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81B1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81B1
KR102256381B1 KR1020190118535A KR20190118535A KR102256381B1 KR 102256381 B1 KR102256381 B1 KR 102256381B1 KR 1020190118535 A KR1020190118535 A KR 1020190118535A KR 20190118535 A KR20190118535 A KR 20190118535A KR 102256381 B1 KR102256381 B1 KR 10225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terial layer
film
retort pouc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515A (ko
Inventor
정석재
성 진 최
조영선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삼아알미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알미늄 (주) filed Critical 삼아알미늄 (주)
Priority to KR102019011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위생성, 내열성, 내수성, 내습성, 강성 및 차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광 및 소프트필 특성이 우수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 for retort pouch, retort pouch contain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위생성, 내열성, 내수성, 내습성, 강성 및 차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광 및 소프트필 특성이 우수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공전(Korean Food Standards Codex)에 의하면, 레토로트용 식품(retort food)이란 "단층 플라스틱 필름이나 금속박 또는 이를 여러층으로 접착하여 파우치와 기타의 모양으로 성형한 용기에, 제조, 가공 또는 조리한 카레류, 하이라이스류, 짜장류, 죽, 국, 탕, 찌개, 수프, 육, 어육, 조리가공품 등의 식품을 충전하고 밀봉하여 가압, 가열, 멸균 또는 살균한 것으로 직접 또는 간단한 조리방법으로 식용이 가능하며, 보존성이 높고 휴대와 운반이 용이하도록 인스턴트화 한 것”으로 정의 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레토르트 식품은 파우치 등의 용기 내에 식품을 충전하여 열용융 밀봉한 후, 100℃ 이상의 습열, 살균처리를 하여, 상온에서도 장시간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상업적 무균성을 부여한 용기포장한 가압-가열-살균한 식품이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는 pH 4.6 이상으로 수분활성이 높은 식품에 이용되는데, 포장용기에 내용물(= 수분활성이 높은 식품)을 충전한 후 목표로 하는 내열성균에 따른 가압 조건 하에서, 100℃ 이상(대략적으로 100℃ ∼ 150℃)의 온도에서 장시간(대략적으로 15 ∼ 30분) 동안 살균 처리한다. 이 때, 최종적인 목표는 보틀리누스균(botulinum toxin)의 사멸이다.
한편, 내용물을 살균할 때에는 열수 또는 스팀으로 고온에서 장시간 살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 조건에 견딜수 있도록 포장용기를 설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 식품의 포장용기는 다른 식품 포장에 비해 유통기한도 비교적 길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레토르트 식품의 포장용기는 내열성, 내수성, 내습성, 강성, 차단성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식품 위생적으로도 안전해야 한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933074호(공개일 : 2018.09.19)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2019-0059288호(공개일 : 2019.05.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위생성, 내열성, 내수성, 내습성, 강성 및 차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피는 소광 및 소프트필 특성이 우수하여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질 수 있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은 내피층, 제1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2소재층 및 외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피층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경화제는 아지리딘(aziridin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5 ~ 15n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나노크레이(nano clay)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피층은 상기 제2소재층 일면에 0.8 ~ 1.7g/㎡의 도막량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피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소재층은 알루미늄(Al) 호일(foi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소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접착제층 및 제2접착제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를 1 : 1.1 ~ 1.4 비율로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 30,000 ~ 40,000인 우레탄 2액형 접착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내피층은 40 ~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소재층은 4 ~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소재층은 8 ~ 4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은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2소재층 일면에 상기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도막한 후, 경화시켜 제2소재층 일면에 외피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소재층 타면에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제1소재층 일면에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피층 형성 조성물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피층 형성 조성물의 도막량은 0.8 ~ 1.7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단계의 경화는 50 ~ 100℃의 온도에서 5 ~ 20초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면서도, 안정성, 위생성, 내열성, 내수성, 내습성, 강성 및 차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광 및 소프트필 특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레토르트용 식품을 충진할 수 있도록 일부영역이 개봉된 레토르트 파우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로서, 건조적층법에 의해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접착제층을 형성 및 각각의 필름을 적층시키는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토르트용 식품을 봉지하는 파우치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는 2장의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내피층(10)이 마주보도록 겹쳐놓은 후, 다층필름의 가장자리 영역을 접합, 밀봉 또는 융착시켜 파우치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다층필름의 모든 가장자리 영역이 접합, 밀봉, 실링 또는 융착시켜 파우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가장자리의 일부영역을 개봉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레토르트용 식품을 충진한 후에, 개봉된 부분의 가장자리 영역을 접합, 밀봉, 실링 또는 융착한 다음, 가압-가열, 멸균 및/또는 살균 처리한 레토로트용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 또는/및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은 내피층(10), 제1접착제층(20), 제1소재층(30), 제2접착제층(40), 제2소재층(50) 및 외피층(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내피층(10)은 레토르트 파우치의 내부에 충진되는 레토로트용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으로서,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열봉합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안정성(무미, 무취, 무독)을 가지고 있어 래토로트용 식품과 접촉에 있어서 위생적이다.
