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592A - 과실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과실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592A
KR20170089592A KR1020160009986A KR20160009986A KR20170089592A KR 20170089592 A KR20170089592 A KR 20170089592A KR 1020160009986 A KR1020160009986 A KR 1020160009986A KR 20160009986 A KR20160009986 A KR 20160009986A KR 20170089592 A KR20170089592 A KR 2017008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fruit
support
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암
Original Assignee
곽종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종암 filed Critical 곽종암
Priority to KR102016000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9592A/ko
Publication of KR2017008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 수확 후 과실의 수집을 이송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과실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과실을 절단하는 전지가위와, 전지가위에 의해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송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제1 적체 해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지가위는 하단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절단가위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수용구 고정부와, 수용구 고정부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용구와, 상기 2개 이상의 수용구를 결합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제1 적체 해소부는 수용구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작동링과, 작동링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된 절단가위 작동링크와 축 결합된 작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실 수확장치{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과실을 수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 수확 후 과실의 수집을 이송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과실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실 수확용 가위나 전정 가위를 사용하여 과실을 수확하면, 가위날에 의하여 잘려진 가지 또는 과실이 아래로 낙하하기 때문에 과실이 손상되어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과실 수확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과실 수확장치는 긴 막대의 끝에 그물 등의 망을 부착한 원형 링을 형성하고, 원형 링의 단부에 절단부재를 형성한 것이 주를 이룬다.
한 과실 수확장치는 절단부재로 과실의 꼭지를 잘라 과실이 원형 링에 투입되면 망을 따라 이동되는 형식이지만, 사용 중 원형 링에 투입된 과실들이 망을 따라 아래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적체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불편함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과실의 적체 현상은 과실 수확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적체된 과실들이 서로 부딪혀 손상되어 상품가치의 하락으로 이어져 사용상의 문제점을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과실 수확장치는 수확된 과실이 망을 따라 지면으로 낙하될 때 과실의 낙하 속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이러한 특성은 낙하된 과실의 접촉 손상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접촉 손상은 수확된 과실의 상품가치 하락으로 연결되어 농가의 수익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5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6975호
본 발명은 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실 수확 후 과실의 수집 및 이송과정에서 과실의 적체 현상을 방지하여 과실 수확 작업이 효율적이고 안전한 과실 수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실 수확 후 과실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지면과 과실의 접촉으로 인한 과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실 수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실을 절단하는 전지가위와, 전지가위에 의해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송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제1 적체 해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지가위는 하단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절단가위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수용구 고정부와, 수용구 고정부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용구와, 상기 2개 이상의 수용구를 결합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제1 적체 해소부는 수용구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작동링과, 작동링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된 절단가위 작동링크와 축 결합된 작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적체 해소부의 작용으로 수용구의 소정 부위를 순간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수용구의 상하 이동은 수용구 내부에 적체된 과실의 원활한 소통으로 연결되어 과실 수확장치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국 형성부의 작용으로 수용구의 소정 부위에 굴곡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수용)의 굴곡은 수확 후 수용구를 따라 지면으로 낙하되는 과실의 낙하 속도를 저하시키고, 낙하 속도가 저하된 과실은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과실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수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가위(10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200)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체 해소부(300a)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체 해소부(300b)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수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실을 절단하는 전지가위(100)와, 전지가위(100)에 의해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송하는 수용부(200)와, 수용부(200)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제1 적체 해소부(3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지가위(100)는 과실수에 열린 과실을 절단하고, 수용부(200)는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동시키며, 제1 적체 해소부(300a)는 수용부(200)의 소정 구간에서 과실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적체되었을 때, 수용부(200)의 소정 부위를 상하로 순간적으로 요동시켜 수용부(200)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한다.
