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2772A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2772A
KR20110052772A KR1020090109432A KR20090109432A KR20110052772A KR 20110052772 A KR20110052772 A KR 20110052772A KR 1020090109432 A KR1020090109432 A KR 1020090109432A KR 20090109432 A KR20090109432 A KR 20090109432A KR 20110052772 A KR20110052772 A KR 2011005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user
termi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728B1 (ko
Inventor
조한대
Original Assignee
조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대 filed Critical 조한대
Priority to KR102009010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7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5Preventing over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70Interactions with external data bases, e.g. traffic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및 사용자별 과금을 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서 사용자를 식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하고, 중앙관리서버에서 사용자별 충전 요금에 대한 자동 과금을 수행하는 것이다.
충전터미널은 충전에 사용되는 전압/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시작 시간 및 종료시간을 예약함으로서 심야전기와 같이 저렴한 요금체계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장치는 전기자동차 충전중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하고, 차량의 충전 상태 정보를 사용자 수용가의 월패드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줌으로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전기자동차, 원격검침, 2차 전지, 충전, 과금, 충전 예약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A Remote Metering System for the Recharge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빌딩, 공동주택 등의 전기, 수도, 난방, 가스, 온수 원격검침 및 과금 시스템과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전기자동차 충전, 충전시간 예약, 충전 상태 알람, 통합 과금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입주자가 생활하는 대형 건물, 공동주택 등에는 가스, 수도, 열량, 전기 등에 대해 각 수용가에 설치된 각 자동 계량기에서 그 사용량을 검침하고 그 검침 데이터를 원격지에 설치된 중앙관리서버에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여 검침 데이터들을 통합 관리하고 과금 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이 일반화되어 있다.
도.1, 2에는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들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의 원격 검침시스템은 각각의 수용가에서의 수도, 온수, 가스, 난방, 전력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각종 계량기 즉, 수도계량기(110), 온수계량기(111), 난방계량기(112), 가스계량기(113), 전력계량기(114) 등으로부터의 검침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단자대(120) 또는 세대별 통합검침장치(121)로 집중시킨 후 통신단자대(120) 또는 통합검침장치(121)에서 각 수용가의 검침 데이터를 중계장치(130)로 보내게 된다. 중계장치(130)는 다수(통상 1개 중계장치당 128 수용가 정도)의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건물 관리실의 중앙관리서버(150)로 전송하게 된다.
중앙관리서버(150)는 건물 또는 단지 전체의 감시 및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과금서버(160)를 포함하여 각 수용가의 수도, 온수, 가스, 난방, 전력 사용량에 따른 요금을 자동으로 과금하게 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핸디 터미널로 불리는 무선 터미널(170)을 통해 통합검침장치(121) 또는 중계장치(130)에서 검침원이 직접 검침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량기, 통신단자대, 통합검침장치, 원격검침통합서버, 무선 터미널 사이의 통신방식은 주변 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D-PLC(전력선 통신), RS 232, RS 485, RFID, TCP/IP LAN, COAX, 광통신, 무선 랜 등 어떠한 통식방식이라도 적은 크기인 검침 데이터 전송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건물 또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통상적인 원격검침시스템의 경우는 D-PLC, RS 232, RS 485 방식이 주로 사용되나, 원격검침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의 선택은 공지의 기술의 선택에 불과하다.
최근에는 화석연료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기자동차의 도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데, 예로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은 사용자가 직접 전기자동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2차 전지의 충전에는 통상 긴 시간이 필요하여 현재의 주유소 등에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여도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많은 수의 차량이 빠른 시간 내에 충전을 할 수 없으므로 빌딩, 공동주택의 주차장 등에서 전기자동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에 대한 과금 체계가 필요한데, 통상 차량은 일정한 장소에 주차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전력 사용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빌딩, 공동주택(이하 '건물'이라 한다.)의 주차장 등에 설치되되, 사용자 식별 기능을 갖고 건물의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전력 사용에 따른 과금 및 전기자동차 충전 상태에 따른 정보를 영상, 문자, 또는 음향으로 표시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은 주차장 등에 다수 설치되는 충전터미널, 충전터미널을 제어하는 제어기, 제어기와 연동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충전터미널의 충전포트에 전기자동차의 충전기를 연결하고 사용자 인식기를 통해 사용자 식별을 인증받은 후 충전을 시작하면 충전터미널 제어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작업을 제어한다.