본 발명의 내피층(10)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피층(10)의 두께는 4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80㎛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40㎛ 미만이면 레토르트 파우치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제조 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접착제층(20)은 내피층(10)과 제1소재층(30)을 합지(Laminating)하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용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각 층의 소재간 특징으로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우레탄 접착제 및 폴리에테르계(Polyether) 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주제(-OH) 1 몰에 대한 NCO 몰비가 0.88 ~ 0.92이며, 중량평균분자량 30,000 ~ 40,000,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32,000 ~ 4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4,000 ~ 4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를 1 : 1.1 ~ 1.4 비율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1:1.25 ~ 1.40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하드세그먼트에 대하여 소프트세그먼트가 1.40 비율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하드세그먼트가 적어서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고, 소프트세그먼트가 1.1 비율 미만이면 고내열 접착제층의 유연성이 너무 떨어져서 폴딩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하드세그먼트 및 소프트 세그먼트 비율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하드세그먼트는 벤젠링, 우레탄 결합, 우레아 결합 등으로 이루어진 결정질 부위를 의미하며, 상기 소프트세그먼트는 단일결합을 이루어진 비결정질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쇄연장제, TDI 및 용제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5 ~ 48 중량%, 쇄연장제 2 ~ 5 중량%, TDI 5 ~ 8 중량% 및 용제 40 ~ 48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및 반응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접착제층(20)의 두께는 3.0 ~ 5.0㎛, 바람직하게는 3.5 ~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 4.2㎛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3.0㎛ 미만이면 내피층(10) 및 제1소재층(30)과의 접착력 및 내열성 부족으로 레토르트 살균시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박리(Delamination)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를 초과하면 잔류 용제가 발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소재층(30)은 산소차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차단성이 우수한 층으로서, 알루미늄(Al) 호일(foi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소재층(30)의 두께는 4 ~ 30㎛, 바람직하게는 5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5㎛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4㎛ 미만이면 핀 홀(Pinhol)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유연성 저하와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접착제층(40)은 제1소재층(30)과 제2소재층(50)을 합지(Laminating)하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용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의 각 층의 소재간 특징으로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우레탄 접착제 및 폴리에테르계(Polyether) 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주제(-OH) 1 몰에 대한 NCO 몰비가 0.88 ~ 0.92이며, 중량평균분자량 30,000 ~ 40,000,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 32,000 ~ 4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4,000 ~ 4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를 1 : 1.1 ~ 1.4 비율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1:1.25 ~ 1.40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하드세그먼트에 대하여 소프트세그먼트가 1.40 비율을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하드세그먼트가 적어서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고, 소프트세그먼트가 1.1 비율 미만이면 고내열 접착제층의 유연성이 너무 떨어져서 폴딩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하드세그먼트 및 소프트 세그먼트 비율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하드세그먼트는 벤젠링, 우레탄 결합, 우레아 결합 등으로 이루어진 결정질 부위를 의미하며, 상기 소프트세그먼트는 단일결합을 이루어진 비결정질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쇄연장제, TDI 및 용제를,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5 ~ 48 중량%, 쇄연장제 2 ~ 5 중량%, TDI 5 ~ 8 중량% 및 용제 40 ~ 48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및 반응시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접착제층(40)의 두께는 3.0 ~ 5.0㎛, 바람직하게는 3.5 ~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 4.2㎛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3.0㎛ 미만이면 내피층(10) 및 제1소재층(30)과의 접착력 및 내열성 부족으로 레토르트 살균시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박리(Delamination)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를 초과하면 잔류 용제가 발생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소재층(50)은 인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단성 및 강성이 우수한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및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중에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로나 방전 처리는 1 ∼ 30KV의 전압을 가하여 원자상태의 산소나 플라즈마,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에 의한 산화로 기재표면에 극성기(C=O, -COOH, -OH 등 2중결합)을 생성시켜 표면에너지를 높이는 처리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2소재층(60)의 두께는 8 ~ 40㎛, 바람직하게는 10 ~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25㎛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8㎛ 미만이면 차단성 저하뿐만 아니라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2소재층(50)은 제2접착제층(40)과 적층되는 면에는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이 지니는 디자인이 발현될 수 있게 문안,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제2소재층(50)과의 부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 처리시 탈색 및/또는 변색이 되지 않는 내열성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외피층(60)은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최외각 층으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레토르트 파우치 내부에 포함된 레토로트 식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소광 효과가 우수하여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외피층(60)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외피층(60)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1.