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880B1 -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 Google Patents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880B1
KR102260880B1 KR1020210042282A KR20210042282A KR102260880B1 KR 102260880 B1 KR102260880 B1 KR 102260880B1 KR 1020210042282 A KR1020210042282 A KR 1020210042282A KR 20210042282 A KR20210042282 A KR 20210042282A KR 102260880 B1 KR102260880 B1 KR 10226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nel
connection
pad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의 박스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 상기 함체패널이 모여 이루는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을 연결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을 유지시켜 밀폐 공간을 이루는 함체를 제공하는 잠금유지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작동을 상기 패널결합부의 분리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부; 상기 함체패널 및 상기 패널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단자;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가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드형 안테나; 및 상기 함체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체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형 안테나를 상기 함체도어에 설치한 후에 상기 함체도어를 폐쇄하면 상기 패드형 안테나와 상기 무선통신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Easy-to-line cable junction box}
본 발명은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고, 조립작업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때에 손쉽게 해제하여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접속함 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건축물의 위치마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자가 설치된다.
통신단자는 벽체에 미리 매립된 통신케이블과 외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통신케이블이 벽체에 매립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벽체에 함설치홈을 형성하고, 함설치홈에 함체를 설치한 후 통신단자를 함체에 설치하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통신단자가 설치되는 함체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0439호(2012.6.1.공고)의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으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은 사각 형태를 가지며 십자 형태의 제1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테두리부에 힌지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부가 핀부재를 통해 상호 고정되는 복수의 측면판을 구비하는 메인 케이싱과, 제1 가이드홀에 정렬되도록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메인 케이싱의 내부에서 제1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메인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하는 내부 케이싱과, 내부 케이싱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내부 케이싱과 메인 케이싱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가이드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재, 제2 가이드홀의 상면에서 볼트부재를 통해 하부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내부 케이싱에 지지되고 나사를 통해 상기 내부 케이싱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가이드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은 통신기기 등의 수가 많을 경우 또는 증설이 필요한 경우 내부 케이싱을 외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시켜 별도의 단자함을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및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조립식 초고속 통합 배선 단자함은 메인케이싱이 일체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운반이 쉽지 않으며, 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구가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지만, 케이블이 인입구에 한번 설치되면 위치변경이 어려워 케이블을 정리하거나, 단자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함체의 내부에 무선통신기기를 설치할 경우, 밀폐된 함체내에서 통신신호의 수발신이 원활하지 않아 무선통신이 끊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단자함은, 사각의 박스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과, 함체패널이 모여 이루는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함체패널을 고정하는 패널결합구를 포함하는 함체, 및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에서, 함체패널은 함체패널의 모서리마다 대각선으로 절취된 패널절취부, 및 절취부가 형성된 부분마다 관통형성되는 패널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0694호(2020년 11월 1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단자함은, 함체패널이 복잡한 구조의 패널결합구에 의해 모서리에서 결합되어 단자함을 이루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통신단자함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없으며, 통신단자함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진행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단자함은, 단자함 외부에 구비되는 통신장비들과 교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가 설치되는 경우에 단자함 내부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설치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어렵고, 안테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안테나의 수명이 종료되어 교체작업이 진행될 때에 안테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고, 조립작업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때에 손쉽게 해제하여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접속함 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각의 박스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 상기 함체패널이 모여 이루는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을 연결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을 유지시켜 밀폐 공간을 이루는 함체를 제공하는 잠금유지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작동을 상기 패널결합부의 분리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부; 상기 함체패널 및 상기 패널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단자;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가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드형 안테나; 및 상기 함체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체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형 안테나를 상기 함체도어에 설치한 후에 상기 함체도어를 폐쇄하면 상기 패드형 안테나와 상기 무선통신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함체패널은,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함체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상기 함체의 상면을 이루고, 출구연결부, 연결부덮개 및 출구형성홈이 구비되는 상부패널; 상기 함체의 저면을 이루고, 인입출구가 구비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함체의 배면을 이루고, 