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233B1 -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233B1
KR102260233B1 KR1020180111943A KR20180111943A KR102260233B1 KR 102260233 B1 KR102260233 B1 KR 102260233B1 KR 1020180111943 A KR1020180111943 A KR 1020180111943A KR 20180111943 A KR20180111943 A KR 20180111943A KR 102260233 B1 KR102260233 B1 KR 10226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unsubstituted
compound
merocyanin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075A (ko
Inventor
신봉기
제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16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78513A1/ko
Publication of KR2019004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75A/ko
Priority to US16/848,586 priority patent/US112927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147Ortho-condensed systems the condensed system containing one ring with oxygen as ring hetero atom and two rings with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0032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6Biological staining of tissues in vivo, e.g. methylene blue or toluidine blue O administered in the buccal area to detect epithelial cancer cells, dyes used for delineating tissues during surg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0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 C09B23/105The polymethine chain containing an even number of >CH- groups two >C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2Coumar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380nm 이상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형광 신호를 나타내고 생체분자의 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COMPOUND BASED MEROCYANINE, LABELING DYE, KIT AND CONTRAST MEDIUM COMPOSITION FOR BIOMOLEC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380nm 이상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형광 신호를 나타내고 생체분자의 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분야에서 생체 내(in vivo), 생체 외(in vitro)에서 세포수준의 생물학적인 현상을 관찰하거나, 생체 조영 및 질환부위를 검시하기 위해, 이를 가시화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형광 염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린형광단백질(GFP) 등의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생체분자도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생체 조직이나 세포 및 그 이하 단계의 생체물질을 형광 염료로 염색하거나,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에 형광 염료를 표지한 후, 형광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학장비를 동반하여, 다양한 기법으로 영상화한 자료를 얻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광학 분석 장비로는 세포 관찰을 위한 형광현미경(fluorescece microscope), 공초점현미경(confocal microscope),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정량 중합효소연쇄반응 장치(quantitative PCR system), 핵산 및 단백질 분리, 분석을 위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 장치, 실시간 생체내 영상 장비(in vivo imaging system) 등 연구 목적의 장비 외에도, 면역 분석 기법(immnuno assay)이나 PCR 분석 및 통계 기술이 접목된 핵산 및 단백질 진단 키트(또는 바이오칩) 기반 체외 진단(in vitro diagnosis) 장비와 의료 영상 수술(image-guided surgery)을 위한 수술대 및 내시경 장비 등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응용 분야 및 더 높은 수준의 해상도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진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 형광 염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생체분자들이 존재하는 매질, 즉, 수용액 내에 존재할 때 광표백(photo bleaching) 및 소광(quenching) 현상이 적고, 몰흡광계수(molecular extinction coefficient)및 양자효율(quantum efficiency)이 크며, 다양한 pH 조건에서 안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형광 염료가 이용되어 오고 있으나, 바이오 분야에서 상술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형광 염료는 상당히 드문 실정이다. 예를 들어, 쿠마린(coumarins), 시아닌(cyanine), 보디피(bodipy), 플로세인(fluoresceins), 로다민(rhodamines), 피렌(pyrenes), 카르보피로닌(carbopyronin), 옥사진(oxazine), 잔텐(xanthenes), 티오잔텐(thioxanthene) 또는 아크리딘(acridines) 골격을 가지는 형광 염료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학 영상 분야에서 생체분자의 동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서 기존에 널리 알려진 형광 염료의 골격과 상이한 골격을 가지는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merocyanine)계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1
여기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황, 산소, 셀레늄, NR3, CR3R4, SiR3R4 및 -CR3=CR4-으로부터 선택되며,
Q는 황, 산소 또는 NRa이며,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Ra 및 R2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설프하이드릴, 나이트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R1, R2, R3 또는 R4가 케톤기(-COR5) 또는 에스터기(-COOR5)일 때,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아미노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R9 및 R10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4원자, 5원자 또는 6원자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L-X 작용기에 있어서, L은 탄소,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0개의 원자, -NHCOO-, -CONH-, -CH2NH-, -CH2NR6-, -COO-, -SO2NH-, -HN-C(=NH)-NH-, -NR6-, -(CH2-CH2-O-)p-, -CH=CH-, -C≡C-, -Ar- 및 -CO-Ar-NR6-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이며, R6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콕시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Ar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는 1내지 100의 정수이며, X는 카복실(carboxyl), 숙신이미딜 에스터(succinimidyl ester),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터(sulfo-succinimidyl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말레이미드(maleimide), 할로아세트아마이드(haloacetamide), 하이드라자이드(hydrazide), 바이닐설폰(vinylsulphone), 다이클로로트리아진(dichlorotriazine), 포스포라미다이트(phosphoramidite), 알킬 할라이드(alkyl halide), 아실 할라이드(acyl halide), 카보하이드라자이드(carbohydrazid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케톤(ketone), 알카인(alkyne), 아자이드(azide),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amine), 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sulfotetrafluorophenyl ester), 설포다이클로로페닐 에스터(sulfodichlorophenyl ester), 카보닐 아자이드(carbonyl azide), 설포닐 클로라이드(sulfonyl chloride), 설포닐 플루오라이드(sulfonyl fluoride), 보론산(boronic acid),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할로겐-치환 트리아진(halogen-substituted triazine), 할로겐-치환 피리딘(halogen-substituted pyridine), 할로겐-치환 다이아진(halogen-substituted diazine),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tetrafluorophenyl ester), 이미도 에스터(imido ester), 아지도나이트로페닐(azidonitrophenyl), 글리옥살(glyoxal) 및 알데하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성기이다.