전지가위(100)는 하단에 손잡이(112)를 포함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용부(200)는 절단가위(120)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수용구 고정부(210)와, 수용구 고정부(210)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용구(220)와, 상기한 2개 이상의 수용구(220)를 각각 결합하는 연결구(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적체 해소부(300a)는 수용구(22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작동링(310a)과, 작동링(310a)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지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절단가위 작동링크(121)와 결합된 작동대(31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가위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가위(100)는 관통공(111)이 형성된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120)와, 지지부(110)의 하단에 구성된 손잡이(112)를 포함한다. 전지가위(100)는 손잡이(112)와 절단가위(120)의 일측 절단날이 절단가위 작동링크(121)를 통해 연결되어 손잡이(112)의 작동에 따라 절단가위(120)가 작동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통공(111)은 이 후 설명될 제1 적체 해소부(300a)의 작동링(310a)이 전지가위(100)와 결합되기 위해 지지부(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는 지지부(110)의 절단가위(120) 하측 방향에 결합된 수용구 고정부(210), 수용구 고정부(210)와 결합된 수용구(220)를 포함한다.
수용구 고정부(210)는 지지부(110)의 절단가위(120) 하측 방향에 결합 고정된다. 수용구 고정부(210)는 일측에 형성된 고정링(211)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대(212)를 포함한다. 고정링(211)의 내측 또는 외측 테두리에는 수용구(220)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구(213)가 형성된다. 연결구(213)는 매직 테이프, 지퍼, 스냅 단추 등 양쪽의 결합수단이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수용구(220)는 고정링(211)과 결합되고, 각각의 수용구(220) 끼리 결합 가능토록 구성된다. 수용구(220)의 형상은 고정링(211)의 형상과 대응된다. 수용구(220)는 섬유 또는 비닐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연결구(213)가 형성된다. 연결구(213)는 고정링(211)에 형성된 연결구(213)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구(220)는 내측 테두리에 힘살(221)을 포함한다. 힘살(221)은 수용구(220)의 내측으로 수용구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2겹 이상 겹쳐서 좁고, 길고,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 힘살(221)은 겹쳐진 두께로 인해 탄성력 내지 반발력을 형성하여 과실 수확작업 중 수용구(220)가 완전하게 접히거나 심하게 꺽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힘살(221)은 수용구(220)가 길이방향으로 형상 유지력을 가지도록 하여 수용구(220) 내부에서 이동하는 과실이 하측 방향으로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수용구(220) 상단의 연결구(213)와 고정링(211)에 형성된 연결구(213)의 작용에 의해 수용구(220)와 고정링(211)은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단위 수용구(22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구(213)와, 각각의 단위 수용구(220) 하단에 형성된 연결구(213)의 작용에 의해 단위 수용구(220)는 상하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체 해소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적체 해소부(300a)는 고정링(211)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작동링(310a)과, 작동링(310a)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작동대(311b)를 포함한다.
작동링(310a)은 고정링(211)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작동링(310a)의 내측 또는 외측 테두리는 수용구(220)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구(213)가 형성된다.
작동대(311b)는 일측 단부가 작동링(310a)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지지부(110)의 내측에 구비된 절단가위 작동링크(121)와 축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2)의 작동에 따라 절단가위 작동링크(121)는 상하로 이동하고, 절단가위 작동링크(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작동링(310a)이 상하로 이동한다. 작동링(310a)은 수용구(220)와 결합되어 있어 작동링(310a)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용구(220)에 발생한 과실 적체 현상이 해소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체 해소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적체 해소부(300b)는 고정링(211)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작동링(310b)과, 작동링(310b)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작동대(311b)와, 작동대(311b)의 일측 단부와 축 결합되며 지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링크대(330)와, 링크대(330)의 하단과 축 결합된 조종간(320)을 포함한다.
작동링(310b)은 제1 적체 해소부(300a)의 작동링(310a)과 형상 및 작용이 동일하다. 작동대(311b)는 제1 적채 해소부(300a)의 작동대(311a)와 형상이 동일하다. 작동대(311b)는 일측 단부가 작동링(310b)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지지부(110) 내측에 구비된 링크대(330)와 축 결합된다.
링크대(330)는 지지부(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링크대(33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단은 작동대(311b)와 축 결합되고, 하단은 이 후 설명될 조종간(320)과 축 결합된다.