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경화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제2소재층(50)과의 부착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레토르트 물성이 저하되고, 내스크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사 시간(pot life)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층(60)의 주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silica)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나노크레이(nano clay)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수지보다 내열성이 우수하다. 나노크레이는 무기물 수분산체로 5 ~ 15nm의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입자 크기가 5nm 미만이면 소프트필 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nm를 초과하면 내스크레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 20,000, 바람직하게는 7,000 ~ 18,000일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의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블로킹(Bloking) 특성 및/또는 소프트필 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피층(60)의 주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8.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주제가 실리카를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소프트필 특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내스크레치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층(60)의 경화제는 아지리딘(aziridi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화제로서 아지리딘을 포함할 때, 내수성, 접착성 및 내화확성 등의 물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숙성(aging) 과정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층(60)은 제2소재층(50)의 일면에 0.8 ~ 1.7g/㎡, 바람직하게는 1.0 ~ 1.6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5g/㎡의 도막량으로 도막하여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만일 도막량이 0.8g/㎡ 미만이면 소프트필(soft feel)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7g/㎡를 초과하면 잔류하는 용제가 과잉되어 있는 문제뿐만 아니라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은 79 ~ 149㎛, 바람직하게는 91 ~ 137㎛,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 ~ 126㎛,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11 ~ 117㎛의 평균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평균두께가 79㎛ 미만이면 핀 홀 및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49㎛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외피층 형성 조성물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1 ~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1.3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제로서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silica)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8.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화제로서 아지리딘(aziridine)을 포함할 수 있고, 용제로서 알코올 및 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피층 형성 조성물은 고형분이 10 ~ 32%, 바람직하게는 15 ~ 30%일 수 있으며, 만일 고형분이 10% 미만이면 그라비아 인쇄(gravure Printing) 방법으로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2소재층 일면에 도막시 도막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얼룩이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2%를 초과하면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법으로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2소재층 일면에 도막시 도막량이 과잉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라비어 셀(gravure cell) 막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제2소재층 일면에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도막한 후, 경화시켜 제2소재층 일면에 외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외피층 형성 조성물의 도막량은 0.8 ~ 1.7g/㎡, 바람직하게는 1.0 ~ 1.6g/㎡,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5g/㎡일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의 경화는 50 ~ 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65 ~ 85℃의 온도에서 5 ~ 20초, 바람직하게는 10 ~ 15초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경화 온도가 50℃ 미만이면 블록킹(blocking)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제2소재층이 수축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소재층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및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중에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소재층의 두께는 8 ~ 40㎛, 바람직하게는 10 ~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25㎛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소재층 타면에는 제조되는 레토르트 파우치가 지니는 디자인이 발현될 수 있게 문안, 도안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내열성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제2소재층 