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180B1 -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180B1
KR102257180B1 KR1020167011834A KR20167011834A KR102257180B1 KR 102257180 B1 KR102257180 B1 KR 102257180B1 KR 1020167011834 A KR1020167011834 A KR 1020167011834A KR 20167011834 A KR20167011834 A KR 20167011834A KR 102257180 B1 KR102257180 B1 KR 10225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fer
upper unit
unit
rotation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460A (ko
Inventor
다쿠토 게타다니
다케토시 하타야마
Original Assignee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098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fixing or clamping inserts having variabl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의 교환 작업을,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사출 성형기(1)에 설치되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를, 가동반(9)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름을 송출하는 상측 유닛(U1)과, 가동반(9)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하측 유닛(U2)으로 구성한다. 상측 유닛(U1)은 롤형상의 필름(56)을 송출하는 송출롤(18)과, 필름(56')을 클램프하는 상측 클램프(20)로 구성한다. 상측 유닛(U1)은, 선회 기구(14)에 의해서 전사 성형용 제1의 회동 위치와, 필름(56)을 교환하는 제2의 회동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의 회동 위치에 있어서는, 송출롤(18)이 사출 성형기(1)의 측방에 노출된다

Description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TRANSFER FILM FEED DEVICE PROVIDED WITH TURNABLE UPPER UNIT}
본 발명은, 한쪽의 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을 소정의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필름을 사이에 끼고 한 쌍의 금형을 형 체결하여 용융 수지를 사출해, 표면에 상기 박이 전사된 성형품을 얻는, 소위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 롤형상의 필름을 송출하는 상측 유닛에 특징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기는, 문헌을 들 필요도 없이 주지이며, 가열 실린더와 상기 가열 실린더 내에서 회전 방향과 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사출 장치, 가동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 이들 금형을 형 체결하는 형 체결 장치 등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 재료인 수지를 사출 장치에 있어서 용융하고, 형 체결 장치에 의해서 형 체결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해, 냉각 고화를 기다려 금형을 형개하면 성형품이 얻어진다. 또,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품을 얻을 때 성형과 동시에 그림 붙이기를 하는, 소위 전사 성형도 주지이다. 전사 성형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있음과 더불어 롤형상으로 감긴 필름을 사용한다. 이 필름을 박이 인쇄된 면이 고정측 금형을 향하도록 하여,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만큼 이송한다. 이송된 필름을 사이에 끼도록 하여 금형을 형 체결하고, 용융 수지를 캐비티 내에 사출하면 성형품이 성형된다. 이 때 필름은 용융 수지에 의해서 가동측 금형의 캐비티에 눌리고, 성형품의 표면의 수지는 박과 일체화된ㄴ다. 냉각 고화를 기다려 형개하면, 성형품의 표면에 박이 전사된 상태로, 필름과 성형품이 분리된다. 즉, 그림이 붙여진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려면, 소위 전사 필름 이송 장치를 사출 성형기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도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주지이며, 형 체결 장치의 가동반에 설치되어 있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는, 가동반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측 유닛과, 가동반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하측 유닛과,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개략 구성되고, 상측 유닛은 필름을 송출하는 필름 송출 유닛과 필름의 수평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상횡(上橫) 이동 장치로, 하측 유닛은 필름을 권취하는 필름 권취 유닛과 필름의 수평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하횡(下橫) 이동 장치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필름 송출 유닛은, 상술한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이 세트되는 필름롤과, 필름을 소정의 롤과 마찰 부재에 의해서 사이에 끼고 임의의 위치에서 구속할 수 있는 상측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필름 권취 유닛은, 소정의 롤과 마찰 부재에 의해서 필름을 사이에 끼고 구속할 수 있는 하측 클램프와, 필름을 강제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과, 필름을 권취하는 필름 권취롤로 구성되어 있다. 필름롤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은, 상측 클램프에 걸쳐감아져 하방으로 연장되고,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을 따라서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하측 클램프와 구동롤에 걸쳐감아져, 필름 권취롤에 감겨 있다. 필름에는 등간격으로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있고, 같은 간격으로 필름의 가장자리부에 마킹이 실시되어 있다. 금형의 상하에는, 이 마킹을 검출하는 상측 센서와 하측 센서가 설치되어, 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검출된 신호에 의거해 상횡 이동 장치와 하횡 이동 장치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사 필름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성형한다. 형 체결 장치를 형개한다. 상측 클램프와 하측 클램프를 해제해, 필름의 구속을 푼다. 구동롤과 필름 권취롤을 구동하면 필름롤로부터 필름이 인출되어, 필름이 이송된다. 그림 붙이기용 박이 가동측 금형의 캐비티에 위치하면, 구동롤과 필름 권취롤이 정지하고, 상·하횡 이동 장치가 동시에 구동하여 수평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고, 상측 클램프와 하측 클램프를 구동하여 필름이 어긋나지 않도록 구속한다. 형 체결하여 사출한다. 냉각 고화를 기다려 형개하면 박이 전사된 성형품, 환언하면 그림이 붙여진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이송 성형한다.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1-297115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12-171117호 공보 특허 문헌 2는,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 있는 필름 전송 장치에 관한 문헌인데, 이 문헌에는 제1, 2의 회동 위치로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측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필름 전송 장치의 하측 유닛은, 제1의 회동 위치에 있어서, 상측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권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전사 성형을 실시할 때에는 하측 유닛은 제1의 회동 위치로 하여 실시한다. 그런데, 하측 유닛은 형 체결 장치의 가동반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권취롤에 권취된 필름이 다 감긴 상태가 되면, 이것을 떼어내 폐기해야 한다. 