-L-Z 작용기에 있어서, L은 탄소,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0개의 원자, -NHCOO-, -CONH-, -CH2NH-, -CH2NR6-, -COO-, -SO2NH-, -HN-C(=NH)-NH-, -NR6-, -(CH2-CH2-O-)p-, -CH=CH-, -C≡C-, -Ar- 및 -CO-Ar-NR6-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이며, R6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콕시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Ar은 아릴이며, p는 1내지 100 의 정수이며, Z는 형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형광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Z는 쿠마린(coumarins), 시아닌(cyanine), 보디피(bodipy), 플로세인(fluoresceins), 로다민(rhodamines), 피렌(pyrenes), 카르보피로닌(carbopyronin), 옥사진(oxazine), 잔텐(xanthenes), 티오잔텐(thioxanthene) 또는 아크리딘(acridines)이거나 화학식1일 수 있다,
또한, R1, R2, R3, R4, R5 또는 R6가 치환된 경우, 상기 작용기 내 임의의 탄소 또는 말단 탄소는 설폰산, 설폰산염, 카복실산, 카복실산염, 인산, 인산염, 알킬, 헤테로아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4차 암모늄염, 에스터 및 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늄(pyridinium) 또는 퀴놀리늄(quinolinium)과 같이 헤테로아릴 내 헤테로 원자가 특정 작용기로 치환되어 (+) 전하를 가지는 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은 1 내지 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생체분자와 결합하여 380nm 이상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형광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화합물 2)을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의 흡수(Absorption)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화합물 2)을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의 Fluorescence Emission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화합물 2)을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의 밝기(brightness) 스펙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화합물 7)을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의 밝기(brightness)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신규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merocyanine)계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2
여기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황, 산소, 셀레늄, NR3, CR3R4, SiR3R4 및 -CR3=CR4-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Y1 또는 Y2가 CR3R4인 경우, R3 및 R4는 서로 결합하여 4원자, 5원자 또는 6원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Q는 황, 산소 또는 NRa일 수 있다.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Ra 및 R2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설프하이드릴, 나이트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R1, R2, R3 또는 R4가 케톤기(-COR5) 또는 에스터기(-COOR5)일 때,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아미노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R9 및 R10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4원자, 5원자 또는 6원자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1, R2, R3 또는 R4가 알케닐 또는 알키닐일 때, 알케닐의 sp2-혼성 탄소 또는 알키닐의 sp-혼성 탄소가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알케닐의 sp2-혼성 탄소 또는 알키닐의 sp-혼성 탄소에 결합된 알킬의 sp3-혼성 탄소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서 Ca-Cb 작용기는 a 내지 b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a-Cb 알킬은 a 내지 b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및 분쇄 알킬 등을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기를 의미한다. 직쇄 또는 분쇄 알킬은 이의 주쇄에 10개 이하(예를 들어, C1-C10의 직쇄, C3-C10의 분쇄),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펜트-1-일, 펜트-2-일, 펜트-3-일, 3-메틸부트-1-일, 3-메틸부트-2-일, 2-메틸부트-2-일, 2,2,2-트리메틸에트-1-일, n-헥실, n-헵틸 및 n-옥틸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알콕시는 -O-(알킬)기와 -O-(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에터기 및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쇄 탄화 수소이다.
구체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ert-부톡시, sec-부톡시, n-펜톡시, n-헥속시, 1,2-다이메틸부톡시, 사이클로프로필옥시, 사이클로부틸옥시, 사이클로펜틸옥시, 사이클로헥실옥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에서 할로겐은 플루오로(-F), 클로로(-Cl), 브로모(-Br) 또는 요오도(-I)을 의미하며, 할로알킬은 상술한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할로메틸은 메틸의 수소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메틸(-CH2X, -CHX2 또는 -CX3)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아르알킬은 아릴이 알킬의 탄소에 치환된 형태의 작용기로서, -(CH2)nAr의 총칭이다. 아르알킬의 예로서, 벤질(-CH2C6H5) 또는 페네틸(-CH2CH2C6H5) 등이 있다.
-L-X 작용기에 있어서, L은 탄소,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0개의 원자, -NHCOO-, -CONH-, -CH2NH-, -CH2NR6-, -COO-, -SO2NH-, -HN-C(=NH)-NH-, -NR6-, -(CH2-CH2-O-)p-, -CH=CH-, -C≡C-, -Ar- 및 -CO-Ar-NR6-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이며, R6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콕시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Ar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는 1내지 100 의 정수이다.
반응성기에 해당하는 X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카복실(carboxyl), 숙신이미딜 에스터(succinimidyl ester),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터(sulfo-succinimidyl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말레이미드(maleimide), 할로아세트아마이드(haloacetamide), 하이드라자이드(hydrazide), 바이닐설폰(vinylsulphone), 다이클로로트리아진(dichlorotriazine), 포스포라미다이트(phosphoramidite), 알킬 할라이드(alkyl halide), 아실 할라이드(acyl halide), 카보하이드라자이드(carbohydrazid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케톤(ketone), 알카인(alkyne), 아자이드(azide),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amine), 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sulfotetrafluorophenyl ester), 설포다이클로로페닐 에스터(sulfodichlorophenyl ester), 카보닐 아자이드(carbonyl azide), 설포닐 클로라이드(sulfonyl chloride), 설포닐 플루오라이드(sulfonyl fluoride), 보론산(boronic acid),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할로겐-치환 트리아진(halogen-substituted triazine), 할로겐-치환 피리딘(halogen-substituted pyridine), 할로겐-치환 다이아진(halogen-substituted diazine),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tetrafluorophenyl ester), 이미도 에스터(imido ester), 아지도나이트로페닐(azidonitrophenyl), 글리옥살(glyoxal) 및 알데하이드 등이 있다.