복수 개의 나사체결공이 구비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함체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패드형 안테나를 삽입하면 상기 패드형 안테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가 삽입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연결핀이 구비되어 상기 함체도어에 구비되는 단자블록에 대향되도록 상기 함체패널에 구비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핀이 상기 연결블록에 안착되면 상기 연결핀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함체도어가 폐쇄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가압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연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연결핀이 안착되는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동부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패널에는 상기 연결구동부의 와이어가 상기 가압블록에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통신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복수 개의 인입출구가 출구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출구연결부는 연결부덮개에 의해 개폐되어 통신케이블이 위치하는 인입출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함체도어에 패드형 안테나가 설치되어 함체의 내부에 무선통신기기가 설치되더라도 외부와 용이하게 무선 통신하여 무선통신의 끊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함체도어가 설치되는 함체패널에 통신케이블을 인입 또는 인출하는 케이블도입구가 형성되어 함체의 외부에서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하여 통신케이블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함체패널을 서로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패널결합구가 구비되므로 통신단자함을 제작할 때에 다수 개의 함체패널의 용이하게 결합시켜 조립할 수 있어 통신단자함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다수 개의 함체패널을 동시에 분리시켜 해체시킬 수 있는 해제부가 구비되므로 통신단자함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진행할 때에 해제부를 조작하여 다수 개의 함체패널을 동시에 분리시키면서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통신단자함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접속함 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끼움결합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한 후에 함체도어를 닫으면 함체도어와 함께 회전되는 안테나의 단자블록과 단자연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를 통신케이블와 연결하는 별도의 결선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패널결합부, 해제부 및 잠금유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단자연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단자연결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동력제공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패널결합부, 해제부 및 잠금유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단자연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단자연결부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의 동력제공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은, 사각의 박스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111)과, 함체패널(111)이 모여 이루는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함체패널(111)을 연결하는 패널결합부(150)와, 패널결합부(150)의 결합상태을 유지시켜 밀폐 공간을 이루는 함체(110)를 제공하는 잠금유지부(210)와, 패널결합부(150)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190)와, 해제부(190)의 작동을 패널결합부(150)의 분리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여 복수 개의 함체패널(111)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부(200)와, 함체패널(111) 및 패널결합부(150)에 의해 형성되는 함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단자와, 통신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가 설치되고, 무선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드형 안테나(125)와, 함체패널(1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체도어(120)에 구비되고, 패드형 안테나(125)를 함체도어(120)에 설치한 후에 함체도어(120)를 폐쇄하면 패드형 안테나(125)와 무선통신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250)를 포함한다.
함체(110)는 사각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통신단자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단자는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단자 컴퓨터 등을 연결하기 위한 공유기 등일 수 있다.
함체(110)는 건축물의 벽체에 함설치홈를 형성하고, 함설치홈에 함체(110)의 전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어 벽체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함체(110)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111)을 사각의 박스 형태로 배치한 후 조립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함체패널(111)은 사각의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체패널(111)의 가로 및 세로의 폭은 함체(110)의 전체적인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함체패널(11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체패널(111)은 함체(110)를 구성하는 위치에 따라 함체(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은 측면패널(111a),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은 상부패널(111d) 및 하부패널(111e), 함체(110)의 후면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은 후면패널(111c), 함체(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은 전면패널(111b)이라고 일컬어질 수 있다.
함체(110)의 전방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에는 함체(11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함체도어(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함체도어(120)는 회전하여 함체(11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도어(120)가 설치된 함체패널(111)에는 함체(110)의 내부로 인입된 통신케이블을 외부로 함체(110)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외부의 통신케이블을 함체(110)의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케이블도입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도입구(117)는 함체패널(111)을 전방에서 바라볼 때,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케이블도입구(117)를 가리는 차양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함체도어(120)에는 통신단자(170)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 예컨대, 무선공유기, 무선라우터가 설치되는 경우,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를 대신하여 무선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한 패드형 안테나(125)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함체(110)의 내부에 무선통신기기를 설치하면, 함체(110)가 벽체에 매립되어 밀폐되기 때문에 무선신호의 수발신이 어려워 무선통신이 끊기거나, 무선통신이 원활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함체(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함체도어(120)에 돌출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드형 안테나(125)를 설치하여 무선통신기기와 외부기기가 무선신호를 원활하게 수발신할 수 있다.