형 체결 장치의 하방에 작업원이 들어가는 것은 위험한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필름 전송 장치는, 하측 유닛을 제2의 회동 위치로 선회시키면, 하측 유닛의 권취롤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작업원은 형 체결 장치의 측방에서 안전하게 다 감긴 상태의 필름을 떼어낼 수 있다. 또, 필름의 떼어냄 작업은, 형 체결 장치의 측방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도 높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의해서, 전사 성형을 실시할 수는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의하면, 하측 유닛에 있어서 다 감긴 상태가 된 사용이 끝난 필름을, 작업원이 안전하게 떼어내 폐기할 수 있다. 또한 그 작업 효율도 높다. 그러나, 다른 해결해야 할 문제도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교환의 작업에 대해서이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유닛에 필름 송출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상측 유닛에 있어서 필름을 교환하는 작업에 관해 문제가 보인다. 필름의 교환 작업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측 유닛에 있어서 필름이 없어지면, 남겨진 필름의 심을 떼어내, 새로운 필름을 상측 유닛에 세트한다. 이어서 세트한 필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필름을 인출하여 복수개의 가이드롤에 걸쳐감고, 상측 클램프에 통과시킨 후에,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늘어뜨린다. 하측 유닛에 있어서, 필름의 단부를 하측 클램프에 통과시키고, 그 후 권취롤에 필름을 소정 길이만큼 권취하도록 한다. 그런데, 사출 성형기는 기계 높이가 높고, 형 체결 장치의 가동반도 높다. 따라서, 가동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상측 유닛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측 유닛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필름의 교환 작업을 실시하려면, 작업원은 가동반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 스테이지로 불리는 대에 올라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측 유닛은 가동반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원은 가동반의 측방으로부터 손을 횡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무거운 필름을 지지해, 필름 교환을 해야 한다. 그러면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도 나쁘다. 필름의 교환 작업이 장시간에 이를 가능성이 높고, 정지중의 사출 성형기에 있어서 용융 수지가 변질되는 일도 있다. 그러면 성형이 재개되었을 때에 불량품이 성형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상측 유닛에 있어서의 작업성에 문제가 있어, 성형품의 품질에도 영향을 끼쳐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혹은 과제를 해결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측 유닛으로부터 필름이 없어졌을 때, 새로운 필름을 세트하는 필름 교환 작업을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양태를 설명한다. 이들 양태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에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사출 성형기에 설치되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로서 구성한다. 이 전사 필름 이송 장치는, 종래의 장치와 동일하게 가동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름을 송출하는 상측 유닛과, 가동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하측 유닛으로 구성하고, 상측 유닛은 롤형상의 필름을 송출하는 송출롤과, 필름을 클램프하는 상측 클램프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상측 유닛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와, 필름을 교환하는 제2의 회동 위치의 두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의 회동 위치에 있어서는, 송출롤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한 견지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는, 한쪽의 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필름을 고정반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측 금형과 가동반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 사이에 끼워 형 체결하고, 파팅면 사이에 구성되는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표면에 박이 전사된 성형품을 얻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사출 성형기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로서, 전사 필름 이송 장치는, 가동반 또는 고정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 유닛과, 가동반 또는 고정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측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 유닛은, 롤형상으로 감긴 필름을 송출하는 송출롤과, 필름을 클램프하는 상측 클램프를 갖는다. 하측 유닛은, 필름을 클램프하는 하측 클램프와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롤을 갖는다. 상측 유닛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와, 상기 제1의 회동 위치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 선회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하면, 송출롤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측 유닛은, 수동으로 제1, 2의 회동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측 유닛은, 수동으로 회전하는 선회 레버와, 선회 레버에 연결되어 선회 레버의 운동을 전달하는 제1 링크와, 복수의 제1 링크에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직동 블록과, 직동 블록에 연결되어 직동 블록의 운동을 전달하는 제2 링크와, 제2 링크에 연결되어 소정의 회전축의 둘레에서 제2 링크에 의해 선회하는 선회판을 더 갖고, 선회 레버에 의해 제1의 회동 위치 및 제2의 회동 위치로 선회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측 유닛이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사출 성형기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송출롤이 가동반 또는 고정반의 측부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측 유닛은, 필름 송출 유닛을 포함하고, 필름 송출 유닛은, 상측 유닛이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사출 성형기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가동측 금형이 부착되어 있는 가동반 또는 고정반의 전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측 유닛에 설치되어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센서는, 제1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에는 가동측 금형 또는 고정측 금형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측 유닛이 선회할 때에는, 선회에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까지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에서는, 상측 유닛으로부터 필름이 없어졌을 때, 새로운 필름을 세트하는 필름 교환 작업을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상측 유닛이 제1의 회동 위치로 구동된 선회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상측 유닛이 중간 위치로 구동된 선회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5는 상측 유닛이 제2의 회동 위치로 구동된 선회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선회의 