조종간(320)은 링크대(330)의 하단과 축 결합되고, 몸체의 일부는 지지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간(320)이 상,하로 이동하면, 지지부(110) 내부의 링크대(3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대(330) 상단에 축 결합된 작동대(311b)와 작동링(310b)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링(310b)은 수용구(220)와 결합되어 있어 작동링(310b)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용구(220)에 발생한 과실 적체 현상이 해소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굴곡 형성부(400)는 수용구(220)의 연결구(213)와 결합 가능한 수용구 받침링(410)과, 수용구 받침링(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굴곡 지지대(420)와, 굴곡 지지대(420)와 축 결합되며 지지부(110)와 탈착 가능한 지지대 결합구(430)를 포함한다.
수용구 받침링(410)은 된 고정링(211)과 형상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굴곡 지지대(420)는 수용구 받침링(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굴곡 지지대(420)는 단부는 이 후 설명될 지지대 결합구(430)와 결합축(4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대 결합구(430)는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이다. 지지대 결합구(430)는 지지부(110)의 소정 위치에 탈착 가능토록 구성되어 결합축(421)을 중심으로 지지대 결합구(430) 및 수용구 받침링(410)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구 받침링(410)과 굴곡 지지대(420)는 수용구(220)에 굴곡을 형성한다. 이렇게 굴곡된 수용구(220)는 수용구의 내부를 통해 지면으로 낙하되는 과실의 낙하속도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과실 낙하 속도 저하는 과실과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한 과실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500)는 수용부(2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선별부(500)는 수용부(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절단된 과실이 수용부(200)의 하단에서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선별되도록 작용한다. 선별부(500)는 수용부(200) 하단에 구비된 선별판(510)과, 선별판(510)의 저면과 결합되는 선별 이송구(520)를 포함한다.
선별판(510)은 수용구(220)의 외측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판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선별판(510)은 중앙에 관통 형성된 선별공(511)과, 선별공(511)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선별공 연장부(512)를 포함한다. 선별공(511)은 크기가 상이한 2개 이상의 관통공으로서 절단된 과실이 통과되어 선별판(51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선별공 연장부(512)는 내측 테두리가 선별공(511)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에는 연결구(213)가 형성된다. 연결구(213)는 고정링(211)에 형성된 연결구(213)와 동일하다.
선별 이송구(520)는 선별공 연장부(512)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비닐 또는 섬유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선별 이송구(520)는 선별판(510)의 선별공(511)을 통과한 과실들이 각각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작용한다. 선별 이송구(520)의 상단에는 선별공 연장부(512)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연결구(213)와 결합 가능한 연결구(213)가 형성되어 선별 이송구(520)의 상단과 선별공 연장부(512)의 하단이 결합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결속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 결속부(600)는 수용부(2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용기 결속부(600)는 수용부(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용부(200)의 하단이 과실이 담기는 수집용기 내부에 계속 위치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용기 결속부(600)는 수용부(200) 하단에 구비된 결속링(610)과, 결속링(610)과 일측 단부가 결합된 연결끈(620)과, 연결끈(620)의 타측과 결합된 결속구(630)를 포함한다.
결속링(610)은 된 수용구(220) 고정린과 형상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끈(620)의 일측 단부는 결속링(610)과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결속구(630)와 결합된다. 결속구(630)는 걸고리 또는 집게로 형성되어 과실이 담기는 수집용기(700)의 돌출부 또는 측면벽의 통기공(720)에 결합된다. 결속구(630)와 수집용기(700)의 결합에 따라 수용부(200)의 하단은 수집용기 내부에 계속 위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전지가위 111: 관통공
112: 손잡이 120: 절단가위
121: 절단가위 작동링크 200: 수용부
210: 수용구 고정부 211: 고정링
212: 고정대 213: 연결구
220: 수용구 221: 힘살
300a: 제1 적체 해소부 310a: 작동링
311a: 작동대 300b: 제2 적체 해소부
310b: 작동링 311b: 작동대
320: 조종간 330: 링크대
400: 굴곡 형성부 410: 수용구 받침링
420: 굴곡 지지대 421: 결합축
430: 지지대 결합구 500: 선별부
510: 선별판 511: 선별공
512: 선별공 연장부 520: 선별 이송구
600: 용기 결속부 610: 결속링
620: 연결끈 630: 결속구
700: 수집용기 710: 돌출부
720: 통기공

Claims (3)

  1. 과실을 절단하는 전지가위(100)와, 전지가위(100)에 의해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송하는 수용부(200)와, 수용부(200)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제1 적체 해소부(300a)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지가위(100)는 하단에 손잡이(112)를 포함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120)를 포함하고,
    수용부(200)는 절단가위(120)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수용구 고정부(210)와, 수용구 고정부(210)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용구(220)와, 상기 2개 이상의 수용구(220)를 결합하는 연결구(213)를 포함하며,
    제1 적체 해소부(300a)는 수용구(220)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작동링(310a)과, 작동링(310a)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지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절단가위 작동링크(121)와 축 결합된 작동대(31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장치.
