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804B1 -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 Google Patents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804B1
KR102257804B1 KR1020190104952A KR20190104952A KR102257804B1 KR 102257804 B1 KR102257804 B1 KR 102257804B1 KR 1020190104952 A KR1020190104952 A KR 1020190104952A KR 20190104952 A KR20190104952 A KR 20190104952A KR 102257804 B1 KR102257804 B1 KR 10225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suction pipe
crops
module
pip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234A (ko
Inventor
맹승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8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005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picking or shaking pneu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는 농작물을 저장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고, 상기 농작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부는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재; 및 상기 흡입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A AIR PICKERS FOR CROP HARVESTING WITH AUTOMATIC CUT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확하는 농작물의 줄기를 자동으로 커팅하여 흡입 및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이 줄기가 달린 농작물을 자연상태에서 채취하기 위해서는 농작물의 꼭지 부분을 줄기로부터 절단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와 같은 절단 작업은 보통 가위를 사용하거나 별다른 도구 없이 맨손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위를 이용한 줄기 절단 작업은, 한 손으로 농작물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가위를 이용하여 줄기를 절단하였기 때문에, 두 손이 모두 필요하며, 정확한 절단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특히, 야채 혹은 과일 등을 수거하는 작업은 장시간에 걸쳐 그리고 많은 양의 작업이 반복되기 때문에, 1회 작업의 작은 비효율성도, 전체 작업에는 큰 비효율성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별다른 도구 없이 야채 혹은 과일 등을 수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강제로 비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줄기의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작물의 줄기부분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을 뿐더러 자칫 농작물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농작물로는 고추, 가지, 오이, 토마토, 감자, 고구마 등이 있다.
다양한 형태의 농작물로부터 열매를 수확함에 있어 농작물의 열매가 경작자 즉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편한 자세에 맞지 않을 경우 경작자는 취하기 어려운 자세로 장시간 동안 열매를 수확하게 됨에 따라 근골격계에 피로가 누적되고 쉽게 피로에 지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그 한 예로서, 고추는 그 줄기가 성인의 허리 높이까지 자라기 때문에 열매인 고추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또한 고추줄기와 고추잎 안쪽에 위치한 고추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고추를 잡고 다른 손으로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고추줄기를 절단하여야 함으로써,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양손 모두를 사용하여 고추를 수확하게 됨에 따라 고추줄기와 고추잎의 안쪽까지 양손을 집어넣는 자세를 취하게 되어 허리를 더 깊게 숙여야 하고 그로 인해 피로는 더 중첩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농작물을 쉽게 절단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7505호(공고일자:1990.08.20)의 “농작물 꼭지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7505호는 컵형 꼭지따기 본체의 일측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단 체결요구에 고정한 브라켓트의 체결부에 경사형 카터를 착설하여 경사날부 하단에 돌출 안내편이 위치되게 한 구성으로, 이는 손에 장갑을 끼운 상태로 엄지에 꼭지따기 본체를 끼우고 작물을 손아귀에 잡으면서 엄지로 꼭지를 밀어주면 농작물을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꼭지따기 본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엄지에 착용감이 좋지 못하여 손에 장갑을 끼운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일일이 작물을 손아귀에 잡고 엄지로 꼭지를 밀어주게 되므로 작물의 크기에 따라 손아귀에 잡히지 않는 대형의 작물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작물을 손아귀에 잡고 있더라도 절단 작업할 때 꼭지와 연결된 나뭇가지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농작물이 있으므로 절단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극소수의 농작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일이 농작물을 잡고 줄기를 절단하지 않고도 다량의 농작물의 줄기를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줄기가 절단된 농작물을 블로워 장치에 의해 흡입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제1990-0007505호 (공고일자 1990년 08월 20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본체부와 연통되고 농작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에 흡입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재 및 흡입되는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농작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농작물 수확시 농작물의 줄기를 수작업으로 절단하지 않고도 상기 커터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여 농작물을 수확, 흡입 및 저장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는 농작물을 저장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고, 상기 농작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부는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재; 및 상기 흡입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커터부재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 구비되는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1차단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커터부재와 제2거리만큼 이격 구비된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제1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2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는 일단에 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부의 타단에서 승 하강 작동하는 제1절단편; 일단에 상기 절단날이 안착되는 절단날안착부가 구비되는 제2절단편; 및 상기 제1절단편을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부는 상기 커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1단계모드를 제어하는 제1단계모듈; 및 상기 제2차단부재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2단계모드를 제어하는 