준비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상측 유닛이 제1의 회동 위치로 구동된 선회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상측 유닛이 제2의 회동 위치로 구동된 선회 기구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4는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제2 실시형태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변형예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통상의 운전 상태에 있는 변형예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사출 성형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사출 성형기(1)도, 소정의 틀체로 이루어지는 베드(2) 위에, 종래 주지의 사출 성형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가열 실린더와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사출 장치, 가동측 금형(3)과 고정측 금형(4), 이들 금형(3, 4)을 형 체결하는 형 체결 장치(6), 등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형 체결 장치(6)의 일부가 나타나 있는데, 형 체결 장치(6)도 종래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베드(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반(8), 가동반(9), 형 체결 구동부, 가동반(9)을 가이드하고 있는 4개의 타이 바(11, 11, …)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반(8)에는 고정측 금형(4)이, 가동반(9)에는 가동측 금형(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형 체결 구동부를 구동하면 금형(3, 4)은 형 개폐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사출 성형기(1)의 가동반(9)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에 의해서, 표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된 필름이 송출되어, 소위 전사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는, 가동반(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 유닛(U1)과,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측 유닛(U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반(9)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연직 방향이 상하 방향이며, 연직 방향에 있어서 가동반(9)보다도 위에 상측 유닛(U1)이 설치되고, 가동반(9)보다도 아래로 한 하측 유닛(U2)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유닛(U1)은, 박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긴 필름을 소정의 길이씩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필름 송출 유닛(13), 상측 유닛(U1)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상횡 이동 장치(10), 상측 유닛(U1)을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1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 기구(14)는 본 발명에 특유의 기구이며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박은, 예를 들면 전사층이다.
하측 유닛(U2)은, 전사 성형 후의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필름 권취 유닛(15), 하측 유닛(U2)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하횡 이동 장치(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름에는 그 가장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크가 실시되어 있음과 더불어 가장자리부와 평행하게 라인이 그어져 있다. 상기한 가동측 금형(3)에는, 마크를 검출하는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와, 라인을 검출하는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 상횡 이동 장치(10)를,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 하횡 이동 장치(16)를, 각각 구동하면 필름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 필름의 송출 길이는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에 의해서 검출되게 되어 있다. 이들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가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일례이며,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가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일례이며,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가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일례이다.
상측 유닛(U1)의 필름 송출 유닛(13)은, 하우징(23)과, 이 하우징(23)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롤,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23) 내에는, 롤형상의 필름이 세트되는 송출롤(18), 송출롤(18)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19, 19), 소정의 롤과 마찰 부재로 필름을 로크하거나 로크를 해제하거나 하는 상측 클램프(20), 송출롤(18)에 세트되어 있는 필름의 잔량을 검출하는 제1의 센서(21), 필름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2의 센서(2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측 유닛(U1)의 하우징(23)은, 그 배면부, 즉 송출롤(18)측이 개폐 가능한 배면 도어(24)로 되어 있어,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배면 도어(24)를 열어 롤형상의 필름을 송출롤(18)에 세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측 유닛(U2)의 필름 권취 유닛(15)도, 종래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동일하게, 하우징(26)과, 이 하우징(26)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롤,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26) 내에는, 사용이 끝난 필름을 로크하거나 로크를 해제하거나 하는 하측 클램프(28), 하측 클램프(28)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29, 29), 그 하류에서 필름을 강제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30),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롤(31)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권취롤(31)의 근방에는, 사용이 끝난 필름이 다 감긴 상태가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3의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름 권취 유닛(15)도 상기한 하횡 이동 장치(16)와 함께 하측 유닛(U2)으로서 가동반(9)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유닛(U1)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와, 제1의 회동 위치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 선회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하면, 송출롤(18)이 사출 성형기(1)의 측방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상측 유닛(U1)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선회 기구(1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유닛(U1)은, 선회 기구(14)에 의해서, 수동으로 제1, 2의 회동 위치로 선회할 수 있다.
선회 기구(14)는, 가동반(9)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정 부재와, 선회하거나 슬라이드하거나 하는 가동 부재로 이루어진다.
