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829B1 -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 Google Patents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829B1
KR102256829B1 KR1020190128439A KR20190128439A KR102256829B1 KR 102256829 B1 KR102256829 B1 KR 102256829B1 KR 1020190128439 A KR1020190128439 A KR 1020190128439A KR 20190128439 A KR20190128439 A KR 20190128439A KR 102256829 B1 KR102256829 B1 KR 10225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ed
variable block
tread
ma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100A (ko
Inventor
한진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8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2Replaceable t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정형상의 블록결합부를 트레드부의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블록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가변블록부를 서로 결합하여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개의 가변블록부의 초기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돌기삽입홈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GROOV DEFORMABLE TIRE}
본 발명은 트레드에 형성된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시 압연공정과 재단공정, 비드공정 및 밴드공정 등을 마치게 되면 성형공정에서 비드부와 카카스 및 벨트 등이 내장된 그린 타이어가 완성된다.
이러한 그린타이어를 가류기의 몰드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면서 일정시간 경과시키면 독특한 트레드를 가진 타이어가 완성된다.
가류 공정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배합된 고무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공정으로, 성형 공정에서 완성된 그린타이어를 타이어 가류 몰드에 넣어 내측 및 외측에서 열과 압력증기를 가한다.
이러한 그린 타이어의 가류 목적은, 고무로된 유연한 그린타이어에 열과 압력을 가해 유황과 다른 화학약품이 고무와 반응을 일으키게 하여, 고무분자가 안정된 화합물이 되면서 트레드에 특정 패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가류 공정을 거친 타이어는 트레드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메인 그루브(main groove)와, 메인 그루브의 외측으로 일정패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메인 그루브와 일정패턴은 물의 배수를 담당할 뿐 아니라 노면과의 슬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타이어는 사용시 메인 그루브와 패턴의 깊이가 감소함에 따라 그 수명이 다하게 되어 교체되는게 일반적이다.
한편, 타이어는 트레드에 형성된 메인 그루브와 홈이 이루는 패턴 구조에 의해 타이어의 제동력, 구동력 및 견인력이 달라지며, 그 중에서도 방열효과 및 배수효과 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는 트레드에 형성된 그루브 패턴,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등에 의해 노면 상태에 적합한 기능성 타이어로 분류된다.
한편, 종래의 타이어의 타이어는 날씨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노면 상태가 바뀌는 경우 노면의 상태(ex : 빗길 or 눈길)에 최적화되도록 타이어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제10-2007-0057508호 "더블유자형 트레드 패턴을 갖는 자동차용 타이어"(공개일 2007. 06. 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정 형상의 블록결합부를 트레드부의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블록부를 메인 그루브에 삽입하거나, 가변블록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가변블록부를 서로 결합하여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가변블록부의 초기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돌기삽입홈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그루브(main groove)가 형성된 트레드부; 및 상기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변블록부;를 포함하되, 일정형상의 상기 가변블록부가 상기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정형상의 블록결합부를 트레드부의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변블록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가변블록부를 서로 결합하여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개의 가변블록부의 초기 결합시 어느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돌기삽입홈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레드부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레드부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레드부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레드부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10)는,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그루브(main groove)(101)가 형성된 트레드부(103); 및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변블록부(105,301,401);를 포함하되, 일정형상의 가변블록부(105,301,401)가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메인 그루브(101)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드부(103)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그루브(101)가 함몰형성되는데, 일예로 트레드부(103)는 도면에서와 같이 폭방향 중심(C)을 기준으로 양측에 메인 그루브(10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그루브(101)에는 다수의 가변블록부(105,301,40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트레드부(1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레드부(103)는,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서 메인 그루브(101)를 따라 돌출형성되며 가변블록부(105,301,401)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돌기(201); 및 안착돌기(201)에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어 가변블록부(105,301,401)와 결합되는 트레드결합부(2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돌기(20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서 메인 그루브(101)를 따라 돌출형성될 수 있는데, 좀더 상세하게는 메인 그루브(101)가 구획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폭방향 중심(C)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메인 그루브(101)를 따라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돌기(201)는 일예로 폭방향 중심(C)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트레드결합부(203)는 안착돌기(201)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형성되며 가변블록부(105,301,40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러한 트레드결합부(203)는 복수개가 안착돌기(201)를 따라 등간격 형성된다.
