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438B1 -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438B1
KR102260438B1 KR1020210018070A KR20210018070A KR102260438B1 KR 102260438 B1 KR102260438 B1 KR 102260438B1 KR 1020210018070 A KR1020210018070 A KR 1020210018070A KR 20210018070 A KR20210018070 A KR 20210018070A KR 102260438 B1 KR102260438 B1 KR 10226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terminal
st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엄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케이
Priority to KR102021001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 인프라를 제공하고,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인식과 이용 문화를 개선하고, 개인형 이동장치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arking and charging for personal mobi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는 퍼스널 트랜스포터(Personal Transporter)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 디바이스(Personal Mobility Device)라고도 하며, 개인용 이동수단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는 시속 25km/h내외의 속도로 간편하게 타고 다닐 수 있고, 전기 모터 및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비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2010년대부터 각광받고 있는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개인형 이동장치는 관련된 법규 미비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플랫폼업체 킥보드의 경우, 별도의 주차 장소 없이 이용 후 보도나 차도에 아무렇게나 방치될 수 있어 보행자의 보행권과 차량통행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또한, 전동 킥보드 등의 개인형 이동장치의 대량 생산화에 따라, 합리적인 가격에 개인용 이동장치를 구매하는 사용자도 늘어나고 있으나, 이들이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지하철 역 또는 버스 정거장으로부터 회사 또는 자택 구간의 이동을 위한 래스트 마일(Last Mile) 목적으로 이용시에, 지하철 역 또는 버스 정거장에 도난 방지를 위한 잠금장치나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이동장치를 이용하는데 있어 보관과 충전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4036호 [제목: 전동 킥보드의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은 주변에 위치한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및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결제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도로 또는 보도블록의 지면에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박스형태로 설치되고, 일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타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수납하는 케이블 거치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케이블 구조이고, 타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케이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다관절 링크구조로 장착되고, 다관절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개인형 이동장치의 다양한 위치에 도킹가능한 구조이며, 개인형 이동장치의 일부와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는 잠금 체결부가 일단부에 장착되는 잠금장치;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수납하는 거치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거치공간의 하부면에 충전 케이블의 거치여부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구조의 케이블 거치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충전 중 상태 또는 충전 완료 상태 등을 표시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고유 식별 번호를 표시하는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에서 제공한 어댑터를 이용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국제전기표준회의 플러그 타입을 종합한 멀티 플러그 타입을 구비하는 일반 전원 콘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침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실시간으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침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침수 대응 기준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의 전원을 차단하고,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은 단말에 의해,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및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상기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결제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또는, 주차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을 때 상기 단말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버에 의해, 사용 승인이 허가된 후,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및 상기 서버에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및 상기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 수행을 위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 내의 미리 설정된 충전시작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및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확인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근거로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및 상기 서버에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해당할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과 충전 단자 정보를 근거로 충전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와 상기 수신된 동작 결과를 매핑하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중 사용자의 잠금해제 요청없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 간의 전원 단자 연결이 해제될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케이블과의 재연결시,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재연결을 시도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비교 결과, 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때,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위치, 배터리 장착 위치 및 개인형 이동장치의 종류에 따른 침수 수위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의 침수가 감지될 때,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한 상기 단말에 침수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전류에 충전 시간을 곱하여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과,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모두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 미만일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계속하여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일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완충된 상태로 처리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상태 램프에 미리 설정된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충전 중이던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완충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 및 충전 스테이션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한 해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해제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해제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오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할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주차에 대해서,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을 시작 시각으로 하고 잠금 해제한 시각을 종료 시점으로 하여 주차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충전에 대해서,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을 충전량으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계산된 주차 시간, 상기 계산된 충전량,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차 시간, 상기 충전량,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주차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과 관련한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 인프라를 제공하고,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인식과 이용 문화를 개선하고, 개인형 이동장치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테이션 구조와 케이블 거치대의 위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 커넥터와 케이블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은 단말(100), 서버(200),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및 충전 스테이션(400)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해당 서버(200)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단말(100), 서버(200),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및 충전 스테이션(400)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처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서버(2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내부(로컬)망을 사용하고,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상기 단말(100)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연결 및 통신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 등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주차 기능 및/또는 충전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또는 전화번호), 주소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모바일 메신저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네이버, 페이코(PAYCO)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메신저 계정은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바이버(viber), 위챗(wechat), 와츠앱(whatsapp), 텔레그램(Telegram), 스냅챗(snapchat)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단말(1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단말(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와, 관리 중인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정보 관리 기능 등을 제공받는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회원 가입 시 기본 가입 정보 입력 후,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또는 개인형 이동장치 기기 정보)(예를 들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사용 전압/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등 포함)를 해당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제조사 및 모델명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하거나 또는,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미도시)의 일측에 부착된 제품 일련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다른 일측에 부착된 QR 코드(또는 바코드)를 스캔해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는 전동 킥보드, 전동 바이크, 전기 자전거, 전동휠, 전동 스케이트 보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입력된 해당 사용자가 이용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에 따라 충전 단자의 모양, 충전 전압 정보 등을 생성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시, 사용자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맞는 충전 전압을 제공하고, 충전에 사용할 충전 단자(또는 충전 단자 정보)를 해당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가입 서비스 유형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 서비스 유형(또는 결제 방식)은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 주차 월 정액형, 일반형(또는 개별 건별 처리형) 등을 포함한다.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 또는 주차 월 정액형의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주차 기능, 충전 기능 등 포함)를 이용하기 위해서 간편 결제 정보(예를 들어 신용카드 정보, 직불카드/체크카드 정보, 자동 이체 계좌 정보, 휴대폰 소액 결제 정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포함)를 등록하고, 최초 가입일(또는 결제 신청일)을 기준으로 매월 미리 설정된 일자에 자동 결제를 진행한다.