가동반(9)을 상면으로부터 본 모습이 도 3~도 5에 나타나 있는데, 선회 기구(14)의 고정 부재는, 가동반(9)에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32)와, 이 플레이트(32) 위에 서로 90도가 되도록 고착되어 있는 장방형의 판형상의 제1, 2의 고정판(33, 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 기구(14)의 가동 부재는, 상측 유닛(U1)의 필름 송출 유닛(13)이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선회판(36), 작업자가 조작하는 선회 레버(38), 선회판(36)과 선회 레버(38)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3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는 필름 송출 유닛(13)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정확하게는 선회판(36)에는 상횡 이동 장치(10)가 고정되고, 필름 송출 유닛(13)은 상횡 이동 장치(10) 위에 설치되어 있는데, 편의상 선회판(36)에 필름 송출 유닛(13)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회판(36)은, 제1, 2의 고정판(33, 34)의 접합 부분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연직의 선회축(37)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1, 2의 고정판(33, 34)은 선회판(36)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로 되어 있고, 선회판(36)은 제1, 2의 고정판(33, 34)의 내측에서 90도만큼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회 레버(38)는, 핸들부(41)와, 이 핸들부(41)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암부(42)로 이루어지고, 핸들부(41)와 암부(42)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 플레이트(32)에 설치되어 있는 연직의 레버축(4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선회할 수 있는 각도가 90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동일하게, 핸들부(41)에 대한 암부(42)의 각도도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다른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링크 기구(39)는, 단링크(45)와, 직동 블록(46)과, 장링크(47)로 이루어지고, 선회판(36)의 소정의 부분과 직동 블록(46)이 단링크(45)에 의해서 접속되고, 그리고 직동 블록(46)과 선회 레버(38)의 암부(42)의 선단부가 장링크(4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부(41)를 갖고 좌우로 선회 레버(38)를 회동시키면 선회판(36)이 선회하고, 그에 따라 상측 유닛(U1)의 필름 송출 유닛(13)이 수평 방향으로 90도로 선회하게 된다. 도 3~도 5에는 선회 레버(38)의 회동 위치에 따라서 필름 송출 유닛(13)의 회동 위치가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고, 도 3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 도 5는 필름 교환을 실시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플레이트(32)에는, 조작판(48)이 고정되어 있고, 조작판(48)에는 제1, 2의 위치 결정 구멍(49, 50)이 뚫려 있다. 선회 레버(38)의 핸들부(41)에도 핀 삽입 구멍(51)이 뚫려 있고, 핀 삽입 구멍(51)이 제1, 2의 위치 결정 구멍(49, 50) 중 어느 하나에 정합한 상태로 위치 결정 핀(52)을 삽입하면, 선회 레버(38)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측 유닛(U1)이 제1의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소정의 고정 볼트에 의해서 상측 유닛(U1)을 완전하게 플레이트(32)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고정 볼트로 고정하면, 상측 유닛(U1)은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가동반(9)에 고정된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에도, 각 유닛을 구동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는, 사출 성형기(1)의 컨트롤러와 접속되어 있고,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는 사출 성형기(1)와 동기하여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측 유닛(U1)의 선회 기구(14)에는, 상측 유닛(U1)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터가 설치되어 있고, 제1, 2의 회동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이 검출되게 되어 있다.
또 상측 유닛(U1)이 제1, 2의 회동 위치 중 어느 것도 아닌, 중간의 회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사출 성형기(1)의 형 체결 장치(6)를 구동할 수 없도록 인터로크가 취해져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 및 사출 성형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하게 한쪽의 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을 사용한다. 이 롤형상의 필름을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에 세트하려면 이하와 같이 한다.
우선,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를 자동 모드에서 수동 모드로 전환하여,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를 멈춘다. 사출 성형기(1)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사출 성형기(1)를 수동 모드로 하고, 형 체결 장치(6)를 구동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형개하고, 이젝터를 전진시킨다. 이 때,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 상측 유닛(U1), 즉 필름 송출 유닛(13)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회동 위치로 되어 있다.
작업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작업 스테이지 위에 서서 이하의 작업을 행한다. 작업 스테이지는 작업용 대이며 형 체결 장치(6)의 측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유닛(U1)은, 제1의 회동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게 소정의 고정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 볼트를 떼어낸다.
그 다음에, 선회 기구(14)를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 핀(52)을 뽑아 선회 레버(38)의 구속을 해제해, 선회 레버(38)를 조작한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나 있는 상태를 경유해, 도 5에 나타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필름 송출 유닛(13)은 수평 방향으로 90도 선회하여, 제2의 회동 위치로 이동한다.
위치 결정 핀(52)을 선회 레버(38)의 핀 삽입 구멍(51)에 삽입하여, 선회 레버(38)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한다. 필름 송출 유닛(13)이 제2의 회동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23)의 배면 도어(24)는 사출 성형기(1)의 측방으로 치우쳐 있다. 즉, 가동반(9)의 측방으로 치우쳐 있다. 배면 도어(24)를 연다. 그러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송출 유닛(13)의 송출롤(18)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 즉 가동반(9)의 측방에 노출된다. 제1의 센서(21)를 들어올려, 새로운 롤형상의 필름(56)을 송출롤(18)에 세트한다.
그런데, 제2의 회동 위치에 있어서 필름 송출 유닛(13)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1)를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가동반(9)의 측부보다 외방으로 튀어나가는 상태로는 되지 않고 가동반(9)의 측부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측 유닛(U1)의 선회중에 있어서도, 상측 유닛(U1)의 각 부재는 가동반(9)의 측부보다 외방으로는 튀어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하게 상측 유닛(U1)을 선회시킬 수 있다. 또, 새로운 롤형상의 필름(56)은 중량이 크고 취급이 곤란하지만, 송출롤(18)도 가동반(9)의 측부로부터 외부로 튀어나가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비교적 용이하게 송출롤(18)에 세트할 수 있다.
