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559B1 -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559B1
KR101181559B1 KR1020100113420A KR20100113420A KR101181559B1 KR 101181559 B1 KR101181559 B1 KR 101181559B1 KR 1020100113420 A KR1020100113420 A KR 1020100113420A KR 20100113420 A KR20100113420 A KR 20100113420A KR 101181559 B1 KR101181559 B1 KR 10118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guide mold
mold
glass fib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803A (ko
Inventor
노세극
Original Assignee
동일산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산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산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2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1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 befor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 single direction, e.g. roofing or other paralle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70/527Pu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70/528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셀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수의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공급부; 상기 소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가 순차적으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빔의 단면 형태로 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금형(15); 상기 가이드금형(15)에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에 수지를 공급하여 함침시키기 위한 수지공급부(19); 상기 가이드금형(1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는 가열금형(23); 상기 가열금형(23)의 후방에서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를 잡아당기기 위한 인장기(17)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부가이드금형(15), 중간가이드금형(15b) 및 하부가이드금형(15c)이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Drawing machine for beam shaped structural member being made from FRP}
본 발명은 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셀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것으로, 밀폐형 가이드 금형을 사용하고, 밀폐공간에서도 우레탄 함침성이 우수한 시트형상의 피복재를 사용하는 환경친화적인 인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및 토목을 위한 소재로서 강철로 된 형강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을 포함하는 소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부식의 우려가 많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또한 철재 형강은 비중이 높아 강도설계를 함에 있어서도 자체 중량을 큰 비중으로 고려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근래 고인장강도를 가지는 복합섬유 소재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복합섬유 소재는 각종의 수지(resin)를 기반으로 유리섬유를 함유시킴으로써 강도가 향상된 특성을 가진다.
종래 복합섬유 소재의 층구조와, 이러한 층구조를 갖는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으로 제작한 구조재의 예가 도 1에 도시되며, 이러한 구조재를 제작하기 위한 인발성형장치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재(100)는 층구조를 가지는데, 상층(100a)과 하층(100b)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한 종류인 CFM(Continuous Filament Mat)이며, 중층(100c)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된 유리섬유(fiber glass) 다발, 즉 로빙(Roving, 조방) 형태의 유리섬유(이하, '로빙사'이라 한다)로 되어 있다. 유리섬유 로빙사는 구조재의 길이방향으로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며, 구조재의 단가조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CFM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여 유리섬유사가 강도향상을 위해 엉키듯 혼합되어 있는 제품을 말하는데, 이는 자재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기재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이외에 필요에 따라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수지가 대체될 수 있다. 유리섬유로는 이글라스(e-glass)가 주로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로빙사(101)가 타래(hank)로부터 가이더로 공급되며, 로빙사(101)의 상하부에는 롤(또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CFM(103)이 가이더(105)로 공급된다. 이후 가이드금형(107), 가열금형(109) 및 인장기(111)를 거치면서 CFM, 로빙사 및 CFM으로 적층구성되는 중공 구조재가 완성된다. 물론 로빙사는 CFM의 기재와 동일한 액상의 수지(R, resin)에 함침된 다음 가이드금형(107)과 가열금형(109)을 통과하게 된다.
종래의 성형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cell)이 하나뿐인 것만이 제작 가능하였다. 이는 가이드금형(107)의 구조상 한계가 따랐던 것이다.