결제 기능이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보유 포인트 부족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이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한도 초과, 잔액 부족, 보유 포인트 부족 등 포함)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일반형의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간편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 후, 최소 단위 금액을 선결제한 후,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선결제한 최소 단위 금액은 사용자의 어카운트에 잔액으로 남고, 서비스 이용시마다 이용 요금에서 차감된다. 서비스 이용 전에 최소 이용 금액 미만(또는 이하)의 잔액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최소 이용 금액 이상으로 충전(또는 결제) 후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제 포인트제로 운영함으로써, 이용 시 만약의 시스템 오류 발생으로 인한 신용카드 결제 취소, 환불, 부도 거래 수수료 등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주차 및/또는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충전 메뉴(또는 항목/버튼), 주차 및/또는 충전 기능 수행에 따른 사용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현황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전용 앱을 제공하는 상기 서버(200)에 회원 가입한 상태로, 회원 가입에 따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유/무선 통신 기능(또는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을 통해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특정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내의 정보(예를 들어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의 링크 주소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번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예를 들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사용 전압/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등 포함),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또는 사용자 고유 정보/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설정한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어카운트(또는 계정)의 잔액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미만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른 충전 금액에 대해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충전 금액을 상기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에 추가(또는 합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앞서 전송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 수행을 위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화면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또는 영상) 형태로 구성하며, 주차 거치대(또는 충전 스테이션(400))에 개인형 이동장치(미도시)를 거치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일측에 구성된 잠금장치를 잠금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하고 충전시작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를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400)(또는 주차 거치대)에 거치하고, 잠금장치를 잠금한 후, 충전 케이블을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 내의 미리 설정된 충전시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또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을 관리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를 임시 저장한다.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440)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이 지원하지 않는 충전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추가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추가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주차 및 충전 이후, 해당 단말(100)에서 실행 중이었던 전용 앱이 완전히 종료되지 않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실행중이었다면, 상기 단말(100)은 전용 앱 내 메모리에 보관된 충전 중이던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읽는다(또는 로딩한다).
또한, 주차 및 충전 이후, 해당 단말(100)에서 실행 중이었던 전용 앱이 완전히 종료되었었거나 재부팅된 경우라면, 상기 단말(100)은 전용 앱 실행과 동시에 해당 단말(100)의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근거리 통신(또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충전 중이던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한 해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 안내 화면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또는 영상)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 해제 안내 정보, 충전해제 버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해제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해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제거(또는 해제)한 후, 해당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충전해제 버튼을 누르기 전에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하도록 안내하고, 충전해제 버튼을 누르면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가 아닌 경우(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비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제거(또는 해제)한 후, 해당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해서, 상기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재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오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오류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있는 잠금해제 버튼을 눌러서 잠금 체결부를 튀어나오게 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를 상기 잠금장치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충전 완료 후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의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 무료 여부, 해당 단말(100)의 어카운트의 잔액 정보, 주차 시간, 충전량,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전용 앱 형태로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용 앱 이외에도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상기 주차 기능, 상기 충전 기능, 상기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또는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제휴 시스템(미도시) 등의 사용자, 제휴사 회원 등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제휴 시스템 등의 사용자, 제휴사 회원 등과 관련한 개인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개인 정보 등을 DB 서버(미도시)에 등록(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제휴 시스템 등의 사용자, 제휴사 회원 등에 대한 회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상기 단말(100) 등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와, 관리 중인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정보 관리 기능 등을 제공받는 관리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공지사항, 이벤트 등을 위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결제 방식 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방식은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 주차 월 정액형, 일반형(또는 개별 건별 처리형)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또는, 주차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또는 정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어카운트(또는 계정)의 잔액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또는 정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미만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실패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이용을 위해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1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결제 기능 수행 후,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을 다시 확인하여, 다시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는 경우,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실패에서 정상으로 재설정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이 실패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주차 및/또는 충전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주차/충전 건에 대한 사용 승인 결과값(또는 상기 단말(100)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에 따른 사용 승인 결과값)이 성공으로 설정된 후(또는 사용 승인이 허가된 후),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One-Time Password) 값으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또는 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암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방식(또는 복호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대칭키 방식, 비대칭키 방식 등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예를 들어 성공 등 포함), 상기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승인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해당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관련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200)에서 주차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충전 스테이션(400)(또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 정보)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키 값으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단말(100)에 전달함으로써, 중간 단계에 있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데이터의 위변조나 데이터 내용 참조 또는 데이터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차 시간, 상기 충전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등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상기 주차 시간, 상기 충전량 등을 제공받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의 시각 정보, 잠금 해제한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 등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을 시작 시각으로 하고 잠금 해제한 시각을 종료 시점으로 하여 주차 시간을 산정(또는 계산/산출)하고, 상기 제공받은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을 충전량으로 산정(또는 계산/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차 시간 및/또는 상기 충전량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및/또는 상기 서버(200)에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주차 시간, 충전량 등을 근거로 이용 요금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앞선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별도로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월 정액형이고 주차 기능만 수행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별도로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월 정액형이고 주차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에서 충전량에 따른 이용 요금(예를 들어 충전 요금 등 포함)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에서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 무료 여부, 해당 단말(100)의 어카운트의 잔액 정보, 주차 시간, 충전량,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관리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사전 협의된 조건(또는 전자 문서 형태의 전자 계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산 일자에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통한 주차 기능 및/또는 충전 기능 제공에 따른 비용에 대해서 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정산 일자에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통한 주차 기능 및/또는 충전 기능 제공에 따른 비용을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계좌로 입금 처리한다.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특정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개별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또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고유 식별 정보/고유 식별 코드/번호), 위치 정보(또는 설치 정보), 주차시 10분당 이용 요금, 충전시 10분당 이용 요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특정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보안용 CCTV(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또는 촬영되는) 해당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영상 분석 기능 등 포함)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파손이나 훼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서 주차/충전 중인 임의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파손이나 훼손이나 분실 등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특정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알람 장치(미도시)를 통해 알람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서버(200) 또는 미리 설정된 경찰청 서버(미도시) 등에 상기 알람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주변에 위치한 상기 단말(100)과 백그라운드 상태로 유/무선 통신 기능(또는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을 통해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특정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내의 정보(예를 들어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의 링크 주소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단말(100)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번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또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고유 식별 정보/고유 식별 코드/번호), 위치 정보(또는 설치 정보), 주차시 10분당 이용 요금, 충전시 10분당 이용 요금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스테이션 정보,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전압,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상기 단말(100)과의 연결 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또는 개인형 이동장치 기기 정보)(예를 들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사용 전압/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하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에 따른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하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에 따른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 상기 사용 승인 결과값,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근거로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복호화하여, 해당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또는 해당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결과값이 성공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또는 해당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 등을 요청하는 상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한다.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즉,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에 잠금 해제 상태가 포함된 경우 및/또는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에 미연결 상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과 충전 단자 정보를 근거로 충전 전압을 제어(또는 조절)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주차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주차 기능만 수행(또는 제공)하고 충전 기능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100)의 확인 절차 후 해당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주차 기능에 추가하여 충전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수신된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에 잠금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에 연결 상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이 지원하지 않는 충전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일반 전원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고, 자체 충전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충전할 것을 안내하기 위한 추가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결과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 등과 상기 수신된 동작 결과를 매핑하여(또는 매칭하여/연동하여) 로그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저장되는 로그(또는 로그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업로드(또는 업데이트/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근거로 해당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가 아닌 경우(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비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오류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구동부(또는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해당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예를 들어 잠금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한다.