이 제2의 회동 위치인 상태에서, 송출롤(18)에 세트되어 있는 롤형상의 필름(56)으로부터 필름(56')을 인출하여, 가이드 롤(19, 19)에 걸쳐감고, 상측 클램프(20)에 통과시켜, 소정의 길이만큼 늘어뜨린다. 이 상태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가동반(9)의 측방의 작업 스테이지에 서 있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가이드 롤(19, 19)이나 상측 클램프(20)는 송출롤(18)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필름(56')을 인출하거나 상측 클램프(20)에 통과시키거나 하는 작업은 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제2의 회동 위치는, 비교적 용이한 이들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동 위치가 아니며, 중량이 큰 롤형상의 필름(56)을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회동 위치로 되어 있고, 사출 성형기(1)의 측방에 노출되는 것은, 상측 클램프(20) 등은 아니고 송출롤(18)이 되도록 고려되고 있다. 작업자가 실시하는 복수의 작업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결정된, 최적의 회동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상태, 즉 상측 유닛(U1)이 제2의 회동 위치에 있고, 또한 필름(56')이 소정 길이만큼 상측 클램프(20)로부터 늘어뜨려진 상태로부터, 제1의 회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도 5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핀(52)을 뽑아 선회 레버(38)를 조작하고,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송출 유닛(13)을 제1의 회동 위치로 선회시키고, 위치 결정 핀(52)을 핀 삽입 구멍(51)에 삽입하여 선회 레버(38)를 구속한다. 이어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고정 볼트에 의해서 상측 유닛(U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하, 작업자는 작업 스테이지에서 내려와 작업을 실시한다. 필름(56')을 가동측 금형(3)을 따라서 인출한다. 인출한 필름(56')을 하측 클램프(28)에 통과시켜, 가이드 롤(29), 구동롤(30)에 걸쳐감고, 권취롤(31)에 소정의 권수만큼 감는다. 이 상태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다.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의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를 자동 모드로 전환한다. 사출 성형기(1)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자동 모드로 전환하여 운전을 개시하면, 종래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와 동일하게,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도 사출 성형기(1)에 연동하여 운전된다. 즉, 사출 성형 사이클에 연동하여, 필름(56')이 소정의 길이씩 이송되어, 전사 성형에 사용되고, 사용 후의 필름(56')이 권취롤(31)에 권취된다.
송출롤(18)에 세트되어 있는 필름(56)의 잔량이 없어지면, 제1의 센서(21)에 의해서 검출되고,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의 컨트롤러는, 필름(56)의 교환을 재촉하는 경고를 보낸다. 또한 전사 성형이 계속되면 송출롤(18)로부터 필름(56)이 없어져, 필름(56')의 종단이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에서 검출된다. 혹은 필름(56')이 없어졌던 것이 다른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러면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와 사출 성형기(1)는 운전을 정지한다. 하측 유닛(U2)으로부터 권취된 낡은 필름을 떼어내고, 이미 설명한 롤형상의 필름(56)을 세트하는 방법과 동일한 조작을 하면 필름(56)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유닛(U2)에 낡은 필름을 남겨 두고 필름(56)을 교환해도 된다. 즉, 새로운 필름(56)을 상측 유닛(U1)에 세트해, 필름(56')을 소정 길이만큼 상측 클램프(20)로부터 늘어뜨리며, 상측 유닛(U1)을 제1의 회동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측 클램프(20)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필름(56')을 인출하고, 낡은 필름의 종단부에 점착 테이프 등으로 잇는다. 이와 같이 하면 새로운 필름(56')을 하측 유닛(U2)에 세트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작업을 한 것이 된다. 필름(56)의 교환이 완료된다.
또한, 하측 유닛(U2)의 권취롤(31)에 감겨 있는 사용이 끝난 필름(56')이 다 감긴 상태가 되면, 제3의 센서(54)가 이것을 검출한다. 그러면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의 컨트롤러는 필름(56')의 철거를 재촉하는 경고를 표시해,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는 정지한다. 그 결과, 사출 성형기(1)도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필름(56')을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다 감긴 상태의 사용이 끝난 필름(56')을 권취롤(31)로부터 떼어낸다. 그 후, 필름(56')을 권취롤(31)에 소정 권수만큼 감는다.
