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910B1 -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910B1
KR102259910B1 KR1020200183348A KR20200183348A KR102259910B1 KR 102259910 B1 KR102259910 B1 KR 102259910B1 KR 1020200183348 A KR1020200183348 A KR 1020200183348A KR 20200183348 A KR20200183348 A KR 20200183348A KR 102259910 B1 KR102259910 B1 KR 10225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upled
state
coupling
referenc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재
임지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4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connecting-rods, i.e. 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3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positioned in or via the hea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킥스탠드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여 레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ICKSTAND AND STEAM GENERATOR EXA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의 내부에는 증기발생기의 타입에 따라 수천에서 수만 개의 전열관이 다발로 설치되어 있다.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관의 안쪽에는 원자로의 핵반응 열을 품은 고온, 고압의 방사능 유체가 흐르고 밖으로는 증기로 변환되는 비방사능 유체가 흐르고 있어, 전열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곧바로 방사능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열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작업자가 직접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전열관 다발의 내부 틈새에 검사 장치를 삽입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검사한 후, 이물질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는, 작업자들을 장시간동안 다량의 피폭량에 노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을 피폭에 노출시키지 않고, 증기발생기의 외부로부터, 원격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전열관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여, 외부로부터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의 검사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일종으로 핸드홀에 설치되되 내부로 길게 삽입되는 레일을 이용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외팔보와 같이 레일이 설치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레일 끝이 자중에 의해 처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레일이 처질 경우, 검사를 위한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고, 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사장치의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는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여 레일의 처짐이 방지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되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기준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 구조의 검사를 위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검사부; 및 상기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는 킥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킥스탠드는,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검사장치의 레일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증기발생기의 일부와 이에 삽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의 제1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의 제2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말단을 핸드홀에 삽입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말단을 핸드홀에 삽입한 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말단을 증기발생기의 중심영역의 플랜지에 도달하게 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증기발생기(SG)의 일부와 이에 삽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증기발생기(SG)의 내부로 핸드홀(H)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핸드홀(H)을 통해 삽입되어, 증기발생기(SG) 내부의 중심에 위치한 중심영역의 중심벽(CS)과 인접한 위치까지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가 닿을 수 있고, 증기발생기(SG) 내부에 위치한 전열관들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이라 하여 반드시 연직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준방향은 전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고정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는 핸드홀(H)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증기발생기(SG)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부(40)는 핸드홀(H) 주변의 증기발생기(SG)의 내벽과 외벽을 가압할 수 있는 척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증기발생기(SG)에 대한 고정 및 해제를 위해 조절볼트와 같은 수단을 포함하여 파지 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 및 조절수단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레일(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20)은 기준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되는 증기발생기(SG)의 핸드홀(H)에 기준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고정부(40)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일(20)은 복수 개의 레일(20) 유닛을 전후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검사부(30)를 포함할 수있다. 검사부(30)는 레일(20)에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증기발생기(SG)의 내부에서 운용될 수 있는 내시경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장치는 전열관의 사이로 삽입되는 가요성의 내시경몸체와, 내시경몸체의 말단에 위치하여 촬영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내시경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장치를 이용해서 증기발생기(SG)의 내부 구조와 전열관들을 검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10)의 제1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10)의 제2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킥스탠드(10)를 포함한다. 킥스탠드(10)는 레일(20)의 기준방향측 말단인 전단에 결합된다.
결합부(12)
킥스탠드(10)는 결합부(12)를 포함한다. 결합부(12)는 레일(20)의 전단에 결합된다. 결합부(12)에는 스탠드부(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에 스탠드부(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결합부(12)에는 전방과 상하방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스탠드부(1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결합홈을 둘러싼 결합부(12)의 다리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구멍이 뚫려 회전 가능하게 축부재(13)가 삽입될 수 있다. 축부재(13)가 스탠드부(11)에 결합되는데, 축부재(13)는 스탠드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12)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4)은 결합부(12)의 하단이 상방으로 파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10)는 걸림돌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5)는 소정 크기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걸림홈(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후술할 제2 상태에서 걸림홈(14)에 삽입되게 스탠드부(11)에 결합된다. 걸림돌기(15)는 후술할 제1 세로 피스톤(1111)의 부분 중 제1 세로 하우징(1112)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돌기(15)가 제2 상태에서 걸림홈(14)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킥스탠드(10)는 외력을 가하는 등의 방해요소가 있다 하더라도 제2 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다.