즉,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또는 열린/풀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수신한 후, 상기 단말(1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주차에 대해서,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을 시작 시각으로 하고 잠금 해제한 시각을 종료 시점으로 하여 주차 시간을 산정(또는 계산/산출)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충전에 대해서,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을 충전량으로 산정(또는 계산/산출)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산정된(또는 계산된/산출된) 주차 시간, 상기 산정된 충전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주차 및 충전이 모두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은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주차만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또는 충전만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 등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하나 이상 또는 복수로 구성되며, 특정 주차 스테이션(또는 특정 주차 구역)을 관리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의 관리하에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등록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본체(410),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420), 케이블 거치대(430), 잠금장치(440), 충전 케이블(450), 일반 전원 콘센트(460), 침수 감지 센서(470), 통신부(480) 및 제어부(49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충전 스테이션(4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충전 스테이션(4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충전 스테이션(4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410)는 도로(또는 보도블록)의 지면에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박스 형태로 설치(또는 구성/배치)한다.
또한, 상기 본체(410)는 일측면에 상기 충전 케이블(450)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타측면에 상기 충전 케이블(450)의 커넥터(예를 들어 5종 커넥터)(451)를 수납하는 케이블 거치대(43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410)는 내부에 상기 충전 케이블(450) 중 일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거나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전선이나 배터리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410)는 절연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한다.
상기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420)는 상기 본체(410)의 일측에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420)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을 이용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충전 중 상태나 충전 완료 상태 등을 표시(예를 들어 청색은 충전 가능한 상태, 적색은 충전 중, 녹색은 충전 완료, 황색은 사용 불가인 상태 등 포함)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한다.
상기 케이블 거치대(430)는 상기 본체(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430)는 거치대 압력 센서(431)와 거치 걸림쇠(4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430)는 해당 거치 걸림쇠(432)를 통해 상기 충전 케이블(450)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충전 케이블(450)이 상기 거치 걸림쇠(432)에 거치되어 상기 거치대 압력 센서(431)를 누르는 경우, 해당 거치대 압력 센서(431)는 압력 변화를 측정(또는 감지)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 변화를 상기 제어부(490)에 제공한다.
즉, 상기 케이블 거치대(430)는 상기 본체(410)의 타측면에 충전 케이블(450)의 커넥터(예를 들어 5종 커넥터)(451)를 수납하는 거치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거치공간의 하부면에 충전 케이블(450)의 거치여부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431)가 장착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잠금장치(440)는 회전 관절(411)을 통해 상기 본체(410)의 일측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 거치대는 각 개인형 이동장치마다 다른 체결 가능 위치(예를 들어 핸들 축, 전륜 완충기 등 포함)와 체결 각도에 맞도록 상하 높낮이 조절과 체결 각도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도록 2개의 회전 관절(411)을 포함하는 잠금장치(440)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440)는 잠금 해제 버튼(441), 스프링(442), 잠금 고정부(443), 잠금 체결부(444), 잠금 걸림쇠 구멍(445), 잠금 센서(446), 걸림쇠(447), 구동 모터(448) 및 잠금 구동부(449)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44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잠금장치(44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잠금장치(44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잠금장치(440)는 상기 본체(410)의 일측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다관절 링크구조로 장착되고, 다관절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개인형 이동장치의 다양한 위치에 도킹가능한 구조이며, 개인형 이동장치의 일부와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는 잠금 체결부(444)가 일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장치(440)는 특정 구조의 잠금 구동부(449)를 내장하는 구조로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장치(440)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와 J자 형태의 잠금 체결부(444)의 슬라이딩 결속 구조로 구성한다.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와 J자 형태의 잠금 체결부(444)가 서로 굴곡된 내측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속됨으로써, 도 4의 두 번째 그림과 같이 미리 설정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J자 형태의 잠금 체결부(444)가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잠금 고정부(443)와 잠금 체결부(444)가 형성하는 공간을 폐곡선 형태로 잠금처리하게 된다.
J자 형태의 잠금 체결부(444)의 일단부에는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구조가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부분에는 잠금 걸림쇠 구멍(445)이 형성된다.
