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983B1 - 주주재 보강 장치 - Google Patents

주주재 보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983B1
KR102258983B1 KR1020190128006A KR20190128006A KR102258983B1 KR 102258983 B1 KR102258983 B1 KR 102258983B1 KR 1020190128006 A KR1020190128006 A KR 1020190128006A KR 20190128006 A KR20190128006 A KR 20190128006A KR 102258983 B1 KR102258983 B1 KR 10225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aterial
connection part
end connection
reinforc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611A (ko
Inventor
조원상
강경모
조래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Abstract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내부와 외부를 감싸는 내측 보강재와 외측 보강재를 구비하는 주주재 보강부; 및 상기 주주재 보강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주재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주주재의 인장응력을 증가시키도록, 양 단이 복수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에 각각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보조재를 포함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주재 보강 장치{REINFORCEMENT APPRATUS FOR TOWER POST}
본 발명은 주주재 보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 등의 주주재를 보강하기 위한 주주재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탑은 기초 위에 4개의 기둥인 주주재가 설치되고, 주주재와 주주재의 사이에는 주주재의 보강을 위해 수평재와 보조재가 설치된다.
철탑의 주주재는 철탑의 하중을 견디는 부분으로 철탑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주주재는 ㄱ형강들을 볼트로 조여 연결한 구조로 되며, ㄱ형강의 두께와 ㄱ형강들을 연결하는 볼트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허용응력 기준을 충족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철탑은 지상 구조물로 자연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주주재에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주주재에 크랙 발생 시 크랙 발생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철탑 기울어짐, 철탑 전복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랙이 발생한 주주재의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철탑 설계기준 및 하중변경 등 주주재 보강이 필요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주주재에 크랙 발생 시 주주재 교체를 위해서는, 철탑에 연결된 전력선을 철거하고 철탑에 부목 등의 보조재를 설치 후 주주재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주주재는 철탑 및 전력선의 모든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큰 힘이 전달되고, 주주재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철탑에서 전력선 철거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교체할 주주재 대신 보조재를 설치 후 주주재를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주재는 큰 하중을 견디고 있어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하면 교체가 쉽지 않고, 주주재의 교체 시 휴전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계통 불안정 상태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계기준 및 철탑 하중변경에 따른 주주재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주재를 덧대는 더블 포스트 보강 방식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주주재 교체 없이 주주재 강도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더블 포스트 보강 방식은 기존 주주재에 다수의 구멍을 뚫기 때문에 기존 주주재의 강도가 추가적으로 저하된다. 그리고 공중에서 천공 작업을 시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작업에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철탑 등의 주주재에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하면 주주재의 크랙 발생 구간을 교체가 아닌 보강을 통해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거나 주주재 보강이 필요한 경우(설계기준 및 하중 변경 등) 주주재의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주주재 보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주주재에 홀을 가공하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주주재를 보강할 수 있는 주주재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주재 보강 장치는,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내부와 외부를 감싸는 내측 보강재와 외측 보강재를 구비하는 주주재 보강부; 및 상기 주주재 보강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주재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주주재의 인장응력을 증가시키도록, 양 단이 복수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에 각각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보조재를 포함한다.
상기 주주재 보강부는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상기 주주재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주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내측 보강재가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내측 보강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는, ㄱ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보강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제1 외측 보강재 및 제2 외측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양 단에서 연장되고 볼트홀이 형성되는 양 단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의 서로 다른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양 단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볼트홀과 각각 대응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 일 단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의 서로 다른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양 단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볼트홀과 각각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 일 단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보강재는, 상기 제1 접촉부에서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제1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타 단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외측 보강재는, 상기 제2 접촉부에서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타 단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와 제2 타 단 접속부는, 상기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는 상기 양 단 접속부를 기준으로 135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와 상기 제2 타 단 접속부는 상기 양 단 접속부를 기준으로 135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외측 보강재와 상기 제2 외측 보강재는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 상기 제2 타 단 접속부, 상기 양 단 접속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 가능하고, 양 단에 상기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상기 볼트홀, 상기 제1 체결홀, 제2 체결홀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두 개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가 각각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의 외측과 제2 타 단 접속부의 외측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와 제2 타 단 접속부 사이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의 양 단이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의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와 제2 일 단 접속부에 동시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와 제2 타 단 접속부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과 상기 연결용 보조재의 상기 결합홀을 관통할 수 있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와 체결되는 고정너트; 상기 양 단 접속부에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와 제2 일 단 접속부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홀,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는 제1 체결볼트; 상기 볼트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는 제2 체결볼트; 상기 제1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너트; 및 상기 제2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볼트는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의 양 단이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의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에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체결볼트는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의 양 단이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의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에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 및 제2 일 단 접속부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주재가 강도가 약해져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주주재 보강부로 주주재를 감싸기 때문에 주주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주주재를 교체하는 경우보다 공사비가 절감된다.
