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420B1 -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 Google Patents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420B1
KR100917420B1 KR1020090034642A KR20090034642A KR100917420B1 KR 100917420 B1 KR100917420 B1 KR 100917420B1 KR 1020090034642 A KR1020090034642 A KR 1020090034642A KR 20090034642 A KR20090034642 A KR 20090034642A KR 100917420 B1 KR100917420 B1 KR 10091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x
power
box case
fi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순
Original Assignee
(주)경성관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관리단 filed Critical (주)경성관리단
Priority to KR102009003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10-1)를 갖추고서, 전주(1)의 완철(2)에 설치고정되는 배전함케이스(10)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콘센트(C)와, 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리부(20-1,2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주(1)에 설치된 변압기(4)로부터 상용전압을 공급받는 배전반(20)과;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걸고리(30-1,3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전원차단부재(30)와; 변압기(4)로부터의 제1전력라인(L1)과 연결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소켓(41)과, 배전반(20)으로부터의 제2전력라인(L2)과 연결되어 소켓(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42)를 갖춘 절연재질의 커넥터(40)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1-1)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상부 측면에 설치고정되는 고정부(51)와, 일단에 형성되는 칼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ㄴ”자형상의 걸이편(52-1)을 갖추고서, 타단부가 고정부(51)의 지지부(5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52)와, 지지부(51-1)에 설치고정되어 타격부(52)를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을 갖춘 절개부재(50,50')와; 일단이 배전반(20)의 고리부(20-1,20-2)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원차단부재(30)의 걸고리(30-1,30-2)를 관통하면서 절개부재(50,50')의 걸이편(52-1)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행거부재(60,60')와;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갖추고서, 배전반(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전함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튜브형태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소화기구(7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스토퍼(10-2)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80)와;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는 스위치부(90)와; 배터리부(8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제어되고,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부(11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부(12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 배전함케이스의 외면에 스피커부와 송신부를 통해 음향 및 화재감지신호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는 수신받은 화재감지신호를 통해 현재의 배전함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가 난 사실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화재에 따른 신속한 대응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각 전력라인에 설치되는 소켓과 플러그를 통해 간편하게 배선 연결할 수 있고, 배전함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반에 전기합선 또는 누전에 따른 화재발생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전력라인의 연결부가 전원차단부재에 의해 쉽게 단락되도록 하여 불길이 전력라인을 타고 변압기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소화기구와 절개부재를 통해 화재지역에 소화분말이 살포되도록 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주. 변압기. 배전함케이스. 전원차단부재. 절개부재. 커넥터. 소화기구.

Description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Distributing Board Installed In An Electric Pole}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한 고압전류를 가공으로 지지하는 전주에 설치하여 가공전선의 안정된 접속구조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절연 및 합선과 누전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가공전선의 지지를 위한 애자와 완철 및 변압기 등과 같은 다수의 전기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공전선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전주에 설치된 변압기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변압기는 공급받은 고압의 전류를 상용전류로 변환시켜 재차 가정이나 빌딩이 밀집된 도심지로 상용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가공전선의 지지를 위한 애자와 완철 및 변압기 등과 같은 다수의 전기기구는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나무가지 및 알루미늄풍선과 같은 외부간섭으로 인하 전기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고장 난 전기기구를 보수하기 위하여 전주로 올라 가 보수를 하게 되는데, 이때 마땅히 전원을 공급받을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이 충전방식의 전기보수용 공구를 사용하고, 충전된 전원이 전부 소진된 경우에는 재차 전주의 아래로 내려와 소진된 전기보수용 공구를 재충전한 후에 전주로 작업자가 다시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출원된 것으로는, 등록특허 제10-0877123호“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877123호“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의 경우, 배전함에 화재발생시 배전함으로부터의 전력라인을 단선되도록 하여 화염이 전력라인을 타고 변압기로 옮겨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변압기의 파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화재 발생시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을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관리자가 화재에 따른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아울러서, 화재 발생시 1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수단이 배전함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재로 인해 배전함 내부가 