제어기는 충전 전류의 제어, 전력 사용량의 검침, 과충전 방지, 충전터미널 작동 상태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인식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전력계로부터 전송된 전력 사용량, 충전 상태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건물의 중앙관리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중앙관리서버는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충전 상태를 월패드서버를 통해 각 수용가 내에서 설치된 월패드에 표시해 주거나, 외부통신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핸드폰 등)에 전송해주게 된다.
사용자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요금이 저렴한 심야전기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충전시작시간, 충전 강제 종료시간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사용자가 제어기에 심야전기와 같은 할인 요금 적용 시간 동아만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제어기가 이에 따라 충전시간을 자동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에 의하여 건물 내 주차장 등에서 사용자를 식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하고, 사용자별 전력 사용량에 대한 자동 과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별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을 수도, 가스, 난방 등의 기존의 고지서와 통합하여 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량의 충전 상태 정보를 월패드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줌으로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을 포함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의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건물의 주차장 등에 다수의 충전터미널(200)이 설치되어 있고, 전기자동차의 커넥터를 충전터미널의 충전포트(210)에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시켜 전기자동차의 2차 전지를 충전하게 된다.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요금은 건물의 수도, 가스, 온수 등의 원격검침을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과되게 된다.
이하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전기자동차 충전터미널(200)은 분산식 또는 통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4는 분산식 전기자동차 충전터미널(200)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분산식 전기자동차 충전터미널은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인식기(220), 전기자동차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기 위한 커넥터(212)가 결합되고,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충전포트(210), 사용 전력량을 검침하는 전력계(211), 충전터미널의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부(260), 센서부(260)의 측정 데이터 및 제어기 자체에 내장된 오류검사 로직을 통해 충전터미널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며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30),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50) 및 제어기와 외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4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인식
사용자가 사용자인식기(22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인식기(220)는 사용자 정보를 제어기(23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사용자인식기에 별도의 제어기를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충전터미널(200)의 제어기가 통합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인식기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은 RFID, 마그네틱 카드, 지문/홍체 등의 생체정보, 키패드를 통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 휴대전화 단말기에 삽입된 사용자 정보 보관 칩의 리딩(reading)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관리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의 형태라면 어떤 인식 방식이라도 무관하다.
또한, 사용자인식기는 하나의 사용자 정보 입력수단을 갖거나 복수의 사용자 정보 입력수단을 동시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기(230)가 사용자인식기(2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중앙관리서버(150)에 전송하면 중앙관리서버는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증정보를 제어기에 송신한다.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유효하지 않은 사용자로 통보된 경우 제어기(230)는 충전을 시작하지 않고, 표시부(250)에 경고 표시를 출력한다.중앙관리서버로부터 유 효한 사용자로 판명된 경우 제어기는 충전포트(210)의 커넥터(212)에 의해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시작하도록 충전포트를 제어한다.
제어기는 또한 중앙관리서버(150)이 인식할 수 있는 충전포트의 고유 아이디(예 : 충전포트 번호 등)를 충전 작업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중앙관리서버(150)에서는 각 충전포트별로 사용 이력, 고장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기자동차 충전용 전력 공급
전기자동차 충전에 사용되는 전압/전류는 각 나라별로 규격이 달리 정해지게되는데, 다양한 전압/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9504320175-PAT00009
충전터미널은 필요에 따라 외부전원을 전기자동차 충전에 적합한 교류 혹은 직류 전압/전류로 변환시켜주는 변압기능을 갖거나 외부 공급 전력 중에서 택일하여 충전 전압/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전력선택부가 충전포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아래 A∼C의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사용자가 충전터미널에서 직접 충전용 전압/전류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충전전력선택부가 충전포트에 해당하는 전압/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
B. 충전터미널의 제어기가 배터리 종류를 자동인식하고 가능한 충전 전압/전류를 사용자에게 제시(예 :표시부(25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번호를 입력(예 : 사용자인식기(220)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에서 키인(key-in)하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를 설치) 하면 충전전력선택부가 해당 전압/전류를 공급.