(특징)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의 면에 그림 붙이기용 전사층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필름을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 사이에 끼워 형 체결하고, 파팅면 사이에 구성되는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표면에 상기 전사층이 전사된 성형품을 얻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사출 성형기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 필름 이송 장치는, 사출 성형기의 가동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 유닛과, 가동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측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유닛은, 롤형상으로 감긴 필름을 송출하는 송출롤과, 필름을 클램프하는 상측 클램프로 구성되고, 하측 유닛은, 필름을 클램프하는 하측 클램프와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유닛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와, 상기 제1의 회동 위치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 선회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하면, 송출롤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사용이 끝난 심을 취출하여 새로운 롤형상의 필름을 송출롤에 세트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다 감긴 상태의 롤형상의 필름은 중량이 있지만, 이와 같이 송출롤이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노출되므로, 이 작업은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새로운 롤형상의 필름을 세트하면, 송출롤로부터 필름을 인출하여 상측 클램프에 통과시킨다. 그 후, 상측 유닛을 제1의 회동 위치로 선회시켜, 필름을 더 인출하고, 인출한 필름을 하측 클램프에 통과시킴과 더불어 권취롤에 필름을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 유닛을 제1의 회동 위치로 선회시킨 후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가동반의 측방의 작업대에 서있는 작업자가 손을 뻗어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것들은 완력을 필요로 하는 일은 없고,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작업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력을 필요로 하며, 위험을 수반하는 작업인, 다 감긴 상태의 롤형상의 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작업의 안전성이 높고 효율이 향상된다. 또 다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유닛은, 수동으로 제1, 2의 회동 위치로 선회되게 되어 있다. 즉, 안전을 확인하면서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은 높다. 또한 다른 발명에 의하면, 상측 유닛이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사출 성형기를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송출롤이 가동반의 측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면 상측 유닛은 선회해도 가동반보다 측방으로는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이 더욱 확보되고 있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사출 성형기(1)에서는,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가 가동측 금형(3)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도 8 내지 도 15에 나타나 있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사출 성형기(1A)와 같이,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의 상측 유닛(U1) 및 하측 유닛(U2)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하의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 또는 단순히 치수를 변경하기만 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측 금형(3)이 형 본체(3h)와 부착판(3k)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정측 금형(4)이 형 본체(4h)와 부착판(4k)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8 내지 도 15에 있어서, X축의 +방향이 전방, X축의 -방향이 후방, Y축의 +방향이 우방향, Y축의 -방향이 좌방향, Z축의 +방향이 상방, Z축의 -방향이 하방이다.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는, 직방체 형상의 센서 지지 부재(61, 62)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 지지 부재(61, 62)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63, 64)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에 부착되어 있다.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를 가동측 금형(3)의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동측 금형(3)으로부터 떨어져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가 가동측 금형(3)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가동측 금형(3)에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를 부착한 것으로는, 금형 교환시에 일일이 센서 부착 작업이나 센서 조정 작업이 발생하여 제조 효율이 나빠진다.
그래서,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를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에 부착함으로써, 센서 부착 작업이나 센서 조정 작업을 생략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측 유닛(U1)에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측 유닛(U1)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의 상측 유닛(U1)에 부착되는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는 가이드 부재(63, 64)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측 금형(3)의 파팅면(3m)에 필름(56)을 접촉시키지 않고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가 필름(56)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측 유닛(U1) 및 하측 유닛(U2)은, X축의 +방향으로 파팅면(3m)을 넘어 튀어나와 있다. 상측 유닛(U1) 및 하측 유닛(U2)이 X축의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는 구조를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가 갖고 있기 때문에,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3)를 하방으로 신장시켜 센서 지지 부재(61)를 내린 상태로, 가동반(9)의 전방에 있어서,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를 가동측 금형(3)의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또,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가 고정된 센서 지지 부재(62)도, 가동반(9)의 전방에 있어서, 하측 유닛(U2)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64)에 의해 가동측 금형(3)의 근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를 회전시키기 전에,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3)를 연직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선회할 때에 센서 지지 부재(61)가 고정판(33)에 닿지 않는 위치까지 올린다. 또, 가이드 부재(64)를 연직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센서 지지 부재(62)를 아래로 내린다.
다음에,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가동반(9)을 상면으로부터 본 모습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 있다. 선회 기구(14)의 고정 부재는, 가동반(9)에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32)와, 이 플레이트(32) 위에 서로 90도가 되도록 고착되어 있는 장방형의 판형상의 제1의 고정판(33) 및 제2의 고정판(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 기구(14)의 가동 부재는, 상측 유닛(U1)의 필름 송출 유닛(13)이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선회판(36), 작업자가 조작하는 선회 레버(38), 선회판(36)과 선회 레버(38)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3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필름 송출 유닛(13)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대략, 이 이점쇄선은, 하우징(23)의 외형에 일치한다.
또한, 정확하게는 선회판(36)에는 상횡 이동 장치(10)가 고정되고, 필름 송출 유닛(13)은 상횡 이동 장치(10) 위에 설치되어 있지만, 편의상 선회판(36)에 필름 송출 유닛(13)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회판(36)은, 제1, 2의 고정판(33, 34)의 접합 부분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연직의 선회축(37)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1, 2의 고정판(33, 34)은 선회판(36)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로 되어 있고, 선회판(36)은 제1의 고정판(33) 및 제2의 고정판(34)의 내측에서 90도만큼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선회판(36)은, 선회축(37)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1의 고정판(33)에 접촉할 때까지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의 고정판(34)에 접촉할 때까지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선회 레버(38)는, 핸들부(41)와 이 핸들부(41)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암부(42)로 이루어지고, 핸들부(41)와 암부(42)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 플레이트(32)에 설치되어 있는 연직의 레버축(43)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선회할 수 있는 각도가 90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핸들부(41)에 대한 암부(42)의 각도도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다른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링크 기구(39)는, 단링크(45)와, 직동 블록(46)과, 장링크(47)로 이루어지고, 선회판(36)의 소정의 부분과 직동 블록(46)이 단링크(45)에 의해서 접속되고, 그리고 직동 블록(46)과 선회 레버(38)의 암부(42)의 선단부가 장링크(4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부(41)를 갖고 좌우로 선회 레버(38)를 회동시키면 선회판(36)이 선회하고, 그에 따라 상측 유닛(U1)의 필름 송출 유닛(13)이 수평 방향으로 90도로 선회하게 된다. 