패드형 안테나(125)와 무선통신기기는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제거하고,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를 연결하는 소켓에 패드형 안테나(125)를 안테나케이블로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함체도어(120) 또는 함체도어(120)가 설치되는 함체패널(111)에는 안테나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소켓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패드형 안테나(125)는 금속의 박막을 무선통신기기에서 통신하는 무선통신 주파수에 대응하여 무선신호를 수발신할 수 있는 무선패턴을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형 안테나(125)는 함체도어(120)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함체도어(120)의 내부에 수용 또는 함체도어(12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함체(110)의 둘레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 예컨대, 측면패널,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는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되는 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출구(130)는 함체패널(111)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출구(130)는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마다 서로 다른 인입출구(130)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인입출구(130)의 일부는 출구연결부(1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출구연결부(131)는 복수 개의 인입출구(130) 중 어느 하나의 인입출구(130)로 통신케이블이 인입된 상태에서 통신케이블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출구연결부(131)를 통해 통신케이블을 이동시키는 형태로 설치된 인입출구(1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출구연결부(131)에는 출구연결부(131)를 개폐하는 연결부덮개(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덮개(140)는 함체(110)의 내측에서 회전하여 출구연결부(13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연결부덮개(140)는 출구연결부(131)를 전체적으로 덮어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덮개(140)에는 출구연결부(131)를 밀폐 시에 밀폐된 인입출구(130)를 형성하도록 인입출구(130)와 대응되는 형태의 출구형성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입출구(130)는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출구연결부(131)에 의해 반원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출구형성홈(141)이 나머지 반원의 형태로 형성되어 출구연결부(131)를 연결부덮개(140)가 덮어 가리면 반원형태의 인입출구(130)와 나머지 반원의 형태의 출구형성홈(141)이 원형을 이뤄 복수 개로 구획된 인입출구(13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덮개(140)는 함체패널(111)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출구연결부(131)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덮개(140)는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구연결부(131)를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부덮개(140)에 의해 출구연결부(131)를 강제적으로 개방 시 강제력이 해제되면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출구연결부(131)를 밀폐시킬 수 있다.
연결부덮개(140)는 각 인입출구(130)와 대응되는 부분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입출구(1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143)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43)는 연결부덮개(140)가 출구연결부(131)를 밀폐한 상태에서 인입출구(13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입출구(130)의 밀폐하는 형태로 함체(110)의 내부로 통신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지 않는 인입출구(130)를 통해 이물질이 함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개폐부재(143)는 인입출구(130)를 밀폐한 상태에서 인입출구(130)가 위치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입출구(130)를 개방하여 인입출구(130)로 통신케이블을 인입 또는 인출 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연결부덮개(140)에는 개폐부재(14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5)가 개폐부재(14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함체(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함체패널(111)에는 통신단자(1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후면패널에는 통신단자(17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통신단자(170)를 나사체결하기 위한 나사체결공(119)이 격자의 형태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함체패널(1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함체(110)를 개폐하는 함체도어(120)가 구비되고, 함체(1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111b)와, 함체(110)의 상면을 이루고, 출구연결부(131), 연결부덮개(140) 및 출구형성홈(141)이 구비되는 상부패널(111d)와, 함체(110)의 저면을 이루고, 인입출구(130)가 구비되는 하부패널(111e)와, 함체(110)의 배면을 이루고, 복수 개의 나사체결공(119)이 구비되는 후면패널(111c)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널결합부(150)는, 함체패널로부터 돌출되는 후크부재와, 후크부재가 삽입되도록 측면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부와,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결합홈부 내부로 삽입되는 후크부재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후크와, 걸림후크를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걸림후크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후크부재는, 전면패널로부터 돌출되는 제1후크(152)와, 후면패널로부터 돌출되는 제2후크(154)와, 상부패널로부터 돌출되는 제3후크(156)와, 하부패널로부터 돌출되는 제4후크(158)를 포함한다.