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재의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구조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경제성, 중량 및 작업성 등을 위해 다중 셀(multi cell)을 구비하는 구조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발성형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의 구조재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인발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형강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구조재로서, 수지함침성이 우수한, 특히 우레탄수지의 함침성이 우수한 강화용 시트형상의 피복재를 사용하여 밀폐공간에서도 수지의 함침성이 우수한 성형장치로 다수의 셀을 가지는 환경친화적인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를 제작하기 위한 인발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목적은; 상부플랜지(3), 하부플랜지(5) 및 3개 이상의 웨브(web, 7)를 포함함으로써 2개 이상의 셀(cell)을 갖게 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1)를 인발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섬유보강사를 다축방향으로 직조하여 시트형태로 제조된 유리섬유매트를 공급하여 타래에 권취하는 권취기(40);
상기 권취기에 의해 공급되는 타래와 타래(hank)에 감긴 다수의 로빙사(9)와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제작된 유리섬유매트(11)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공급부(30); 상기 소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가 순차적으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빔의 단면 형태로 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금형(15); 상기 가이드금형(15)에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에 수지(R)를 공급하여 함침시키기 위한 수지공급부(19); 상기 가이드금형(1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는 가열금형(23); 상기 가열금형(23)의 후방에서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를 잡아당기기 위한 인장기(17)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기 상부플랜지(3)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상부가이드금형(15)과; 상기 웨브(7)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중간가이드금형(15b)과; 상기 하부플랜지(5)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하부가이드금형(15c)이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의 일면에 상기 수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함침용 수지를 금형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노즐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 매트(11)에 함침된 수지를 점차적으로 탈거해가며 수지함유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로빙사와 유리섬유 매트에 함침된 수지를 점차적으로 탈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금형에는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스퀴즈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지공급부(19)는 내부에 함침용수지(R)가 충진되어 있는 인젝터로서, 상기 인젝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즐(32)이 상기 가이드금형의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공에 각각 연결되어 함침용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하부플랜지 사이에 3개 이상의 웨브가 설치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구조재를 인발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중공구조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를 다양한 산업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발성형장치는 함침용 수지, 특히 우렌탄수지와 같은 유해가스를 다량 발생하는 수지를 가이드금형의 내부로 직접공급함으로써 유해가스의 외부방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환경친화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이를 제조하기 위한 인발성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작되는 중공 구조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금형의 일부 구성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1)는 상부플랜지(3), 하부플랜지(5) 및 이를 연결하는 3개 이상의 웨브(web, 7)로 구성된다. 이러한 중공 구조재(1)는 교량, 도로, 헬기장 등 각종의 시설에서 깔판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것은 그중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중공 구조재(1) 간의 요철결합을 위해 더욱 복잡한 형태가 요구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웨브(7)를 가짐으로써 2개 이상의 셀(C, cell)을 갖는 중공 구조재(1)를 인발성형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타래에 감긴 로빙사(9)와 롤형태로 제공되는 유리섬유매트(11)가 가이더(13)에 집적된다. 로빙사와 유리섬유매트의 개수는 편의를 위해 축약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도시된 것보다 많다. 여기서 유리섬유매트(11)라 함은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패브릭(fabric) 형태로 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유리섬유매트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CFM과 호환되는 것으로서 유리섬유를 다축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도록 직조하여 된 것으로 다축 방향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이다. 즉, 본 발명에서 유리섬유매트(11)만이 사용되거나 유리섬유매트(11)와 CFM이 병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유리섬유매트(11)로 통칭하기로 한다.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는 미도시된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 프레임은 가이더(13, guider)와 함께 소재공급부(30)를 이룬다.
직립 설치되는 가이더(13)에는 횡방향으로 많은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데, 로빙사(9)가 통과하는 구멍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유리섬유매트(11)가 통과하는 구멍은 장공형으로 되어 있다.
가이더(13)를 통과한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이하, 이를 합쳐 '소재'라 한다)는 가이드금형(15)을 통과하게 된다. 가이드금형(15)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통과하는 소재(M)의 형태를 요망하는 형태가 되도록 다잡게 된다.