제2단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모듈은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단계모듈은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접촉정보전송모듈;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터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터부재제어모듈; 상기 커터부재 작동이 완료된 상기 농작물이 상기 본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를 개방시키는 차단부재개방모듈; 및 상기 차단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를 폐쇄시키는 차단부재폐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입관부와 연통되고 흡입된 상기 농작물을 저장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와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송기공이 구비된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부는 전원공급모듈;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송기공과 연통되고,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로워는 이송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부는 상기 흡입관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수동 제어하는 온/오프버튼; 및상기 흡입관부의 작동 모드를 선택 적용시키는 모드선택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에 의하면, 흡입관부 타단에 흡입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농작물 수확시 줄기에 달려 있는 농작물을 사용자가 두손을 사용하여 절단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줄기가 절단되도록 하여 농작물 수확에 드는 노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농작물 수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흡입된 농작물의 효율적인 줄기 절단을 위해 줄기가 절단되는 동안에 상기 농작물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터부재가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를 제1거리의 제1차단부재 및 제2거리의 제2차단부재로 다수개로 구비함으로써, 수확하는 농작물의 직경 또는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2차단부재를 설정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고 자동으로 절단, 흡입 및 저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에 제1센서를, 상기 제2차단부재에 제2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 커터부재제어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농작물이 감지되면 상기 커터부재가 자동으로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차단부재개방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줄기가 절단된 농작물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손잡이에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 및 작동 상태를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흡입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 일부 확대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흡입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 일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1단계모드시 차단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2단계모드시 차단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손잡이의 조작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본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1단계모드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2단계모드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부(100) 및 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흡입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 일부 확대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흡입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관부(10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본체부(20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농작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부(100)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차단부재(120) 및 상기 흡입관부(100)의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관부(100)는 상기 본체부(200)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외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블로워(224)의 구동에 의해 수확하고자 하는 물질이 흡입되도록 구비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흡입관부(100)와 연통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부(100)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할 수 있도록 일측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부(100)는 방수 및 방진 코팅 처리가 되어 있으며, 내충격성 및 강성을 겸비한 ABS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부(100)는 차단부재(120), 커터부재(110), 제어부(130) 및 손잡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1단계모드시 차단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2단계모드시 차단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1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20)는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에 흡입된 농작물이 상기 커터부재(110)에 의해 줄기가 절단되는 동안 상기 농작물이 본체부(200)로 이송되지 않고 일정 위치에 머무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20)는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농작물의 이동을 잠시 중지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20)는 자동개폐기능이 포함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차단부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날개가 조리개 형태로 동작하면서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조리개형 개폐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20)는 유체가 유동하는 관로에 연결되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링(미도시)과 상기 한 쌍의 고정링(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각각의 회전축(미도시)들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 반경 방향 내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원호형의 가이드홈(미도시)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형 차단부재(120)는 공지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조리개형 차단부재(120)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20)는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차단부재(121) 및 제2차단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121)는 