C. 충전터미널의 제어기가 배터리의 종류를 자동인식하고 적용 가능한 충전 전압/전류 방식 중 소정의 목표함수(최소 비용, 최소 시간 등)을 만족시키는 충전 전압/전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전압/전류를 충전전력선택부가 공급.
충전터미널은 IEC 61851-1 규격 커넥터, SAE J1772 규격 커넥터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통신 포트들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전기자동차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9504320175-PAT00010
전력 요금 절감을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간 예약
우리나라의 경우 심야시간대의 전력 요금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저렴하게 공급되는데 전기자동차 이러한 할인 전력 요금을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터미널의 입력장치에 충전시작시간,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은 경우라도 충전을 중단하는 충전 강제 종료시간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순히 할인 전력만을 사용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충전 요금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충전 상황 감시
제어기(230)는 충전터미널의 온도, 전류, 전압, 충전 배선의 단선, 누전,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상태, 커넥터 접촉 불량, 커넥터 분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여 충전 시작 전은 물론 충전 중에 충전포트(210)와 전기자동차의 전기적 접속의 상태를 포함한 충전터미널의 작동 상태를 감시하고 충전 시작 또는 계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터미널은 IEC 61851-1 규격 커넥터, SAE J1772 규격 커넥터 등과 같은 표준 규격 방식에 의한 통신 포트들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전기자동차로부터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기는 충전터미널과 연결된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충전 회로의 단선/누전, 커넥터 접촉불량 및 분리, 배터리 충전량 등의 충전상태 및 충전터미널의 온도(과열), 과전류, 자가진단에 의한 충전포트의 고장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산업용 상용 차단기(circuit breaker) 및 충전기가 통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도의 기능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은 특별히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특별히, 커넥터 접촉불량 및 커넥터 분리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스위치 접촉 방식 혹은 충전 터미널 내 전압 이상 등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충전 시작 전 검사에 의해 충전을 시작하는데 문제가 되는 회로의 단선, 누전, 커넥터 접촉 불량, 2차 전지 완충, 충전터미널의 과열, 과전류, 이상 전압(과전압, 전압 부족, 전압 변동(fluctuation)) 등이 확인되면 제어기(230)는 충전터미널의 표시부(250)에 이에 따른 경고 신호를 음향, 문자, 기호 등으로 발생시키고, 충전을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는 이러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150)에 전송하여 중앙관리서버가 이후 설명되는 과금, 경고 프로세서에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는 LCD 패널, 점멸 등, 음향 발생 등을 포함하여 검사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제어기는 또한 충전 중에도 회로의 단선/누전, 커넥터 접촉불량, 2차 전지 충전량 등의 충전상태 및 충전터미널의 과열, 과전류, 이상전압을 감시하며, 만약, 충전 계속중에 충전을 중단해야 하는 회로의 단선, 누전, 커넥터 접촉 불량, 2차 전지 완충, 과열, 과전류, 이상전압 등이 확인되면 제어기는 충전을 중단시키고 중앙관리서버에 이상 발생 이벤트 신호(event signal)를 전송한다. 또한 표시부(250)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충전 상황 알람
충전터미널은 충전상태 정보를 표시부(25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사용자에게 충전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부가적인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는 각 충전터미널의 충전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월패드서버(162) 를 통해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에 해당하는 수용가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해당 수용가 내에 설치된 월패드(410), 스피커 등의 정보 표시 단말기(420)에 영상, 문자 또는 음향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월패드 서버와 월패드 사이의 통신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무선 방식의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사용될 수 있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공지기술의 선택에 불과하다.