U자 형태의 잠금 고정부(443)의 내부에는 잠금 걸림쇠 구멍(445)과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될 수 있는 걸림쇠(447)가 구비된 잠금 구동부(449)가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잠금 구동부(449)는 걸림쇠(447)의 일단부가 잠금 걸림쇠 구멍(445)으로 삽입되거나 토출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걸림쇠(447)의 슬라이딩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44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448)와 걸림쇠(447)는 다양한 기어로 기계 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기어(rack and pinion gear)로 기계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해제 버튼(441)은 상기 잠금 체결부(444)가 상기 잠금 구동부(449)에 의해서 잠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442)에 의해서 튀어나오지 않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해당 잠금해제 버튼(441)을 누르면 상기 잠금 체결부(444)가 스프링(442)에 의해 튀어나와서 체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440)에 구성되는 각 관절 연결부의 경우, 도난 방지를 위해서 체결 볼트나 너트 등이 외부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제작한다.
상기 충전 케이블(450)은 상기 본체(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구성(또는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450)은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충전 단자를 지원하기 위해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451)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충전 케이블(45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로 다른 5종류의 충전 단자를 이용 가능한 5종 커넥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충전 케이블(450)은 상기 본체(410)의 일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케이블 구조이고, 타단부에 커넥터(예를 들어 5종 커넥터)(451)를 장착하며, 상기 제어부(49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일반 전원 콘센트(460)는 상기 본체(410)의 일측에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일반 전원 콘센트(460)는 상기 충전 케이블(450)에서 지원하지 않은 충전 단자의 경우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에서 제공한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국제전기표준회의 플러그 타입을 종합한 멀티 플러그 타입으로 구성한다.
상기 침수 감지 센서(470)는 상기 본체(410)의 하부 일측면에 구성(또는 장착)한다.
또한, 상기 침수 감지 센서(470)는 상기 본체(410)의 침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실시간으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9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침수 감지 센서(470)는 갑작스러운 폭우나 침수로 인해 일정 수위 이상의 침수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490)의 제어에 의해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소유자의 전용 앱으로 침수 경고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90)는 침수 시, 전원 차단 및 경고 알림의 경우,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위치, 배터리 장착 위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종류(예를 들어 킥보드, 전기자전거, 스쿠터 등 포함) 등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490)는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위치, 배터리 장착 위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른 침수 수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의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한 단말(100)에 경고 알림(또는 침수 경보)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480)는 상기 본체(4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또는 형성/배치/설치)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480)는 상기 제어부(4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본체(4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또는 형성/배치/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49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9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4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49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90)는 사용자 인증 후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충전 케이블(450) 또는 일반 전원 콘센트(460)를 통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공급하며,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따라서 상기 충전 케이블(450)(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예를 들어 5종 커넥터)(451) 및 상기 일반 전원 콘센트(460) 중 어느 하나로만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90)는 상기 케이블 거치대(430)의 거치대 압력 센서(431)에서 측정된 압력값(또는 압력 변화)과 상기 잠금 센서(446)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잠금장치(440)의 잠금 상태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가능한 상태 여부, 전원 공급 개시 여부, 잠금해제 가능여부 등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90)는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전압값(또는 출력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예측되지 않은 충전 중지가 발생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원 공급이 일시 중단된 상태에서 다시 충전이 재개될 경우, 상기 제어부(490)는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 중이던 최종 전압값을 참조하여, 특정 범위 오차 이내의 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전원을 재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90)는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지상고(또는 노면으로부터 충전 단자까지의 높이), 배터리 설치 위치, 모터 등을 포함하는 전기 구동부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침수 수위를 설정하고, 상기 침수 감지 센서(47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침수 대응 기준에 따라(또는 해당 침수 수위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400)의 전원을 차단하고, 경고 알림을 출력하거나 침수 경고 알림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또는 해당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수신된 상태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확인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에 대응하는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상기 확인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연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과 충전 단자 정보를 근거로 충전 전압을 제어(또는 조절)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실시간으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및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다른 사용자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중 사용자의 잠금해제 요청없이(또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잠금해제 요청없이)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상기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 간의 전원 단자 연결이 해제된 경우(또는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전원 단자가 빠진 경우/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와 연결 해지된/빠진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과의 재연결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충전 중이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과 재연결을 시도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비교(또는 확인)하여, 비교 결과, 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예를 들어 5%) 이내인 경우,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또한, 비교 결과, 두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종료하고, 해당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이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를 경유하여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단말(100)에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또는 배터리 전압)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비율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전류에 충전 시간을 곱하여 해당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계산된(또는 산출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과,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또는 배터리 용량 정보)을 비교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모두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미만인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계속하여 충전 기능(또는 전원 공급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이상인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충전된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완충된 상태로 처리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상태 램프(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녹색등을 점등한 후,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충전 중이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완충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 충전 스테이션(400)의 번호(또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 등을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수신된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거치대 압력 센서를 통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해당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예를 들어 잠금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의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해당 잠금장치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또는 제어)한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10)은 제휴 시스템(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휴 시스템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전동 킥보드 대여 플랫폼, 지방자치단체 이동장치 제공 서비스 플랫폼 등과 주차 및 충전 제휴를 전자 문서 형태의 전자 계약을 통해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휴 시스템은 전동 킥보드를 대여하는 플랫폼 회사, 지방자치단체 등과 관련한 관리자가 운영하며, 해당 제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제휴 단말(미도시)(또는 해당 제휴기관 사용자)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40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400)의 위치 데이터, 충전소별 충전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라이브러리, API 등 포함)를 상기 제휴 시스템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휴 시스템은 해당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해당 제휴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다른 전용 앱에 탑재하여 개발한다.
또한, 상기 제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제휴 단말에서의 주차, 충전, 잠금해제 과정 등은 해당 제휴 시스템에 공급된 라이브러리를 통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또는 해당 단말(100)과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한다.