주주재를 교체하지 않고 주주재 보강부로 주주재를 감싸므로 휴전 작업이 수반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계통 불안정 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주주재 보강부가 주주재를 감싸는 경우 주주재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압축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 부위를 연결용 보조재로 연결함으로써 인장에 대한 내력 또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주재에 주주재 보강부를 감싸는 경우 주주재에 천공 작업을 별도로 시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중에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더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천공 작업이 제외되는 경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철탑의 주주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가 주주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가 주주재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7a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부의 내측 보강재의 사시도다.
도 7b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부의 제1 외측 보강재의 사시도다.
도 7c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부의 제2 외측 보강재의 사시도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주주재 보강부와 연결용 보조재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주주재 보강부와 연결용 보조재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주주재 보강부와 연결용 보조재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단면도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단면도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의 단면도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철탑의 주주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철탑(1)은 기초(2) 위에 4개의 기둥인 주주재(3)가 설치되고, 주주재(3)와 주주재(3)의 사이에는 주주재(3)의 보강을 위해 수평재(4)와 보조재(5)가 설치된다.
철탑(1)의 주주재(3)는 철탑(1)의 하중을 견디는 부분으로 철탑(1)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주주재(3)는 ㄱ형강(3a)들을 볼트로 조여 연결한 구조로 되며, ㄱ형강(3a)의 두께와 ㄱ형강(3a)들을 연결하는 볼트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허용응력 기준을 충족하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주재 보강 장치(10)는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 마다 설치되어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다. 주주재(3)는 ㄱ형강(3a)을 볼트로 조여 연결한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주주재(3)는 ㄱ형강(3a)의 두께와 ㄱ형강(3a)들을 연결하는 볼트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허용응력 기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주주재(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크랙이 진행되어 철탑 무너짐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크랙이 발생한 구간을 주주재 보강 장치(10)로 감싸 보강함으로써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한다.
도 3은 도 2에 주주재 보강 장치(1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주재 보강 장치(10)는 주주재(3)의 내측면을 감싸는 내측 보강재(110)와 주주재(3)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측 보강재(120)로 이루어지는 주주재 보강부(100)와 연결용 보조재(130)를 포함한다.
주주재 보강부(100)는 크랙마다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연결용 보조재(130)는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주재(3)의 인장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의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외측에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 양 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1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의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보강재(150) 사이에 한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 양 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주재(3)의 인장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주재 보강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의 제1 외측 보강재(140)와 내측 보강재(110)의 외측에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 양 단이 각각 고정되고,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의 제2 외측 보강재(150)와 내측 보강재(110)의 다른 외측에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 양 단이 각각 고정되어 총 4개의 연결용 보조재(130)가 상기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주재(3)의 인장응력을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용 보조재(130)의 양 단이 인접한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에 고정되는 부위와 관련하여 상기 연결용 보조재(130)의 개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용 보조재(130) 중 일부는 각각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외측에 연결하고, 동시에 또 다른 일부는 제1 외측 보강재(140)와 내측 보강재(110)의 외측에 각각 연결하고, 제2 외측 보강재(150)와 내측 보강재(110)의 외측에 각각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연결용 보조재(130)는 주주재(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용 보조재(130)의 길이와 모양은 크랙의 발생 구간에 따라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용 보조재(130)는 인접하는 두 개의 주주재 보강부(100) 뿐만 아니라 떨어져 있는 다른 복수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주주재 보강부(100)의 내측 보강재(110), 제1 외측 보강재(140),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사시도다.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재 보강부(100)는 내측 보강재(110), 제1 외측 보강재(140) 및 제2 외측 보강재(150)를 포함한다.