상기 커터부재(110)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 구비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외형이 일반적인 구형이나 구형과 유사한 타원형을 갖는 농작물 예를들면, 사과, 배, 귤, 감등의 농작물들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부(100)의 흡입구와 가까운 제1거리(d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121)는 상기한 사과, 배, 귤, 감등과 같은 농작물들을 차단하여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커터부재(110)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121)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센서(12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121a)에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커터부재(110)가 작동되어 상기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121)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모드 중 제1단계모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단계모드에서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모드는 사용자가 손잡이에 구비된 후술할 모드선택버튼(142b)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제1단계모드는 후술할 제1단계모듈(131)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커터부재(110)와 제2거리(d₂)만큼 이격 구비되는 것으로, 외형이 비교적 길쭉한 타원형을 갖는 농작물 예를들면, 고추, 오이등의 농작물들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부(100)의 흡입구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제2거리(d₂)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한 고추, 오이등과 같은 농작물들을 차단하여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상기 커터부재(110)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제2차단부재(122)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센서(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센서(122a)에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커터부재(110)가 작동되어 상기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모드 중 제2단계모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2단계모드에서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내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모드는 사용자가 손잡이에 구비된 상기 모드선택버튼(142b)에 의해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이렇게 선택된 제2단계모드는 후술할 제2단계모듈(132)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커터부재(110)는 상기 흡입관부(100)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된 농작물들이 상기 차단부재(120)에 차단되면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11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절단편(111), 제2절단편(112) 및 구동부재(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단편(111)은 일단에 절단날(111a)이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부(100) 타단에서 승 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절단편(111)의 일측은 상기 제2절단편(112)과 힌지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재(113)에 의해 하방 또는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단편(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단편(112)과 만나는 일단에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절단날(111a)을 포함하고, 나머지 부분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단편(112)은 일단에 상기 절단날(111a)이 안착되는 절단날안착부(112a)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절단편(11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단편(112)은 상기 제1절단편(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절단편(111)이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줄기를 지지하고 상기 절단날(111a)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절단날안착부(112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날안착부(112a)는 상기 절단날(111a)이 안전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날(111a)의 표면모양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절단편(112)은 상기 흡입관부(100) 하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절단편(111)와 상반되게 승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절단편(112)은 상기 구동부재(11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부재(110) 및 상기 차단부재(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흡입관부(100)의 차단부재(120) 즉, 제1차단부재(121) 또는 제2차단부재(122)의 개폐를 설정하여 준비하고 상기 흡입관부(100)로 흡입된 농작물의 줄기를 커팅하고, 줄기가 커팅된 농작물은 흡입하여 상기 본체부(100)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제1단계모듈(131), 제2단계모듈(132), 접촉정보전송모듈(133), 커터부재제어모듈(134), 차단부재개방모듈(135) 및 차단부재폐쇄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1단계모드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단계모듈(1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1단계모드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1단계모듈(131)은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122)는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거리(d₁)에 적용되는 농작물을 수확할 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단계모듈(131)은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버튼(142b)에서 제1단계모드를 설정할 경우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상기 제1단계모드로 실행되도록 준비하는 모듈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제2단계모드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단계모듈(1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단부재(122)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2단계모드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2단계모듈(132)은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122)가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2거리(d₂)에 적용되는 농작물을 수확할 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단계모듈(132)은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버튼(142b)에서 제2단계모드를 설정할 경우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를 상기 제2단계모드로 실행되도록 준비하는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은 