다만, 사용자 인증 과정과 결제 처리 과정은 해당 제휴 시스템의 인증 및 결제 과정으로 대체하고, 제휴 기관 사용자의 주차 및 충전 이용 내역이 해당 서버(200)에서 해당 제휴 시스템으로 공유(또는 제공)되어, 월별 또는 주별 정기 정산 방식으로 제휴 사용자 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주차 및/또는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충전 메뉴(또는 항목/버튼), 주차 및/또는 충전 기능 수행에 따른 사용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현황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전용 앱을 제공하는 서버(200)에 회원 가입한 상태로, 회원 가입에 따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주차 기능, 충전 기능, 사용 이력 확인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유/무선 통신 기능(또는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을 통해 주차 스테이션 내에 구성된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특정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인식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내의 정보(예를 들어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의 링크 주소 정보 등 포함)를 근거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해당 제 1 단말에 미리 설치된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 및 충전 관리 앱을 실행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 및 충전 관리 앱 실행 결과 화면(900)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 주가 및 충전 관리 앱 실행 결과 화면(900) 중에서 주차/충전 메뉴(910)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제 1 단말 주변에 위치한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한다(S51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번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또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고유 식별 정보/고유 식별 코드/번호), 위치 정보(또는 설치 정보), 주차시 10분당 이용 요금, 충전시 10분당 이용 요금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스테이션 정보,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전압,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별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와 상기 단말(100)과의 연결 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또는 개인형 이동장치 기기 정보)(예를 들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사용 전압/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하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에 따른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하며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에 따른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해당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관리 중인 제 1 충전 스테이션(400) 내지 제 10 충전 스테이션(400)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제 1 충전 스테이션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된 제 1 충전 스테이션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의 제 1 충전 전압(예를 들어 36V) 및 제 1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16mm 3p), 제 2 충전 전압(예를 들어 36V) 및 제 2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제 3 충전 전압(예를 들어 36V) 및 제 3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인봇 ES버전)를 각각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제 1 충전 스테이션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충전 스테이션 정보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 정보, 상기 제 1 충전 전압 내지 상기 제 3 충전 전압, 상기 제 1 충전 단자 정보 내지 상기 제 3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S52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번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 등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예를 들어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 모델명, 사용 전압/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등 포함),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또는 사용자 고유 정보/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생성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제 1 충전 스테이션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충전 스테이션 정보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 정보, 상기 제 1 충전 전압 내지 상기 제 3 충전 전압, 상기 제 1 충전 단자 정보 내지 상기 제 3 충전 단자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신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제 1 충전 스테이션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충전 스테이션 정보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 정보, 상기 제 1 충전 전압 내지 상기 제 3 충전 전압, 상기 제 1 충전 단자 정보 내지 상기 제 3 충전 단자 정보 등을(1000) 표시한다.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제 1 충전 스테이션 정보 내지 제 3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1010)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선택된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해당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예를 들어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인 ABCDE 회사, 제 1 모델명인 AOA12345,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인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인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인 10.4Ah 등 포함), 제 1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제 1 사용자 고유 코드(예를 들어 supers98765) 등을 포함하는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생성된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53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결제 방식 등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방식은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 주차 월 정액형, 일반형(또는 개별 건별 처리형)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 1 사용자 고유 코드(예를 들어 supers98765)를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서버(200)에 가입한 상태인지 여부, 가입시 등록한 해당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가입시 등록한 제 1 결제 방식 등을 확인한다(S54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또는, 주차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또는 정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어카운트(또는 계정)의 잔액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또는 정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미만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실패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이용을 위해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1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결제 기능 수행 후,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을 다시 확인하여, 다시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는 경우, 해당 단말(100)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400)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실패에서 정상으로 재설정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일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선택한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서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일반형일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의 제 1 어카운트의 잔액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1 단말의 사용자의 제 1 어카운트의 잔액(예를 들어 15,000원)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예를 들어 3천원) 이상 남아 있을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선택한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서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한다(S550).
이후, 상기 서버(200)는 해당 주차/충전 건에 대한 사용 승인 결과값이 성공으로 설정된 후(또는 사용 승인이 허가된 후),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또는 배터리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암호화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방식(또는 복호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대칭키 방식, 비대칭키 방식 등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예를 들어 성공 등 포함), 상기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 승인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해당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관련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에서 선택한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서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TIME OTP 값(예를 들어 TOTP8520)을 이용해서 상기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 등을 포함하는 제 1 주요 정보를 암호화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암호화된 제 1 주요 정보, 상기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예를 들어 성공 포함), 상기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 등을 포함하는 제 1 사용 승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사용 승인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S56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앞서 전송된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 수행을 위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 화면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또는 영상) 형태로 구성하며, 주차 거치대에 개인형 이동장치(미도시)를 거치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일측에 구성된 잠금장치를 잠금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하고 충전시작 버튼을 누르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를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400)(또는 주차 거치대)에 거치하고, 잠금장치를 잠금한 후, 충전 케이블을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앞서 전송된 제 1 사용 승인 요청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앞서 제 1 단말에서 선택한 제 2 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 수행을 위한 제 1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를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제 2 주차 거치대에 거치하고,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제 2 잠금장치를 잠금한 후,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제 2 충전 케이블을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와 연결한다(S570).
이후,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 내의 미리 설정된 충전시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또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을 관리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를 임시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시작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된 제 1 주요 정보, 상기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예를 들어 성공 포함),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를 상기 제 1 단말에 임시 저장한다(S58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 상기 사용 승인 결과값,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확인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근거로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복호화하여, 해당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암호화된 제 1 주요 정보, 상기 제 2 사용 승인 결과값(예를 들어 성공 포함),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2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제 2 TIME OTP 값(예를 들어 TOTP8520)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확인된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제 2 TIME OTP 값(예를 들어 TOTP8520)을 근거로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제 1 주요 정보를 복호화하여, 해당 제 1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해당 서버(200)에서 임의로 생성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 등을 확인한다(S59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또는 해당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결과값이 성공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또는 해당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4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 등을 요청하는 상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확인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에 대응하는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상기 확인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열린 상태 등 포함),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예를 들어 연결 상태, 미연결 상태 등 포함) 등을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또는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제 2 충전 케이블이 임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한다(S600).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즉,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 정보에 잠금 해제 상태가 포함된 경우 및/또는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에 미연결 상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다른 일측에 구성된 제 2 충전 케이블을 해당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할 것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610).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과 충전 단자 정보를 근거로 충전 전압을 제어(또는 조절)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실시간으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저장한다.