이러한 트레드결합부(2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레드결합부(203)는, 안착돌기(201)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되, 단부에 가변블록부(105,301,401)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변블록부(105,301,401)와 걸림되는 후크걸림홈(205)이 형성된다.
후크걸림홈(205)은 가변블록부(105,301,401)가 쉽게 이탈되지 않고 구속되도록 형성되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후크걸림홈(205)은 후술할 걸림후크(205,305,407)가 걸림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걸림홈(205)은 일예로 블록결합부(207,303)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209,305,40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계속해서, 다수의 가변블록부(105,301,401)는 일정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메인 그루브(101)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킨다.
가변블록부(105)는 메인 그루브(101)에 결합시 트레드부(103)에 지지되며 노면에 밀착될 수 있는데, 이때 노면과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노면과 밀착되는 외측면에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105)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105)는 메인 그루브(101)에 삽입시 트레드부(103)의 일부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홈(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홈(211)은 가변블록부(105)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트레드부(103)의 안착돌기(201)의 상측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가변블록부(105)는 메인 그루브(101)에 결합시 트레드부(103)와 결합되는 블록결합부(207)가 돌출형성되거나 함몰형성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블록결합부(207)가 안착홈(211)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트레드부(10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블록결합부(207)는 트레드부(103)의 내측에 삽입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단부에 걸림후크(209)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후크(209)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후크(209)는 후크걸림홈(205)에 걸림되어 구속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3)이 형성되고,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이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블록결합부(207)에 걸림턱(213)이 형성되며,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이방향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걸림후크(209)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변블록부(105)를 트레드결합부(203)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 후 트레드결합부(203)로부터 가변블록부(105)가 의도치않게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블록결합부(207)는 그 폭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메인 그루브(1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101)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301)의 구조를 설명하면, 가변블록부(301)는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105)와 동일하게 메인 그루브(101)에 삽입시 트레드부(103)의 일부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홈(307)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변블록부(301)는 메인 그루브(101)에 결합시 트레드부(103)와 결합되는 블록결합부(303)가 안착홈(307)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트레드부(10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블록결합부(303)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트레드부(103)의 안착돌기(201)에 폭방향으로 함몰형성된 트레드결합부(20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블록결합부(203)는 트레드부(103)의 내측에 삽입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단부에 일실시예의 걸림후크(209)와 동일한 구조의 걸림후크(305)가 돌출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301)는 일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105)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301)는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도록 어느 한쪽면에 블록결합부(303)가 삽입되는 블록삽입부(309)가 형성된다.
즉, 다수의 가변블록부(301)는, 어느 한쪽면에 블록결합부(303)가 삽입되는 블록삽입부(309)가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안착홈(307)과 다른 하나의 일부영역이 결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블록결합부(303)가 다른 하나의 블록삽입부(309)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블록삽입부(309)에는 걸림후크(305)의 단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며, 삽입시 걸림후크(305)가 걸림되어 구속되는 걸림구속부(311)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301)의 구조에 의하면, 블록결합부(303)가 트레드결합부(203)에 결합되도록 가변블록부(301)를 메인 그루브(101)에 삽입하거나, 가변블록부(301)의 폭이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가변블록부(301)를 서로 결합하여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즉, 가변블록부(301)의 크기를 가변시켜 메인 그루브(101)의 내측에 결함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101)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401)의 구조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401)는 앞서 설명한 가변블록부(105,301) 대비 길게 형성되며 트레드부(103)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트레드부(103)의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변블록부(401)는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트레드부(103)의 안착돌기(201)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홈(40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안착홈(405)의 내측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트레드결합부(203)에 삽입되는 