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999B1 -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 Google Patents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999B1
KR102255999B1 KR1020200172285A KR20200172285A KR102255999B1 KR 102255999 B1 KR102255999 B1 KR 102255999B1 KR 1020200172285 A KR1020200172285 A KR 1020200172285A KR 20200172285 A KR20200172285 A KR 20200172285A KR 102255999 B1 KR102255999 B1 KR 10225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support
nozzle
partition wall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현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서지현
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현, 정상훈 filed Critical 서지현
Priority to KR102020017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7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29C70/2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5Perforating, cutting or machining during or after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4Re-forming tubes 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2General methods of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25/14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권취릴에 유리섬유가 감겨진 연속로빙부(20)와, 상기 연속로빙부(20)를 통해 연속적으로 풀어져 공급되면서 수지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하는 스프레이부(30)와, 상기 수지조성물이 도포된 복합재가 봉형으로 성형되면서 외주에 리브가 형성되도록 성형봉부로 성형하는 성형부(40)와, 상기 성형부(40)를 통해 성형된 성형봉부를 가열하여 경화시킨 연속형 리바를 제조하는 건조부(50)와, 상기 건조된 연속형 리바를 수평으로 끌어 당기는 풀러부(60) 및, 상기 풀러부(60)를 통과한 연속형 리바를 컷팅하는 절단부(70)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강화 리바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레이부(30)는,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연결라인(111)에 결합된 다수 개의 노즐(112)이 형성된 노즐부(100);와, 상기 노즐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수직형 지지벽(211)을 형성하여 양측 지지벽(211) 사이의 상부에 가로길이의 수용홀(212)이 형성되면서 지지벽(211)에 수용홀(212)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지지공(213)이 형성된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벽(211)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하단 중앙에 수용홀(212)과 연통된 지지홈(221)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에 요입된 곡면형의 곡선홈(222)이 형성된 수직형 격벽(220)과, 상기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 사이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이 지지공(213)에 삽입되어 수용홀(212)로 안착되되,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돌출된 상부가 격벽(220)의 지지홈(221)에 결속되며, 상기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에 상부 돌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된 가로길이의 노즐봉(230)으로 구성된 도포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Figerglass rebar machine with spray device spraying fo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 리바를 제조할 때 기존의 유리섬유 리바 심재용 섬유를 수지 함침조에 함침시키는 방식이 아닌 스프레이장치에 의해 수지조성물 분사하여 유리섬유 리바 심재용 섬유의 표면에 점착층인 수지조성층을 형성시켜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리바를 제조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재로서 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삽입한 철근 콘크리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력과 철근의 인장력을 결합시켜 콘크리트의 강도상 결함을 철근이 보완하고 있으므로 그간 이상적인 자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도 오랜 세월이 지나면 콘크리트 내의 철근이 부식되게 되며, 특히 해안용 보와 같이 바닷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분에 의해 철근의 산화가 훨씬 빠르게 진행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짐은 물론 철근이 부식되는 과정에서 팽창이 일어나므로 결국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겨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년전부터 철근을 대신하여 강화유리섬유로 만든 리바 즉, FRP 리바 (Fiberglass Reinforcing Plastic Re-bar)를 콘크리트 보강재로 사용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하지만 고강도 섬유를 와인딩 하면서 리브 형성을 하고 와인딩 장력을 주어 리바에 굴곡을 주어 콘크리트 또는 접착제류와의 결합을 위한 표면적을 넓히고 이탈을 방지하지만 유리섬유의 수지코팅을 위해 함침조에 함침시키는 공정에서 모터의 담김속도에 의존하여 이동함에 따라 유지섬유의 수지 분포도가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섬유표면에 수지의 점착이 불균일하여 내구성 및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0689호(유리 섬유 리바 제조용 인발 다이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 리바 제조 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6499호(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법이 가지는 불편함과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스프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유리섬유에 수지를 함침공정에 대응되어 유리섬유의 표면에 수지조성충을 형성시킴으로서, 균일한 수지조성물을 공급함과 더불어 유리섬유의 수지조성층의 두께 등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된 새로운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긴 유리섬유를 풀어주는 연속로빙부과, 상기 연속로빙부에서 풀린 유리섬유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하는 스프레이부와, 