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수신된 잠금장치의 상태 정보에 잠금 상태가 포함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정보에 연결 상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및 배터리 용량에 따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이 지원하지 않는 충전 단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일반 전원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고, 자체 충전 어댑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충전할 것을 안내하기 위한 추가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추가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추가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다른 사용자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중 사용자의 잠금해제 요청없이(또는 상기 단말(100)에서의 잠금해제 요청없이)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 상기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 간의 전원 단자 연결이 해제된 경우(또는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전원 단자가 빠진 경우/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와 연결 해지된/빠진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케이블과의 재연결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충전 중이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또는 배터리의 전압값)과 재연결을 시도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비교(또는 확인)하여, 비교 결과, 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예를 들어 5%) 이내인 경우,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또한, 비교 결과, 두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종료하고, 해당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이 종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를 경유하여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단말(100)에 각각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복호화된 제 1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제 1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제 1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제 1 전원 공급 제어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등에 따라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S62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결과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또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 등과 상기 수신된 동작 결과를 매핑하여(또는 매칭하여/연동하여) 로그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저장되는 로그(또는 로그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업로드(또는 업데이트/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 충전 중인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정보(예를 들어 나노휠 G형),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 제 2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전 10시 10분 20초), 전원 공급 시작 지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전 10시 11분 10초) 등을 포함하는 제 2 동작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복호화된 제 1 주요 정보 등과 상기 수신된 제 2 동작 결과를 매핑하여 로그로 저장한다(S630).
이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또는 배터리 전압)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비율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전류에 충전 시간을 곱하여 해당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일 예로, 상기 제 4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예를 들어 30V)과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간의 제 1 비율(예를 들어 30V/36V * 100 = 83.3%)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 4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전류(예를 들어 3A)에 충전 시간(예를 들어 3시간)을 곱하여 현재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예를 들어 3A * 3h = 9Ah)을 계산한다(S640).
이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계산된(또는 산출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과,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또는 배터리 용량 정보)을 비교한다.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계산된 제 1 비율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여부 및/또는 상기 계산된 현재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의 미리 설정된 95%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9.88Ah)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모두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미만인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계속하여 충전 기능(또는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계산된 제 1 비율(예를 들어 83.3%)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미만이고, 상기 계산된 현재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예를 들어 3A * 2.5h = 7.5Ah)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10.4Ah)의 미리 설정된 95%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예를 들어 9.88Ah) 미만일 때,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에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한다(S660).
또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이상인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 충전된 경우),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완충된 상태로 처리하고,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상태 램프(410)에 미리 설정된 녹색등을 점등한 후,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충전 중이던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완충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 충전 스테이션(400)의 번호(또는 충전 스테이션 번호) 등을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예를 들어 34.5V)과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예를 들어 36V) 간의 제 2 비율(예를 들어 34.5V/36V * 100 = 95.8%)이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95%) 이상일 때,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완충된 상태로 처리하고,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일측에 구성된 상태 램프에 미리 설정된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완충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1분 10초),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예를 들어 8.5Ah),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번호 등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S67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68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S69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한 해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 안내 화면은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또는 영상)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수신된 충전 완료 정보, 해제 안내 정보, 충전해제 버튼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충전 완료 정보, 제 2 해제 안내 정보, 제 2 충전해제 버튼 등을 포함하는 제 2 해제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S700).
이후, 상기 단말(100)의 해제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해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제거(또는 해제)한 후, 해당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한다.
일 예로, 상기 제 2 해제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해제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상기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를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제 1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을 제거한 후, 해당 제 2 충전 케이블을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제 2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한다(S71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에 구성된 거치대 압력 센서를 통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근거로 해당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제 2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제 2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케이블 상태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제 2 거치대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제 2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거치 상태, 비거치 상태 등 포함)를 근거로 해당 제 2 충전 케이블이 상기 제 2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72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가 아닌 경우(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비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에 연결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제거(또는 해제)한 후, 해당 충전 케이블을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해제를 위해서, 상기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재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비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일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제 4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제 4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2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제 4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730).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 경우(또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케이블의 거치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에 거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상태일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와 앞서 복호한 제 1 주요 정보에 포함된 제 11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오류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와 앞서 복호한 제 1 주요 정보에 포함된 제 11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 11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잠금해제키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정보 등을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 11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잠금해제키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정보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 11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 잠금해제키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S750).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과 연동하여,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해당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예를 들어 잠금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한다.
즉, 상기 판단 결과(또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또는 열린/풀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해당 잠금장치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또는 제어)한다. 이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은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 등을 수신한 후, 상기 단말(100)에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잠금장치에 있는 잠금해제 버튼을 눌러서 잠금 체결부를 튀어나오게 하여, 해당 개인형 이동장치를 상기 잠금장치로부터 분리한다.
일 예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와 앞서 복호한 제 1 주요 정보에 포함된 제 11 잠금해제키(예를 들어 BTBT012345)가 일치할 때,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2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잠금 해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해당 제 2 잠금장치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1분 50초)를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1분 50초)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스테이션의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S760).