도 12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 도 13은 필름 교환을 실시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의 회동 위치(도 12 참조)에서는,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필름 송출 유닛(13), 즉 하우징(23)이, 가동반(9)의 전면(9m)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크게 튀어나와 있다. 필름 송출 유닛(13)(하우징(23))의 전단부(13m)는, 가동측 금형(3)의 파팅면(3m)을 넘어 X축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제1의 회동 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한 제2의 회동 위치(도 13 참조)에서는, 필름 송출 유닛(13)(하우징(23))의 전단부(13n)는, 상면으로부터 봤을 때, 가동반(9)의 전면(9m)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후퇴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측 유닛(U1)이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사출 성형기(1A)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필름 송출 유닛(13)이 가동반(9)과 겹쳐져 가동반(9)의 전면(9m)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플레이트(32)에는, 조작판(48)이 고정되어 있고, 조작판(48)에는 제1, 2의 위치 결정 구멍(49, 50)이 뚫려 있다. 선회 레버(38)의 핸들부(41)에도 핀 삽입 구멍(51)이 뚫려 있고, 핀 삽입 구멍(51)이 제1, 2의 위치 결정 구멍(49, 50) 중 어느 하나에 정합한 상태로 위치 결정 핀(52)을 삽입하면, 선회 레버(38)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측 유닛(U1)이 제1의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소정의 고정 볼트에 의해서 상측 유닛(U1)을 완전하게 플레이트(32)에 대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고정 볼트로 고정하면, 상측 유닛(U1)은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가동반(9)에 고정된다. 또, 가이드 부재(63)도 회전중에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상측 유닛(U1)이 제2의 회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와 동일하게, 필름(56)의 교체 작업이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동측 금형(3)을 교체할 때에는, 화살표(Ar1)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행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가동측 금형(3)을 위로 끌어올린다. 이 때, 필름 송출 유닛(13)이 가동반(9)의 전면(9m)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끌어올려지는 가동측 금형(3)을 필름 송출 유닛(13)에 충돌시키지 않게 하면서 안전하게 가동측 금형(3)의 교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측 금형(3)의 교체가 끝나면, 가이드 부재(63)를 아래로 슬라이드시키고, 또 가이드 부재(64)를 위로 슬라이드시켜,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체가 끝난 가동측 금형(3)의 근방에 상횡 위치 결정 센서(S1)와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와 세로 이송 위치 결정 센서(S3)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종래 가동측 금형(3)에 대해 행하고 있었던 센서 부착 작업이나 센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금형 교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변형예A)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 12A)의 상측 유닛(U1) 및 하측 유닛(U2)을 각각 가동반(9)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유닛(U1) 및 하측 유닛(U2)을 각각 고정반(8)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해도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B)를 제2 실시형태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와 비교하면, 사출 성형기(1B)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B)는, 설치 장소가 상이한 것만으로,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B) 자신의 구성은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A)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형태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12)와 동일한 구성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를 고정반(8)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도, 예를 들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90도 ±10도의 범위 내의 소정 각도 회전한 후의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필름 송출 유닛(13)(하우징(23))의 전단부가 전면(8m)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 변형예 A의 경우에는, 제2 실시형태에 비해, X축 +방향과 -방향을 바꿨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측 유닛(U1)이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사출 성형기(1B)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송출롤(20)이 고정반(8)의 측부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있다.
(변형예 B)
상기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변형예 A에서는, 상측 유닛(U1)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하측 유닛(U2)에도 동일한 구성을 설치해 필름 권취 유닛(15)을 90도 ±10도의 범위 내의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하횡 위치 결정 센서(S2)를 필름 권취 유닛(15)의 위치까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름 권취 유닛(15)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1, 1A, 1B:사출 성형기
2:베드
3:가동측 금형
4:고정측 금형
6:형 체결 장치
8:고정반
9:가동반
10:상횡 이동 장치
11:타이 바
12, 12A, 12B:전사 필름 이송 장치
13:필름 송출 유닛
14:선회 기구
15:필름 권취 유닛
16:하횡 이동 장치
18:송출롤
20:상측 클램프
23:하우징
24:배면 도어
28:하측 클램프
31:권취롤
32:플레이트
33:제1의 고정판
34:제2의 고정판
36:선회판
38:선회 레버
39:링크 기구
45:단링크
46:직동 블록
47:장링크
49:제1의 위치 결정 구멍
50:제2의 위치 결정 구멍
51:핀 삽입 구멍
52:위치 결정 핀
U1:상측 유닛
U2:하측 유닛

Claims (6)

  1. 한쪽의 면에 그림 붙이기용 박이 인쇄되어 롤형상으로 감겨 있는 필름을 소정의 길이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필름을 고정반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측 금형과 가동반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측 금형의 파팅면 사이에 끼워 형 체결하고, 상기 파팅면 사이에 구성되는 캐비티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표면에 상기 박이 전사된 성형품을 얻는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사출 성형기의, 전사 필름 이송 장치로서,
    상기 가동반 또는 상기 고정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 유닛과, 상기 가동반 또는 상기 고정반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측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유닛은, 롤형상으로 감긴 필름을 송출하는 송출롤과, 필름을 클램프하는 상측 클램프를 갖고,
    상기 하측 유닛은, 필름을 클램프하는 하측 클램프와 사용이 끝난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롤을 갖고,
    상기 상측 유닛은, 전사 성형을 실시하는 제1의 회동 위치와, 상기 제1의 회동 위치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90도 플러스마이너스 10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소정 각도로 선회하는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하면, 상기 송출롤이 상기 사출 성형기의 측방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유닛이 상기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상기 사출 성형기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송출롤이 상기 가동반 또는 상기 고정반의 측부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닛은, 수동으로 상기 제1의 회동 위치 및 상기 제2의 회동 위치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닛은, 수동으로 회전하는 선회 레버와, 상기 선회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선회 레버의 운동을 전달하는 제1 링크와, 복수의 상기 제1 링크에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직동 블록과, 상기 직동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직동 블록의 운동을 전달하는 제2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어 소정의 회전축의 둘레에서 상기 제2 링크에 의해 선회하는 선회판을 더 갖고, 상기 선회 레버에 의해 상기 제1의 회동 위치 및 상기 제2의 회동 위치로 선회되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닛은, 필름 송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송출 유닛은, 상기 상측 유닛이 상기 제2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 상기 사출 성형기를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가동반 또는 상기 고정반의 전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에는 상기 가동측 금형 또는 상기 고정측 금형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유닛이 선회할 때에는, 선회에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까지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의 회동 위치를 취할 때에는 상기 가동측 금형 또는 상기 고정측 금형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유닛이 선회할 때에는, 선회에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까지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필름 이송 장치.
