필터 덕트(312) 및 수평 덕트(310)를 이동시키고, 수평 덕트 이송 실린더(811)의 이송 가압력에 의해 상호 밀봉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의 전환 덕트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교체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필터 교체 모듈의 수직 덕트 이송 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시험대상필터에 대해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 또는 수직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장치로서, 전술한 수평 풍동 유닛(300)에 더하여 수직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수직 풍동 유닛(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환 덕트(10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수직 풍동 유닛(400)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전환 덕트(10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유동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 전환 방식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덕트(100)의 수직 유로 연결부(102) 또는 수평 유로 연결부(103)에 별도의 차단판(11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직 유로 연결부(102)에 차단판(110)을 삽입하면, 수직 유로 연결부(102)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되어 수평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되고, 수평 유로 연결부(103)에 차단판(110)을 삽입하면, 수평 유로 연결부(103)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되어 수직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수평 풍동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전환 덕트(100)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다.
수직 풍동 유닛(400)은 수직 상승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전환 덕트(100)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 하강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수평 풍동 유닛(300)의 중간 구간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중간 구간에는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401)가 형성된다. 수직 풍동 유닛(400)의 입자 주입 포트(401)에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시험물질 입자 발생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수평 풍동 유닛(300)과 수직 풍동 유닛(400)에서 각각 내부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수평 풍동 유닛(300)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에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장치와, 수직 풍동 유닛(400)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에서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 풍동 유닛(300) 및 수직 풍동 유닛(400)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파티클 측정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 풍동 유닛(300)과 수직 풍동 유닛(400)에 각각 장착된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및 하류 지점으로부터 시험물질 입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점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와, 다수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에 동시에 연결되어 각각의 측정 연결 호스(510)를 통해 공급되는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하나의 입자 계수기(520)와, 다수개의 측정 연결 호스(51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정 연결 호스(510)에 장착되는 개폐 밸브(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개폐 밸브(530)의 조작을 통해 특정 지점에서의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풍동 유닛(400)의 시험대상필터의 상류 지점에 연결된 측정 연결 호스(510)의 개폐 밸브(530)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 밸브(530)를 모두 폐쇄하면, 수직 풍동 유닛(400)의 시험대상필터 상류 지점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할 수 있고, 이후, 수직 풍동 유닛(400)의 시험대상필터의 하류 지점에 연결된 측정 연결 호스(510)의 개폐 밸브(530)를 개방하고, 나머지 개폐 밸브(530)를 모두 폐쇄하면, 수직 풍동 유닛(300)의 시험대상필터 하류 지점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수직 풍동 유닛(400)은 전환 덕트(100)로부터 수직 상승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수직 상승 구간(402)과, 수직 상승 구간(402)으로부터 수평 연장되어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수평 연장 구간(403)과, 수평 연장 구간(403)으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어 수직 하강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수직 하강 구간(404)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수직 덕트(41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 하강 구간(404)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직 덕트(41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수직 덕트(410)가 수평 풍동 유닛(300)에 연결된다.