-L-Z 작용기에 있어서, L은 -L-X 작용기의 L과 동일한 링커이며, Z는 형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형광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Z는 쿠마린(coumarins), 시아닌(cyanine), 보디피(bodipy), 플로세인(fluoresceins), 로다민(rhodamines), 피렌(pyrenes), 카르보피로닌(carbopyronin), 옥사진(oxazine), 잔텐(xanthenes), 티오잔텐(thioxanthene) 또는 아크리딘(acridines)이거나 화학식1일 수 있다,
Z가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경우, 링커인 L은 -L-Z 작용기의 Z에 해당하는 화학식 1의 R1, R2, R3, R4, R5 또는 Ar1에 연결되거나 R1, R2, R3, R4 또는 R5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상술한 반응성기를 통해 타겟 생체분자와 결합하여 표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반응성기들은 타겟 생체분자의 아미노기, 이미노기, 티올기 또는 하이드록실기 등과 같은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로서, 시아닌계 화합물과 타겟 생체분자 사이에 아미드 결합, 이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에스터 결합 또는 구아니딘 결합과 같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반응성기(X)는 링커(L)를 매개로 하여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본 골격에 결합됨으로써 생체분자와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사이의 입체 장애를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등과 같은 생체분자에 대한 표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R1, R2, R3, R4, R5 또는 R6가 치환된 경우, 상기 작용기 내 임의의 탄소 또는 말단 탄소는 설폰산, 설폰산염, 카복실산, 카복실산염, 인산, 인산염, 알킬, 헤테로아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4차 암모늄염, 에스터 및 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치환될 수 있으며,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여기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폴리머의 특성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치환은 폴리머의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안정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화학적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내 임의의 탄소 또는 말단 탄소는 하이드록시, 알킬 에터(메틸 에터, 에틸 에터, 프로필 에터 등), 카복실메틸 에터, 카복시에틸 에터, 벤질 에터, 다이벤질메틸렌 에터 또는 다이메틸아민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메틸 에터로 종결되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mPEG)일 수 있으며, 여기서 mPEG는 -(CH2CH2O)nCH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에틸렌 글라이콜 반복 단위의 수에 해당하는 n의 크기에 따라 mPEG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카운터 이온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운터 이온은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으로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용해도 및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카운터 이온의 예로서, 포스포릭산 육플루오라이드 이온, 할로겐 이온, 포스포릭산 이온, 과염소산 이온, 과요오드산 이온, 안티몬 육플루오라이드 이온, 주석산 육플루오라이드 이온, 플루오로보릭산 이온 및 사플루오르 이온 등과 같은 무기산 음이온과 티오시안산 이온, 벤젠설폰산 이온, 나프탈렌설폰산 이온, p-톨루엔설폰산 이온, 알킬설폰산 이온, 벤젠카르복실산 이온, 알킬카르복실산 이온, 삼할로알킬카르복실산 이온, 알킬설폰산 이온, 트라이할로알킬설폰산 이온, 및 니코틴산 이온 등과 같은 유기산 이온이 있다. 또한, 비스페닐디톨, 티오비스페놀 킬레이트 및 비스디올-α-디켄톤 등과 같은 금속 화합물 이온, 소듐 및 포타슘 등과 같은 금속 이온과 4차 암모늄 염도 카운터 이온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Ar1이 치환된 경우, 상기 작용기 내 임의의 탄소는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나이트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설폰아마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Ar1에 치환된 작용기 중 서로 인접한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4원자, 5원자 또는 6원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4
[화학식 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5
여기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나이트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설폰아마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며, Y3은 황, 산소, 셀레늄, NR3, CR3R4, SiR3R4 또는 -CR3=CR4-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화합물 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6
[화합물 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7
[화합물 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8
[화합물 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09
[화합물 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0
[화합물 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1
[화합물 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2
[화합물 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3
[화합물 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4
[화합물 1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5
[화합물 1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6
[화합물 1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7
[화합물 1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8
[화합물 1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19
[화합물 1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0
[화합물 1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1
[화합물 1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2
[화합물 1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3
[화합물 1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4
[화합물 2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5
[화합물 2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6
[화합물 2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7
[화합물 2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8
[화합물 2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29
[화합물 2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0
[화합물 2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1
[화합물 2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2
[화합물 2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3
[화합물 2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4
[화합물 3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5
[화합물 3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6
[화합물 3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7
[화합물 3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8
[화합물 3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39
[화합물 3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0
[화합물 3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1
[화합물 3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2
[화합물 3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3
[화합물 3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4
[화합물 4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5
[화합물 4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6
[화합물 4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7
[화합물 4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8
[화합물 4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49
[화합물 4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0
[화합물 4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1
[화합물 4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2
[화합물 4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3
[화합물 4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4
[화합물 5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5
[화합물 5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6
[화합물 5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7
[화합물 5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8
[화합물 5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59
[화합물 5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0
[화합물 56]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1
[화합물 57]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2
[화합물 58]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3
[화합물 59]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4
[화합물 60]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5
[화합물 61]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6
[화합물 62]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7
[화합물 63]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8
[화합물 64]
Figure 112018093223642-pat00069
[화합물 65]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0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타겟이 되는 생체분자는 항체, 지질, 단백질, 펩타이드, 탄수화물, 핵산(뉴클레오타이드 포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지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지방산(fatty acids), 인지질(phospholipids), 리포폴리당류(lipopolysaccharides) 등이 있으며, 탄수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예를 들어, 덱스트란)을 포함한다.