상기 제1센서(121a) 및 상기 제2센서(122a)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은 상기 제1단계모듈(131) 또는 상기 제2단계모듈(132)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120)의 개방 또는 폐쇄가 선택적으로 장착된 후 수확할 농작물이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로 흡입될 때 상기 농작물이 상기 제1차단부재(121) 또는 제2차단부재(122)에 차단되어 상기 제1차단부재(121) 또는 상기 제2차단부재(122)에 접촉되는 것을 상기 제1센서(121a) 또는 상기 제2센서(122a)가 감지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모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에서 전송된 정보를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이 전송받아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은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터부재(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은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로부터 상기 흡입관부(100) 내부에 흡입된 농작물이 상기 차단부재(120)에 의해 차단된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커터부재(110)가 작동하여 상기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은 상방으로 올라와 있던 상기 제1절단편(111)에 구동부재(113)를 구동시켜 하방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아래쪽에 놓여있는 농작물의 줄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방 이동하여 상기 줄기를 절단한 후에는 다시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흡입관부(100)의 입구가 막히지 않고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다음 농작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부재개방모듈(135)은 상기 커터부재(110) 작동이 완료된 상기 농작물이 상기 본체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120)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100)를 개방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개방모듈(135)은 상기 커터부재제어모듈(134)의 제어에 의해 줄기가 절단된 상기 농작물이 본체부(200)로 흡입되도록 폐쇄되어 있는 상기 차단부재(12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상기 차단부재폐쇄모듈(136)은 상기 차단부재(120)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100)를 폐쇄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재폐쇄모듈(136)은 상기 차단부재개방모듈(135)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부로 농작물이 흡입된 후 상기 차단부재(120)를 다시 폐쇄하여 다음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단계모듈(131) 및 상기 제2단계모듈(132)이 선택적으로 실행된 후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133), 커터부재제어모듈(134), 차단부재개방모듈(135) 및 상기 차단부재폐쇄모듈(136)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고 사용자가 전원공급모듈의 전원을 끄기전까지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1)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행되어 많은 노력과 노동력을 요구했던 농작물의 수확 과정을 적은 노력으로도 편리하고 고효율적인 수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손잡이의 조작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부(100)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흡입관부(100)를 용이하게 파지한 상태로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40)는 사용자가 수확을 원하는 농작물에 상기 흡입관부(100)를 향하도록 할 경우, 용이하게 상기 흡입관부(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손잡이(140) 상면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조작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40)를 파지하여 편리하게 상기 흡입관부(100)를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손잡이(14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손잡이(140) 외주면에 사용자의 손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부드러운 소재의 완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미도시)는 충격 흡수가 가능하고 부드러운 스펀지, 우레탄, 고무, 메모리폼 및 라텍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소재를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을 사용자가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141)는 상기 손잡이(140)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조작부(141)는 온/오프버튼(141a) 및 모드선택버튼(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버튼(141a)은 후술할 전원공급모듈(222)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오프버튼(141a)은 상기 본체부(200) 및 흡입관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온/오프버튼(141a)을 오프하게 되면 상기 전원공급모듈(222)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중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모듈(222)의 전원을 차단하고 연결하는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버튼(141a)은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오프되는 리드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 때 상기 손잡이 내부에는 상기 리드스위치(미도시)를 온-오프시키는 마그네틱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온/오프버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온-오프 될 수 있는 기계식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모드선택버튼(141b)은 상기 흡입관부(100)의 작동모드를 선택 적용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1)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1단계모드 및 상기 제2차단부재(122)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2단계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모드는 상기 커터부재(110)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구비되는 제1차단부재(121)가 적용 실시되는 모드로써, 상기 제1거리(d₁)는 비교적 직경이 작은 농작물을 차단하는 거리를 지칭하며, 이는 농작물 중 사과, 배, 감, 귤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할 때 적용되는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모드는 상기 제1차단부재(121)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커터부재(110)와 제2거리(d₂)만큼 이격 구비되는 제2차단부재(122)가 적용 실시되는 모드로써, 상기 제2거리(d₂)는 비교적 직경이 큰 농작물을 차단하는 거리를 지칭하며, 이는 농작물 중 오이 또는 고추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할 때 적용되는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선택버튼(141b)은 사용자가 상기 에어 픽커(1)의 작동모드를 제1단계모드 또는 제2단계모드 중 수확하고자 하는 농작물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의 본체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된 