이때, 수평 풍동 유닛(300)의 중간 구간에는 수직 풍동 유닛(400)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연결 덕트(314)가 배치되고, 연결 덕트(314)는 연결 덕트(314)의 상류에 위치하는 수평 덕트(310)와 하류에 위치하는 수평 덕트(310)를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수직 풍동 유닛(400)의 수직 덕트(410)와 연결 덕트(314)의 하류에 위치하는 수평 덕트(31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선택적 연결을 위해 수평 덕트(310) 또는 수직 덕트(41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수직 풍동 유닛(400)을 이루는 다수개의 수직 덕트(410)는, 전환 덕트(100)에 수직 연결되는 수직 유입 덕트(415)와, 시험대상필터가 내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필터 삽입부(412)가 형성되며 필터 삽입부(412)의 하류 지점에 파티클 측정 유닛(500)의 측정 연결 호스(510)가 연결되는 수직 필터 덕트(411)와, 수직 필터 덕트(411)의 상류에 위치하며 파티클 측정 유닛(500)의 측정 연결 호스(510)가 연결되는 수직 상류 샘플링 덕트(414)와, 수직 필터 덕트(411)의 상류에 위치하며 수직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길이 조절 덕트(413)를 포함한다. 수직 필터 덕트(411)가 수직 하강 구간(404)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연결 덕트(314)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 덕트(413)는 연결 덕트(314)의 교체 장착을 위해 수직 덕트(410)를 수평 풍동 유닛(30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풍동 유닛(300)과 수직 풍동 유닛(400)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200)을 통해 지지되는데, 수평 풍동 유닛(3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평 덕트(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지지 프레임(210)이 설치되고, 수직 풍동 유닛(400)의 수직 하강 구간(404) 외곽에는 다수개의 수직 덕트(4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 프레임(2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수평 풍동 유닛(300) 또는 수직 풍동 유닛(400)을 통해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테스트할 수 있다. 즉, 필터의 필터링 성능 테스트 방식은 필터의 종류에 따라 법령 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실내 정화용 필터는 공기의 수직 유동을 이용하여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또 다른 산업용 필터는 공기의 수평 유동을 이용하여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동 장치는 수평 방향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수평 풍동 유닛(300)과, 수직 방향의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수직 풍동 유닛(400)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수평 풍동 유닛(300)과 수직 풍동 유닛(400)이 구비되는 경우, 수평 풍동 유닛(300)의 수평 필터 덕트(312)에 시험대상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필터 교체 모듈(800)은 전술한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 및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 이외에 별도의 수직 덕트 이송 수단(830)을 더 포함한다.
수직 덕트 이송 수단(83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강 구간(404)의 수직 덕트(410)들을 길이 조절 덕트(413)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 조절 덕트(413)의 상하 길이 조절 구조에 의해 수직 덕트(410)가 수직 덕트 이송 수단(830)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덕트 이송 수단(830)은 수직 지지 프레임(220)에 결합되어 수직 덕트(41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 레일(832)과, 수직 덕트(410)를 수직 가이드 레일(832)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 실린더(8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기계 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덕트 이송 수단(830)을 이용하여 수직 하강 구간(404)의 수직 덕트(410)들을 수평 풍동 유닛(300)으로부터 이격 거리 d1만큼 이격되게 상향 이동시킨다. 이때, 길이 조절 덕트(413)는 h 상태에서 h1 상태로 d1 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덕트 이송 수단(81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의 하류에 위치하는 수평 덕트(310)들을 수평 이동시키고, 이후, 필터 덕트 이송 수단(820)을 이용하여 수평 필터 덕트(312)를 외부 공간으로 수평 이송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험대상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환 덕트 200: 지지 프레임
300: 수평 풍동 유닛 310: 수평 덕트
314: 연결 덕트 400: 수직 풍동 유닛
410: 수직 덕트 500: 파티클 측정 유닛
510: 측정 연결 호스 520: 입자 계수기
530: 개폐 밸브 600: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
800: 필터 교체 모듈
810: 수평 덕트 이송 수단
820: 필터 덕트 이송 수단
830: 수직 덕트 이송 수단
900: 자동 입출 모듈 910: 승강 플레이트
920: 가이드 로드 930: 승강 구동부
940: 입자 유출 차단 수단
941: 공기 분사 노즐

Claims (7)

  1. 시험대상필터의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에 있어서,
    수평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덕트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수평 풍동 유닛;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시험물질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파티클 측정 유닛;
    시험대상필터의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미생물 입자의 개수를 측정하는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 및
    상기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을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자동 입출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입자 측정 유닛은
    상기 수평 풍동 유닛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에 함유된 미생물 입자를 포집할 수 있는 임팩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입출 모듈은
    상기 수평 덕트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수평 덕트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안착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함께 승강 이동하여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거나 외부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입출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 덕트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미생물 입자가 상기 수평 덕트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입자 유출 차단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유출 차단 수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상향 분사하는 다수개의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상기 수평 풍동 유닛에 장착되는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필터 교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교체 모듈은