전부 전소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화재가 발생되면 배전함 내부에서 1차적으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배전함케이스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외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부와 송신부를 통해 음향 및 화재감지신호를 관리자에게 알려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내부에 소화기구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전력라인의 연결부를 단락되도록 하여 누전에 따른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전력라인 연결시 커넥터를 통해 간편하게 배선연결할 수 있도록 된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를 갖추고서, 전주의 완철에 설치고정되는 배전함케이스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콘센트와, 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리부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주에 설치된 변압기로부터 상용전압을 공급받는 배전반과;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걸고리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전원차단부재와;
변압기로부터의 제1전력라인과 연결되어 전원차단부재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소켓과, 배전반으로부터의 제2전력라인과 연결되어 소켓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를 갖춘 절연재질의 커넥터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의 상부 측면에 설치고정되는 고정부와, 일단에 형성되는 칼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ㄴ”자형상의 걸이편을 갖추고서, 타단부가 고정부의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와, 지지부에 설치고정되어 타격부를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갖춘 절개부재와;
일단이 배전반의 고리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원차단부재의 걸고리를 관통하면서 절개부재의 걸이편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행거부재와;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갖추고서, 배전반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전함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튜브형태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소화기구와;
배전함케이스의 스토퍼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배전함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의 낙하를 감지하는 스위치부와;
배터리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제어되고, 스위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배전함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부와;
배전함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배전함케이스의 외면에 스피커부와 송신부를 통해 음향 및 화재감지신호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줌으로서, 작업자는 수신받은 화재감지신호를 통해 현재의 배전함케이스의 내부에 화재가 난 사실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화재에 따른 신속한 대응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각 전력라인에 설치되는 소켓과 플러그를 통해 간편하게 배선 연결할 수 있고, 배전함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반에 전기합선 또는 누전에 따른 화재발생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전력라인의 연결부가 전원차단부재에 의해 쉽게 단락되도록 하여 불길이 전력라인을 타고 변압기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소화기구와 절개부재를 통해 화재지역에 소화분말이 살포되도록 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은,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10-1)를 갖추고서, 전주(1)의 완철(2)에 설치고정되는 배전함케이스(10)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콘센트(C)와, 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리부(20-1,2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주(1)에 설치된 변압기(4)로부터 상용전압을 공급받는 배전반(20)과;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걸고리(30-1,3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전원차단부재(30)와; 변압기(4)로부터의 제1전력라인(L1)과 연결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소켓(41)과, 배전반(20)으로부터의 제2전력라인(L2)과 연결되어 소켓(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42)를 갖춘 절연재질의 커넥터(40)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1-1)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상부 측면에 설치고정되는 고정부(51)와, 일단에 형성되는 칼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ㄴ”자형상의 걸이편(52-1)을 갖추고서, 타단부가 고정부(51)의 지지부(5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52)와, 지지부(51-1)에 설치고정되어 타격부(52)를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을 갖춘 절개부재(50,50')와; 일단이 배전반(20)의 고리부(20-1,20-2)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원차단부재(30)의 걸고리(30-1,30-2)를 관통하면서 절개부재(50,50')의 걸이편(52-1)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행거부재(60,60')와;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갖추고서, 배전반(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전함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튜브형태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소화기구(7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스토퍼(10-2)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80)와;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는 스위치부(90)와; 배터리부(8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제어되고,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부(11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부(12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2a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전주(1)의 상측에는 수평하게 고정되는 완철(2)이 설치되고, 완철(2)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고압전류를 이송하는 가공전선이 안착고정되는 애자(3)가 설치되며, 전주(1)의 중앙에는 고압의 전류를 이송하는 가공전선과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를 상용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4)가 설치된다.