이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주차에 대해서,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을 시작 시각으로 하고 잠금 해제한 시각을 종료 시점으로 하여 주차 시간을 산정(또는 계산/산출)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충전에 대해서,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을 충전량으로 산정(또는 계산/산출)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는 상기 산정된(또는 계산된/산출된) 주차 시간, 상기 산정된 충전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주차에 대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전 10시 10분 20초)와 상기 제 2 잠금장치를 해제한 시점의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1분 50초)를 근거로 제 1 주차 시간(예를 들어 4시간 11분 30초)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충전에 대해서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예를 들어 8.5Ah)을 제 1 충전량(예를 들어 8.5Ah)으로 계산한다.
또한, 상기 제 3 스테이션 컨트롤러는 상기 계산된 제 1 주차 시간(예를 들어 4시간 11분 30초), 상기 계산된 제 1 충전량(예를 들어 8.5Ah), 제 2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결제 요청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77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3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차 시간, 상기 충전량, 해당 충전 스테이션(400)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100)의 식별 정보, 결제 요청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주차 시간, 충전량 등을 근거로 이용 요금을 계산(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앞선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별도로 과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월 정액형이고 주차 기능만 수행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별도로 과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주차 월 정액형이고 주차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에서 충전량에 따른 이용 요금(예를 들어 충전 요금 등 포함)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에서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을 차감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 무료 여부, 해당 단말(100)의 어카운트의 잔액 정보, 주차 시간, 충전량,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일 때, 상기 서버(200)는 별도로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제 1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제 1 총 이용 요금(예를 들어 제 1 주차 요금 2,600원, 제 1 충전 요금 8,500원 등을 포함하는 11,100원), 제 1 무료 여부(예를 들어 상기 제 1 총 이용 요금 무료), 제 1 주차 시간(예를 들어 4시간 11분 30초), 제 1 충전량(예를 들어 8.5Ah), 제 1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2분 50초) 등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일반형일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의 사용자의 제 1 어카운트의 잔액(예를 들어 15,000원)에서 제 1 총 이용 요금(예를 들어 제 1 주차 요금 2,600원, 제 1 충전 요금 8,500원 등을 포함하는 11,100원)을 차감하고, 제 2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제 2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2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제 1 총 이용 요금(예를 들어 제 1 주차 요금 2,600원, 제 1 충전 요금 8,500원 등을 포함하는 11,100원), 제 1 어카운트의 잔액 정보(예를 들어 3,900원), 제 1 주차 시간(예를 들어 4시간 11분 30초), 제 1 충전량(예를 들어 8.5Ah), 제 2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예를 들어 2021년 01월 16일 오후 2시 23분 10초) 등을 포함한다(S78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이용 요금(예를 들어 주차 요금, 충전 요금 등 포함), 무료 여부, 해당 단말(100)의 어카운트의 잔액 정보, 주차 시간, 충전량, 결제 일자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일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확인된 제 1 결제 방식이 일반형일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한다(S790).
본 발명은 주차 스테이션 근처에서 단말에서 연결된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주차와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선택된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와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와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고유 코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결제 방식에 따라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서버에서 사용 승인이 허가된 경우 해당 특정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 등을 포함한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주요 정보와 사용 승인 결과값과 임의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 사용 승인 정보를 근거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연동하여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잠금 기능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하여,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개인형 이동장치 인프라를 제공하고,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인식과 이용 문화를 개선하고, 개인형 이동장치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100: 단말 200: 서버
300: 스테이션 컨트롤러 400: 충전 스테이션
410: 본체 420: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
430: 케이블 거치대 440: 잠금장치
450: 충전 케이블 460: 일반 전원 콘센트
470: 침수 감지 센서 480: 통신부
490: 제어부 411: 회전 관절
431: 거치대 압력 센서 432: 거치 걸림쇠
441: 잠금 해제 버튼 442: 스프링
443: 잠금 고정부 444: 잠금 체결부
445: 잠금 걸림쇠 구멍 446: 잠금 센서
447: 걸림쇠 448: 구동 모터
449: 잠금 구동부 451: 커넥터

Claims (13)

  1. 주변에 위치한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스테이션 컨트롤러;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및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결제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도로 또는 보도블록의 지면에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박스형태로 설치되고, 일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타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수납하는 케이블 거치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케이블 구조이고, 타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케이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다관절 링크구조로 장착되고, 다관절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개인형 이동장치의 다양한 위치에 도킹가능한 구조이며, 개인형 이동장치의 일부와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는 잠금 체결부가 일단부에 장착되는 잠금장치;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수납하는 거치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거치공간의 하부면에 충전 케이블의 거치여부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된 구조의 케이블 거치대;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개인형 이동장치의 제조사에서 제공한 어댑터를 이용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국제전기표준회의 플러그 타입을 종합한 멀티 플러그 타입을 구비하는 일반 전원 콘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 수행에 따라, 충전 중 상태 또는 충전 완료 상태 등을 표시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고유 식별 번호를 표시하는 스테이션 번호 및 상태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3. 삭제
  4.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침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실시간으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침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침수 대응 기준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의 전원을 차단하고,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5. 단말에 의해,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주차/충전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 주변에 위치한 스테이션 컨트롤러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 중에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확인된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전압 및 충전 단자 정보를 각각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현재 주차 및 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충전 전압 및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 정보를 상기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한 사용자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요청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코드를 근거로 사용자의 가입 상태,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 정보 및 결제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사용 승인이 허가된 후, 상기 사용 승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TIME OTP 값으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및 상기 서버에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및 상기 잠금해제키를 포함하는 사용 승인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사용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 수행을 위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안내 화면 내의 미리 설정된 충전시작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암호화된 주요 정보, 사용 승인 결과값 및 앞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 승인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확인된 해당 충전 스테이션과 관련한 TIME OTP 값을 근거로 상기 암호화된 주요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 