결합홈부는, 측면패널의 전면에 형성되어 제1후크(152)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부(162)와, 측면패널의 배면에 형성되어 제2후크(154)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부(164)와, 측면패널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3후크(156)가 삽입되는 제3결합홈부(166)와, 측면패널의 저면에 형성되어 제4후크(158)가 삽입되는 제4결합홈부(168)를 포함한다.
걸림후크는, 제1결합홈부(162)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걸림후크(172)와, 제2결합홈부(164)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걸림후크(174)와, 제3결합홈부(166)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걸림후크(176)와, 제4결합홈부(168)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걸림후크(178)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제1걸림후크(172)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82)와, 제2걸림후크(174)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184)와, 제3걸림후크(176)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3탄성부재(186)와, 제4걸림후크(178)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제4탄성부재(188)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제부(190)는, 걸림후크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면패널 내부에 구비되는 연동부(200)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와이어는 측면패널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부(200)에 권취된다.
여기서, 와이어는, 제1걸림후크(172)로부터 연장되는 제1와이어(192)와, 제2걸림후크(174)로부터 연장되는 제2와이어(194)와, 제3걸림후크(176)로부터 연장되는 제3와이어(196)와, 제4걸림후크(178)로부터 연장되는 제4와이어(198)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동부(200)는, 측면패널의 측면에 설치되는 걸림후크로부터 측면패널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가 동시에 권취되는 해제드럼(202)과, 해제드럼(202)을 회전시키도록 해제드럼(202)에 편심되게 연결되고, 측면패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레버(20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해제레버(204)를 잡고 해제드럼(202)을 회전시키면 해제드럼(202)에 제1와이어(192) 내지 제4와이어(198)가 동시에 감기면서 제1탄성부재(182) 내지 제4탄성부재(188)를 압축시키면서 제1걸림후크(172) 내지 제4걸림후크(178)를 동시에 후퇴시키면서 제1걸림후크(172) 내지 제4걸림후크(178)를 동시에 제1후크(152) 내지 제4후크(158)로부터 분리시키면서 걸림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해제레버(204)를 잡고 해제드럼(202)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상부패널, 하부패널, 후면패널 및 전면패널이 동시에 측면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통신단자함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진행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잠금유지부(210)는, 해제드럼(202)의 회전축(2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축(214)에 코일 모양으로 권취되며, 타단이 해제드럼(202)의 내벽에 고정되어 해제드럼(202)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해제드럼(202)은 회전축(214)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182) 내지 제4탄성부재(188)에 의해 형성되는 제1와이어(192) 내지 제4와이어(198)의 장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제1탄성부재(182) 내지 제4탄성부재(188)의 탄성력이 부족하여 해제드럼(202)을 회전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1걸림후크(172) 내지 제4걸림후크(178)가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212)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해제드럼(202)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걸림후크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걸림후크는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합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후크부재에 의해 걸림후크가 후진된 후에 탄성부재 및 코일스프링(212)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걸림후크가 결합홈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후크부재와 걸림후크의 걸림결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자연결부(250)는, 함체도어(1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5d)을 따라 패드형 안테나(125)를 삽입하면 패드형 안테나(125)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25a)가 삽입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연결핀(125c)이 구비되어 함체도어(120)에 구비되는 단자블록(125b)에 대향되도록 함체패널(111)에 구비되는 연결블록(252)과, 연결블록(2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핀(125c)이 연결블록(252)에 안착되면 연결핀(125c)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254)과, 함체도어(120)가 폐쇄되는 회전운동을 가압블록(25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연결구동부(256)를 포함한다.
따라서 함체도어(120) 배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25d)을 따라 패드형 안테나(125)를 슬라이딩시키며 삽입하면 패드형 안테나(125)의 일단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5a)가 단자블록(125b)에 삽입되어 패드형 안테나(125)와 연결핀(125c)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자가 함체도어(120)를 회전시켜 닫으면 연결핀(125c)이 함체패널(111)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블록(252)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함체도어(120)의 회전운동이 연결구동부(256)의 작동에 의해 가압블록(254)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연결블록(252)에 안착되는 연결핀(125c)을 연결블록(252) 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블록(254)이 연결블록(252)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연결핀(125c)은 연결블록(252)과 가압블록(254)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블록(252)과 케이블에 연결되는 무선통신기기와 패드형 안테나(12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블록(252)은, 연결핀(125c)이 안착되는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의 상단으로부터 연결구동부(256)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패널(252a)이 구비되며, 연결패널(252a)에는 연결구동부(256)의 와이어(279)가 가압블록(254)에 연결되도록 와이어(279)가 통과되는 관통홀부(252b)가 형성된다.