상기 전주(1)의 완철(2)에 설치고정되는 배전함케이스(10)는, 직사각형태에 전방이 개구된 절연재질로, 개구된 전방에는 여닫이방식에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시건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구비된 도어부(10-1)가 설치되고, 내부 바닥면에는 외면에 완충패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부착된 스토퍼(10-2)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배전함케이스(10)는, 완철(2)의 일측 저면에 나란하게 돌출된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끼워져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에 서 너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통해 고정설치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제1전력라인(L1)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와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변압기(4)로부터 상용전압을 공급받는 배전반(20)는, 직사각형태에 전면에는 전원플러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꽂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콘센트(C)가 배치되고, 저면에는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고리부(20-1,20-2)가 각각 마련되며, 각 고리부(20-1,20-2) 사이에는 상용전압이 이송되는 제1전력라인(L1)과 커넥터(4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제2전력라인(L2)이 설치된다.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전원차단부재(30)는, 임의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태의 플레이트로, 상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걸고리(30-1,30-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구멍(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형성하여 커넥터(40)의 소켓(41)이 압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전원차단부재(30)는 걸고리(30-1,30-2)를 관통해 절개부재(50)에 설치되는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에 의해 항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 즉,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가 끊어지지 않는 이상 계속 매달려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약,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가 각각 화재에 의해 끊어지는 경우 전원차단부재(30)는 자연스럽게 자유 낙하되어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스토퍼(10-2)의 상면에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자유 낙하되는 전원차단부재(30)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토퍼(10-2)의 외면에는 완충패드(구체적으 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형성하였다.
상기 변압기(4)의 제1전력라인(L1)과 배전반(20)의 제2전력라인(L2)을 연결하는 커넥터(40)는, 변압기(4)로부터의 제1전력라인(L1)과 연결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소켓(41)과, 배전반(20)으로부터의 제2전력라인(L2)과 연결되어 소켓(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42)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41)과 플러그(42)는 작업자가 손으로 만졌을 때 전기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회동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소화기구(70)를 절개하는 절개부재(50,50')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1-1)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상부 측면에 설치고정되는 고정부(51)와; 일단에 형성되는 칼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ㄴ”자형상의 걸이편(52-1)을 갖추고서, 타단부가 고정부(51)의 지지부(5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52)와, 지지부(51-1)에 설치고정되어 타격부(52)를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으로 구성되며, 이를 도 2b와 같이 확대 발췌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절개부재(50,50')는 화재발생시 소화기구(70)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소화기구(70)에 인접하게 설치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개부재(50,50')의 타격부(52)에 형성된 칼날이 소화기구(70)의 외면을 쉽게 절개하며 인입될 수 있는 칼날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단이 배전반(20)의 각 고리부(20-1,20-2)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원차단부재(30)의 걸고리(30-1,30-2)를 관통되면서 절개부재(50,50')의 걸이편(52-1,52-1')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행거부재(60,60')는, 인성에 강하고, 열에 쉽게 녹는 나일론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전반(20)에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쉽게 끊어지도록 하여 커넥터(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2전력라인(L1,L2)이 전원차단부재(30)를 통해 연결부가 단락되도록 하여 누전에 따른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하고, 절개부재(50,50')를 통해 소화기구(70)를 절개토록 하여 화재지역을 일시에 진압시켜 줌으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재발생시 절개부재(50,50')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소화분말이 외부로 인출되어 화재지역에 살포하는 소화기구(70)는, 고무재질에 전체적인 형상이 튜브형태로, 내부에는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소화분말을 충진하여 절개부재(50,50')의 타격부(52) 즉, 타격부(52)의 칼날에 의해 손쉽게 절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소화기구(70)의 재질은 고무재질 이외에도 쉽게 절개될 수 있는 합성수재지 역시 사용가능함으로 고무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스토퍼(10-2)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부(80)와, 배터리부(80)와 이격 배치되는 스위치부(9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부(80)는 통상의 전지 또는 원동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병렬연결하여 보호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실장되고, 상기 스위치부(90)는 통상의 리밋스위치(Limit Switch)이다.