KR1020167011834A 2014-07-17 2015-07-15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 KR102257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46379 2014-07-17
JP2014146379A JP6158142B2 (ja) 2014-07-17 2014-07-17 旋回可能な上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PCT/JP2015/070275 WO2016010075A1 (ja) 2014-07-17 2015-07-15 旋回可能な上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460A KR20170030460A (ko) 2017-03-17
KR102257180B1 true KR102257180B1 (ko) 2021-05-27

Family

ID=5507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834A KR102257180B1 (ko) 2014-07-17 2015-07-15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8142B2 (ko)
KR (1) KR102257180B1 (ko)
CN (1) CN105705313B (ko)
WO (1) WO20160100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117A (ja) * 2011-02-18 2012-09-10 Japan Steel Works Ltd:The 旋回可能な下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327A (ja) * 1984-05-25 1985-12-09 Japan Steel Works Ltd:The 転写成形装置
JPS61297115A (ja) 1985-06-26 1986-12-27 Japan Steel Works Ltd:The 転写成形装置
JPH04158015A (ja) * 1990-10-22 1992-06-01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JPH04185410A (ja) * 1990-11-19 1992-07-02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JPH11297732A (ja) * 1998-04-10 1999-10-29 Navitas Co Ltd Icタグの製造方法
JP2000006183A (ja) * 1998-06-25 2000-01-11 Nippon Plast Co Ltd 模様付き射出成形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347991B2 (ja) * 2000-04-21 2009-10-21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
JP2004098514A (ja) * 2002-09-10 2004-04-02 Ykk Corp 転写成形装置
JP4379874B2 (ja) * 2004-08-19 2009-12-09 有限会社ソラーナテクノ 成形同時印刷システムおよび転写印刷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6272883A (ja) * 2005-03-30 2006-10-12 Nissha Printing Co Ltd 転写成形装置及び転写成形方法
JP4878021B2 (ja) * 2007-09-28 2012-02-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送り装置およ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117A (ja) * 2011-02-18 2012-09-10 Japan Steel Works Ltd:The 旋回可能な下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5313B (zh) 2019-09-27
CN105705313A (zh) 2016-06-22
WO2016010075A1 (ja) 2016-01-21
KR20170030460A (ko) 2017-03-17
JP6158142B2 (ja) 2017-07-05
JP2016022604A (ja) 201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4456B2 (en) Rotary mold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exchanging mold of rotary mold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JP6448094B2 (ja) 金型回転式射出成形機および金型回転式射出成形機の型部材交換方法
JP4947432B2 (ja) 射出成形機等における安全扉自動開閉装置及び制御方法
JP4092664B2 (ja) 竪型射出成形機の安全装置
KR100803397B1 (ko) 로봇 핸드 위치 보정 장치
WO2015076211A1 (ja) 射出成形機
KR102257180B1 (ko) 선회 가능한 상측 유닛을 구비한 전사 필름 이송 장치
CN114206580B (zh) 注射成型系统、输送装置和模具更换方法
KR100843431B1 (ko) 성형 동시 인쇄 장치 및 전사 인쇄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2002172646A (ja) 射出成形機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5342576B2 (ja) 旋回可能な下ユニットを備えた転写フィルム送り装置
KR101316514B1 (ko) 기계 위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편절단기
JP2005125512A (ja) ノズルタッチ機構及び射出成形機
JP6811212B2 (ja) 金型取り付け方法及び射出成形機
CN110871537B (zh) 注射成型系统
JP5553227B2 (ja) 横型ダイカストマシン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2001026039A (ja) 射出成形機の金型交換装置および方法
JP2002192563A (ja) 金型交換方法および金型交換装置
US12042965B2 (en) Injection molding system
JP2010167708A (ja) 射出成形機
JPH0539860Y2 (ko)
JP5436291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6345508B2 (ja) 可動盤、開閉装置及び成形装置
KR20240115411A (ko) 초대형 사출성형품 제작용 사출성형기계
JPH11347688A (ja) 多機種小ロット混流生産における中子セ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