가이드금형(15)은 도시된 것처럼 수직 3단으로 설치된다. 일단의 상부가이드금형(15a)은 상부플랜지(3)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고; 일단의 중간가이드금형(15b)은 웨브(7)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이며; 일단의 하부가이드금형(15c)은 하부플랜지(5)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가이드금형(15)은 복수 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통과하는 소재(M)의 형태가 점진적으로 바뀌도록 한다. 소재(M)의 갑작스러운 형태 변형은 후술되는 인장기(17)의 부하를 증가시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의 일면에 수지공급부(19)로부터 공급되는 함침용 수지를 금형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노즐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 매트(11)에 함침된 수지를 점차적으로 탈거해가며 수지함유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장점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더(13)와 가이드금형(15) 사이 또는 상기 가이드금형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금형의 내부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부(19)가 마련되어 소재(M)로 하여금 수지(R)에 완전히 함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공급부(19)는 인젝터일 수 있으며, 상기 인젝터에는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함침용수지(R)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32)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노즐(32)의 일끝단이 상기 가이드금형의 각각의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공(31)에 연결시켜 결합됨으로써, 상기 노즐을 통해 함침용수지(R)를 가이드금형의 내부로 충분히 공급하게 되어 가이드금형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함침이 이루어져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방출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함침용수지로는 액상의 우레탄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페놀수지를 사용하는데, 특히 우레탄수지의 경우 유해가스로 인해 사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인발성형장치에서는 우레탄수지를 사용함에도 유해가스의 외부방출을 사전차단하게 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축방향으로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매트는 수지의 함침성을 높인 것으로 특히, 우레탄수지에 대한 함침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인발성형장치에 공급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재의 강화용 섬유재로 적합한 것이다.
가이드금형(15)은 소재(M)로부터 점진적으로 수지를 스퀴즈(squeeze)방식에 의해 탈거하여 최종적으로는 소재(M)로 하여금 알맞은 수지함량을 갖도록 조정한다. 수지의 탈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 2개의 스퀴즈봉(21) 사이로 소재(M)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가이드금형(15)의 인입부(15')에서 인출부(15")를 향하여 스퀴즈봉(21)의 간격은 점차로 줄어들게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가이드금형(15)을 통과한 소재는 수지를 함유한 채 가열금형(23)으로 인입된다. 가열금형(23)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열로써 수지가 경화되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는 금형이 설치된다.
가열금형(23)의 후단에는 인장기(17)가 설치되며, 냉각부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인장기(17)는 가열금형을 통과하는 성형품을 연속적으로 잡아당긴다. 커팅기(25)는 소재(M)와 같은 속도로 기동하면서 단위 길이로 절단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핵심은 가이드금형을 3단으로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셀을 갖는 중공 구조재를 인발로써 성형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플랜지의 일측면에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노즐공에 연결되는 인젝터의 노즐을 통해 가이드금형의 내부로 함침용수지를 충분히 공급하여 가이드금형으로 공급하게 되어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억제하게 되며, 소재(M)를 충분히 함침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금형은 주문되는 제품마다 다르게 설계되므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이드금형은 내부로 공급되는 함침용수지의 잔존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을 하부플랜지에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에 의해 배출되는 잔존수지는 상기 가이드금형의 하부에 더 설치될 수 있는 수집장치에 수집되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출공에 잔존수지 수집용 노즐을 연결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수집장치에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집장치는 공재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매트의 제조장치는 다양하게 구조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도면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매트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세부적인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다.
