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389B1 -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 Google Patents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389B1
KR102255389B1 KR1020200150383A KR20200150383A KR102255389B1 KR 102255389 B1 KR102255389 B1 KR 102255389B1 KR 1020200150383 A KR1020200150383 A KR 1020200150383A KR 20200150383 A KR20200150383 A KR 20200150383A KR 102255389 B1 KR102255389 B1 KR 10225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erforated metal
slope
artificial rock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홍익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표 filed Critical 홍익표
Priority to KR102020015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에 시공되는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면의 표면에 시공되는 기초베이스층(100)과;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의 표면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바위의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은, 상기 사면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근(120)과; 상기 이형철근(120)의 외부표면에 배치되는 기초아연망(13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은 각각, 일정면적을 갖는 금속판으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절곡성형되며, 판면에 구멍(211)이 관통형성되는 타공메탈판(210)과;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거푸집 역할을 하는 내부부재(220)와;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외부에 일정두께 형성되는 외부표층(24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부재(220)는 상기 구멍(211) 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철망이거나, 상기 구멍(211) 보다 구멍이 작으며 이웃하는 구멍 사이의 간격이 넓은 내부타공메탈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Three-dimensional artificial rock landscape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natural rock shape using porous metal plates}
본 발명은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와 타공메탈판을 이용해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에 관한 것이다.
국내 관광 내수시장이 급격히 확장 증가 되면서 도로이용객 및 관광객들의 시각적 정서적 만족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지자체마다 다양한 경관개선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일환으로 도로사면이나 급경사지, 산사태 지역, 절토사면, 경관개선 지역 등에 안전성만을 강조하였던 구조물 설치에서 벗어나 안전성과 경관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법을 적용하고 있고, 이미 시공되어진 경사면에 경관형 조형물을 설치하거나 식재를 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연경관 조성을 위한 미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자연석에 유사한 인조암 형상을 갖는 인조암 경관옹벽 시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인공암 경관옹벽 시공과정은 등록특허 제10-1035411호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인조암 경관옹벽(10)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인조암 경관옹벽(10)은 낮게는 일미터에서 높게는 수십미터 높이의 사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사면의 표면에 시공되는 기초철근(11)에 인조암조형물(13)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인조함조형물(13)은 철근구조체(13a)를 바위에 대응되는 입체적 형상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철근구조체(13a)의 내부에 메탈라스망(13b)을 결합시키고, 철근구조체(13a)의 외부에 아연망(13c)을 결합시킨 후 외부 표면에 몰탈을 충진하여 외부표층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철근구조체(13a)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철근을 벤딩하거나 절단한 후 서로 용접하여 제작된다. 이에 따라 제작된 복수개의 철근구조체(13a)의 형상이 모두 상이하게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예상치 못한 특이한 형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희망한 형상으로 시공하거나,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철근구조체(13a)를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철근구조체(13a)는 절단 후 용접으로 성형하므로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용접부분이 과다 발생하여 용접불량 발생확률이 높아지고 철근 고유의 강성이 손실되어 내구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메탈라스망(13b)은 먼저 제작된 철근구조체(13a)의 내부에 배치한 후, 작업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철근구조체(13a)의 내벽면에 맞게 벤딩하여 결합된다. 그런데, 외부에서 철근구조체(13a) 내부의 메탈라스망(13b)을 결합시키기가 어렵고 일정 규모 이상의 모양을 제작시에는 작업자가 철근구조체(13a) 내부로 들어가 메탈라스망(13b) 결합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작업공간이 좁아 결합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철근구조체(13a)는 사면의 기초철근(11)에 용접 결합되는데, 원형의 철근끼리 용접되므로 용접면적이 작아 결합부위가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철근구조체(13a)가 통째로 분리되어 또 하나의 낙석 발생요소로 작용하며, 실제로 이와 관련한 하자 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을 동일한 형상으로 또는 불특정 형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를 형성하는 타공메탈판과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를 간단하게 결합시킴으로서 안전성이 향상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철골구조물 지지조립체와 관련하여 본 특허권자는 특허등록 제10-2147059호를 보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면에 시공되는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는, 상기 사면의 표면에 시공되는 기초베이스층(100)과;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의 표면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바위의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은, 상기 사면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근(120)과; 