충전 단자 정보, 배터리 용량 및 상기 서버에서 생성한 잠금해제키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단말에서 선택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사용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주차 및 충전 월 정액형인 경우 또는, 주차 월 정액형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결제 방식이 일반형인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어카운트의 잔액이 미리 설정된 최소 이용 금액 이상 남아 있을 때 상기 단말에서 선택한 충전 스테이션에 대해 사용 승인 결과값을 미리 설정된 성공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해당할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 유지 및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유지 확인을 위한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과 관련한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과 충전 단자 정보를 근거로 충전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구성된 충전 단자를 통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충전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 및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주요 정보와 상기 수신된 동작 결과를 매핑하여 로그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중 사용자의 잠금해제 요청없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상기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 간의 전원 단자 연결이 해제될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케이블과의 재연결시,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재연결을 시도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비교 결과, 두 전압이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때, 재연결된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충전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의 충전 단자 위치, 배터리 장착 위치 및 개인형 이동장치의 종류에 따른 침수 수위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의 침수가 감지될 때,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충전 중이던 개인형 이동장치와 관련한 상기 단말에 침수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용 전압을 근거로 배터리의 충전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의 충전 전류에 충전 시간을 곱하여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과, 상기 주요 정보에 포함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모두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 미만일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계속하여 충전 기능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비율 및 상기 계산된 배터리의 충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의 배터리 용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일 때,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해서 완충된 상태로 처리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상태 램프에 미리 설정된 녹색등을 점등한 후,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충전 중이던 상기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완충 시점의 시각 정보,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 및 충전 스테이션의 번호를 포함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충전 스테이션과의 주차 및 충전 기능의 종료를 안내하기 위한 해제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해제 안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는 충전해제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앞서 임시 저장 중이던 잠금해제키를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잠금해제키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가 아닐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케이블에 대한 연결 상태 해제 확인을 위한 또 다른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오류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된 잠금해제키와 앞서 스테이션 컨트롤러에서 복호한 주요 정보에 포함된 잠금해제키가 일치할 때,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 시점의 시각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주차에 대해서, 잠금장치를 잠근 시점을 시작 시각으로 하고 잠금 해제한 시각을 종료 시점으로 하여 주차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충전에 대해서, 전원 공급 시작부터 완충 시점까지 공급된 총 전류량을 충전량으로 계산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계산된 주차 시간, 상기 계산된 충전량,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스테이션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주차 시간, 상기 충전량,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스테이션 정보,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수신된 주차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용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과 관련한 결제 방식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방법.
KR1020210018070A 2021-02-09 2021-02-09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0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70A KR102260438B1 (ko) 2021-02-09 2021-02-09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070A KR102260438B1 (ko) 2021-02-09 2021-02-09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438B1 true KR102260438B1 (ko) 2021-06-04

Family

ID=7639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70A KR102260438B1 (ko) 2021-02-09 2021-02-09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0796A1 (de) * 2021-07-07 2023-01-12 Ongineer Gmbh Ladestation für e-bikes
KR102509931B1 (ko) * 2022-07-29 2023-03-14 강원식 주차 관제 시스템에 otp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82401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안단테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개인형 이동 수단을 관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 수단 관리 시스템
KR20240012065A (ko) 2022-07-20 2024-01-29 예관희 개인형 공유 전기 이동수단 주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206A (ko) * 2018-01-03 2019-07-11 (주)클린일렉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WO2020075291A1 (ja) * 2018-10-12 2020-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器
KR20200104036A (ko) 2019-02-26 2020-09-03 퍼스트마일 주식회사 전동 킥보드의 관리 시스템
KR20210007021A (ko) * 2018-02-28 2021-01-19 박지호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206A (ko) * 2018-01-03 2019-07-11 (주)클린일렉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210007021A (ko) * 2018-02-28 2021-01-19 박지호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WO2020075291A1 (ja) * 2018-10-12 2020-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器
KR20200104036A (ko) 2019-02-26 2020-09-03 퍼스트마일 주식회사 전동 킥보드의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0796A1 (de) * 2021-07-07 2023-01-12 Ongineer Gmbh Ladestation für e-bikes
KR20230082401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안단테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개인형 이동 수단을 관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 수단 관리 시스템
KR102581091B1 (ko) * 2021-12-01 2023-09-21 주식회사 안단테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개인형 이동 수단을 관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 수단 관리 시스템
KR20240012065A (ko) 2022-07-20 2024-01-29 예관희 개인형 공유 전기 이동수단 주차 시스템
KR102509931B1 (ko) * 2022-07-29 2023-03-14 강원식 주차 관제 시스템에 otp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438B1 (ko)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EP3053130B1 (en) Facilitating acces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US20220032793A1 (en)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US9688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temporary vehicle key utilization
ES2872277T3 (es) Métodos y aparatos para cargar vehículos eléctricos
JP5580945B2 (ja) 充電スタンド、および電気車両の充電プロセスを保証する方法
KR101623338B1 (ko) 도전 방지를 위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기차의 충전 인증 시스템
KR101303318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4380764A (zh) 用于把车辆的特征数据登记到互联网服务器设备的用户数据库的方法
EP2716502A1 (en)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CN103810825A (zh) 移动装置激活的车辆功能
KR101483083B1 (ko) 전기자동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966387B2 (ja) 電力提供システム
CN104868527A (zh) 对电动车辆的充电进行远程控制的方法和系统
KR20130104236A (ko) 간소화된 벤딩 머신형 충전 설비를 통한 전기 자동차 충전용 휴대형 연결 장치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CN107082029A (zh) 充电桩系统及其充电方法、身份识别方法及系统
JP2018045304A (ja) 給電システム
KR20180061569A (ko) 주차 차단기를 이용한 전기차 예약 충전 방법
JP2014073002A (ja) 車載通信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US11516293B2 (en) Network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0329105A (zh) 一种无感知支付充电系统及方法
CN111094057A (zh) 供电装置、供电系统及其使用方法
JP5165713B2 (ja) 電気自動車の給電装置
KR20110060099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