1 ; 중공 구조재 3(5) ;상(하)부 플랜지
7 ; 웨브(web) 9 ; 로빙사
11 ; 유리섬유매트 13 ; 가이더(guider)
15 ; 가이드금형 17 ; 인장기
19 ; 수지공급부 21 ; 스퀴즈봉
23 ; 가열금형 25 ; 커팅기
30 : 소재공급부 31 : 노즐공
32 : 노즐 40 : 권취기
C ; 셀(cell) M ; 소재
R ; 수지(resin)

Claims (3)

  1. 상부플랜지(3), 하부플랜지(5) 및 3개 이상의 웨브(web, 7)를 포함함으로써 2개 이상의 셀(cell)을 갖게 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1)를 인발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섬유보강사를 다축방향으로 직조하여 시트형태로 제조된 유리섬유매트를 공급하여 타래에 권취하는 권취기(40);
    상기 권취기(40)에 의해 공급되는 유리섬유매트(11) 타래와 타래(hank)에 감긴 다수의 로빙사(9)와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제작된 유리섬유매트(11)를 공급하기 위한 소재공급부(30); 상기 소재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가 순차적으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 빔의 단면 형태로 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금형(15); 상기 가이드금형(15)에 공급되는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에 수지(R)를 공급하여 함침시키기 위한 수지공급부(19); 상기 가이드금형(15)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을 가하여 수지를 경화시키는 가열금형(23); 상기 가열금형(23)의 후방에서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매트(11)를 잡아당기기 위한 인장기(17)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기 상부플랜지(3)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상부가이드금형(15)과; 상기 웨브(7)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중간가이드금형(15b)과; 상기 하부플랜지(5)를 순차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일단의 하부가이드금형(15c)이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금형(15)은 상기 각각의 플랜지의 일면에 상기 수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함침용 수지를 금형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노즐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 매트(11)에 함침된 수지를 점차적으로 탈거해가며 수지함유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빙사(9)와 유리섬유 매트(11)에 함침된 수지(R)를 점차적으로 탈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가이드금형(15)에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스퀴즈봉(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공급부(19)는 내부에 함침용수지가 충진되어 있는 인젝터로서, 상기 인젝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즐(32)이 상기 가이드금형의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공(31)에 각각 연결되어 함침용수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KR1020100113420A 2010-05-26 2010-11-15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KR10118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132 2010-05-26
KR20100049132 201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03A KR20110129803A (ko) 2011-12-02
KR101181559B1 true KR101181559B1 (ko) 2012-09-10

Family

ID=4549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420A KR101181559B1 (ko) 2010-05-26 2010-11-15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3510A (zh) * 2017-01-07 2017-05-10 许伟斌 支撑杆及其制造装置和制作方法
KR102344943B1 (ko) * 2019-12-31 2021-12-3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KR102338199B1 (ko) * 2021-08-19 2021-12-10 주식회사 케이에스에프아이앤씨 유리섬유 복합소재 폭가변형 패널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254A (ja) 1996-08-05 1998-02-17 Fukui Giyomou Kk 複層構造賦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108B1 (ko) 2004-04-21 2006-06-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254A (ja) 1996-08-05 1998-02-17 Fukui Giyomou Kk 複層構造賦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108B1 (ko) 2004-04-21 2006-06-12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03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9069A1 (en) Method to manufacture a component of a composite structure
JP6138045B2 (ja) Rtm工法用高目付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rtm工法
CN107405842B (zh) 拉挤成型设备以及方法
WO2017068602A1 (en) A system of continuous pultrus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bio-composite products; process and products thereof
RU2624699C2 (ru) Технология пултрузии с наполнителем из поли(мет)акрилимидного пенопласта
EP3408077A2 (en) A composites product; a pultrusion continuo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776383B1 (ko) 복합재 보강멤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869167A (zh) 风机叶片大梁及其制备方法
CN109311240B (zh) 用于生产至少部分具有轮廓的纤维增强塑料型材的方法、具有轮廓的纤维增强塑料型材及其用途
CN111720631A (zh) 一种高环刚度的拉缠frp管及其制备方法
EP3275921A1 (en) Impregnated prepreg comprising reinforcing fibers
KR101181559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KR20120118430A (ko) 조방사 다발, 조방사 다발의 제조 방법 및 워크피스의 제조 방법
KR101708300B1 (ko) 일방향 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제조장치 및 방법
CN113119495A (zh) 叶片壳体制备方法及叶片
KR101650737B1 (ko) 시트상의 일방향 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제조장치 및 방법
CN115583055A (zh) 纤维增强复合材料的制造工艺及纤维增强复合材料
KR102168785B1 (ko) 복합소재 이중 인발성형장치
KR101080650B1 (ko) 내화성 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942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강화용 편직물 및 그 편직물을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CN204914624U (zh) 纤维定型布
CN212584450U (zh) 一种高环刚度的拉缠frp管
CN111566064B (zh) 具有改进的疲劳性能的纤维增强的材料
KR102365637B1 (ko) 매트 가이드를 이용한 중공형 탄소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인발 성형기
KR102344943B1 (ko)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