상기 이형철근(120)의 외부표면에 배치되는 기초아연망(13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은 각각, 일정면적을 갖는 금속판으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절곡성형되며, 판면에 구멍(211)이 관통형성되는 타공메탈판(210)과;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거푸집 역할을 하는 내부부재(220)와;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외부에 일정두께 형성되는 외부표층(24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부재(220)는 상기 구멍(211) 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철망이거나, 상기 구멍(211) 보다 구멍이 작으며 이웃하는 구멍 사이의 간격이 넓은 내부타공메탈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공메탈판(210)은 절곡기를 이용해 절곡되어 특정형상으로 성형되거나, 외부가압수단을 이용해 불특정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부재(220)는 상기 타공메탈판(210)과 결속되어 상기 타공메탈판(210)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낙석을 막아주는 낙석방지책(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낙석방지책(300)은, 상기 사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310)와; 이웃하는 지주(310) 사이에 결합되어 낙석을 막아주는 낙석방지망(320)과; 상기 지주(310)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지주콘크리트기초(3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콘크리트기초(330)는, 상기 사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대(331)와; 상기 보강대(331)와 상기 사면 사이의 내벽면에 내부콘크리층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된 절곡타공메탈판(333)과; 상기 절곡타공메탈판(333)과 상기 보강대(331)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사면에 고정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가로보강부재(337)와; 상기 수용공간에 타설되어 상기 지주(310)를 고정하는 내부콘크리트층과; 상기 보강대(331)의 외부에 타설되어 상기 보강대(331)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콘크리트층(3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면은 계단식 옹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는 구멍이 형성된 타공메탈판을 이용해 인조암조형물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절곡기를 이용해 원하는 형상으로 다량 제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포크레인 등을 이용해 불특정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타공메탈판의 내외부에 내부부재와 외부부재를 필요에 따라 결속시켜 함께 절곡하여 종래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철근구조체 내외부에 메탈라스망과 아연망을 직접 결합하던 과정을 없애거나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산볼트와 같은 기초보강재를 사면으로부터 타공메탈판에 직접 결합시켜 기초베이스층과 인조암조형물 간의 결합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공메탈판을 이용해 낙석방지망의 지주 시공을 위한 지주콘크리트기초와 계단식 옹벽의 경관개선용 인조암 조성 및 식재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조암 경관옹벽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외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타공메탈판이 특정형상으로 가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타공메탈판을 불특정형상으로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낙석방지책의 지주콘크리트기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가 계단식 옹벽에 적용된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의 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는 사면의 표면에 형성된 기초베이스층(100)과, 기초베이스층(100)의 표면에 자연석의 형태와 같이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시공되는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과, 기초베이스층(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면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낙석이 인조암조형물(200)을 비롯한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낙석방지책(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암조형물(200)의 제작시에 종래 사용되던 철근구조체(13a)를 사용하지 않고 금속으로 형성된 판상의 타공메탈판(210)을 이용한다. 즉, 종래 작업자가 현장에서 철근을 벤딩하거나 절단 후 용접하여 철근구조체(13a)를 제작하던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판상의 타공메탈판(210)을 절곡기나 여타 절곡수단을 사용해 희망하는 형상으로 미리 절곡하여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라 종래 철근구조체(13a)를 사용하던 것에 의해 발생되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는 도로급경사지, 절·성토 사면, 기존 콘크리트 옹벽, 계단식 옹벽, 암반 사면, 인공폭포, 경관 조형물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기초베이스층(100)은 사면(A)에 기대 합벽식으로 시공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부가한다. 기초베이스층(100)은 외부에 시공되는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을 지지하며 사면을 보호하고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기초베이스층(100)은 사면에 형성되는 기초보강재(110)와, 지면에 설치되는 이형철근(120)과, 이형철근(120)을 덮도록 배치되는 기초아연망(130)과, 기초아연망(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140)을 포함한다.
이형철근(120)은 일정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로철근(121)과, 복수개의 가로철근(121)에 교차되게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세로철근(123)으로 형성된다. 이형철근(120)은 고정핀(케미컬앵커, 세트앵커)이나 사면보강재(쏘일네일, 락볼트, 어스앵커 등)에 의해 원지반에 구조적으로 고정된다.
기초아연망(130)은 이형철근(120)의 상부를 덮게 배치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콘크리트의 크랙방지와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초보강재(110)는 사면의 내부로 삽입되어 기초베이스층(100)과 인조암조형물(200)의 강도를 보강한다. 기초보강재(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기초보강재(110)는 사면의 내부에 삽입된 스트롱앵커(111)에 전산볼트의 하부가 나사결합되고, 전산볼트의 상부가 기초베이스층(100)을 관통하여 타공메탈판(210)의 브라켓(113)에 결합된 후 너트(115)에 의해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다.