타면에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2접착제층을 적층 및/또는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우레탄 접착제 및 폴리에테르계(Polyether) 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착제층은 3.0 ~ 5.0㎛, 바람직하게는 3.5 ~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 4.2㎛의 두꼐로 적층 및/또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재층으로 알루미늄(Al) 호일(foi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재층의 두께는 4 ~ 30㎛, 바람직하게는 5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단계는 도 2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급지부(12)는 적층되는 하층을 구성하는 롤(Roll) 상의 필름을 공급하며, 제2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14)가 묻은 코팅롤(3)과 프레스(4) 사이를 통과하면 제1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가 묻으며, 건조기(5, dry chamber)를 통과한 다음, 제2급지부(8)에서 공급되는 적층될 상층을 구성하는 필름과 닙롤(6, nip roll)에서 하층과 상층이 적층되며, 냉각롤(7, cooling roll)을 거쳐서 권취부(9)에서 최종적으로 하층과 상층이 적층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즉, 제1소재층을 제1급지부에서 제공하고, 일면에 외피층이 형성된 제2소재층을 제2급지부에서 제공하여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의 제4단계는 적층체의 제1소재층 일면에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1접착제층을 적층 및/또는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우레탄 접착제 및 폴리에테르계(Polyether) 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착제층은 3.0 ~ 5.0㎛, 바람직하게는 3.5 ~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 4.2㎛의 두꼐로 적층 및/또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피층으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피층의 두께는 4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8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단계는 도 2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급지부(12)는 적층되는 하층을 구성하는 롤(Roll) 상의 필름을 공급하며, 제1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14)가 묻은 코팅롤(3)과 프레스(4) 사이를 통과하면 제1급지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가 묻으며, 건조기(5, dry chamber)를 통과한 다음, 제2급지부(8)에서 공급되는 적층 될 상층을 구성하는 필름과 닙롤(6, nip roll)에서 하층과 상층이 적층되며, 냉각롤(7, cooling roll)을 거쳐서 권취부(9)에서 최종적으로 하층과 상층이 적층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즉, 적층체를 제1급지부에서 제공하고, 내피층을 제2급지부에서 제공하여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은 숙성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숙성과정은 30 ~ 7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온도에서, 50 ~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60 ~ 84시간동안 숙성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2장을 내피층이 마주보도록 겹쳐놓은 후, 내피층의 가장자리 영역을 접합, 밀봉 또는 융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때, 접합, 밀봉 또는 융착은 190 ~ 23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1)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고형분이 27%인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는 1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또한, 주제로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제조사 : 이레텍, 상품명 : SF301)가 99 중량%, 실리카가 1 중량%로 포함된 것을 사용하였고, 경화제로서 아지리딘을 사용하였다. 이 후, 외피층 형성 조성물에 용제를 혼합하여 외피층 형성 조성물의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 때, 용제로서 에탄올과 물이 8 : 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2) 제2소재층으로 표면에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처리를 한 PET 필름(제조사 : 효성, 상품명 : PP900, 두께 : 12㎛)을 준비하고, 내열성 잉크를 이용하여 제2소재층 일면에 일정 도안을 인쇄하고, 제2소재층 타면에 상기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법으로 1.44 g/㎡의 도막량으로 도막하고, 85℃의 온도에서 15초 동안 경화시켜 제2소재층 타면에 외피층을 형성하였다.
(3)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제조사 : 삼아 알미늄)을 준비하고,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제1소재층과 제2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4) 내피층으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제조사 : 필맥스, 상품명 : HU, 평균두께 : 70㎛)을 준비하고, 적층체의 제1소재층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내피층 및 제1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1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평균두께는 114㎛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주제(-OH) 1 몰에 대한 NCO 몰비가 약 0.9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은 36,200 ~ 36,300이고,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가 1 : 1.32 비율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이 아닌 두께가 12㎛인 PET 필름을 사용하여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이 아닌 두께가 12㎛인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이 아닌 두께가 20㎛인 나이론 필름을 사용하여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1)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고형분이 30%인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는 5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또한, 주제로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90 중량%, 실리카가 10 중량%로 포함된 것을 사용하였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경화제를 사용하였다. 이 후, 외피층 형성 조성물에 용제를 혼합하여 외피층 형성 조성물의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 때, 용제로서 에칠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을 사용하였다.
