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041B1 -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041B1
KR102258041B1 KR1020190042594A KR20190042594A KR102258041B1 KR 102258041 B1 KR102258041 B1 KR 102258041B1 KR 1020190042594 A KR1020190042594 A KR 1020190042594A KR 20190042594 A KR20190042594 A KR 20190042594A KR 102258041 B1 KR102258041 B1 KR 10225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ainer
cap
contents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19A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19004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041B1/ko
Priority to PCT/KR2020/004824 priority patent/WO2020209628A1/ko
Priority to PCT/KR2020/004913 priority patent/WO2020209672A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09Details, e.g. container closur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누름버튼(40)의 하부에 연결된 튜브(50)와; 상기 캡(20)의 조립전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지그(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0)를 작동시켜 내용물이 상기 튜브(50) 내에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캡(20)을 용기(10)에 조립하기 전에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30)가 불량한 상태로 용기(10)에 조립되어 제품이 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BADNESS CHECK DEVICE OF VESSEL PUMP}
본 발명은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펌프 용기의 출시 전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펌프 기능을 확인 후 기능이 양호한 제품만을 출시하도록 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914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오늘날 펌핑운동에 의해 튜브를 따라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펌프용기는 화장품 용기, 세제 용기, 샴프 용기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프용기는 유체를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유체의 과다한 배출을 억제하여 낭비를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펌프용기의 대체적인 원리는 손가락으로 상기 펌프용기의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용기 내부의 유체가 펌핑되어 튜브를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통상, 이러한 펌프용기 제품을 출시할 때,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후, 펌핑 노즐(토출구)을 누르고 캡을 용기와 나사결합한 상태로 출시되는 바, 제품 출시후, 사용자가 펌프용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펌핑 노즐을 누른 상태에서 옆으로 돌려 펌핑노즐이 상승시켜, 즉 펌프를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펌프용기는 펌프의 불량으로 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펌프의 불량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출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펌프 용기의 출시 전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펌프 기능을 확인 후 기능이 양호한 제품만을 출시하도록 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누름버튼(40)의 하부에 연결된 튜브(50)와; 상기 캡(20)의 조립전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지그(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0)를 작동시켜 내용물이 상기 튜브(50) 내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캡(20)의 조립전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조립 전에 펌프(30)를 작동시켜 튜브(5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20)을 용기(10)로부터 탈거하고,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펌프(30) 내의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저울(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본 발명의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에 의하면, 캡을 용기에 조립하기 전에 펌프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가 불량한 상태로 용기에 조립되어 제품이 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로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출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로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출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로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출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누름버튼(40)의 하부에 연결된 튜브(50)와, 상기 캡(20)의 조립전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지그(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0)를 작동시켜 내용물이 상기 튜브(50)의 상단까지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7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상기 센서(70)를 설치하는 대신, 상기 캡(20)의 조립전에 펌프(30)를 작동시켜 튜브(5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20)을 용기(10)로부터 탈거하고,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튜브(50) 내로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저울(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용기(10)에 내용물을 채우고, 펌프(30)와 누름버튼(40)이 일체로 결합된 캡(20)을 나사 결합, 즉 조립하여 제품을 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20)을 나사결합하기 전에 펌프(30)의 작동상태를 체크하게 되는데, 용기(10)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캡(20)의 튜브(50)를 용기(10) 내에 삽입하고, 지그(60)가 용기(10)의 입구부 상부에 위치하여 캡(2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20)이 지지된 상태에서, 누름버튼(40)을 눌렀다 놓으면,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튜브(5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튜브(50) 내로 유입되는 내용물을 센서(70)가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를 지그(60)로 보내면, 지그(60)는 캡(20)의 하단에서 이탈된다. 이런 상태에서 캡(20)을 용기(10)와 나사 결합하고, 누름버튼(40)을 눌러 펌프(30)의 상측에 로킹시킨다(도 3). 이와 같이 하여 제품이 출시된다.
본 발명은 캡(20)을 용기(10)에 조립하기 전에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30)가 불량한 상태로 용기(10)에 조립되어 제품이 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로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출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튜브가 없는 에어리스 타입 펌프를 가진 용기에 적용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캡(20)의 조립전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조립 전에 펌프(30)를 작동시켜 튜브(5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20)을 용기(10)로부터 탈거하고,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펌프(30) 내의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저울(8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는, 제1실시예의 센서(70)를 설치하는 대신, 상기 캡(20)의 조립 전에 펌프(30)를 작동시켜 펌프(3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20)을 용기(10)로부터 탈거하고,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튜브(50) 내로 내용물의 유입량을 저울(80)로 측정하는 것이다. 즉, 이를 하기에서 설명하면, 용기(10)에 내용물을 채우고, 펌프(30)와 누름버튼(40)이 일체로 결합된 캡(20)을 나사 결합, 즉 조립하여 제품을 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20)을 나사결합하기 전에 펌프(30)의 작동상태를 체크하게 되는데, 용기(10)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캡(20)을 용기(10)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지그(60)를 용기(10)와 캡(20) 사이에 삽입시킨 후 캡(2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캡(20)이 지지된 상태에서, 누름버튼(40)을 눌렀다 놓으면,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펌프(3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펌프(30) 내로 유입되면, 캡(20)을 제외한 용기(10)의 용기(10)의 무게를 저울(80)로 측정하여 펌프(30) 내로 유입된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여 펌프(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검사하게 된다. 즉, 용기(10) 내에 내용물이 최초로 충전된 상태의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한 후, 펌프(30)로 일정량 펌핑하고 난 후 용기(10)를 저울(80)로 측정하여 최초 용기(10)의 무게와 펌핑한 후의 용기(10)의 무게를 비교하여 무게가 더 적을 경우, 펌프(3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불량처리하지 않고 출시하게 된다.
튜브(50) 내로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캡(20)을 용기(10)에 조립하기 전에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30)가 불량한 상태로 용기(10)에 조립되어 제품이 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용기 20 : 캡
30 : 펌프 40 : 누름버튼
50 : 튜브 60 : 지그
70 : 센서 80 : 저울