기초보강재(110)는 사면을 천공한 후 내부로 삽입되고, 그라우팅하여 시공되거나, 천공 내부로 스트롱앵커(111)를 삽입한 후, 스트롱앵커(111)에 전산볼트를 나사결합하여 시공될 수 있다.
사면이 토사지반일 경우 기초보강재(110)는 전산볼트 대신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철근 일측은 사면 천공 후 시멘트 그라우팅하거나 케미칼 약액 주입 후 고정된다. 철근 타측은 타공메탈판(210)을 철근 직경으로 타공한 후 철근을 삽입하고, 라이너스크류나 철근 커플링 등의 결속기구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의 기초보강재(110)는 사면으로부터 기초베이스층(100)을 관통하여 인조암조형물(200)의 타공메탈판(210)까지 연장되게 배치된 후 브라켓(113)과 너트(115)를 이용해 타공메탈판(21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기초베이스층(100)과 인조암조형물(20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조암조형물(20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절곡된 타공메탈판(210)의 내측에 내부부재(220)를 결합시켜 형성된다. 이 때, 경우에 따라 타공메탈판(210)의 외측에 외부부재(2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타공메탈판(210)은 일정 면적을 갖는 금속판이으로 타공판, 익스펜디드메탈 등일 수 있다. 타공메탈판(210)은 성형과 절곡이 용이하도록 연성이 있으며 성형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타공메탈판(210)은 알루미늄, 스텐, 스틸, 용융아연도금 등의 금속소재로 0.5T~3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메탈판(210)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의 타공메탈판(210)을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크기가 동일한 타공메탈판(21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a)는 타공메탈판(210)의 성형 전 형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메탈판(210)의 판면에는 콘크리트 투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구멍(211)이 형성된다. 구멍(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I"자, 다이아몬드, 벌집형상,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메탈판(210)에 형성되는 구멍(211)은 콘크리트 매립을 위한 용도이므로 크기가 크고, 이웃하는 구멍(211)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메탈판(210)은 시공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성형되거나 절곡된다. 타공메탈판(210)은 절곡기를 이용해 대량으로 동일한 특정형상으로 절곡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입체적인 인공바위 느낌을 형성한다. 타공메탈판(210)이 성형되는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타공메탈판(210)을 절곡기를 이용해 성형할 때 타공메탈판(210)의 배면에 내부부재(220)를 결속시킨 후 내부부재(220)를 함께 성형할 수 있다.
내부부재(220)는 타공메탈판(210)의 배면에 결합되어 거푸집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내부부재(220)는 타공메탈판(210)에 형성된 구멍(211) 보다 작은 구멍을 갖는 금속망으로 구비되거나, 내부타공메탈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타공메탈판은 타공메탈판(210)과 비교할 때 구멍의 크기가 작고, 구멍 사이의 간격이 현저히 넓게 형성된다.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는 결속끈(221)을 이용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가 결속된 상태에서 절곡기를 이용해 함께 성형되면, 작업자가 현장에서 타공메탈판(210)의 내부에 타골메탈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내부부재(220) 성형 및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을 제거할 수 있어 작업공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시간이 매우 짧아지고 이로인해 시공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타공메탈판(210)은 불특정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박스(B) 내부에 모래(S)를 충진하고 모래(S)의 상면에 결속끈(221)에 의해 서로 결속된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를 배치한다.
그리고, 타공메탈판(210)의 상면에 다양한 형상의 성형도구(T1, T2, T3)를 배치하고, 포크레인(P)의 버킷(P1)을 가압하여 타공메탈판(210)을 각이지거나, 둥근 형태, 네모난 형태 등 불특정한 다양한 모양을 성형할 수 있다.
타공메탈판(210)의 외측에는 경우에 따라 외부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외부부재(230)는 타공메탈판(210)의 외측에서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고 콘크리트의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부재(230)는 타공메탈판(210)의 두께보다 얇은 금속망으로 형성되며, 타공메탈판(210)에 형성된 구멍(211) 보다 큰 구멍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부부재(230)는 제작이 완료된 타공메탈판(210)의 외부에 배치한 후 벤딩하여 결합되거나,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와 함께 절곡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의 시공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가 시공될 사면을 천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보강재(110)를 설치한다. 사면을 천공한 후, 기초보강재(110)가 될 케미컬앵커 또는 철근 또는 전산볼트를 삽입하고 그라우팅한다.
이 때, 기초보강재(110)의 상단은 사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이후 시공될 타공메탈판(210)과 결합된다.
기초보강재(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면(A)의 표면에 기초베이스층(100)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이형철근(120)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형철근(120)의 상면으로 기초아연망(130)을 설치한다.