상기 스프레이부를 거친 유리섬유들과 심재코어를 이루어진 봉형의 복합재를 리브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성형봉부로 제조하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성형봉부에 열을 가열하여 리바를 제조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하여 리바를 일측으로 끌어 당기는 풀러부와, 상기 풀러부를 통과한 리바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연결라인에 결합된 다수 개의 노즐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수직형 지지벽을 형성하여 양측 지지벽 사이로 가로길이의 수용홀이 형성되면서 지지벽에 수용홀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지지공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벽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하단 중앙에 수용홀과 연통된 지지홈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에 요입된 곡면형의 곡선홈이 형성된 수직형 격벽과, 상기 지지몸체의 지지벽 사이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이 지지공에 삽입되어 수용홀로 안착되되,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돌출된 상부가 격벽의 지지홈에 결속되며, 상기 격벽과 격벽 사이에 상부 돌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가로길이의 노즐봉으로 구성된 도포부재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격벽과 격벽 사이로 상부 돌출된 노즐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에 가로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탭이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마찰탭과 마찰탭 사이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홈면부에 노즐봉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격벽에 각각 설치되어 격벽의 곡선홈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한 쌍의 끼움편이 형성된 수직형 원판형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합되면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 양측단에 각각 고정봉이 형성되면서 내측은 오목형 및 외측은 볼록형으로 상향의 소정길이로 형성된 판재형 포집판 한 쌍이 상호 전후 대칭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포집판과 포집판 사이의 하부가 이격된 분사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확장형태를 가지는 포집부재가 더 포함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리바를 제조하는 제조기의 공정 중 기존 함침공정을 대체한 스프레이공정에서 심재로 혼입되는 유리섬유의 섬유사 굵기 또는 양에 따라 수지조성물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장치의 분사회수와 분사량을 조절하므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두께로 유리섬유 심재의 보강면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지조성물이 스프레이될 때 유리섬유 심재 내로 즉시 침투되므로 유리섬유 간에 수지조성물에 조직력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유리섬유 심재의 표면에 수지조성물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우수한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리바를 제작하기 위한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스프레이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스프레이부의 도포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스프레이부의 도포부재 분리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마찰탭이 형성된 노즐봉을 설치한 도포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마찰탭이 형성된 노즐봉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포집부재가 구비된 도포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에서 포집부재의 분리 결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 이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로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리바(미도시)를 제작하기 위한 제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는 섬유 권취릴에 유리섬유가 감겨진 연속로빙부(20)와, 상기 연속로빙부(20)를 통해 연속적으로 풀어져 공급되면서 수지조성물을 스프레이 분사 및 도포분사로 수행하는 스프레이부(30)와, 상기 수지조성물이 도포된 복합재가 봉형으로 성형되면서 외주에 리브가 형성되도록 성형봉부로 성형하는 성형부(40)와, 상기 성형부(40)를 통해 성형된 성형봉부를 가열하여 경화시킨 연속형 리바를 제조하는 건조부(50)와, 상기 건조된 연속형 리바를 수평으로 끌어 당기는 풀러부(60) 및, 상기 풀러부(60)를 통과한 연속형 리바를 일정 길이로 컷팅하는 절단부(70)로 이루어지며, 최종 제품인 유리섬유 리바 즉,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리바를 제조하게 되며, 이때 유리섬유 리바의 표면에 철근의 외형에 대응되는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유리섬유 리바 심재용 섬유는 유리섬유외에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현무암섬유, 폴리에스터섬유 등의 장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레이부(30)에 의해 분사 및 유입되는 수지는 에폭시, 비닐에스터, 폴리에스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섬유 및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긴 유리섬유를 풀어주는 연속로빙부(20)과, 상기 연속로빙부(20)에서 풀린 유리섬유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하는 스프레이부(30)와, 상기 스프레이부(30)를 거친 유리섬유들과 심재코어를 이루어진 봉형의 복합재를 리브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성형봉부로 제조하는 성형부(40)와, 상기 성형부(40)를 통과한 성형봉부에 열을 가열하여 리바를 제조하는 가열부(50)와, 상기 가열부(50)를 통과하여 리바를 일측으로 끌어 당기는 풀러부(60)와, 상기 풀러부(60)를 통과한 리바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0)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30)는,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연결라인(111)에 결합된 다수 개의 노즐(112)이 형성된 노즐부(100)와,