또한 중앙관리서버는 외부통신서버(163)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핸드폰 등)에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즉, 충전중 커넥터의 분리, 전기 누전 등 전기 접속에 문제, 과열/과전류 등에 의해 충전이 중지되거나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사용자가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금
제어기는 충전 시작으로부터 충전 중단까지 충전터미널에서 사용된 전력량의 검침 데이터를 전력계(211)를 통해 입력받고, 이를 중앙관리서버(150)에 전송한다.
중앙관리서버는 사용된 충전터미널 아이디, 사용자 정보, 이상 발생 정보, 사용 전력량 등에 관한 데이터들을 과금서버(16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과금서버(160)는 사용자 정보 및, 이상 발생 정보, 사용 전력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과금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은 사용자별로 수도, 가스, 난방, 온수 등과 함께 고지되거나 혹은 별로도 고지될 수 있고, 과금 합산 기간 등도 임의로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집중형 충전 터미널
도.5에는 집중형 충전터미널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4에서 개시한 분산형 충전터미널과 비교하여 하나의 제어기가 다수의 충전터미널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는 앞에서 기술한 분산식 전기터미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 경우 전력사용량을 검침하는 전력계가 각각의 충전터미널에 설치되거나, 혹은 제어기에 통합되어 설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집중형 충전터미널의 경우 하나의 제어기가 여러 개의 충전터미널을 제어하게 되므로 중앙관리서버 또는 제어기가 충전터미널의 고유 아이디(예 : 충전 포트 번호) 정보를 받아들어야 한다.
충전터미널과 중앙관리서버 사이의 통신방식은 종래의 기술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LC(전력선 통신), RS 232, RS 485, RFID, TCP/IP LAN, COAX, 광통신, 무선 랜 등 어떠한 통식방식이더라도 무관하며, 공동주택에 있어서 통상적인 원격검침시스템의 경우 많이 사용되는 D-PLC, RS 232, RS 485 방식을 선택하여도 좋다. 원격검침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방식의 선택은 공지의 기술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에 의하여 건물 내 주차장 등에서 사용자를 식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하고, 사용자별 전력 사용량에 대한 자동 과금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별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을 수도, 가스, 난방 등의 기존의 고지서와 통합하여 고지하거나 개별적으로 고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전기자동차 충전중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하고, 차량의 충전 상태 정보를 월패드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줌으로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 종래의 원격검침시스템
도.2 : 종래의 원격검침시스템
도.3 :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도.4 : 본 발명에 의한 분산식 충전터미널을 갖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
도.5 : 본 발명에 의한 집중식 충전터미널을 갖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시스템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
110 : 수도 계량기
113 : 가스 계량기
114 : 전력계
120 : 통신단자대
121 : 통합검침장치
130 : 중계기
150 : 중앙서버
160 : 과금서버
162 : 월패드 서버
163 : 외부통신서버
200 : 충전터미널
210 : 충전포트
220 : 사용자인식기
230 : 제어기
240 : 통신부
250 : 표시부
260 : 센서부
410 : 월패드
42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하여 건물에 복수로 설치되는 충전터미널, 충전터미널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기, 상기 제어기와 통신연결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터미널은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인식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와 결합 되는 커넥터가 설치되고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중앙관리서버에 사용자인식기에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고,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받아 유효한 사용자 인증정보를 전송받은 경우에만 충전이 시작되도록 상기 충전터미널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기는 또한 충전시작시간 및/또는 충전 강제종료시간을 입력받아 충전시작시간부터 충전 강제종료시간까지의 시간 중에만 충전작업이 수행 가능하게 되도록 충전터미널을 제어하거나 제어기 또는 중앙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할인 전력요금 시간대에만 충전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되도록 충전터미널을 제어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전력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을 산정하는 과금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나의 제어기가 복수의 충전터미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식기는 RFID, 마그네틱카드, 생체인식, 키패드 입력, 통신 단말기 인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4.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터미널은 제어기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터미널에는
    충전터미널의 온도, 전류, 전압; 충전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의 단선 또는 누전;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상태; 커넥터 접촉 불량, 커넥터 분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상태; 충전터미널 온도, 전류, 전압; 충전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의 단선 또는 누전; 커넥터 접촉 불량, 커넥터 분리; 충전터미널 과열, 과전류, 이상전압 발생 여부;및 자가점검에 의한 충전터미널 고장 정보;
    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중앙관리서버에 전송 및/또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충전 시작 전 또는 충전중에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완충; 충전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의 단선, 누전; 커넥터 접촉 불량, 커넥터 분리; 충전터미널 과열, 과전류, 이상전압 발생 및 충전터미널 고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한 경우 충전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월패드서버를 통해 사용자 수용가 내의 월패드에 영상, 문자 또는 음향으로 표시하거나 외부통신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원격검침 시스템.