기초보강재(110)의 설치와 기초베이스층(100)의 설치와 함께 인조암조형물(200)을 제작한다. 인조암조형물(200)은 현장이 아니고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 반입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기초베이스층(100)과 결합하게 된다.
인조암조형물(200)은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 및 외부부재(230)를 적층하고, 함께 절곡기를 이용해 희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타공메탈판(210)의 표면에는 기초보강재(110)인 전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타공메탈판(210)과 내부부재(220) 및 외부부재(230)는 결속끈(221)을 이용해 서로 결합된다.
제작이 완료된 후 현장에 운반된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은 기초베이스층(1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타공메탈판(210)의 볼트삽입공(미도시)에 사면(A)의 외부로 노출된 기초보강재(110), 즉 전산볼트가 삽입된다. 내부부재(220)와 타공메탈판(210) 및 외부부재(2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전산볼트에는 브라켓(113)이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고, 브라켓(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전산볼트의 상단에는 너트(115)가 결합되 인조암조형물(200)과 기초베이스층(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인조암조형물(200)은 기초보강재(110)를 통해 사면(A)과 기초베이스층(100)에 함께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인조암조형물(200)과 기초베이스층(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기초베이스층(100) 표면으로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기초콘크리트층(1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인조암조형물(200)의 외부로도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외부표층(240)을 형성한다.
외부표층(240)의 시공이 완료되면, 외부표층(240)을 조각 및 도색하여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형성한다.
한편, 기초베이스층(100)의 상부에는 낙석방지책(30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석방지책(300)은 지주콘크리트기초(330)에 복수개의 지주(31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지주(310) 사이에 낙석방지망(320)이 결합되어 시공된다.
여기서, 기초베이스층(100)이 형성되지 않은 사면(A)에 낙석방지책(300)을 설치할 경우, 지주(310)를 고정할 지주콘크리트기초(330)가 없어 낙석방지책(300)이 시공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타공메탈판(333)을 이용해 지주콘크리트기초(33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지주콘크리트기초(330)는 사면(A)에 시공되는 보강대(331)와, 보강대(33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절곡타공메탈판(333)과, 절곡타공메탈판(333)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철망(335)과, 절곡타공메탈판(333) 내부를 채우는 내부철근(336)과, 사면 내부와 보강대(331)를 연결하는 가로보강부재(337)와, 보강대(331)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콘크리트층(338)을 포함한다.
보강대(331)는 세로근(331a)와 가로근(331b)이 사면(A)에 일정간격으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형성된다. 보강대(331)는 사면(A)과의 사이에 지주(310)가 설치될 공간을 형성한다.
절곡타공메탈판(333)은 보강대(331)와 사면(A)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절곡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한다. 절곡타공메탈판(333)은 앞서 설명한 타공메탈판(210)과 동일한 재질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절곡타공메탈판(333)은 보강대(331)와 사면 사이의 공간 형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한면은 사면이고 타면은 수직면인 "V"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 또는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절곡타공메탈판(333)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철망(335)은 절곡타공메탈판(333)의 내면에 결합되어 절곡타공메탈판(333) 외부에서 숏크리트타설시 거푸집 역할을 한다. 내부철망(335)은 경우에 따라 절곡타공메탈판(333) 보다 구멍이 작게 형성된 타공메탈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내부철망(335)의 내측에는 내부철근(336)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직교되게 설치되어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가로보강부재(337)는 전산볼트 또는 철근으로 구비되어 하부는 사면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는 보강대(331)에 고정되어 강도를 보강한다.
먼저 보강대(331)의 외부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콘크리트층(338)을 형성시키고 일정기간 양생후 절곡타공메탈판(333)의 내부에 펌프카 등을 이용하여 내부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지주콘크리트기초(330)를 형성시키는데 내부콘크리트 충진시 외부콘크리트층(338)의 상태를 확인하며 끊어치기 방법으로 시공상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지주콘크리트기초(330)의 내부에 지주(310)가 삽입되고, 결합판(311)이 앵커볼트(313)에 의해 지주콘크리트기초(330)에 고정되어 낙석방지책(300)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타공메탈판(333)에 의해 시공된 지주콘크리트기초(330)는 낙석방지책(300)의 지주(310) 뿐만 아니라 여타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기초 구조로 활용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1)는 사면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옹벽(A')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옹벽(A')의 외부에 타공메탈판(210)이 배치되고, 그 위에 외부부재(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형 자연석 느낌의 외부표층(240)이 형성된다.