스탠드부(11)
스탠드부(11)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부(1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증기발생기(SG) 내부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전체적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하측에 오는 증기발생기(SG)의 바닥면을 지면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스탠드부(11)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결합부(12)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레일(20)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에 놓일 수 있다. 회전함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스탠드부(11)가 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핸드홀(H)에 삽입될 때에는 제1 상태에 놓여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핸드홀(H)을 통해 삽입되어 증기발생기(SG)의 내부에 위치할 때에는 레일(20)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레일(20)을 지지하기 위해 제2 상태에 놓일 수 있다. 핸드홀(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상태에서 스탠드부(11)가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는, 스탠드부(11)가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스탠드부(11)의 상단의 높이는, 레일(20)의 상단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기준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서는 제한적인 높이를 가질 수 밖에 없는 핸드홀(H)을 통해서, 제1 상태의 스탠드부(1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제2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로몸체(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킥스탠드(10)의 제1 상태에서의 전후방향 길이 또는 제2 상태에서의 상하방향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의 킥스탠드(1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레일(20)과 고정부(4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세로몸체(111, 112)의 제2 상태에서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레일(20)을 지지할 수 있다.
세로몸체(111, 112)는 제2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피스톤(1111, 1121)을 포함할 수 있고, 세로 피스톤(1111, 1121)과 결합되는 세로 하우징(1112, 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 하우징(1112, 1122)은 제2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세로 피스톤(1111, 1121)이 삽입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세로 결합개소 중 하나에서 세로 피스톤(1111, 1121)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태에서 세로 하우징(1112, 1122)과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한 뒤 세로 하우징(1112, 1122)과 세로 피스톤(1111, 1121)을 그 상태로 고정하여 세로몸체(111, 112)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세로 결합개소에 대응되는 세로 하우징(1112, 1122) 상의 위치에는, 각각 세로 결합공(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세로 결합공(1120)은 좌우방향을 따라 세로 하우징(1112, 112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로몸체(111, 112)는 세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결합돌기는 세로 결합공(1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세로 결합돌기는 세로 피스톤(1111, 1121)에 결합된다. 세로 결합돌기는 세로 하우징(1112, 1122)의 내측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세로 결합공(1120)에 삽입되어 세로 하우징(1112, 1122)으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세로 피스톤(1111, 1121)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 결합돌기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세로 하우징(1112, 1122)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세로 하우징(1112, 1122)과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제2 상태에서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에 가장 가까운 높이를 세로몸체(111, 112)가 가지도록 하는 세로 결합공(1120)에 세로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세로 하우징(1112, 1122)과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세로 결합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세로몸체(111, 112)의 제2 상태에서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세로몸체(111, 112)는 볼 롤러(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롤러(1123)는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닿도록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 롤러(1123)가,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하단에 결합되는 롤러 하우징과, 롤러 하우징에 복수의 축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볼 롤러 자체가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세로 피스톤(1111, 112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볼 롤러(1123)가 배치되어, 킥스탠드(10)가 지면에 닿았을 때 마찰 없이 용이하게 증기발생기(SG) 내부에서 진행할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탠드부(11)는 제1 세로몸체(111)와 제2 세로몸체(1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세로몸체(111)와 제2 세로몸체(112)를 연결하는 가로몸체(11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몸체들이 절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세로몸체(111)와 제2 세로몸체(112)는 상술한 세로 피스톤(1111, 1121)과 세로 하우징(1112, 1122)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즉 제1 세로몸체(111)는 제1 세로 피스톤(1111)과 제1 세로 하우징(1112)을, 제2 세로몸체(112)는 제2 세로 피스톤(1121)과 제2 세로 하우징(1122)을 가질 수 있다. 볼 롤러(1123)는 제2 상태에서 제2 세로몸체(11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로몸체(111)는 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상태에서 결합부(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세로몸체(112)는 제2 상태에서 후술할 가로몸체(113)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로몸체(113)는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전후방향 양단이 각각 제1 세로몸체(111)의 하단과 제2 세로몸체(112)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10)는 연결몸체(11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연결몸체(114)가 일단은 상방을 향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하는 휘어진 형태를 가져, 제1 세로몸체(111)의 하단과 가로몸체(113)의 전단을 연결할 수 있다.