하나의 내측 보강재(110)와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로 주주재(3)를 감싸도록 하여 주주재(3)의 크랙 발생 구간을 보강한다. 이로 인해, 주주재(3)에 볼트 구멍을 새로 형성시키지 않고도 주주재(3)의 압축 응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와 외측 보강재(120)는 상호 볼트 체결하여 주주재(3)에 설치 완료된다. 즉 내측 보강재(110)와 제1 외측 보강재(140)가 맞닿은 단부가 볼트 체결되고, 내측 보강재(110)와 제2 외측 보강재(150)가 맞닿은 단부가 볼트 체결되고,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가 맞닿은 단부가 볼트 체결되어 주주재 보강부(100)를 이루어 주주재(3)에 설치 완료된다. 이로 인해 주주재(3)에 홀을 가공하는 등의 추가 작업 없이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10)의 주주재 보강부(100)와 연결용 보조재(130)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10)의 주주재 보강부(100)와 연결용 보조재(130)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주주재 보강 장치(10)의 주주재 보강부(100)와 연결용 보조재(130)의 결합을 도시한 개념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내측 보강재(110)는 주주재(3)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된다. 앵글형의 주주재(3)는 ㄱ형강(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는 앵글형 주주재(3)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감싸도록 앵글형 주주재(3)의 ㄱ형강(3a)보다 상대적으로 큰 ㄱ형강(3a)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보강재(110)는 주주재(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11)와 밀착부 밀착부(111)의 양 단에서 더 연장되고 볼트홀(114,115)이 형성되는 양 단 접속부(112,113)를 포함한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는 각각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고정될 수 있고,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일 단 접속부(152)와 고정될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의 밀착부(111)는 주주재(3)의 내측면의 폭(m)에 대응되고,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의 폭(m)은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의 폭과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일 단 접속부(152)의 폭(m)에 각각 대응된다.
볼트홀(114,115)은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내측 보강재(110)는 주주재(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 보강재(140)는 주주재(3)의 일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접촉부(141)와 제1 접촉부(141)에서 더 연장되고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될 수 있으며 양 단 접속부(112,113)의 볼트홀(114,115)과 대응될 수 있는 제1 체결홀(143)이 형성되는 제1 일 단 접속부(142)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체결홀(143)은 3개지만,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체결홀(143)은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외측 보강재(140)는 제1 접촉부(141)에서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접촉부(141)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1 타 단 접속부(144)를 더 포함한다.
제1 고정홀(145)은 제1 타 단 접속부(144)에 형성된다. 제1 고정홀(145)은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1 고정홀(145)은 3개지만,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고정홀(145)은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접촉부(141)는 주주재(3)의 일측 외측면의 폭(m)에 대응된다. 또한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의 폭(m)과 제1 타 단 접속부(144)의 폭(m)은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의 폭(m)에 대응된다.
제1 외측 보강재(140)는 주주재(3)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 보강재(150)는 내측 보강재(110)를 기준으로 제1 외측 보강재(140)와 대칭을 이룬다. 대칭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서로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일 단 접속부(152)는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대응된다.
제1 외측 보강재(140)에서 제1 접촉부(141)와 제1 타 단 접속부(144)의 각도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 중 일측을 기준으로 135도다. 제2 외측 보강재(150)에서 제2 접촉부(151)와 제2 타 단 접속부(154)의 각도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 중 또 다른 일측을 기준으로 135도이다.
이와 같은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구조에 의하면,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에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제2 일 단 접속부(152)가 각각 고정되고,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가 상호 대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는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이 서로 마주하여 접속된다. 이 때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이 직접 마주하여 닿을 수도 있다.
연결용 보조재(130)의 양 단부에는 제1 고정홀(145), 제2 고정홀(155), 볼트홀(114,115), 제1 체결홀(143), 제2 체결홀(153)이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홀(131)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가 제1 타 단 접속부(144) 외측과 제2 타 단 접속부(154) 외측에 연결되어,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와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 각각의 결합홀(131)이 대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가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 사이에 연결되어,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 사이에 연결용 보조재(130)의 결합홀(131)이 대응되어 주주재 보강부(100)와 연결용 보조재(13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는 없지만, 이 때 대응되는 결합홀(131)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주재 보강 장치(10)가 더 강하게 고정되어 주주재(3)의 인장 응력이 더 증가할 수 있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와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제2 일 단 접속부(152),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는 서로 동일한 폭(m)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폭(m)과 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폭(m)과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재 보강부(100)가 주주재(3)를 감싼 상태에서 연결용 보조재(130)를 함께 고정하는 고정수단(160)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60)은 고정볼트(161), 고정너트(162), 제1 체결볼트(171), 제2 체결볼트(181), 제1 체결너트(172), 제2 체결너트(182)를 포함한다.