Claims (2)

  1.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누름버튼(40)의 하부에 연결된 튜브(50)와; 상기 캡(20)의 조립전 상기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재로서, 상기 지그(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20)를 작동시켜 내용물이 상기 튜브(50) 내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7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60)는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반호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2. 내용물을 담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에 나사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중앙에 삽입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의 중앙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누름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상기 용기(10)의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누름버튼(40)과; 상기 캡(20)의 조립전 상기 펌프(30)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 상기 캡(20)의 일측에서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그(60)와; 상기 캡(20)의 조립 전에 상기 펌프(30)를 작동시켜 상기 펌프(3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20)을 상기 용기(10)로부터 탈거하고, 상기 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펌프(30) 내의 내용물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저울(8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그(60)는 상기 캡(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반호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KR1020190042594A 2019-04-11 2019-04-11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KR10225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94A KR102258041B1 (ko) 2019-04-11 2019-04-11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PCT/KR2020/004824 WO2020209628A1 (ko) 2019-04-11 2020-04-09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PCT/KR2020/004913 WO2020209672A1 (ko) 2019-04-11 2020-04-10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94A KR102258041B1 (ko) 2019-04-11 2019-04-11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19A KR20200120119A (ko) 2020-10-21
KR102258041B1 true KR102258041B1 (ko) 2021-05-27

Family

ID=7275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94A KR102258041B1 (ko) 2019-04-11 2019-04-11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8041B1 (ko)
WO (2) WO2020209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3749A (zh) * 2021-07-29 2023-02-03 深圳市皓宇诚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乳液泵生产线
CN116214171B (zh) * 2023-05-08 2023-08-04 昆山中一自动化设备有限公司 弹簧外置泵自动选向装配一体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6841A (ja) * 2015-10-09 2018-12-13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マイクロパー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試験システム及び試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3437B1 (en) * 2003-04-14 2008-07-09 Proveris Scientific Corporation Measuring manual actuation of spray devices
US7424961B2 (en) * 2005-12-19 2008-09-16 Jean Grenier Tester for cosmetic liquid such as perfume
KR200465759Y1 (ko) * 2011-11-21 2013-03-18 (주)아모레퍼시픽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160005665A (ko) * 2015-08-12 2016-01-15 강성일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6841A (ja) * 2015-10-09 2018-12-13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マイクロパー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Boehringer Ingelheim microParts GmbH 試験システム及び試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19A (ko) 2020-10-21
WO2020209672A1 (ko) 2020-10-15
WO2020209628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041B1 (ko) 용기 펌프의 불량검사장치
FI90207C (fi) Pipettilaitteisto
JP2007315969A (ja) 自動分析装置および分注機構の分注異常判定方法
JP2007322285A (ja) 分注装置
MX2015004994A (es) Sistema de distribicion con los medios para detectar el nivel de liquido y un contenedor plegable para tal sistema.
US20180224408A1 (en) Flow channel structure and measuring device for measurement target liquid
JP2011089775A (ja) 圧力を利用したリークテスター
JPH01293140A (ja) 流動性サンプルを扱うための充填可能なサンプル収容素子
KR200430501Y1 (ko) 분리형 펌프식 용기
EP3767300B1 (en) Automatic analysis device
JP2009085616A (ja) 自動分析装置及び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液体試料の分注制御方法
JP4093255B2 (ja) 密閉包装体のシール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5627982B2 (ja) 試料液計量装置
CN108144660A (zh) 用于容纳小体积液体样品的样品容器
KR20170050129A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20110001335U (ko) 잔량 감지가 가능한 에어리스 배출펌프형 화장품 케이스
JP2010105683A (ja) 液体吐出器
JP3634959B2 (ja) ノズル装置
JPH10262896A (ja) 食器洗い機
KR200433595Y1 (ko) 회전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0697239B1 (ko) 펌핑식 유체물 용기
JP2005201833A (ja) 分注装置
JPH0672494A (ja) 液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100388415B1 (ko) 가스 감지기의 시험장치
JP3741373B2 (ja) 容器の漏れ検査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