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18B1 -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318B1
KR101303318B1 KR1020110118227A KR20110118227A KR101303318B1 KR 101303318 B1 KR101303318 B1 KR 101303318B1 KR 1020110118227 A KR1020110118227 A KR 1020110118227A KR 20110118227 A KR20110118227 A KR 20110118227A KR 101303318 B1 KR101303318 B1 KR 10130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ortable terminal
charging
operation server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893A (ko
Inventor
류정호
박재현
안성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3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진행 시간 동안 대기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전기차 충전 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QR코드가 외부에 표기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기;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ID)를 독출하여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 가솔린 차량이나 가스 차량과는 달리 충전시간에 20분 내지 길게는 5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결제를 위한 충전 요금은 충전량에 따른 단가를 곱하여 산정되며, 단가는 경부하 시간, 중간부하 시간 및 최대부하 시간에 따라 차등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중간에 충전을 중단하여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되어 실제 충전량이 어느 정도일지는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서야 알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 결제에 있어서 충전이 완료 되어야지만 실제 충전량과 해당 시간에 해당되는 단가에 따른 총 충전요금을 알 수 있으므로 충전 시작 전 카드 결제 시 실제 금액을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액을 미리 정하고 충전할 경우 충전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외부에서 전기차 충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으며, 장시간의 충전 중에 다른 장소에 있는 경우 충전 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 특허 10-2010-0044154의 경우 핸드폰을 이용하여 충전요청과 충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무인 충전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충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전 승인 과정에서 충전단자의 아이디만을 정보로 활용하기 때문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진행 시간 동안 대기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전기차 충전 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의 단가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현장에 없더라도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QR코드가 외부에 표기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기;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ID)를 독출하여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주민 등록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오차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에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 가능 여부를 조회함으로써 충전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인증번호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단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일정시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회신받으면 상기 운영서버에 충전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중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운영서버에 충전 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결제내역에 따라 통신사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진행 내역을 실시간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충전 진행 내역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전기차 충전기의 QR코드를 스캔하는 제1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를 독출하는 제2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단말기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에 전송하여 인증번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일정시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회신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운영서버에 충전 내역을 전송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결제내역에 따라 통신사에 결제를 요청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진행 시간 동안 대기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전기차 충전 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의 단가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현장에 없더라도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따로 정의되지 않은 용어는 단선도 생성 알고리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QR코드가 외부에 표기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기(10),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ID)를 독출하여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20),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전송한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운영 서버(30)를 포함한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전송받는 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수행한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충전 승인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충전 커넥터의 잠금을 해제하고, 운영 서버(30)로부터 충전 중단 신호를 전송받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커넥터를 잠금과 동시에 차량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전기차의 충전이 강제로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내역을 운영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내역에는 충전량, 충전 금액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 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10)의 외부에는 QR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 QR코드에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ID가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GPS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한 결제가 가능한 모든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충전기의 QR코드를 스캔하여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ID를 독출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운영 서버(30)로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전기차 충전기(10)의 ID 및 단말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기 정보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전화번호,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20) 가입자 또는 사용자의 주민등록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20)에 제공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인증번호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단가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기(10)의 단가 정보를 보고 충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 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운영 서버(30)로 다시 회신함으로써 전기차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시작 후 충전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운영 서버(30)로 충전 중단 요청을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충전 시작시 전송받은 인증번호를 운영 서버(30)로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충전 중단 요청을 하거나, 또는 운영 서버(30)가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충전 중단 요청을 할 수 있다. 충전 중단 요청은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되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충전 진행 내역을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가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충전 진행 내역은 충전 경과 시간, 현재까지의 충전 금액, 충전 완료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충전이 중단되거나 완료된 경우 운영 서버(30)로부터 충전 내역을 전송받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충전 내역은 충전량, 충전 금액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충전이 완료되거나 중단된 경우 통신사(40)로부터 결제 요청을 받아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금액만큼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20)의 통신비에 합산될 수 있도록 휴대폰 소액 결제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스마트폰 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단말기 정보 및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충전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의 결정에 따라서 전기차 충전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충전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를 매칭시켜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오차 범위는 서버 관리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운영 서버(30)는 설정된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가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충전 승인 과정을 중단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충전 승인이 거부되었다는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기(20)로 발송할 수 있으며, 또는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충전 승인 과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가 오차 범위 내인 경우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40)로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통신사(40)로부터 인증번호를 전송받고 이를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기(10)의 단가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현재 시간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10)의 단가 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30)는 통신사(40)로부터 결제가 가능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게 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한 인증번호를 일정시간내에 다시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회신받게 되면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 승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인증번호를 회신받지 못하는 경우 충전 승인 과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충전 중단 요청을 받게 되면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 중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중단 신호는 충전 승인 과정에서 사용된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임의의 신호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와 운영 서버(30)간에 정해진 임의의 신호일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전기차 충전기(10)로부터 충전 내역을 전송받게 되면 이를 통신사(40)로 전송하여 충전 내역에 포함된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운영 서버(30)는 결제 요청시 단말기 정보 및 인증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통신사(4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아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사(40)는 단말기 정보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20) 가입자의 주민등록 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결제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사(40)는 예를 들면,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휴대폰 소액 결제가 가능한 잔액 여부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신사(40)는 운영 서버(30)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금액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폰 소액 결제의 경우에는 남은 잔액이 될 수 있다.