고정볼트(161)와 고정너트(162)는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161)는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제1 고정홀(145)과 제2 타 단 접속부(154)의 제2 고정홀(155)을 관통할 수 있다.
고정너트(162)는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을 관통한 고정볼트(161)의 단부에 체결된다.
고정볼트(161)와 고정너트(162)는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와 연결용 보조재(13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161)는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가 접속된 상태에서,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각각의 외측에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과 2개의 결합홀(131)을 관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연결용 보조재(130)의 결합홀(131)은 단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고 2개의 고정볼트(161)가 각각 관통하여 주주재 보강부(100)와 2개의 연결용 보조재(13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주재 보강부(100)와 2개의 연결용 보조재(130)의 고정을 위한 연결용 보조재(130) 단부의 결합홀(131)의 개수는 1개일 수 있으며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고정너트(162)는 제1 고정홀(145)과 제2 고정홀(155)과 2개의 결합홀(131)을 관통한 고정볼트(161)의 단부에 체결된다.
제1 체결볼트(171)와 제1 체결너트(172)는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제1 외측 보강재(14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볼트(171)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에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가 대응된 상태에서, 내측 보강재(110)의 볼트홀(114,115)과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체결홀(143)을 관통한다.
제1 체결너트(172)는 볼트홀(114,115)과 제1 체결홀(143)을 관통한 제1 체결볼트(171)의 단부에 체결된다.
제1 체결볼트(171)와 제1 체결너트(172)는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제1 외측 보강재(140)의 단부와 연결용 보조재(130)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볼트(171)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113)의 일측이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에 접속되고, 일측의 양 단 접속부(112,113)와 제1 일 단 접속부(142)의 각각의 외측에 두 개의 연결용 보조재(13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홀(114,115)과 제1 체결홀(143)과 2개의 결합홀(131)을 관통한다.
제1 체결너트(172)는 볼트홀(114,115)과 제1 체결홀(143)과 2개의 결합홀(131)을 관통한 제1 체결볼트(171)의 단부에 체결된다.
제2 체결너트(182)는 볼트홀(114,115)과 제2 체결홀(153)과 2개의 결합홀(131)을 관통한 제2 체결볼트(181)의 단부에 체결된다.
제2 체결볼트(181)와 제2 체결너트(182)의 체결에 관한 구성요소들은 제1 체결볼트(171)와 제1 체결너트(172)의 체결에 관한 구성요소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볼트(181)는 내측 보강재(110)의 볼트홀(114,115)과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체결홀(153)을 관통한다.
고정볼트(161), 제1 체결볼트(171), 제2 체결볼트(181)는 접합면에 강한 조임력을 제공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력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너트(162), 제1 체결너트(172), 제2 체결너트(182)는 와셔(163,173,183)와 함께 고정너트(162)의 단부, 제1 체결너트(172)의 단부, 제2 체결너트(182)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와셔(163,173,183)는 스프링와셔, 평와셔, 모두 적용 가능하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와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190)가 삽입된다.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3)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일 단 접속부(152)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190)가 삽입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주재 보강 장치(10)가 철탑(1)의 주주재(3)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플레이트(190)는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제1 외측 보강재(140)의 단부가 맞닿는 접합면과 내측 보강재(110)의 단부와 제2 외측 보강재(150)의 단부가 맞닿는 접합면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1 체결볼트(171)와 제2 체결볼트(181)에 각각 체결된다.
필러 플레이트(190)는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2)와 제1 일 단 접속부(142) 사이와 내측 보강재(110)의 양 단 접속부(113)와 제2 일 단 접속부(152)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필러 플레이트(190)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러 플레이트(190)는 내측 보강재(110), 제1 외측 보강재(140), 연결용 보조재(130)가 제1 체결볼트(171)로 고정된 상태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러 플레이트(190)는 내측 보강재(110), 제2 외측 보강재(150), 연결용 보조재(130)가 제2 체결볼트(181)로 고정된 상태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주주재(3)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외측보강재(140)의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외측보강재(150)의 제2 타 단 접속부(154)가 고정수단(16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접합면을 기준으로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제1 타 단 접속부(144)는 135도를 이룬다.