상기 스위치부(90)는,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며,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100)는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배터리부(80)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으며, 스위치부(90)는 제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스위치부(90)가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면, 스위치부(90)의 동작이 ON되게 되면서 제어부(90)로 감지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전함케이스(10)의 외면에는 배전함케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제어부(10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을 발생 스피커부(110)와 제어부(10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화재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부(120)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전원차단부재(30)를 매달고 있던 제1·2행거부재(60,60')는 화재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되어 힘이 상실된 제1·2행거부재(60,60')로 인해 전원차단부재(30)는 낙하되며, 이때 전원차단부(30)의 저면이 스위치부(90)의 돌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누르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90)가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100)는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스피커부(110)는 제어부(10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화재경고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주위에 화재발생을 음향으로 알려주며, 송신부(12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무선으로 작업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 송신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신받은 비상신호를 통해 현재의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에 화재가 난 사실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작동관계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력라인(L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배전반(20)의 제2전력라인(L2) 또는 콘센트(C)가 노후 되거나 과전류로 인하여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배전반(20)의 고리부(20-1,20-2)에 각각 연결된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는 화재 열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끊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 열에 의해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끊어지게 되면,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에 의해 지탱되고 있던 전원차단부재(30)는 지탱되어지고 있던 힘이 상실되어 하방으로 낙하되고, 이와 동시에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에 의해 젖혀진 상태를 유 지하고 있던 절개부재(50,50')의 타격부(52)는 토션스프링(53)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자유낙하되는 전원차단부재(30)에 의해 중앙에 압입고정된 커넥터(40)의 소켓(41)은 상호 결합된 플러그(42)에서 이탈되면서 변압기(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자연스럽게 차단되게 되며, 절개부재(50)의 타격부(52)는 축 중심으로 회전되어져 절개부재(50)의 상측에 위치된 소화기구(70)를 절개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스위치부(90)는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고,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100)는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를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소화기구(70)의 절개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선단부가 칼날로 이루어진 타격부(52)가 토션스프링(53)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소화기구(70)의 하단을 타격하면서 하부를 절개하게 되고, 이때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소화기구(70)는 내압에 의해 손쉽게 파괴되어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소화분말이 외부로 인출되면서 화재지역으로 살포되며, 살포된 소화분말에 의해 화재지역은 최소한의 피해를 남긴 채 진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90)가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100)는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스피커부(110)는 제어부(100)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화재경고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주위에 화재발생을 음향으로 알려주며, 송신부(120)는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무선으로 작업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 송신하여 작업자에게 화재발생을 알려주어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며, 이를 도 4c와 같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행거부재(60)와 제2행거부재(60')를 통해 배전반(20)에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쉽게 끊어지도록 하여 커넥터(4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2전력라인(L1,L2)을 전원차단부재(30)를 통해 연결부가 단락되도록 하여 누전에 따른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하고, 절개부재(50,50')를 통해 소화기구(70)를 절개토록 하여 화재지역을 일시에 진압시켜 줌으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수신받은 화재감지신호를 통해 현재의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에 화재가 난 사실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더불어서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정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의 작동관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주 2: 완철 3: 애자
4: 변압기 10: 배전함케이스 20: 배전반
30: 전원차단부재 40: 커넥터 41: 소켓
42: 플러그 50,50': 절개부재 60: 제1행거부재
60': 제2행거부재 70: 소화기구 80: 배터리부
90: 스위치부 100: 제어부 110: 스피커부
120: 송신부

Claims (1)

  1.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부(10-1)와,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10-2)를 갖추고서, 전주(1)의 완철(2)에 설치고정되는 배전함케이스(10)와;
    전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콘센트(C)와, 저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리부(20-1,2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 고정설치되어 전주(1)에 설치된 변압기(4)로부터 상용전압을 공급받는 배전반(20)과;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걸고리(30-1,30-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전원차단부재(30)와;