상기 노즐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수직형 지지벽(211)을 형성하여 양측 지지벽(211) 사이의 상부에 가로길이의 수용홀(212)이 형성되면서 지지벽(211)에 수용홀(212)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지지공(213)이 형성된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벽(211)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하단 중앙에 수용홀(212)과 연통된 지지홈(221)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에 요입된 곡면형의 곡선홈(222)이 형성된 수직형 격벽(220)과, 상기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 사이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이 지지공(213)에 삽입되어 수용홀(212)로 안착되되,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돌출된 상부가 격벽(220)의 지지홈(221)에 결속되며, 상기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에 상부 돌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된 가로길이의 노즐봉(230)으로 구성된 도포부재(200)를 포함하는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레이부(30)는 상부의 노즐부(100)와 하부의 도포부재(20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부(100)는 가로길이의 연결라인(111)에 다수 개의 노즐(112)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라인(111)을 통해 이동되는 수지조성물이 노즐(112)을 통해 노즐(112) 하단에 형성된 노즐공(미도시)으로 하향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100)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된다면 유리섬유는 세로방향으로 공급되어 노즐부(100)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노즐부(100)의 노즐(112)로 분사되는 수지조성물이 유리섬유 상부측을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200)는 노즐부(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는 유리섬유 하부측이 수지조성물에 접촉되어 유리섬유 하부측을 도포하게 되며, 가로방향의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격벽(220), 상기 지지몸체(210) 상부로 상부가 노출된 형태로 결속되면서 수지조성물을 분사 또는 흘러보내는 노즐봉(230)으로 구성된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몸체(2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어 노즐봉(230)의 노즐공(231)을 통해 흘러나오는 수지조성물 그리고 상부 노즐부(100)의 노즐(112)을 통해 분사되는 수지조성물을 수용 저장하면서 저장된 수지조성물은 노즐부(100) 및 노즐봉(230)으로 재순환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 중앙에 가로길이로 내부로 연통되어 절개된 수용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2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형 지지벽(211)이 형성되어 수용홀(212)과 연통된 관통된 지지공(213)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20)은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과 지지벽(211) 사이의 지지몸체(210) 상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결합되는 수직판재형으로서, 하단 중앙에 수용홀(212)과 연통된 지지홈(221)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에 요입된 곡면형의 곡선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의 상부 중앙에 노즐부(100)의 노즐(112)이 위치하게 되며, 이때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의 지지몸체(210) 상부로 노출된 노즐봉(230)과 면접되면서 유리섬유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노즐봉(230)은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과 지지벽(211) 사이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이때 수용홀(212)에 결속되되, 노즐봉(230) 상부가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봉(230)의 양단이 지지공(213)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격벽(220) 하부에 위치한 돌출된 노즐봉(230) 상부가 격벽(220)의 지지홈(221)에 결속되며, 그리고 상기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에 상부 돌출된 노즐봉(230)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봉(230)의 노즐공(231)은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가로길이로 형성된 단위가 노즐봉(230) 외주면에 원호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봉(230) 내부로 유입된 수지조성물이 노즐공(231)을 통해 흘러나와 노즐봉(230) 상부와 면접되어 이동하는 유리섬유 하부측을 도포하여 내부로 스며들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홀(212)의 폭 길이가 노즐봉(230)의 외경에 비해 큰 폭 길이를 가지어 노즐봉(230)의 노즐공(231)을 통해 흘러나오는 수지조성물이 수용홀(212)을 따라 지지몸체(210)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며, 상기 노즐봉(230)이 고정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외부의 동력이 전달되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노즐봉(230)의 고정구조일 경우 수용홀(212) 상부로 돌출된 노즐봉(230)의 상부에만 노즐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공(231)이 형성된 노즐봉(230)의 상부를 면접하여 이동하는 유리섬유의 하부측에 수지조성물의 도포면적 확대 및 내부로 침투효율을 높이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설치된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로 상부 돌출된 노즐봉(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에 가로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탭(232)이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마찰탭(232)과 마찰탭(232) 사이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홈면부(233)에 노즐봉(230)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된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마찰탭(232)은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의 수용홀(212)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노즐봉(230)의 외주면 전체 또는 노출된 노즐봉(230)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탭(232)은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볼록형의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유리섬유와의 마찰력을 작게 하며, 이에 가로길이의 마찰탭(232)이 노즐봉(230)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이때 마찰탭(232)과 마찰탭(232) 사이의 요입된 가로길이의 홈면부(233)에 이격된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되어 노즐공(231)을 통해 흘러나오는 수지조성물과 상기 마찰탭(232) 표면을 따라 흘러 이동하는 수지조성물이 마찰탭(232)의 단부에 면접되는 유리섬유의 하측면을 도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부(30)의 상부에 위치한 노즐부(230)를 통해 분사되는 수지조성물이 하부의 도포부재(200) 상부로 이동되는 유리섬유로 집중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더 포함된다.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격벽(220)에 각각 설치되어 격벽(220)의 곡선홈(222)에 형성된 끼움공(223)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한 쌍의 끼움편(241)이 형성된 수직형 원판형의 결합부(240)와,