제2 외측 보강재(150)는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제1 외측 보강재(140)와 대칭을 이룬다. 상기 대칭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서로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2 외측 보강재(150)의 제2 일 단 접속부(152)는 제1 외측 보강재(140)의 제1 일 단 접속부(142)와 대응된다. 따라서, 제2 일 단 접속부(152)와 제2 타 단 접속부(154)도 135도를 이룬다.
제2 외측 보강재(150)는 제1 타 단 접속부(144)와 제2 타 단 접속부(154)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제1 외측 보강재(140)와 대칭을 이루므로 제1 체결볼트(171)와 제2 체결볼트(181)는 소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체결너트(172)와 제2 체결너트(182)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위치에 체결된다.
주주재 보강부(100)의 외측 보강재(120)를 제1 외측 보강재(140)와 제2 외측 보강재(150) 두 개의 프레임으로 제작하면 외측 보강재(120)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작할 때 보다 하중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주주재(3)를 균형있게 보강할 수 있다.
주주재 보강부(100)는 주주재(3)를 균형있게 감싸 보강하는 구조이고, 주주재(3)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압축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크랙 발생 부분(A)에 화살표 방향으로 균일한 압력을 주어 추가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복수의 주주재 보강부(100)를 한 개 이상의 연결용 보조재(130)로 연결한 주주재 보강 장치(10)는 주주재(3)의 인장에 대한 내력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주주재 보강부(100)가 압축 응력이 부족한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던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주재 보강 장치(10)는 크랙 발생시 주주재(3) 교체가 아닌 보강으로 크랙의 추가적인 진행을 억제하므로 주주재(3)를 교체하는 것 대비 공사비가 절감되고, 주주재(3)에 홀을 뚫지 않고도 주주재(3)의 보강이 가능하므로 주주재 보강 장치(10)의 시공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주주재 보강 장치(10)는 설치 과정에서 휴전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계통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한 주주재 보강 장치(10)에서 내측 보강재(110), 제1 외측 보강재(140), 제2 외측 보강재(150)에서 주주재(3)와 접촉하는 밀착부(111), 제1 접촉부(141) 및 제2 접촉부(151)는 평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내측 보강재(110), 제1 외측 보강재(140), 제2 외측 보강재(150)가 주주재(3)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밀착부(111), 제1 접촉부(141), 제2 접촉부(151)에 미세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측 보강재(110)와 제1 외측 보강재(140)가 주주재(3)와 접촉하는 밀착부(111)와 제1 접촉부(141)에 고무 등을 이용한 쿠션면을 두어 주주재(3)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내측 보강재(110)와 제2 외측 보강재(150)가 주주재(3)와 접촉하는 밀착부(111)와 제2 접촉부(151)에 고무 등을 이용한 쿠션면을 두어 주주재(3)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철탑 2: 기초
3: 주주재 3a: ㄱ형강
4: 수평재 5: 보조재
10: 주주재 보강 장치 100: 주주재 보강부
110: 내측 보강재 111: 밀착부
112, 113: 양 단 접속부 114, 115: 볼트홀
120: 외측 보강재 130: 연결용 보조재
131: 결합홀 140: 제1 외측 보강재
141: 제1 접촉부 142: 제1 일 단 접속부
143: 제1 체결홀 144: 제1 타 단 접속부
145: 제1 고정홀 150: 제2 외측 보강재
151: 제2 접촉부 152: 제2 일 단 접속부
153: 제2 체결홀 154: 제2 타 단 접속부
155: 제2 고정홀 160: 고정수단
161: 고정볼트 162: 고정너트
171: 제1 체결볼트 172: 제1 체결너트
163, 173, 183: 와셔 181: 제2 체결볼트
182: 제2 체결너트 190: 필러 플레이트

Claims (16)

  1. 앵글형(Angle Type) 주주재의 내부와 외부를 감싸는 내측 보강재와 외측 보강재를 구비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주주재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주재 보강부; 및
    상기 주주재의 인장응력을 증가시키도록, 양 단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용 보조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보강재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의 양 단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양 단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보강재는, 제1 외측 보강재 및 제2 외측 보강재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의 일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일 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양 단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 일 단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타 단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1 타 단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의 타측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일 단으로 연장되고, 상기 양 단 접속부와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볼트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 일 단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타 단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촉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2 타 단 접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타단 접속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고정홀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내측 보강재, 상기 제1 외측 보강재 및 상기 제2 외측 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되는, 주주재 보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재 보강부는 상기 내측 보강재와 상기 외측 보강재가 상기 주주재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재는, 상기 주주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주재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내측 보강재가 상기 주주재의 내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내측 보강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는 상기 양 단 접속부를 기준으로 135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와 상기 제2 타 단 접속부는 상기 양 단 접속부를 기준으로 135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외측 보강재와 상기 제2 외측 보강재는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 상기 제2 타 단 접속부, 상기 양 단 접속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 상기 제2 일 단 접속부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 가능하고,
    양 단에 상기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상기 볼트홀, 상기 제1 체결홀, 제2 체결홀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두 개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가 각각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의 외측과 제2 타 단 접속부의 외측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 타 단 접속부와 제2 타 단 접속부 사이에 접속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주주재 보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보조재는 상기 주주재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증가하도록, 복수의 상기 연결용 보조재의 양 단이 각각 상기 내측 보강재의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와 제2 일 단 접속부에 동시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 접속부와 상기 제1 일 단 접속부 및 제2 일 단 접속부 사이에는 필요 두께의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주재 보강 장치.