이 때, 생체분자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의 임의의 작용기 또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에 결합된 반응성기와 반응하기 위한 작용기로서, 아미노, 설프하이드릴(sulphydryl), 카보닐, 하이드록실, 카복실, 포스페이트 및 티오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의 유도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생체분자는 아미노, 설프하이드릴(sulphydryl), 카보닐, 하이드록실, 카복실, 포스페이트 및 티오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의 유도체 형태를 가지는 옥시 또는 디옥시 폴리핵산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생체분자 이외에 아미노, 설프하이드릴(sulphydryl), 카보닐, 하이드록실, 카복실, 포스페이트 및 티오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물, 호르몬(수용체 리간드 포함), 수용체, 효소 또는 효소 기질, 세포, 세포막, 독소, 미생물 또는 나노 바이오 소재(폴리스타이렌 마이크로스피어 등) 등을 표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는 타겟 생체분자와의 반응을 위한 효소, 용매(완충액 등) 및 기타 시약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매로는 포스페이트 완충액, 카보네이트 완충액 및 트리스 완충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완충액,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클로로메탄, 메탄올, 에탄올 및 아세토나이트릴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의 종류에 따라 시아닌계 화합물에 다양한 작용기를 도입함으로써 용해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방식으로 투여되기 위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또는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를 이용한 생체분자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를 이용한 생체분자의 검출 방법
화학식 1 내지 화힉식 4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로 생체분자를 표지하는 방법으로는 표지된 고체 또는 반고체 상태의 생체분자의 형광을 측정하는 검출 방법이 가능한 모든 생체분자의 검출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형광 염료 대신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고감도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조작성이 뛰어난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생체분자에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직접 반응시켜 생체분자를 표지하거나 타겟 생체분자와 메로시아닌계 화합물로 표지된 프로브를 반응시켜 표지하는 방법 등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생체분자의 종류에 따라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에 적절한 반응성기를 도입함으로써 타겟-특이적 상호작용을 이용한 생체분자의 검출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로시아닌계 화합물로 표지한 생체분자를 전기영동을 통해 동정하는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법
DNA 마이크로 어레이법은 검출해야 할 표적 핵산에 염료를 반응시켜 표지하는 한편, 표적 핵산에 대하여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는 단일사슬의 프로브 핵산을 준비하고, 단일사슬으로 변성시킨 표적 핵산과 프로브 핵산을 기판 위에서 혼성화하여, 표적 핵산의 형광을 측정한다.
본 검출 방법에서 기판에 고정하는 프로브 핵산으로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는 경우, cDNA 등의 cDNA의 라이브러리, 게놈의 라이브러리 또는 모든 게놈을 주형(鑄型)으로 하여 PCR법에 의해 증폭하여 조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의 변이 등을 조사하는 경우, 표준이 되는 이미 알려진 서열을 근거로 하여, 변이 등에 대응하는 여러가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브 핵산을 기판 위에 고정하는 것은, 핵산의 종류나 기판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A의 전하를 이용하여, 폴리리신 등의 양이온으로 표면처리한 기판에 정전결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단일사슬으로 변성시킨 표적 핵산과 표지용 염료를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표지용 염료에 의해 표지된 표적 핵산을 조제한다. 반응온도는 실온~60℃, 반응시간은 2~48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표지된 표적 핵산을 기판 위에 점적하고, 혼성화한다.
혼성화는 실온~70℃, 그리고 2~48시간의 범위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성화에 의해 프로브 핵산과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는 표적 핵산이 선택적으로 프로브 핵산과 결합한다. 그 후, 기판을 세정하고 실온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건조한 기판 표면의 형광강도를 형광 레이저 스캐너법에 의해 측정한다. 형광강도에 의해 유전자 발현의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성화는 프로브 핵산을 기판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미리 염료로 표지한 표적 핵산을 기판에 고정하고, 프로브 핵산을 기판 위에 점적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PCR 법
PCR법은, 검출해야 할 표적 핵산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염료로 표지하고, 표적 핵산의 증폭에 앞서 혹은 증폭시킨 후에 표적 핵산과 프로브를 반응시켜, 표적 핵산의 형광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적 핵산의 신장반응은 효소(DNA 중합효소(polymerase), RNA 중합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때 표적 핵산과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가 형성한 이중사슬 핵산서열을 효소가 인식하여, 이 인식한 위치로부터 신장반응이 이루어지고,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 영역만을 증폭시킨다.
효소가 합성을 할 때, 뉴클레오티드(dNTP, NTP)를 원료로 하여 합성반응이 이루어진다.
이 때 통상의 뉴클레오티드(dNTP, NTP)에 염료를 가지는 뉴클레오티드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면, 그 비율의 염료가 도입된 핵산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PCR에 의해 임의의 비율로 아미노기를 가지는 뉴클레오티드를 도입한 후에 표지용 염료를 결합하여, 표지용 염료가 도입된 핵산을 합성할 수도 있다.
효소가 합성을 할 때 뉴클레오티드를 원료로 합성반응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의 뉴클레오티드의 3'의 OH를 H로 바꾼 것을 사용한 경우, 더 이상 핵산의 신장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시점에서 반응이 종료한다.
이 뉴클레오티드, ddNTP (dideoxy nucleotide triphospate)는 터미네이터라고 불린다.
통상의 뉴클레오티드에 터미네이터를 섞어 핵산을 합성하면, 일정한 확율로 터미네이터가 도입되어 반응이 종료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의 핵산이 합성된다.