블록결합부(403)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록결합부(403)는 안착홈(405)의 내측에 복수개가 등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드결합부(203)에 결합시 의도치않게 트레드부(103)와 분리되지 않도록 단부에 앞서 설명한 걸림후크(209,305)와 동일한 구조의 걸림후크(407)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가변블록부(401)는 서로 결합되도록, 양단 어느 한쪽에 결합돌기(409)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결합돌기(409)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4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결합돌기(409)는 가변블록부(401)의 단부 어느 한쪽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돌기삽입홈(411)은 가변블록부(401) 단부 다른 한쪽에서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결합돌기(409)에 안착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블록부(401)의 구조에 의하면, 다수개의 가변블록부(401)의 초기 결합시 어느 하나의 가변블록부(401)의 결합돌기(409)와 다른 하나의 가변블록부(401)의 돌기삽입홈(411)이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일정형상의 블록결합부를 트레드부의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노면 상태에 따라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101 : 메인 그루브(main groov)
103 : 트레드부
105 : 가변블록부
201 : 안착돌기
203 : 트레드결합부
205 : 후크걸림홈
207 : 블록결합부
209 : 걸림후크
211 : 안착홈
213 : 걸림턱
301 : 가변블록부
303 : 블록결합부
305 : 걸림후크
307 : 안착홈
309 : 블록삽입부
311 : 걸림구속부
401 : 가변블록부
403 : 블록결합부
405 : 안착홈
409 : 결합돌기
411 ; 돌기삽입홈

Claims (6)

  1.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그루브(main groove)가 형성된 트레드부; 및
    상기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변블록부;
    를 포함하되,
    일정 형상의 상기 가변블록부가 상기 메인 그루브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그루브의 폭, 깊이,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가변시키며,
    상기 가변블록부는,
    상기 메인 그루브에 삽입시 상기 트레드부의 일부영역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블록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가변블록부는,
    어느 한쪽면에 블록결합부가 삽입되는 블록삽입부가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안착홈과 다른 하나의 일부영역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결합부가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메인 그루브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그루브를 따라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변블록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돌기; 및
    상기 안착돌기에 돌출 또는 함몰형성되어 상기 가변블록부와 결합되는 트레드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결합부는,
    상기 안착돌기의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되, 단부에 상기 가변블록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변블록부와 걸림되는 후크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6. 삭제
KR1020190128439A 2019-10-16 2019-10-16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KR10225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439A KR102256829B1 (ko) 2019-10-16 2019-10-16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439A KR102256829B1 (ko) 2019-10-16 2019-10-16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00A KR20210045100A (ko) 2021-04-26
KR102256829B1 true KR102256829B1 (ko) 2021-05-27

Family

ID=7573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439A KR102256829B1 (ko) 2019-10-16 2019-10-16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41B1 (ko) * 2007-05-30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KR101591722B1 (ko) * 2014-10-10 2016-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508A (ko) 2005-12-02 2007-06-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더블유자형 트레드 패턴을 갖는 자동차용 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441B1 (ko) * 2007-05-30 2008-06-0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
KR101591722B1 (ko) * 2014-10-10 2016-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00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057B2 (ja) 空気入りタイヤ
CA2738842C (en) Undulated progressive tire mold element
US8915273B2 (en) Pneumatic tire
US7575424B2 (en) Flexible mo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sunken groove in a tire tread
EP1676728B1 (en) Siped tire tread
CN110831784B (zh) 胎面包括波状沟槽的轮胎
CN103946002B (zh) 包括用于在花纹沟中模制封闭装置的空腔的模具
CN112203869A (zh) 包括波状沟槽和刀槽的轮胎胎面
KR101775617B1 (ko) 타이어용 세라믹 스터드
KR102256829B1 (ko) 그루브 변형이 가능한 타이어
CN109906154B (zh) 包含具有多个切口的长胎面条的胎面
KR101890373B1 (ko) 타이어
US20180170115A1 (en) Pneumatic tire, a tread band, and a tread block comprising a sipe, and a lamella plat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EP3356103B1 (en) Molding element for manufacturing a noise reducing tread
US9393841B2 (en) Tyre tread having cavities and incisions
EP0647521B1 (en) Mould for vulcanizing a pneumatic tyre
CN113993721A (zh) 车辆充气轮胎
JP5056369B2 (ja) タイヤ用加硫ブラダー
KR102269602B1 (ko) 패턴교체가 가능한 타이어
KR100622592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1566183B1 (ko) 타이어 가류 블래더
EP3645313B1 (en) Vehicle tires
KR102232452B1 (ko) 공명음 저감 브래더
KR101843140B1 (ko) 타이어
KR200388363Y1 (ko)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