상기 블로워(224)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농작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의 본체부(200)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20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다각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다각면체 형상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방수 및 방진 코팅 처리가 되어 있으며, 내충격성 및 강성을 겸비한 ABS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어깨끈(230)이 구비되는 지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00)는 사용자의 등에 용이하게 멜 수 있도록 어깨끈(230)이 구비된 지게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메고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200)는 제1본체부(210) 및 제2본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210)는 상기 흡입관부(100)와 연통되고 흡입된 농작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량의 농작물이 저장 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210)는 상기 흡입관부(100)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관부(100)와 만나는 위치에 상기 흡입관부(100)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흡입관부(100)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부(210)는 내주면에 충격흡수부재(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흡입된 농작물이 손상없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충격흡수부재(미도시)는 충격 흡수가 가능한 스펀지, 우레탄, 고무, 메모리폼 및 라텍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공지의 소재를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부(220)는 상기 제1본체부(210)와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송기공(221)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본체부(220)는 상기 제1본체부(210)와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본체부(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본체부(220)는 송기공(221), 전원공급모듈(222), 구동모터(223) 및 블로워(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기공(221)은 상기 제1본체부(2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제2본체부(2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공 형상으로, 상기 블로워(224)와 이웃하는 일면에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222)은 상기 제2본체부(22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흡입관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모듈(222)은 상용 교류전원, 배터리,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답터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 픽커(1)의 전원공급모듈(222)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고, 교체 가능하며,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공급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는 소형이면서 용량이 큰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모듈(222)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는 예를 들면,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에스비 단자(커넥터)에는 일 단부가 전원에 연결된 유에스비 케이블의 접속단자(미도시)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가 유에스비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접속될 수 있게 구성된 경우, 상기 커넥터(암커넥터)에는, 예를 들면, 일 단부는 상용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컨버터, 미도시)의 타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수커넥터)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223)는 상기 전원공급모듈(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블로워(224)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23)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로워(224)는 상기 송기공(221)과 연통되고, 회전 작동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224)는 상기 제1본체부(210)에서 이송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24a) 및 상기 구동모터(223)에 의해 회전하는 송기팬(22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4a)는 상기 블로워(224) 중 상기 제1본체부(210)와 이웃하는 일면에 구비되는 통공 형상으로, 상기 제2본체부(220) 내로 이송되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기팬(224b)은 상기 흡입구(224a)와 마주보는 상기 블로워(224)의 타면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기팬(224b)은 상기 구동모터(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2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기팬(224b)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에 의하면, 흡입관부 타단에 흡입된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농작물 수확시 줄기에 달려 있는 농작물을 사용자가 두손을 사용하여 절단 도구를 사용하여 절단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줄기가 절단되도록 하여 농작물 수확에 드는 노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농작물 수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에 흡입된 농작물이 줄기 절단 동안 이동없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터부재가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를 제1거리의 제1차단부재 및 제2거리의 제2차단부재로 다수개로 구비함으로써, 수확하는 농작물의 직경 또는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 조작하지 않더라고 자동으로 절단, 흡입 및 저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에 제1센서를, 상기 제2차단부재에 제2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에 커터부재제어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농작물이 감지되면 상기 커터부재가 자동으로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차단부재개방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줄기가 절단된 농작물이 상기 본체부 내부로 흡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손잡이에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 및 작동 상태를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100 : 흡입관부 110 : 커터부재
111 : 제1절단편 111a : 절단날
112 : 제2절단편 112a : 절단날안착부
113 : 구동부재 120 : 차단부재
121 : 제1차단부재 121a : 제1센서
122 : 제2차단부재 122a : 제2센서
130 : 제어부 131 : 제1단계모듈
132 : 제2단계모듈 133 : 접촉정보전송모듈
134 : 커터부재제어모듈 135 : 차단부재개방모듈
136 : 차단부재폐쇄모듈 140 : 손잡이
141 : 조작부 141a : 온/오프버튼