이것을 겔 전기영동에 의해 크기 분리하면, 길이의 순번마다 DNA가 늘어서게 된다. 여기서, 터미네이터의 각 염기의 종류마다 다른 표지용 염료로 표지해두면, 합성반응의 종점(3' 말단)에는 각 염기에 의존한 경향이 관찰되어, 터미네이터에 표지한 표지용 염료를 기점으로 형광정보를 읽어냄으로써, 그 표적 핵산의 염기서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터미네이터 대신에 미리 표지용 염료로 표지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표적 핵산과 혼성화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브로서 PNA(펩티드 핵산)를 사용할 수도 있다. PNA는 핵산의 기본 골격 구조인 오탄당·인산골격을, 글리신을 단위로 하는 폴리아미드 골격으로 치환한 것으로, 핵산과 많이 닮은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는 핵산에 대하여 매우 특이적이며 강력하게 결합한다. 이를 통해, ISH (in-situ hybridization)법 등 기존의 DNA 해석방법 뿐만 아니라, 텔로미어(telomere, 말단소립) PNA 프로브에 응용함으로써, 텔로미어 연구의 시약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검출에는 예를 들어, 이중사슬 DNA를, DNA의 염기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지며 표지용 염료로 표지된 PNA와 접촉시켜 혼성화하고, 그 혼합물을 가열하여 단일사슬 DNA를 생성하며,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까지 냉각하여 PNA-DNA 복합체를 조제하고, 그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표적 핵산을 PCR법에 의해 증폭시켜 생성물의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방법에서는 전기영동으로 생성물의 크기를 확인하고, 그 후 형광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증폭생성물의 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형광염료의 에너지 트랜스퍼를 이용하고, PCR법의 생성물에 혼성화시킴으로써 형광이 발생하도록 고안된 프로브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물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너와 억셉터를 표지한 DNA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검출 방법으로는 특정 서열의 핵산의 존재를 확인하는 분자비콘법이나 TaqMan-PCR법이나 사이클링 프로브(cycling probe)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을 검출대상으로 하는 경우, 전기영동 후의 단백질의 검출에는 염색염료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전기영동 후의 겔 안에 염색염료 예를 들어, CBB(Coomassie Brilliant Blue)를 침투시켜 단백질을 염색하고, UV를 조사하여 발광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다만, 종래의 염색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감도가 100ng 정도로 낮아, 미량의 단백질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겔을 통하여 염색염료를 침투시키기 때문에, 염색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을 전기영동에 의해 크기 분리한 후, 분리한 단백질에 표지용 염료를 결합시킴으로써 단백질을 표지한다.
본 발명의 표지용 염료는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과 빠르게 정량적으로 반응하고, 더욱이 고감도이어서, 미량의 단백질 검출에 적합하다. 더욱이, 크기 분리한 단백질을 질량 분석하여 동정(同定)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백질에는 알부민, 글로불린, 글루테린, 히스톤, 프로타민, 그리고 콜라겐 등의 단순 단백질, 핵단백질, 당단백질, 리보단백질, 인단백질, 금속단백질 등의 복합 단백질 중 어느 것이든 검출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단백질, 당단백질, 총단백질의 염색염료에 대응시켜 3종의 표지용 염료를 사용하고, 2차원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단백질 시료에 있어서, 인단백질, 당단백질 및 총단백질을 염색할 수 있다.
또한, TOF-Mass 등의 질량분석을 함으로써 단백질을 동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단백질을 생성시키는 암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등의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이며, 독특한 섬유형상 구조를 가진다. 즉, 3중 폴리펩티드 사슬로 이루어지며, 그 펩티드 사슬이 모여 3중 사슬을 형성한다. 콜라겐은 일반적으로 매우 면역원성이 낮은 단백질로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브에 압타머(aptam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압타머는 올리고 핵산으로 이루어지며, 염기서열에 의존하여 여러가지 특징있는 입체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입체구조를 통하여 단백질을 포함하는 모든 생체분자에 결합할 수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표지용 염료로 표지한 압타머를 특정 단백질에 결합시켜, 피검체와의 결합에 의한 단백질의 구조 변화에 따른 형광 변화로부터 간접적으로 피검체를 검출할 수 있다.
기타 검출 방법
또한, 본 발명의 표지용 염료를 특이결합을 사용한 생체분자의 검출 방법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생체분자로 이루어지는 피검체 또는 수식물질에 의해 수식된 이 피검체의 검출에 있어, 피검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물질 또는 수식 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물질 중 하나를, 표지용 염료로 표지하고, 표지된 결합물질로부터의 형광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검체 또는 수식물질과 상기 결합물질의 조합에는, 항원-항체, 합텐-항합텐 항체, 비오틴-아비딘, Tag-항 Tag항체, 렉틴-당단백질 또는 호르몬-수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용액, 비즈 또는 항체에 존재하는 항원에 대하여 표지용 염료로 표지한 항체 등의 결합 물질을 반응시켜, 항체의 항원 특이적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 항원을 검출할 수 있다.
항원으로는 단백질, 다당류, 핵산, 펩티드 등이 가능하며, 항원 이외에 FITC나 디니트로페닐기 등의 저분자량 분자과 같은 합텐도 사용 가능하다. 이 때, 항원(또는 합텐)과 항체의 조합으로는 GFP와 항 GFP항체, FITC와 항FITC 항체 등이 있다.