가로몸체(113)는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킥스탠드(10)의 제1 상태에서의 상하방향 높이 또는 제2 상태에서의 전후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핸드홀(H)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가로몸체(113)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핸드홀(H)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킥스탠드(10)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몸체(113)가 있어 절곡된 형상을 킥스탠드(10)가 가지므로, 후술할 플랜지(F)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가로몸체(113)는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피스톤(1131)을 포함할 수 있고, 가로 피스톤(1131)과 결합되는 가로 하우징(11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 하우징(1132)은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가로 피스톤(1131)이 삽입되되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복수의 가로 결합개소 중 하나에서 가로 피스톤(1131)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태에서 가로 하우징(1132)과 가로 피스톤(1131)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한 뒤 가로 하우징(1132)과 가로 피스톤(1131)을 그 상태로 고정하여 가로몸체(113)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가로 결합개소에 대응되는 가로 하우징(1132) 상의 위치에는, 각각 가로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 결합공은 좌우방향을 따라 가로 하우징(113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몸체(113)는 가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결합돌기는 가로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로 결합돌기는 가로 피스톤(1131)에 결합된다. 가로 결합돌기는 가로 하우징(1132)의 내측면에 의해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가로 결합공에 삽입되어 가로 하우징(1132)으로부터 좌우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가로 피스톤(1131)에 결합될 수 있다. 가로 결합돌기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가로 하우징(1132)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로 하우징(1132)과 가로 피스톤(1131)의 제2 상태에서의 전후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된 길이에 가장 가까운 길이를 가로몸체(113)가 가지도록 하는 가로 결합공에 가로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가로 하우징(1132)과 가로 피스톤(113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로 결합돌기가 삽입됨으로써 가로몸체(113)의 제2 상태에서의 전후방향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말단을 핸드홀(H)에 삽입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말단을 핸드홀(H)에 삽입한 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말단을 증기발생기(SG)의 중심영역의 플랜지(F)에 도달하게 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아직 증기발생기(SG)에 삽입되지 않은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킥스탠드(10)가 제1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레일(20)의 말단에 결합된 킥스탠드(10)부터 핸드홀(H)에 기준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핸드홀(H)을 통해 킥스탠드(10)와 레일(20)의 일부가 증기발생기(SG)의 내부로 삽입된 후, 작업자는 스탠드부(11)를 결합부(12)에 대해 회전시켜 킥스탠드(1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증기발생기(SG) 내부에서 제2 상태에 놓이게 된 킥스탠드(10)를 확인할 수 있다. 걸림돌기(15)가 걸림홈(14)에 걸리므로, 소정 크기 초과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증기발생기(SG) 내부에서 킥스탠드(10)가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킥스탠드(10)의 가로몸체(113)와 세로몸체(111, 112)를 조절하여 제2 상태에서 킥스탠드(10)가 가지는 높이와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킥스탠드(10)가 지면에 접촉하여 레일(20)을 잘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세로몸체(111, 112)를 조절한 뒤, 사용자는 레일(20)을 계속 증기발생기(SG)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레일(20)이 매우 길게 증기발생기(SG)의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레일(20)은 종래의 기술에서 외팔보와 같이 배치되었던 것과 달리 킥스탠드(10)와 고정부(40)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레일(20)이 계속 삽입될 때, 볼 롤러(1123)가 킥스탠드(10)를 기준방향을 따라 가이드하여 레일(20)과 함께 증기발생기(SG)의 중심영역을 향해 전진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중심영역의 플랜지(F)에 킥스탠드(10)가 도달할 수 있다. 플랜지(F)는 중심영역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턱이므로, 이러한 플랜지(F)에 킥스탠드(10)가 잘 접촉할 경우, 레일(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스탠드(10)가 세로몸체(111, 112)와 가로몸체(113)를 가져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와 높이를 각각 조절 가능하며, 플랜지(F)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플랜지(F)의 외측면에 제2 세로몸체(112)가 접촉하고, 가로몸체(113)가 플랜지(F)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중심영역에서 플랜지(F)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벽(CS)에 제1 세로몸체(111)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킥스탠드(10)가 플랜지(F) 및 중심벽(CS)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레일(20)의 지지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 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 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 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0 : 킥스탠드
11 : 스탠드부
12 : 결합부
13 : 축부재
14 : 걸림홈
15 : 걸림돌기
20 : 레일
30 : 검사부
40 : 고정부
111 : 제1 세로몸체
112 : 제2 세로몸체
113 : 가로몸체
114 : 연결몸체
1111 : 제1 세로 피스톤
1112 : 제1 세로 하우징
1120 : 제2 세로 결합공
1121 : 제2 세로 피스톤
1122 : 제2 세로 하우징
1123 : 볼 롤러
1131 : 가로 피스톤
1132 : 가로 하우징
CS : 중심벽
F : 플랜지
H : 핸드홀
SG : 증기발생기

Claims (15)

  1.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가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상기 스탠드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큰, 킥스탠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제2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로몸체를 포함하는, 킥스탠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몸체는,
    제2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피스톤; 및
    제2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세로 피스톤이 삽입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세로 결합개소 중 하나에서 상기 세로 피스톤과 결합되는 세로 하우징을 포함하는, 킥스탠드.