  2. 과실을 절단하는 전지가위(100)와, 전지가위(100)에 의해 절단된 과실을 수집 및 이송하는 수용부(200)와, 수용부(200)의 과실 적체 현상을 해소하는 제2 적체 해소부(3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지가위(100)는 하단에 손잡이(112)를 포함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상단에 구성된 절단가위(120)를 포함하고,
    수용부(200)는 절단가위(120)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수용구 고정부(210)와, 수용구 고정부(210)에 결합된 2개 이상의 수용구(220)와, 상기 2개 이상의 수용구(220)를 결합하는 연결구(213)를 포함하며,
    제2 적체 해소부(300b)는 고정링(211)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 작동링(310b)과, 작동링(310b)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작동대(311b)와, 작동대(311b)의 일측 단부와 축 결합되며 지지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링크대(330)와, 링크대(330)의 하단과 축 결합된 조종간(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용부(200)의 하단에는 굴곡 형성부(400) 형성하되,
    굴곡 형성부(400)는 수용구(220)의 연결구(213)와 결합 가능한 수용구 받침링(410)과,
    수용구 받침링(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굴곡 지지대(420)와,
    굴곡 지지대(420)와 축 결합되며 지지부(110)와 탈착 가능한 지지대 결합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확장치.
KR1020160009986A 2016-01-27 2016-01-27 과실 수확장치 KR20170089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86A KR20170089592A (ko) 2016-01-27 2016-01-27 과실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86A KR20170089592A (ko) 2016-01-27 2016-01-27 과실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92A true KR20170089592A (ko) 2017-08-04

Family

ID=5965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986A KR20170089592A (ko) 2016-01-27 2016-01-27 과실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9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1661A (zh) * 2018-05-31 2018-08-17 塔里木大学 一种采果器
CN108713394A (zh) * 2018-08-03 2018-10-30 广东工业大学 一种水果采摘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1661A (zh) * 2018-05-31 2018-08-17 塔里木大学 一种采果器
CN108401661B (zh) * 2018-05-31 2020-05-01 塔里木大学 一种采果器
CN108713394A (zh) * 2018-08-03 2018-10-30 广东工业大学 一种水果采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4826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US20080264030A1 (en) Stem clipper and crusher mechanisms for use with fruit trees and the like
CN211210573U (zh) 小型梳齿式林果采摘机
CN108156952B (zh) 一种果蔬采摘器
KR20170089592A (ko) 과실 수확장치
CN108718701B (zh) 一种网兜可拆卸式果实兼枝条采剪装置
KR20150002918U (ko) 과일 수확기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CN109348843B (zh) 一种电动果实采摘头
CN107493828A (zh) 一种猕猴桃采集装置
CN205830402U (zh) 一种高空采果装置
CN210928675U (zh) 半自动手提式水果采摘叶片分离装置
CN209749177U (zh) 球状果实采摘收集装置
CN216775527U (zh) 一种滑道式水果采摘器
CN110405836A (zh) 一种萝卜切丁机
US2746232A (en) Pole supported fruit picker with pivoted cutter
CN109168613A (zh) 一种果树采摘装置
RU2613459C1 (ru) Плодосъемник
CN205794207U (zh) 一种苗木病虫害防护装置
CN209787892U (zh) 一种高效水果采摘机
CN108718696B (zh) 多种水果采集辅助装置
CN208434349U (zh) 一种新型侧入式摘果器
CN217826009U (zh) 一种环筒剪切式果实采摘机构
CN218456762U (zh) 一种水果采摘辅助装置
KR20210076696A (ko) 과일 따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