표지된 항원들은 면역염색, ELISA,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플로우 사이토미트리(Flow cytometry) 등의 각종 측정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지용 염료를 이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signaling) 현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내부 신호 전달 또는 이에 따른 세포의 반응에는 다양한 효소 등이 관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신호 전달 현상에서는 특수한 단백질 인산화효소(protein kinase)가 활성화되며, 이에 따라 단백질의 인산화가 유도되어 신호 전달의 개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클레오티드(예를 들어, ATP 또는 ADP)의 결합과 가수분해는 이들의 활성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뉴클레오티드 유도체에 표지용 염료를 도입함으로써, 세포 내 신호 전달 현상을 고감도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지용 염료를 RNA 간섭작용(RNAi)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현상의 관찰에 이용할 수도 있다.
RNAi는 이중사슬 RNA(dsRNA)를 세포에 도입함으로써, 표적 유전자의 mRNA를 분해하여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설계된 dsRNA를 표지용 염료로 표지함으로써 RNAi 현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지용 염료는 조직 또는 세포 내의 표적 핵산 또는 표적 단백질을 표지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포함함으로써 표적 핵산의 전사 수준 또는 표적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한 염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제조예 1: 화합물 1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1
중간체 1(Nucleic acids research, 40(14), e108; 2012 및 Tetrahedron, 41(22), 5341; 1985) 5.0g, 다이메틸말로네이트 6.9g, 피페리딘 3.0g, 메탄올 100mL를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감압 농축 후, 클로로포름 및 50% 황산 수용액을 투입하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후, 염화메틸렌으로 유기층을 추출하여 이를 감압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을 제조하였다(1.5g, MS (ESI): m/z 326.2).
제조예 2: 화합물 2 및 화합물 3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2
화합물 1 400mg 과 황산 8mL를 반응기에 투입 후, 48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이를 0℃로 냉각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후 여과시켰다. 여액을 감압 농축시키고, 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2 (122mg, MS (ESI): m/z 389.8)과 화합물 3 (30mg, MS (ESI): m/z 346.2)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화합물 4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3
중간체 1 (Nucleic acids research, 40(14), e108; 2012 및 Tetrahedron, 41(22), 5341; 1985) 5.0g, 다이메틸말로네이트 6.9g, 피페리딘 3.0g, 메탄올 100mL를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감압 농축 후, 클로로포름 및 50% 황산 수용액을 투입하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후, 염화메틸렌으로 유기층을 추출하여 이를 감압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4를 제조하였다(1.5g, MS (ESI): m/z 310.2).
제조예 4: 화합물 5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4
화합물 1 300mg과 수산화나트륨240mg, 메탄올5mL, 물5mL를 투입후, 12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이를 0℃로 냉각하고, 염산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이 후, 염화메틸렌을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여 이를 감압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5를 제조하였다(120mg, MS (ESI): m/z 312.1).
제조예 5: 화합물 6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5
중간체 2 (Nucleic acids research, 40(14), e108; 2012 및 Tetrahedron, 41(22), 5341; 1985) 5.0g, 다이메틸말로네이트 6.9g, 피페리딘 3.0g, 메탄올 100mL를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고 감압 농축 후, 클로로포름 및 50% 황산 수용액을 투입하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후, 염화메틸렌으로 유기층을 추출하여 이를 감압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6을 제조하였다(1.5g, MS (ESI): m/z 376.2).
제조예 6: 화합물 7 및 화합물 8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6
화합물 6 400mg 과 황산 8mL를 반응기에 투입 후, 48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이를 0℃로 냉각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한 후 여과시켰다. 여액을 감압 농축시키고, 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 (122mg, MS (ESI): m/z 439.7)과 화합물 8 (30mg, MS (ESI): m/z 395.8)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화합물 65의 제조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7
제조예 1에서 중간체 1 대신 중간체 3 (Dyes and Pigments (2014), 101, 1-8, Nucleic acids research, 40(14), e108; 2012 및 Tetrahedron, 41(22), 5341; 198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합물 65를 제조하였다(0.4g, MS (ESI): m/z 442.2).