KR1020190128006A 2019-10-15 2019-10-15 주주재 보강 장치 KR10225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06A KR102258983B1 (ko) 2019-10-15 2019-10-15 주주재 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06A KR102258983B1 (ko) 2019-10-15 2019-10-15 주주재 보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11A KR20210044611A (ko) 2021-04-23
KR102258983B1 true KR102258983B1 (ko) 2021-06-02

Family

ID=757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006A KR102258983B1 (ko) 2019-10-15 2019-10-15 주주재 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282B1 (ko) * 2013-05-30 2014-09-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전탑 구조 연결부재
JP5833388B2 (ja) * 2011-09-15 2015-12-16 関西電力株式会社 鋼管鉄塔の補強装置
JP6400064B2 (ja) * 2016-11-15 2018-10-03 株式会社アイ・ティ・シ・コンサルティング 付帯設備取付装置
CN208441504U (zh) * 2018-06-07 2019-01-29 广东省输变电工程有限公司 输电塔十字加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3388B2 (ja) * 2011-09-15 2015-12-16 関西電力株式会社 鋼管鉄塔の補強装置
KR101437282B1 (ko) * 2013-05-30 2014-09-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전탑 구조 연결부재
JP6400064B2 (ja) * 2016-11-15 2018-10-03 株式会社アイ・ティ・シ・コンサルティング 付帯設備取付装置
CN208441504U (zh) * 2018-06-07 2019-01-29 广东省输变电工程有限公司 输电塔十字加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611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2116B (zh) 预制装配式钢混组合梁构造
KR20150126502A (ko) 강아치교의 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CN103806368B (zh) 一种张弦木拱结构
CN102828568A (zh) 一种带竖缝混凝土剪力墙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US20230287640A1 (en) Composite deck structure for bridge an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667385B (zh) 一种钢筋混凝土超短柱
KR102258983B1 (ko) 주주재 보강 장치
JP5158476B2 (ja) 鉄塔の部材取替工法およびその工法で用いられる装置
KR101562767B1 (ko) 잔류응력이 도입된 거더 및 그 제작방법과 온도신축이 도입된 가설교량 시공방법
KR101771911B1 (ko) 하중구속장치가 구비된 프리스트레스트 분절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CN206928438U (zh) 一种用于钢结构房屋的抗震连接结构
KR101672355B1 (ko) 강거더 교량의 지점부 인장도입을 위한 트러스 아암 설치구조
KR101692046B1 (ko) 모멘트 감소와 처짐 방지구조를 구비한 강관 거더 및 강관 파일
CN113374073A (zh) 一种预制混凝土结构梁柱连接节点、连接方法及修复方法
KR102076549B1 (ko) Cpi 강재 거더 제작방법
CN114837300B (zh) 一种具有减震自复位功能的装配式钢框架及其预制方法
US11802414B2 (en) Bolt-bearing circumferential device for reinforcing and correcting angle irons of transmission tower
CN110805296A (zh) 一种有效提升含损伤钢梁疲劳性能的装置
CN214740153U (zh) 一种土木工程施工中钢筋混凝土柱加固结构
KR20200036389A (ko) 조합형 주주재 보강기구
JP2023160391A (ja) 鋼材の接合構造
CN209293225U (zh) 一种自复位、快修复u型软钢消能支撑
CN205330200U (zh) 电杆加固装置
CN112878508A (zh) 可修复装配式钢筋混凝土柱-钢梁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