(2) 제2소재층으로 표면에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처리를 한 PET 필름(제조사 : 효성, 상품명 : PP900, 두께 : 12㎛)을 준비하고, 내열성 잉크를 이용하여 제2소재층 일면에 일정 도안을 인쇄하고, 제2소재층 타면에 상기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법으로 1.44 g/㎡의 도막량으로 도막하고, 85℃의 온도에서 15초 동안 경화시켜 제2소재층 타면에 외피층을 형성하였다.
(3)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제조사 : 삼아 알미늄)을 준비하고,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제1소재층과 제2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4) 내피층으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제조사 : 필맥스, 상품명 : HU, 평균두께 : 70㎛)을 준비하고, 적층체의 제1소재층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내피층 및 제1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1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평균두께는 114㎛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주제(-OH) 1 몰에 대한 NCO 몰비가 약 0.9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은 36,200 ~ 36,300이고,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가 1 : 1.32 비율인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
(1) 제2소재층으로 표면에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처리를 한 PET 필름(제조사 : 효성, 상품명 : PP900, 두께 : 12㎛)을 준비하고, 내열성 잉크를 이용하여 제2소재층 일면에 일정 도안을 인쇄하였다.
(2) 제1소재층으로 두께가 7 ㎛인 알루미늄 호일(제조사 : 삼아 알미늄)을 준비하고,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제1소재층과 제2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3) 내피층으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제조사 : 필맥스, 상품명 : HU, 평균두께 : 70㎛)을 준비하고, 적층체의 제1소재층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를 묻힌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식적층법을 이용하여, 내피층 및 제1소재층을 적층시켜서,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제1접착제층은 4 ㎛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평균두께는 114㎛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2액형 접착제는 주제(-OH) 1 몰에 대한 NCO 몰비가 약 0.9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은 36,200 ~ 36,300이고,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가 1 : 1.32 비율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각각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다음과 같은 물성 평가법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내스크레치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외피층을 손톱으로 긁었을 때, 매트(matt) 효과가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이 때, 매트(matt)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때는 O, 매트(matt) 효과를 10 ~ 30% 상실했을 때는 Δ, 매트(matt) 효과를 30% 초과하여 상실했을 때는X로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2) 소프트필(soft feel)성
전문평가위원 10명을 선정하고, 상기 전문평가위원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외피층의 촉감을 확인했을 때, 부드러운 촉감을 느껴지는 인원을 체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3) 레토르트 평가(= 내열성, 내습성, 내수성 평가), 소광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2장의 내피층이 마주보도록 겹쳐놓은 후, 가장자리 영역을 210℃의 온도로 열융착시켜 레토르트 파우치를 제조하였다. 그 후,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130℃의 온도로 30분동안 가열하여 외관 상태를 확인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98361944-pat00001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4 ~ 5 및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은 소광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스크레치성 및 소포트필성 우수하고 레토르트 평가에 있어서도 외피층의 벗겨짐 없이 외관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내피층, 제1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2소재층 및 외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5 ~ 2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주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아지리딘(aziridine)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40 ~ 100㎛의 두께, 상기 제1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 상기 제1소재층은 4 ~ 30㎛의 두께, 상기 제2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 상기 제2소재층은 8 ~ 4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외피층은 제2소재층 일면에 0.8 ~ 1.7g/㎡의 도막량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5 ~ 15n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나노크레이(nano clay)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재층은 알루미늄(Al) 호일(foi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소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투명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lox PET) 필름, 나이론(NY) 필름 및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제층 및 제2접착제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하드세그먼트(hard segment)와 소프트세그먼트(soft segment)를 1 : 1.1 ~ 1.4 비율로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 30,000 ~ 40,000인 우레탄 2액형 접착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8. 삭제