실험예 1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7에서 얻어진 각각의 화합물에 대하여, 흡수 스펙트럼, 발광 스펙트럼, 몰흡광계수 및 양자 효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용매 λex(nm) λem(nm) ε(Lmol-1cm-1) φ
화합물 1 DMSO 456 479 63,000 0.900
화합물 2 PBS 451 487 44,000 0.796
H2O 453 489 45,000 0.718
DMSO 468 500 30,000 0.768
MeOH 463 493 50,000 0.625
CH2Cl2 429 495 20,000 0.169
화합물 3 PBS 423 492 28,000 0.759
H2O 423 492 28,000 0.764
DMSO 416 470 27,000 0.645
MeOH 410 484 27,000 0.667
CH2Cl2 403 464 22,000 0.227
화합물 4 DMSO 492 516 47,000 0.910
화합물 5 PBS 454 483 49,000 0.633
H2O 452 483 50,000 0.062
DMSO 466 490 49,000 0.913
EtOH 462 485 51,000 0.412
화합물 6 DMSO 474 503 53,000 0.928
화합물 7 H2O 470 502 45,000 0.649
DMSO 486 517 43,000 0.788
EtOH 482 511 47,000 0.587
화합물 8 DMSO 442 480 32,000 0.767
화합물 9 DMSO 492 516 47,000 0.910
화합물 16 DMSO 494 519 47,000 0.935
PBS 492 516 51,000 0.417
H2O 492 516 48,000 0.405
EtOH 490 516 47,000 0.872
CH2Cl2 488 515 49,000 0.137
화합물 60 DMSO 476 513 42,000 -
H2O 476 523 38,000 -
EtOH 474 519 42,000 -
CH2Cl2 470 511 41,000 -
화합물 61 DMSO 480 525 47,000 -
PBS 468 518 46,000 -
H2O 468 516 46,000 -
EtOH 480 525 49,000 -
CH2Cl2 484 522 46,000 -
화합물 62 DMSO 492 516 46,000 0.958
PBS 486 520 29,000 0.193
H2O 468 520 26,000 0.194
EtOH 486 516 47,000 0.820
CH2Cl2 486 511 42,000 0.944
화합물 63 DMSO 416 470 15,000 -
PBS 434 507 17,000 -
H2O 432 506 17,000 -
EtOH 416 485 15,000 -
CH2Cl2 414 466 15,000 -
화합물 64 DMSO 412 472 26,000 0.84
PBS 423 503 27,000 0.95
H2O 422 500 26,000 0.91
EtOH 408 483 28,000 0.78
CH2Cl2 414 468 22,000 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다양한 용매에 용해되어 높은 흡광계수 및 양자 효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380 nm의 가시광 파장대에서 형광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실험예 2
Goat Anti-Mouse IgG를 0.1M sodium bicarbonate buffer로 희석하여 1mg/ml protein solution을 제조한 후 8개의 튜브에 각각 125μl씩 protein solution을 담았다.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2를 포함하는 Dye solution (5mg/ml)을 1, 2, 3, 5, 7, 9, 11, 13μl씩 준비된 튜브에 담고 바로 vortex 시켰다. 이어서, 상온에서 locker에 30분 동안 흔들어 준 후 Amicon centrifuge filter에 반응 용액을 담았다. Centrifuge로 free dye가 제거될 때까지 PBS로 여과시켰다(14000rpm, 10분, 5회).
Amicon tube에 centrifuge filter를 뒤집어 결합한 뒤 여액을 회수한 후(1000rpm, 2분), PBS 1 ml로 희석시킨 다음 UV, PL 및 microplate reader로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단백질에 대한 염료의 비율은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결정했다.
Figure 112018093223642-pat00078
Adye : 라벨링한 후 염료의 최대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
A280 : 280nm에서의 흡광도
Eprot : 280nm에서의 단백질의 몰흡광계수(IgG의 경우 210,000)
Edye : 최대흡수 파장에서의 염료의 몰흡광계수
X : 280nm에서의 흡광도 / 화합물2의 최대흡수 파장에서의 흡광도
화합물 2를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지된 후의 스펙트럼 패턴을 확인할 수 있고, D/P ratio가 1에서 5로 커질수록 밝기(Brightness)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Goat Anti-Mouse IgG를 0.1M sodium bicarbonate buffer로 희석하여 1mg/ml protein solution을 제조한 후 7개의 튜브에 각각 125μl씩 protein solution을 담았다. 제조예 6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 7을 포함하는 Dye solution (5mg/ml)을 1, 2, 3, 4, 5, 6, 7μl씩 준비된 튜브에 담고 바로 vortex 시켰다. 이어서, 상온에서 locker에 30분 동안 흔들어 준 후 Amicon centrifuge filter에 반응 용액을 담았다. Centrifuge로 free dye가 제거될 때까지 PBS로 여과시켰다(14000rpm, 10분, 5회).
Amicon tube에 centrifuge filter를 뒤집어 결합한 뒤 여액을 회수한 후(1000rpm, 2분), PBS 1 ml로 희석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로 fluorescence를 측정하였다.
화합물 7을 Goat Anti-Mouse IgG에 라벨링한 후 밝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 4를 참고하면, D/P ratio가 6일때, 최대 밝기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로시아닌(merocyanine)계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48400373-pat00079

    여기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이며,
    Y1은 황, 산소, 셀레늄, NR3, CR3R4 및 SiR3R4로부터 선택되며,
    Y2는 황, 산소, 셀레늄, NR3 및 SiR3R4로부터 선택되며,
    Q는 황, 산소 또는 NRa이며,
    Ra는 수소 또는 중수소이며,
    R1은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R2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설프하이드릴, 나이트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케톤(-COR5), 알데하이드,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며,
    R1, R2, R3 또는 R4가 케톤기(-COR5) 또는 에스터기(-COOR5)일 때,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아미노알킬로부터 선택되며,
    R9 및 R10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L-X 및 -L-Z 작용기에 있어서,
    L은 탄소,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0개의 원자, -NHCOO-, -CONH-, -CH2NH-, -CH2NR6-, -COO-, -SO2NH-, -HN-C(=NH)-NH-, -NR6-, -(CH2-CH2-O-)p-, -CH=CH-, -C≡C-, -Ar- 및 -CO-Ar-NR6-으로부터 선택되는 링커이며, R6은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6알콕시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며, Ar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p는 1내지 100 의 정수이며,
    X는 카복실(carboxyl), 숙신이미딜 에스터(succinimidyl ester), 설포-숙신이미딜 에스터(sulfo-succinimidyl ester),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말레이미드(maleimide), 할로아세트아마이드(haloacetamide), 하이드라자이드(hydrazide), 바이닐설폰(vinylsulphone), 다이클로로트리아진(dichlorotriazine), 포스포라미다이트(phosphoramidite), 알킬 할라이드(alkyl halide), 아실 할라이드(acyl halide), 카보하이드라자이드(carbohydrazid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케톤(ketone), 알카인(alkyne), 아자이드(azide),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amine), 설포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sulfotetrafluorophenyl ester), 설포다이클로로페닐 에스터(sulfodichlorophenyl ester), 카보닐 아자이드(carbonyl azide), 설포닐 클로라이드(sulfonyl chloride), 설포닐 플루오라이드(sulfonyl fluoride), 보론산(boronic acid),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할로겐-치환 트리아진(halogen-substituted triazine), 할로겐-치환 피리딘(halogen-substituted pyridine), 할로겐-치환 다이아진(halogen-substituted diazine), 테트라플루오로페닐 에스터(tetrafluorophenyl ester), 이미도 에스터(imido ester), 아지도나이트로페닐(azidonitrophenyl), 글리옥살(glyoxal) 및 알데하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성기이며,