통신사(40)는 운영 서버(30)로 부터 결제 요청을 받게 되면 단말기 정보에 포함되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전화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20) 가입자의 주민등록 번호를 이용하여 결제 내역에 포함되는 충전 금액만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통신사(40)는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소액 결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QR코드를 스캔하여 QR코드에 포함된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를 독출할 수 있다(S201).
휴대용 단말기(2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 및 단말기 정보를 운영 서버(30)로 전송한다, 단말기 정보에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전화번호, 휴대용 단말기(20) 가입자의 주민등록 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는 지리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S202).
운영 서버(3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전기차 충전기(10)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QR코드에 포함된 정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이 없다면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203). 오차 범위는 운영 서버(30)의 관리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운영 서버(3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위치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 정보가 오차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사(40)에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S204).
통신사(4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단말기 정보 중 휴대용 단말기(20)의 전화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20) 가입자의 주민등록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통신사(40)는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20)의 휴대폰 소액 결제가 가능한 잔액으로부터 해당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5). 통신사(40)는 휴대용 단말기(20)의 결제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인증번호를 운영 서버(30)로 전송한다(S206).
운영 서버(30)는 통신사(40)로부터 전송 받은 인증번호를 휴대용 단말기(20)로 전송하고 일정 시간 내에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인증번호를 회신받으면 충전 승인 신호를 전기차 충전기(10)로 전송한다(S207~S209).
전기차 충전기(10)는 충전 승인 신호를 받으면 충전 커넥터의 잠금을 해제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충전 진행 내역을 실시간으로 운영 서버(30)로 전송한다(S210).
운영 서버(30)는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충전 진행 내역을 휴대용 단말기(2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휴대용 단말기(20)는 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 한다(S211).
운영 서버(30)는 휴대용 단말기(20)로부터 충전 중단 요청이 있는 경우 충전 중단 신호를 전기차 충전기(10)로 전송한다(S212~S213).
전기차 충전기(10)는 충전 중단 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충전 커넥터를 잠그고 차량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충전 중단 신호 또는 충전 완료에 의하여 충전을 종료한 경우 충전 내역을 운영 서버(30)로 전송한다(S214).
운영 서버(30)는 충전 내역을 통신사(40)로 전송하여 결제 요청을 한다. 이 때 운영 서버(30)는 충전 내역과 함께 단말기 정보 및 충전 승인 과정에서 전송 받은 인증 번호를 통신사(40)에 함께 전송한다(S215).