141b : 모드선택버튼 200 : 본체부
210 : 제1본체부 220 : 제2본체부
221 : 송기공 222 : 전원공급모듈
223 : 구동모터 224 : 블로워
224a : 흡입구 224b : 송기팬
230 : 어깨끈 d₁: 제1거리
d₂: 제2거리

Claims (13)

  1. 농작물을 저장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와 연통되고, 상기 농작물이 흡입되는 흡입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부는,
    타단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상기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부재; 및
    상기 흡입관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커터부재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 구비되는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1차단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커터부재와 제2거리만큼 이격 구비된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제1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2차단부재에 의해 차단된 상기 농작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는,
    일단에 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부의 타단에서 승 하강 작동하는 제1절단편;
    일단에 상기 절단날이 안착되는 절단날안착부가 구비되는 제2절단편; 및
    상기 제1절단편을 승하강 시키는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부는,
    상기 커터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1단계모드를 제어하는 제1단계모듈; 및
    상기 제2차단부재가 적용되는 작동 모드인 제2단계모드를 제어하는 제2단계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모듈은,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단계모듈은,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개방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흡입관부 내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송하는 접촉정보전송모듈;
    상기 접촉정보전송모듈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터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커터부재제어모듈;
    상기 커터부재 작동이 완료된 상기 농작물이 상기 본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를 개방시키는 차단부재개방모듈; 및
    상기 차단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흡입관부를 폐쇄시키는 차단부재폐쇄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입관부와 연통되고 흡입된 상기 농작물을 저장하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와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송기공이 구비된 제2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부는,
    전원공급모듈;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송기공과 연통되고,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키는 블로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이송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기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부는,
    상기 흡입관부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수동 제어하는 온/오프버튼; 및
    상기 흡입관부의 작동 모드를 선택 적용시키는 모드선택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KR1020190104952A 2019-08-27 2019-08-27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KR102257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952A KR102257804B1 (ko) 2019-08-27 2019-08-27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952A KR102257804B1 (ko) 2019-08-27 2019-08-27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234A KR20210025234A (ko) 2021-03-09
KR102257804B1 true KR102257804B1 (ko) 2021-05-28

Family

ID=7517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952A KR102257804B1 (ko) 2019-08-27 2019-08-27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8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18B1 (ko) 2007-11-05 2009-06-01 한영돈 밭작물 수확기
JP2013047149A (ja) 2007-03-26 2013-03-07 Picker Technologies Llc 物品を輸送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物品を受け取って輸送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両末端管の組み合わせ
WO2018057562A1 (en) * 2016-09-21 2018-03-29 Abundant Robotics, Inc. Systems for robotic harvest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95B1 (ko) 1988-11-17 1991-06-15 삼성전관 주식회사 캐소우드의 캡 성형 제조장치
KR20130059480A (ko) * 2011-11-29 2013-06-07 임명숙 고추의 포켓식 채집 및 슬라이딩 커터 방식을 갖는 개인 이동식 고추 수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7149A (ja) 2007-03-26 2013-03-07 Picker Technologies Llc 物品を輸送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物品を受け取って輸送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両末端管の組み合わせ
KR100900118B1 (ko) 2007-11-05 2009-06-01 한영돈 밭작물 수확기
WO2018057562A1 (en) * 2016-09-21 2018-03-29 Abundant Robotics, Inc. Systems for robotic harv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234A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310B2 (en) Unitary cordless dental drive apparatus
US20200198164A1 (en) Power operated rotary knife with notched rotary knife blade and trim guide
US20140283495A1 (en) Apple and Fruit Harvester
US6640445B1 (en) Buoyant cordless electric knife and flashlight combination
KR20130059480A (ko) 고추의 포켓식 채집 및 슬라이딩 커터 방식을 갖는 개인 이동식 고추 수확기
US20240149432A1 (en) Self-moving device and automatic working system thereof
US20130305600A1 (en) Handheld vibrating pollinators and pollination methods
KR102257804B1 (ko) 자동 커팅 기능이 구비된 농작물 수확용 에어 픽커
CN108156952B (zh) 一种果蔬采摘器
KR101480826B1 (ko) 전동 전지가위
CN109287267B (zh) 一种免弯腰草莓采摘器
CN211607416U (zh) 适合长有刺的果树上果实采摘的采摘器
CN215011727U (zh) 一种新型果实采摘器
CN109348849A (zh) 水果采摘装置及水果采摘系统
CN103548495A (zh) 果实采摘机
JP4037150B2 (ja) 電動式花粉交配機
KR20170089592A (ko) 과실 수확장치
CN209268056U (zh) 一种水果摘取机
CN109041801A (zh) 一种水果采摘器
CN207040303U (zh) 一种紫薇修剪装置
CN111713255B (zh) 一种枸杞采摘用手持式采剪装置
CN217694653U (zh) 一种羊肚菌采摘器
JPH0745146Y2 (ja) 採果具
JP2003134919A (ja) 摘実装置
CN114467491B (zh) 一种省力且高效率的茶叶采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