상기 결합부(240)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합되면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 양측단에 각각 고정봉(251)이 형성되면서 내측은 오목형 및 외측은 볼록형으로 상향의 소정길이로 형성된 판재형 포집판(250a)(250b) 한 쌍이 상호 전후 대칭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포집판(250a)과 포집판(250b) 사이의 하부가 이격된 분사공간(252)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확장형태를 가지는 포집부재(250)가 더 포함되는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240)는 원판형의 수직형태로 격벽(220)의 곡선홈(222)에 결합되며, 상기 격벽(220) 곡선홈(222)의 끼움공(223)에 결합부(240) 하부에 형성된 끼움편(241)이 결속되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 포집부재(250)는 결합부(240)와 결합부(24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에 이웃하는 격벽(220)에 결합된 결합부(240)와는 상기 지지벽(211)과 가로질러 연결 결합되며, 이때 상기 포집판(250a)(250b)의 고정봉(251)이 결속 고정되도록 결합부(240)의 양측면에 고정공(242)이 형성 그리고 결합부(240)의 고정공(24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지판(211)에 고정공(24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251)은 다면형태로 형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고정공(242)에 고정봉(251)이 삽입되어 포집판(250a)(250b)이 고정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포집판(250a)(250b)은 결합부(240)와 결합부(240) 사이에 상호 이격된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은 오목형 및 외측은 볼록형으로 상향의 소정길이로 형성된 판재형으로서, 즉 양측의 오목한 면(面)이 상호 마주한 형태이며, 양측의 포집판(250a)(250b) 사이가 상향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포집판(250a)과 포집판(250b) 사이의 하부가 이격된 분사공간(252)을 형성하며, 이때 분사공간(252)은 하부에 위치한 노즐봉(230)에 이웃한 위치로 배치된다.
이에, 상기 노즐부(100)의 노즐(112)을 통해 하향 분사되는 수지조성물이 직접 유리섬유 상부측에 도포되면서 분사방향의 외측으로 분사되는 수지조성물은 포집판(250a)(250b) 내측 오목한 면을 따라 하향 이동되면서 유리섬유 상부측으로 낙하하여 도포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10 스프레이부 30
노즐부 100 연결라인 111 노즐 112
도포부재 200 지지몸체 210 지지벽 211
수용홀 212 지지공 213 격벽 220
지지홈 221 곡선홈 222 끼움공 223
노즐봉 230 노즐공 231 마찰탭 232
홈면부 233 결합부 240 포집부재 250
포집판 250a, 250b 고정봉 251 분사공간 252

Claims (3)

  1. 감긴 유리섬유를 풀어주는 연속로빙부(20)과, 상기 연속로빙부(20)에서 풀린 유리섬유에 수지조성물을 도포하는 스프레이부(30)와, 상기 스프레이부(30)를 거친 유리섬유들과 심재코어를 이루어진 봉형의 복합재를 리브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성형봉부로 제조하는 성형부(40)와, 상기 성형부(40)를 통과한 성형봉부에 열을 가열하여 리바를 제조하는 가열부(50)와, 상기 가열부(50)를 통과하여 리바를 일측으로 끌어 당기는 풀러부(60)와, 상기 풀러부(60)를 통과한 리바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0)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30)는,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연결라인(111)에 결합된 다수 개의 노즐(112)이 형성된 노즐부(100);와,
    상기 노즐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측에 각각 수직형 지지벽(211)을 형성하여 양측 지지벽(211) 사이의 상부에 가로길이의 수용홀(212)이 형성되면서 지지벽(211)에 수용홀(212)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지지공(213)이 형성된 지지몸체(210)와, 상기 지지벽(211)들 사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하단 중앙에 수용홀(212)과 연통된 지지홈(221)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에 요입된 곡면형의 곡선홈(222)이 형성된 수직형 격벽(220)과, 상기 지지몸체(210)의 지지벽(211) 사이로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이 지지공(213)에 삽입되어 수용홀(212)로 안착되되,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돌출된 상부가 격벽(220)의 지지홈(221)에 결속되며, 상기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에 상부 돌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된 가로길이의 노즐봉(230)으로 구성된 도포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210)의 상부에 설치된 격벽(220)과 격벽(220) 사이로 상부 돌출된 노즐봉(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주면에 가로길이로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된 마찰탭(232)이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마찰탭(232)과 마찰탭(232) 사이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홈면부(233)에 노즐봉(230) 내부로 연통된 다수 개의 노즐공(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20)에 각각 설치되어 격벽(220)의 곡선홈(222)에 형성된 끼움공(223)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한 쌍의 끼움편(241)이 형성된 수직형 원판형의 결합부(240);와,