    Z는 쿠마린(coumarins), 시아닌(cyanine), 보디피(bodipy), 플로세인(fluoresceins), 로다민(rhodamines), 피렌(pyrenes), 카르보피로닌(carbopyronin), 옥사진(oxazine), 잔텐(xanthenes), 티오잔텐(thioxanthene), 아크리딘(acridines) 및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로부터 선택되는 형광단이며,
    [화학식]
    Figure 112021048400373-pat00087

    (여기서, Ar1, Y1, Y2, Q, m, R1 내지 R10은 화학식 1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되, R1 내지 R4 중 하나는 화학식 1의 L과의 연결 위치이다)
    R1, R2, R3, R4, R5 또는 R6가 치환된 경우, 상기 작용기 내 임의의 탄소 또는 말단 탄소는 설폰산, 설폰산염, 카복실산, 카복실산염, 인산, 인산염, 알킬, 헤테로아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4차 암모늄염, 에스터 및 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치환될 수 있으며,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r1이 치환된 경우, 상기 작용기 내 임의의 탄소는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나이트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설폰아마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4원자, 5원자 또는 6원자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는,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20143946597-pat00080


    [화학식 3]
    Figure 112020143946597-pat00081


    [화학식 4]
    Figure 112020143946597-pat00082


    여기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알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할로알킬, 할로겐, 사이아노, 하이드록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 카바메이트, 나이트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설폰아마이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복실, 카복실산염,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르알킬, 4차 암모늄, 인산, 인산염, 에스터(-COOR5), 아실클로라이드, 설폰산, 설폰산염, -L-X 작용기 및 -L-Z 작용기로부터 선택되며,
    Y3은 황, 산소, 셀레늄, NR3, CR3R4, SiR3R4 또는 -CR3=CR4-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분자는 항체, 지질, 단백질, 펩타이드, 탄수화물 및 핵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7. 제6항에 따른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키트.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로시아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
  9. 삭제
KR1020180111943A 2017-10-17 2018-09-19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KR10226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1689 WO2019078513A1 (ko) 2017-10-17 2018-10-02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US16/848,586 US11292798B2 (en) 2017-10-17 2020-04-14 Merocyanine-based compound and biomolecular labeling dye, kit and contrast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4842 2017-10-17
KR1020170134842 201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75A KR20190043075A (ko) 2019-04-25
KR102260233B1 true KR102260233B1 (ko) 2021-06-03

Family

ID=6628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943A KR102260233B1 (ko) 2017-10-17 2018-09-19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616A (en) 1986-04-18 1996-01-23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 for labeling and detecting materials employing arylsulfonate cyanine dyes
US6458966B1 (en) 1997-08-04 2002-10-01 Nycomed Amersham Plc Dye intermediat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0601B (zh) * 2015-07-16 2021-06-29 Sfc株式会社 染料化合物
KR20170101360A (ko) * 2016-02-26 2017-09-06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616A (en) 1986-04-18 1996-01-23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 for labeling and detecting materials employing arylsulfonate cyanine dyes
US6458966B1 (en) 1997-08-04 2002-10-01 Nycomed Amersham Plc Dye intermediat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75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1282A (ko)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KR102645305B1 (ko) 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KR20210151240A (ko) 링커 그룹을 갖는 중합체성 탠덤 염료
KR20200133374A (ko) 링커 군을 갖는 중합체성 텐덤 염료
KR20180129896A (ko) 강성 공간군을 갖는 매우 밝은 이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염료
US8541555B2 (en) Hydrazone-based and oxime-based fluorescent and chromophoric/pro-fluorescent and pro-chromophoric reagents and linkers
US9127164B2 (en) Fluorescent dyes and uses thereof
WO1998049176A1 (en) Glycoconjugated fluorescent labeling reagents
CN1902490B (zh) 生物分子检测方法及其所用的标记染料和标记试剂盒
JP5881624B2 (ja) 蛍光色素
JP2001002951A (ja) 新規な蛍光色素およびその蛍光マーカーとしての使用
US7351829B2 (en) Compounds on the basis of 2- and 4-chromenylidene-merocyanines respectively, and their use
KR102260233B1 (ko) 메로시아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생체분자 표지용 염료, 키트 및 조영제 조성물
US11597842B2 (en) Labeling dye and kit including same
US11292798B2 (en) Merocyanine-based compound and biomolecular labeling dye, kit and contrast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2150858A1 (en) Novel hydrazone-based and oxime-based fluorescent and chromophoric/pro-fluorescent and pro-chromophoric reagents and linkers
US20120016128A1 (en) Rhodamine lactone phosphoramidites and polymers
KR102593166B1 (ko) 표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지용 키트
JP2016196608A (ja) 蛍光色素
WO2019098756A2 (ko) 표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20220089636A (ko) 리포터 및 이의 용도
JP7479660B2 (ja) 蛍光色素
KR20230120998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20127142A (ko) 리포터 및 이의 용도
KR20190059842A (ko) 표지용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지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