  9.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10.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2소재층 일면에 상기 외피층 형성 조성물을 도막한 후, 경화시켜 제2소재층 일면에 외피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소재층 타면에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및 제1소재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적층체의 제1소재층 일면에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을 건식적층법(dry lamination)으로 적층시켜서 외피층, 제2소재층, 제2접착제층, 제1소재층, 제1접착제층 및 내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40 ~ 100㎛의 두께, 상기 제1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 상기 제1소재층은 4 ~ 30㎛의 두께, 상기 제2접착제층은 3.0 ~ 5.0㎛의 두께, 상기 제2소재층은 8 ~ 40㎛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외피층 형성 조성물은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0.5 ~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상기 주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아지리딘(aziridine)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층은 제2소재층 일면에 0.8 ~ 1.7g/㎡의 도막량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95 ~ 99.5 중량% 및 실리카(silica) 0.5 ~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경화는 50 ~ 100℃의 온도에서 5 ~ 20초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90118535A 2019-09-26 2019-09-26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35A KR102256381B1 (ko) 2019-09-26 2019-09-26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35A KR102256381B1 (ko) 2019-09-26 2019-09-26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15A KR20210036515A (ko) 2021-04-05
KR102256381B1 true KR102256381B1 (ko) 2021-05-26

Family

ID=7546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535A KR102256381B1 (ko) 2019-09-26 2019-09-26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5031B (zh) * 2022-12-16 2023-09-26 青岛振昌工贸有限公司 一种耐高温蒸煮复合膜及其制备方法及耐高温蒸煮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896Y1 (ko) * 2000-02-07 2000-07-15 주식회사서통 레토르트용 포장재
KR100543885B1 (ko) 2005-05-04 2006-01-23 주식회사 태성그라비아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2197439A (ja) * 2008-12-09 2012-10-18 Innovia Films Ltd 印刷可能な塗料
KR101427389B1 (ko) 2012-11-29 2014-08-08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나노복합체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408B1 (ko) * 2002-08-29 2005-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물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MX2019003399A (es) 2016-09-28 2019-07-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elicula de multiples capas y bolsa preparada con la misma.
KR101933074B1 (ko) 2017-03-09 2019-03-15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레토르트용 블로우 용기
KR102033006B1 (ko) * 2017-05-25 2019-10-16 삼아알미늄 (주) 고온 진공단열패널용 난연성 외피재, 이를 이용한 고온 진공단열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896Y1 (ko) * 2000-02-07 2000-07-15 주식회사서통 레토르트용 포장재
KR100543885B1 (ko) 2005-05-04 2006-01-23 주식회사 태성그라비아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분말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2197439A (ja) * 2008-12-09 2012-10-18 Innovia Films Ltd 印刷可能な塗料
KR101427389B1 (ko) 2012-11-29 2014-08-08 주식회사 에스에프씨 나노복합체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15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xon Packaging materials: 9. multilayer packaging for food and beverages.
US8877308B2 (en) Easily opened multilayer laminated package
US20070190277A1 (en) Sterilisible Composite Film
US20070292567A1 (en) E-beam cured packaging structure,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US20010031348A1 (en) Sterilisible composite film
WO2006012482A1 (en) Transparent autoclavable bag
JP2006143269A (ja) 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6511713B2 (ja) 包装材用積層体
KR102256381B1 (ko) 레토르트 파우치용 다층필름, 이를 포함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CA2827259A1 (en) Improved composite system for packaging
JP2013144556A (ja) 液体用紙容器
EP3902749A1 (en) Tray composite, package and method
JP2000263727A (ja) 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容器
US20220009683A1 (en) Tray composite and package
JP4319818B2 (ja) 透明レトルト処理用積層体
JP6511712B2 (ja) 包装材用積層体
JP4614297B2 (ja) レトルト用包装材料
KR101739363B1 (ko) 증착필름이 적층된 포장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8870B1 (ko) 레토르트 파우치
JP2020055633A (ja) 包装材料及び包装材料を備える袋
KR100748940B1 (ko) 접착강도가 개선된 무균 포장밥용 리드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JP2006143272A (ja) 包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US2004013260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kaging laminate
KR102457345B1 (ko) 레이저 마킹을 이용한 레토르트파우치의 제조 방법
WO2024048347A1 (ja) 積層体、包装袋、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