    상기 결합부(240)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 결합되면서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 양측단에 각각 고정봉(251)이 형성되면서 내측은 오목형 및 외측은 볼록형으로 상향의 소정길이로 형성된 판재형 포집판(250a)(250b) 한 쌍이 상호 전후 대칭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포집판(250a)과 포집판(250b) 사이의 하부가 이격된 분사공간(252)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갈수록 확장형태를 가지는 포집부재(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KR1020200172285A 2020-12-10 2020-12-10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KR10225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85A KR102255999B1 (ko) 2020-12-10 2020-12-10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285A KR102255999B1 (ko) 2020-12-10 2020-12-10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999B1 true KR102255999B1 (ko) 2021-05-24

Family

ID=7615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285A KR102255999B1 (ko) 2020-12-10 2020-12-10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9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8086A1 (en) * 2001-10-11 2004-03-25 Harding Richard D. Methods and systems for the continuous in-line coating and fabrication of hoop steel rebar for concrete structures
JP2009066863A (ja) * 2007-09-12 2009-04-02 Ube Nitto Kasei Co Ltd 中空プラスチックシート用サイジ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00087482A (ko) * 2009-01-28 2010-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재용 표면 처리장치
KR101936499B1 (ko) 2017-03-31 2019-04-03 (주)대성씨엠피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KR102100689B1 (ko) 2018-11-02 2020-04-14 주식회사 씨에스이노벤 유리 섬유 리바 제조용 인발 다이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 리바 제조 장치
KR102156158B1 (ko) * 2019-07-10 2020-09-15 김정대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8086A1 (en) * 2001-10-11 2004-03-25 Harding Richard D. Methods and systems for the continuous in-line coating and fabrication of hoop steel rebar for concrete structures
JP2009066863A (ja) * 2007-09-12 2009-04-02 Ube Nitto Kasei Co Ltd 中空プラスチックシート用サイジ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00087482A (ko) * 2009-01-28 2010-08-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재용 표면 처리장치
KR101936499B1 (ko) 2017-03-31 2019-04-03 (주)대성씨엠피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KR102100689B1 (ko) 2018-11-02 2020-04-14 주식회사 씨에스이노벤 유리 섬유 리바 제조용 인발 다이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섬유 리바 제조 장치
KR102156158B1 (ko) * 2019-07-10 2020-09-15 김정대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499B1 (ko)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US6395210B1 (en) Pultrusio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composites using pre-consolidated braids
KR101602160B1 (ko) Frp 리바 성형장치 및 frp 리바 제조방법
US7045210B2 (en)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402268B2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extruded profile formed with thermoplastic organic material reinforced with reinforcing fibres
JP5416341B2 (ja) 丸形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の製造方法
BG107300A (bg) Екструдирани елементи за дърводелски изделия, усилени с непрекъснати влакна;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им
CS247156B2 (en) Ice-hockey-stick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EA032209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рматурного стержня
JP5139692B2 (ja) 建築部材の製造方法
PL70999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act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of reinforced thermosetting plastics[us3830899a]
KR102255999B1 (ko) 수지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유리섬유 리바 제조기
KR101892506B1 (ko) 구조물 보강용 섬유 보강재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섬유 보강재 및 그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방법
EP3069859B1 (en) Process for making a so-called "staple" connector
US7547371B2 (en) Composite architectural column
EP1610938A2 (en) Reinforced profile
US5006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fibers with thermoplastics
KR101997162B1 (ko) 콘크리트용 복합재 리바 제조 장치
KR100192130B1 (ko) 건축구조용 글라스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465762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tubular hollow bodies and the use thereof
JP2006508821A (ja) 回転体(bodyofrevolution)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製造された製品
KR102156131B1 (ko) 구조물 보강용 개량형 섬유 보강재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량형 섬유 보강재
KR101181559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KR100427223B1 (ko) 포울 및 그 제조 방법
KR100233809B1 (ko) 접착력이 증대된 건축용 보강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보강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