  5.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몸체는,
    상기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피스톤; 및
    상기 상태에서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세로 피스톤이 삽입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세로 결합개소 중 하나에서 상기 세로 피스톤과 결합되는 세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로 결합개소에 대응되는 상기 세로 하우징 상의 위치에는, 각각 세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몸체는,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상기 세로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세로 피스톤에 결합되는 세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킥스탠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몸체는, 제2 상태에서 지면에 닿도록 상기 세로 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되는 볼 롤러를 더 포함하는, 킥스탠드.
  7.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로몸체를 포함하는, 킥스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몸체는,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피스톤; 및
    제2 상태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가로 피스톤이 삽입되되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복수의 가로 결합개소 중 하나에서 상기 가로 피스톤과 결합되는 가로 하우징을 포함하는, 킥스탠드.
  9.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기준방향 및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제2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세로몸체;
    상기 제1 세로몸체로부터 기준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몸체; 및
    상기 가로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세로몸체를 포함하는, 킥스탠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레일의 상단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은, 킥스탠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파인 걸림홈이 형성되고,
    소정 크기 이하의 힘에 의해서는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게 상기 스탠드부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킥스탠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킥스탠드.
  14.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레일의 처짐을 방해하도록 상기 말단부분이 지면에 닿게 상기 말단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놓이도록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제1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가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상기 스탠드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큰, 킥스탠드.
  15.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기준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되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기준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 구조의 검사를 위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검사부; 및
    상기 레일의 기준방향측 말단에 결합되는 킥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킥스탠드는,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말단과 인접한 부분인 말단부분이 기준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가 기준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가, 상기 스탠드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큰,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0200183348A 2020-12-24 2020-12-24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25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48A KR102259910B1 (ko) 2020-12-24 2020-12-24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48A KR102259910B1 (ko) 2020-12-24 2020-12-24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910B1 true KR102259910B1 (ko) 2021-06-02

Family

ID=7637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348A KR102259910B1 (ko) 2020-12-24 2020-12-24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027Y1 (ko) * 2002-04-02 2002-06-27 한국원자력연구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보수 로봇 지지장치
JP2002211459A (ja) * 2001-01-19 2002-07-31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用サイドスタンド装置
KR20040094405A (ko) * 2002-01-14 2004-11-09 알.브룩스어쏘시에이츠인코포레이티드 증기 발생기 튜브의 원격 검사 장치
KR20190120685A (ko) * 2018-08-09 2019-10-24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459A (ja) * 2001-01-19 2002-07-31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用サイドスタンド装置
KR20040094405A (ko) * 2002-01-14 2004-11-09 알.브룩스어쏘시에이츠인코포레이티드 증기 발생기 튜브의 원격 검사 장치
KR200280027Y1 (ko) * 2002-04-02 2002-06-27 한국원자력연구소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보수 로봇 지지장치
KR20190120685A (ko) * 2018-08-09 2019-10-24 이종화 오토바이 주차 스탠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6075B2 (ja) 支持プレート点検装置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US11205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motely inspect piping and piping attachment welds
US4231419A (en)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EP0008386A1 (en) Probe positioner
ES2351929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reparación de un tubo descendente de pulverización del núcleo de un reactor nuclear.
KR102259910B1 (ko) 킥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US5100610A (en) Tube plug inspection system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US4238291A (en) Device for coupling pipelines in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s, especially in boiling water reactors
US20030121340A1 (en) Tube non-destructive testing probe drive elevator and contamination containment system
JP5021041B2 (ja) 管継手の構造一体性を確保するための機械的アセンブリ
KR101939534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툴 안내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JP6025638B2 (ja) 原子炉内調査方法および調査装置
JP5893833B2 (ja) 伝熱管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2657127B1 (ko) 슬리브 인출 장치
KR101203291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US8973648B2 (en) Tubesheet gripping mechanism and method
JP7132182B2 (ja) 移動式検出器の案内管
CN107783201A (zh) 光机屏蔽罩及安检设备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US11232876B2 (en) Standard for mobile equipment for measuring structural deformation of nuclear fuel assembly
JP2004251894A (ja) 炉内作業方法及び装置
JP7328908B2 (ja) 遠隔作業装置及び遠隔作業方法
KR102578073B1 (ko) 칼란드리아 관을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