    상기 수평 덕트 중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는 수평 필터 덕트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 필터 덕트의 하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덕트를 상기 수평 필터 덕트와 결합 또는 이격되게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수평 덕트 이송 수단; 및
    상기 수평 필터 덕트를 상류측에 인접한 수평 덕트로부터 이격시켜 일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필터 덕트 이송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필터 덕트에 시험대상필터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덕트 이송 수단 및 필터 덕트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 필터 덕트를 인접한 수평 덕트로부터 이격되게 이송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유동을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환 덕트; 및
    수직 상승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상기 전환 덕트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 하강 방향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 풍동 유닛의 중간 구간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며, 내부 공간에 시험대상필터가 장착되며, 일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시험물질 입자를 주입할 수 있도록 입자 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수직 풍동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풍동 유닛 또는 수직 풍동 유닛을 이용하여 시험대상필터에 대한 필터링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KR1020160108629A 2016-08-25 2016-08-25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KR10167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9A KR101671011B1 (ko) 2016-08-25 2016-08-25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29A KR101671011B1 (ko) 2016-08-25 2016-08-25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011B1 true KR101671011B1 (ko) 2016-11-01

Family

ID=574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29A KR101671011B1 (ko) 2016-08-25 2016-08-25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41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에이알티플러스 박테리아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박테리아 에어로졸 공급 장치
KR102198320B1 (ko) * 2019-07-31 2021-01-05 국방과학연구소 챔버와 윈드터널이 통합된 에어로졸 평가장치
CN113109018A (zh) * 2021-04-27 2021-07-13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设备设计与测试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小型连续式跨超声速风洞的模型更换方法
KR20220166718A (ko) 2021-06-10 2022-12-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랙형 미세먼지 시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977A (ja) * 2003-06-04 2004-12-24 Sanki Gomme Kk 換気用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の塩害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2006275983A (ja) * 2005-03-30 2006-10-12 Nippon Muki Co Ltd フィルタ検査装置
KR20070081043A (ko)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테스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977A (ja) * 2003-06-04 2004-12-24 Sanki Gomme Kk 換気用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の塩害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2006275983A (ja) * 2005-03-30 2006-10-12 Nippon Muki Co Ltd フィルタ検査装置
KR20070081043A (ko)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41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에이알티플러스 박테리아 분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박테리아 에어로졸 공급 장치
KR102198320B1 (ko) * 2019-07-31 2021-01-05 국방과학연구소 챔버와 윈드터널이 통합된 에어로졸 평가장치
CN113109018A (zh) * 2021-04-27 2021-07-13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设备设计与测试技术研究所 一种适用于小型连续式跨超声速风洞的模型更换方法
KR20220166718A (ko) 2021-06-10 2022-12-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랙형 미세먼지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011B1 (ko) 임팩터 자동 입출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US9360411B2 (en) Alternate inlet field testing apparatus
US8999035B2 (en) Integrated containment system
US20160097705A1 (en) Non-instrusive filter scanning
KR101683056B1 (ko) 필터 교체 모듈을 구비한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KR101721190B1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101671358B1 (ko) 다목적 필터 테스트용 풍동 장치
US10751659B2 (en) Leakage detection for installed filters of a multi-filter containment enclosure apparatus
CN107003202B (zh) 集成有测试气溶胶注射和取样的容纳壳
EP2072925A1 (en) Safe exhaust
US7010960B1 (en) Sca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filters for leaks
KR20170054636A (ko) 미생물 필터 테스트용 필터 홀딩 유닛
KR100794704B1 (ko) 공기 수집 장치
US20160121257A1 (en) Capture and recovery system for gases and particles
JP5946109B2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の試験システム
KR101137585B1 (ko) 분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 내 입자 검출 시스템
US20160096135A1 (en) Door assembly with scanning mechanism, and containment system with same
JP5950144B2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その試験システム
JP2002214115A (ja) 空気浄化装置及びその試験システム
KR101462949B1 (ko) 혼합수단을 구비하는 임팩터 성능 평가 시스템
CN214426150U (zh) 一种双级排风高效过滤装置
CN109342161A (zh) 一种两级多通道大气采集管路过滤系统
EP263956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sh from flue gases
CN112880094A (zh) 一种双级排风高效过滤装置
SU12706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бора проб аэрозо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