연결패널(252a)의 내측 단부에는 힌지부(254b)가 구비되며, 힌지부(254b)에 가압블록(25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압블록(254)이 힌지부(254b)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연결블록(252)과 밀착되게 배치되면 연결블록(252)의 단차와 가압블록(254) 사이의 간격에 연결핀(125c)이 개재되어 연결핀(125c)과 연결블록(252)이 밀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블록(252)은 함체패널(111) 내벽에 설치되고, 연결패널(252a)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무선통신기기와 연결되므로 패드형 안테나(125)는 무선통신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패드형 안테나(12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무선통신기기에 공급될 수 있고,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가 패드형 안테나(125)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압블록(254)은 일측 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조작대(254a)가 돌출되고, 조작대(254a)에 구비되는 연결홀부에 연결구동부(256)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279)가 연결되므로 연결구동부(256)의 작동에 의해 가압블록(254)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구동부(256)는, 함체도어(120)를 함체패널(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27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풀리(274)와, 함체패널(111) 내벽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279)가 권취되는 드럼부재(276)와, 드럼부재(276)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풀리(277)와, 제1풀리(274)와 제2풀리(277)에 동시에 권취되어 함체도어(120)의 회전운동을 드럼부재(276)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벨트부재(278)와, 드럼부재(276)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2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함체도어(120)를 개방하면 제1풀리(274)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벨트부재(278)에 의해 제2풀리(277)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드럼부재(27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함체도어(120)를 닫으면 제1풀리(27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벨트부재(278)에 의해 제2풀리(277) 또한 역방햐으로 회전되어 드럼부재(27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함체도어(120)가 개방되어 드럼부재(27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와이어(279)가 드럼부재(276)의 둘레면에 감기면서 조작대(254a)를 당기게 되므로 가압블록(254)이 힌지부(254b)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블록(25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작업자가 함체도어(120)를 닫으면 드럼부재(27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279)가 드럼부재(276)로부터 풀리게 되고, 동력제공부(280)의 작동에 의해 고정블록이 연결블록(252) 측으로 회전되어 연결블록(252)에 안착된 연결핀(125c)을 연결블록(252) 측으로 가압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력제공부(280)는, 드럼부재(276)의 구동축(282)에 일단이 연결되고, 드럼부재(276)의 내벽에 타단이 연결되며, 구동축(282)과 드럼부재(276) 사이의 간격에 코일 모양으로 권취되어 드럼부재(27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84)과, 힌지부(254b)에 설치되어 고정블록을 연결블록(252) 측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286)을 포함한다.
따라서 함체도어(1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 코일스프링(284) 및 토션스프링(286)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드럼부재(27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압블록(254)이 연결블록(252) 측으로 회전되어 연결핀(125c)을 연결블록(252) 측으로 가압하고, 함체도어(120)가 개방되면 드럼부재(27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코일스프링(284)이 압축되면서 드럼부재(276)에 와이어(279)가 권취되면서 고정블록을 연결블록(252)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토션스프링(286)이 압축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패드형 안테나(125)를 함체도어(120)에 설치한 후에 함체도어(120)를 닫으면 드럼부재(27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션스프링(286)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블록(254)이 연결블록(252) 측으로 회전되면서 연결블록(252)과 가압블록(254)이 서로 밀착되면서 연결핀(125c)에 밀착된다.