통신사(40)는 운영 서버(30)로부터 전송 받은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한다. 통신사(40)는 단말기 정보 및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충전 내역에 포함된 충전 금액만큼을 휴대용 단말기(20)에 대하여 결제를 진행 할 수 있다(S216).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전기차 충전기 20: 휴대용 단말기
30: 운영 서버 40: 통신사

Claims (11)

  1. QR코드가 외부에 표기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기;
    상기 QR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ID)를 독출하여 단말기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하고, 오차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에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 가능 여부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충전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오차범위내에 없는 경우 충전승인 중단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충전 경과 시간, 현재까지의 충전 금액 및 충전 완료까지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진행 내역을 전송받아 외부로 표시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번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가입자의 주민 등록 번호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인증번호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단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일정시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회신받으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중단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운영서버에 충전 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충전 내역에 따라 통신사에 결제를 요청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8. 삭제
  9. 휴대용 단말기가 전기차 충전기의 QR코드를 스캔하는 제1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를 독출하는 제2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단말기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아이디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하고, 오차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정보를 통신사에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결제 가능 여부를 조회함으로써 충전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오차범위내에 없는 경우 충전승인 중단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5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충전 경과 시간, 현재까지의 충전 금액 및 충전 완료까지 남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진행 내역을 전송받아 외부로 표시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운영서버에 충전 내역을 전송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가 상기 충전 내역에 따라 상기 통신사에 결제를 요청하는 제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0110118227A 2011-11-14 2011-11-14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0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27A KR101303318B1 (ko) 2011-11-14 2011-11-14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227A KR101303318B1 (ko) 2011-11-14 2011-11-14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93A KR20130052893A (ko) 2013-05-23
KR101303318B1 true KR101303318B1 (ko) 2013-09-03

Family

ID=4866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227A KR101303318B1 (ko) 2011-11-14 2011-11-14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5236B1 (es) * 2014-06-25 2016-10-06 Fundación Cartif Sistema para control y gestión de carga de vehículos eléctricos
USD773539S1 (en) 2015-04-02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797820S1 (en) 2015-09-16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859067B1 (ko) * 2016-06-27 2018-06-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정보 관리 시스템
CN106208258B (zh) * 2016-08-31 2018-11-20 四川拓荒者知识产权运营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终端
CN107054147B (zh) * 2017-05-04 2023-09-29 上海寰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自动充电桩和自动充电方法
CN108099672A (zh) * 2017-12-26 2018-06-01 桐城市信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信号的汽车充电系统
KR102256019B1 (ko) * 2020-08-27 2021-05-25 (주)이카플러그 모바일 기기에 의한 전기 자동차 충전 제어 및 결제 시스템
CN112309053A (zh) * 2020-11-10 2021-02-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租赁空调的控制权限分配管理方法及装置
CN112874360A (zh) * 2021-02-26 2021-06-01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充电桩的启充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34801A (zh) * 2021-03-09 2021-06-25 上海融和电科融资租赁有限公司 一种共享电动车电池的方法及系统
KR102554730B1 (ko) * 2022-10-06 2023-07-13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154A (ko) * 2010-04-09 2010-04-29 최병환 전기자동차 충전소 및 과금 시스템
JP2011034500A (ja) * 2009-08-05 2011-02-17 Enegate:Kk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KR20110052772A (ko) * 2009-11-13 2011-05-19 조한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10059492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기연구원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500A (ja) * 2009-08-05 2011-02-17 Enegate:Kk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KR20110052772A (ko) * 2009-11-13 2011-05-19 조한대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10059492A (ko) * 2009-11-27 2011-06-02 한국전기연구원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4154A (ko) * 2010-04-09 2010-04-29 최병환 전기자동차 충전소 및 과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893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318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32793A1 (en)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US20230249560A1 (en) Facilitating acces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EP3492308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2012029563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68922B1 (ko) 모바일 기기 간 월렛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60438B1 (ko) 개인형 이동장치를 위한 범용 주차 및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KR20140116047A (ko)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을 위한 전력량 계량 장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0638A (ko)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을 위한 전력량 계량 장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7704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KR20140079566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에 대한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KR20190023724A (ko)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78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arking meter payment
KR101504663B1 (ko) 국내 교통 카드 서비스 가입자에게 해외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81138B1 (ko) 공중전화 시설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0298A (ko) 지문을 이용한 결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결제 중계 서버
KR20210128276A (ko) 소셜 결제를 통한 전기차 충전 인증 및 결제 방법
US2023003468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capable of integrating multiple identities
KR101670423B1 (ko) 매체 매칭을 이용한 역방향 주유 결제 처리 방법
US20230245250A1 (en)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s
US20230062237A1 (en)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CN111192409B (zh) 车辆和结算系统
KR20150008823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무선 충전에 대한 과금 방법 및 과금 시스템
CN109842591B (zh) 集线器间通信的方法及用于集线器间通信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