    변압기(4)로부터의 제1전력라인(L1)과 연결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중앙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소켓(41)과, 배전반(20)으로부터의 제2전력라인(L2)과 연결되어 소켓(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42)를 갖춘 절연재질의 커넥터(40)와;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1-1)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의 상부 측면에 설치고정되는 고정부(51)와, 일단에 형성되는 칼날과, 둘레면에 형성되는“ㄴ”자형상의 걸이편(52-1)을 갖추고서, 타단부가 고정부(51)의 지지부(5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부(52)와, 지지부(51-1)에 설치고정되어 타격부(52)를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53)을 갖춘 절개부재(50,50')와;
    일단이 배전반(20)의 고리부(20-1,20-2)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원차단부재(30)의 걸고리(30-1,30-2)를 관통하면서 절개부재(50,50')의 걸이편(52-1)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행거부재(60,60')와;
    내부에 일정압력으로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갖추고서, 배전반(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전함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튜브형태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소화기구(7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스토퍼(10-2) 내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80)와;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차단부재(30)의 낙하를 감지하는 스위치부(90)와;
    배터리부(8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제어되고, 스위치부(9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을 발생하는 스피커부(110)와;
    배전함케이스(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00)로부터의 비상신호를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KR1020090034642A 2009-04-21 2009-04-21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KR10091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42A KR100917420B1 (ko) 2009-04-21 2009-04-21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642A KR100917420B1 (ko) 2009-04-21 2009-04-21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420B1 true KR100917420B1 (ko) 2009-09-15

Family

ID=4135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642A KR100917420B1 (ko) 2009-04-21 2009-04-21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42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58B1 (ko) 2009-09-17 2009-12-29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KR101240596B1 (ko) 2013-01-09 2013-03-11 (주)세진엔지니어링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246281B1 (ko)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KR101357253B1 (ko) 2013-11-08 2014-02-03 (주)대림엠이씨 송변전선로의 연결용 인입커넥터
KR101621351B1 (ko) 2015-10-12 2016-05-16 (주)혜광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N108915333A (zh) * 2018-07-03 2018-11-30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KR102260880B1 (ko) * 2021-03-31 2021-06-07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WO2022022385A1 (zh) * 2020-07-31 2022-02-03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变电构架
CN115621998A (zh) * 2022-09-08 2023-01-17 鑫鸿运电力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消除电弧的防火配电箱
CN115621998B (zh) * 2022-09-08 2024-05-31 鑫鸿运电力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消除电弧的防火配电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47B1 (ko) 2008-04-04 2008-12-26 조영석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0877123B1 (ko) 2008-10-21 2009-01-07 김점주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47B1 (ko) 2008-04-04 2008-12-26 조영석 지중매설형 지중전선의 인입출선 연결구조
KR100877123B1 (ko) 2008-10-21 2009-01-07 김점주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258B1 (ko) 2009-09-17 2009-12-29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KR101240596B1 (ko) 2013-01-09 2013-03-11 (주)세진엔지니어링 지중 송·배전용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246281B1 (ko) 2013-01-09 2013-03-26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지중 송·배전 전선용 지지장치
KR101357253B1 (ko) 2013-11-08 2014-02-03 (주)대림엠이씨 송변전선로의 연결용 인입커넥터
KR101621351B1 (ko) 2015-10-12 2016-05-16 (주)혜광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N108915333A (zh) * 2018-07-03 2018-11-30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CN108915333B (zh) * 2018-07-03 2024-03-26 镇江市高等专科学校 一种具备灭火功能的电线杆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WO2022022385A1 (zh) * 2020-07-31 2022-02-03 江苏神马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变电构架
KR102260880B1 (ko) * 2021-03-31 2021-06-07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결선이 용이한 통신 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CN115621998A (zh) * 2022-09-08 2023-01-17 鑫鸿运电力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消除电弧的防火配电箱
CN115621998B (zh) * 2022-09-08 2024-05-31 鑫鸿运电力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消除电弧的防火配电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420B1 (ko) 가공전선 지지용 전주의 배전함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0908681B1 (ko)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KR101253774B1 (ko) 내진형 수배전반
KR101411958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CN108269721B (zh) 底部排气断路器
CN204885825U (zh) 一种新型配电线路灭弧防雷间隙装置
JP2002532769A (ja) 危険な状況にある電源を切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安全装置
CN112185754A (zh) 一种高效灭弧的双路交流开关断路器
KR101902151B1 (ko)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KR200443235Y1 (ko) 누전 차단기를 구비하는 멀티탭
CN115275854A (zh) 高压开关柜
CN205333768U (zh) 一种路灯、灯饰及线缆的断电防盗检测设备
CN213964902U (zh) 一种交流配电箱消防系统
CN220019728U (zh) 接地监测装置及储能设备
CN103401172B (zh) 环网柜燃弧保护柜体
CN203299988U (zh) 一种电气火灾监控装置
KR100341061B1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CN220797545U (zh) 一种矿井用智能配电装置
CN217508278U (zh) 一种过电压抑制综合保护控制系统装置
CN110277288A (zh) 一种熔断器绝缘防护罩
CN211377317U (zh) 具有电缆温度异常报警装置的配电柜
KR101493689B1 (ko) 경보수단을 구비하는 접지센서장치
CN207010000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交流低压配电柜
CN204904949U (zh) 一种避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