이로써, 건축물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고, 조립작업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때에 손쉽게 해제하여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접속함 내부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접속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110: 함체
111: 함체패널 113: 패널절취부
117: 케이블도입구 119: 나사체결공
120: 함체도어 125: 패드형 안테나
130: 인입출구 131: 출구연결부
140: 연결부덮개 141: 출구형성홈
143: 개폐부재 145: 가이드부
150 : 패널결합부 190 : 해제부
200 : 연동부 210 : 잠금유지부
250 : 단자연결부 252 : 연결블록
254 : 가압블록 256 : 연결구동부
280 : 동력제공부

Claims (4)

  1. 사각의 박스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체패널;
    상기 함체패널이 모여 이루는 모서리마다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을 연결하는 패널결합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을 유지시켜 밀폐 공간을 이루는 함체를 제공하는 잠금유지부;
    상기 패널결합부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의 작동을 상기 패널결합부의 분리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함체패널이 동시에 분리되도록 하는 연동부;
    상기 함체패널 및 상기 패널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통신단자;
    상기 통신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기기가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드형 안테나; 및
    상기 함체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체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형 안테나를 상기 함체도어에 설치한 후에 상기 함체도어를 폐쇄하면 상기 패드형 안테나와 상기 무선통신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패널은,
    상기 함체를 개폐하는 함체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
    상기 함체의 상면을 이루고, 출구연결부, 연결부덮개 및 출구형성홈이 구비되는 상부패널;
    상기 함체의 저면을 이루고, 인입출구가 구비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함체의 배면을 이루고, 복수 개의 나사체결공이 구비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함체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패드형 안테나를 삽입하면 상기 패드형 안테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가 삽입되고, 일측에 복수 개의 연결핀이 구비되어 상기 함체도어에 구비되는 단자블록에 대향되도록 상기 함체패널에 구비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핀이 상기 연결블록에 안착되면 상기 연결핀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함체도어가 폐쇄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가압블록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연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연결핀이 안착되는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동부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패널에는 상기 연결구동부의 와이어가 상기 가압블록에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0210042282A 2021-03-31 2021-03-31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226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82A KR102260880B1 (ko) 2021-03-31 2021-03-31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82A KR102260880B1 (ko) 2021-03-31 2021-03-31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880B1 true KR102260880B1 (ko) 2021-06-07

Family

ID=7637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82A KR102260880B1 (ko) 2021-03-31 2021-03-31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32B1 (ko) * 2021-07-26 2021-11-04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610U (ko) * 1997-10-27 1998-03-30 홍진선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100917420B1 (ko) * 2009-04-21 2009-09-15 (주)경성관리단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KR20100004409U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두남 전기 통신용 노출형 박스
KR102222286B1 (ko) * 2020-08-03 2021-03-02 장길중 통신 케이블용 함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610U (ko) * 1997-10-27 1998-03-30 홍진선 옥내 배선용 접속함
KR20100004409U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두남 전기 통신용 노출형 박스
KR100917420B1 (ko) * 2009-04-21 2009-09-15 (주)경성관리단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KR102222286B1 (ko) * 2020-08-03 2021-03-02 장길중 통신 케이블용 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32B1 (ko) * 2021-07-26 2021-11-04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694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KR102260880B1 (ko)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N101617253B (zh) 插座装置
US6007353A (en)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CA2592830C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EP3739608B1 (en) Mechanical interlock apparatus, panel assembly and operation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KR102253599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EP1807600B1 (en) Gearmotor for roll-up shutters
KR100822668B1 (ko)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분전함
KR101317840B1 (ko) 릴레이 단자대
WO2012023505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2403918B1 (ko) 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JP3356625B2 (ja) マルチメディア用配線器具
KR102328828B1 (ko)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
US20160363731A1 (en) Device for transitioning from trunk cable to jumper cable
KR101803694B1 (ko) 안전 콘센트
KR102253600B1 (ko) 건축물내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KR101976335B1 (ko) 창문 자동 개폐 장치
EP3763558A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for locking a charging cable in a charging receptacle
EP3331797B1 (en) Elevator operation device
CN211670132U (zh) 一种内外网切换的物理切换开关
CN217183404U (zh) 一种防水防尘以太网交换机
KR200497654Y1 (ko) 배선 기구 조립체
CN117440638B (zh) 一种通讯模组防护设备
KR102387456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