KR1020090109432A 2009-11-13 2009-11-13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14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32A KR101142728B1 (ko) 2009-11-13 2009-11-13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32A KR101142728B1 (ko) 2009-11-13 2009-11-13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44A Division KR20110076858A (ko) 2011-06-08 2011-06-08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72A true KR20110052772A (ko) 2011-05-19
KR101142728B1 KR101142728B1 (ko) 2012-05-04

Family

ID=4436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432A KR101142728B1 (ko) 2009-11-13 2009-11-13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7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18B1 (ko) * 2011-11-14 2013-09-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226B1 (ko) * 2012-06-22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CN110871705A (zh) * 2018-08-29 2020-03-1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实时电价的充电方法、系统及车载终端
CN114973515A (zh) * 2022-01-25 2022-08-30 浙江浩瀚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桩即插即充功能测试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8978A1 (de) * 2020-07-17 2022-01-20 Mensch und Mouse Informationstechnik GmbH Verfahren zum Laden eines Elektro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728B2 (ja) * 1992-07-03 1998-08-06 パーク二四株式会社 充電装置付き立体駐車装置
JP2009213301A (ja) * 2008-03-05 2009-09-17 Rohm Co Ltd 車両用の充電ユニット
KR20090125560A (ko) * 2008-06-02 2009-12-07 (주)혁신지식개발원 전동차의 충전을 위한 지능형 전기 충전용 제어함, 및시스템
KR20100059641A (ko) * 2008-11-26 2010-06-04 이상철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18B1 (ko) * 2011-11-14 2013-09-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226B1 (ko) * 2012-06-22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US9184616B2 (en) 2012-06-22 2015-11-10 Lsis Co., Ltd.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in-cable charging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871705A (zh) * 2018-08-29 2020-03-1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实时电价的充电方法、系统及车载终端
CN114973515A (zh) * 2022-01-25 2022-08-30 浙江浩瀚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桩即插即充功能测试方法、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728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1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44861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US20100241542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EP3301781B1 (en) Methods for use with electric devices to manage energy services
ES2825709T3 (es) Servidor de agregación para vehículos integrados en red
CN111201691B (zh) 一种特别是用于电动车辆的移动充电单元及其用于按照请求输送电量的管理系统
RU2515120C2 (ru) Система пункта подсчета и измерения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подс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KR101229139B1 (ko) 전기차 충전시스템
KR10197350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관리서버장치
JP4954304B2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WO2013073625A1 (ja) 課金システム及びev充電システム
HU219532B (hu) Elosztóhálózat, valamint eljárás és vezérlőberendezés elektromos áram betáplálásának vezérlésére
KR20160012355A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역전송 전력 운영시스템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1233717B1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54139B1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101769467B1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CN113246780A (zh) 一种直流充电桩控制系统及方法
KR20120075508A (ko)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10052773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100059641A (ko)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KR20110076858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JP2013051780A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充電ケーブル
JP5412183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