이 때, 계단식 옹벽(A')과 타공메탈판(210) 사이의 간격이 멀 경우 보강부재(400)를 설치한다. 보강부재(400)는 철근, 형강, 각 파이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계단식 옹벽(A')에는 식재용 토양(N)을 충진한 후 식물(M)을 식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연스러운 조경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는 구멍이 형성된 타공메탈판을 이용해 인조암조형물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절곡기를 이용해 원하는 형상으로 다량 제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포크레인 등을 이용해 불특정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타공메탈판의 내외부에 내부부재와 외부부재를 필요에 따라 결속시켜 함께 절곡하여 종래 시공현장에서 작업자가 철근구조체 내외부에 메탈라스망과 아연망을 직접 결합하던 과정을 없애거나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산볼트와 같은 기초보강재를 사면으로부터 타공메탈판에 직접 결합시켜 기초베이스층과 인조암조형물 간의 결합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공메탈판을 이용해 낙석방지망의 지주 시공을 위한 지주콘크리트기초와 계단식 옹벽의 경관조형물 설치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100 : 기초베이스층
110 : 기초보강재 111 : 스트롱앵커
113 : 브라켓 115 : 너트
120 : 이형철근 121 : 가로철근
123 : 세로철근 130 : 기초아연망
140 : 기초콘크리트층 200 : 인조암조형물
210 : 타공메탈판 211 : 구멍
220 : 내부부재 221 : 결속끈
230 : 외부부재 240 : 외부표층
300 : 낙석방지책 310 : 지주
311 : 결합판 313 : 앵커볼트
320 : 낙석방지망 330 : 지주콘크리트기초
331 : 보강대 331a : 세로근
331b : 가로근 333 : 절곡타공메탈판
335 : 내부철망 336 : 내부철근
337 : 가로보강부재 338 : 외부콘크리트층
A : 사면
B : 성형박스
M : 식물
N : 토양
P : 포크레인
P1 : 버킷
S : 모래
T1, T2, T3 : 성형틀

Claims (5)

  1. 사면에 시공되는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표면에 시공되는 기초베이스층(100)과;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의 표면에 결합되어 입체적인 바위의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과;
    상기 사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낙석을 막아주는 낙석방지책(300)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베이스층(100)은,
    상기 사면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형철근(120)과;
    상기 이형철근(120)의 외부표면에 배치되는 기초아연망(13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인조암조형물(200)은 각각,
    일정면적을 갖는 금속판으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절곡성형되며, 판면에 구멍(211)이 관통형성되는 타공메탈판(210)과;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거푸집 역할을 하는 내부부재(220)와;
    상기 타공메탈판(210)의 외부에 일정두께 형성되는 외부표층(24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부재(220)는 상기 구멍(211) 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철망이거나, 상기 구멍(211) 보다 구멍이 작으며 이웃하는 구멍 사이의 간격이 넓은 내부타공메탈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낙석방지책(300)은,
    상기 사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주(310)와;
    이웃하는 지주(310) 사이에 결합되어 낙석을 막아주는 낙석방지망(320)과;
    상기 지주(310)를 상기 사면에 고정시키는 지주콘크리트기초(3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콘크리트기초(330)는,
    상기 사면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보강대(331)와;
    상기 보강대(331)와 상기 사면 사이의 내벽면에 내부콘크리층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형성된 절곡타공메탈판(333)과;
    상기 절곡타공메탈판(333)과 상기 보강대(331)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사면에 고정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가로보강부재(337)와;
    상기 수용공간에 타설되어 상기 지주(310)를 고정하는 내부콘크리트층과;
    상기 보강대(331)의 외부에 타설되어 상기 보강대(331)의 외부를 커버하는 외부콘크리트층(3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메탈판(210)은 절곡기를 이용해 절곡되어 특정형상으로 성형되거나, 외부가압수단을 이용해 불특정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220)는 상기 타공메탈판(210)과 결속되어 상기 타공메탈판(210)과 함께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은 계단식 옹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KR1020200150383A 2020-11-11 2020-11-11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KR10225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83A KR102255389B1 (ko) 2020-11-11 2020-11-11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383A KR102255389B1 (ko) 2020-11-11 2020-11-11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389B1 true KR102255389B1 (ko) 2021-05-21

Family

ID=7615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383A KR102255389B1 (ko) 2020-11-11 2020-11-11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70B1 (ko) 2022-08-22 2023-03-16 주식회사 수종이엔씨 경관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51497B1 (ko) * 2022-09-21 2023-07-04 이한주 금속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680A (ja) * 1987-11-30 1989-06-02 Japan Tobacco Inc ロッククライミ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018566B1 (ko) * 2010-11-10 2011-03-03 김득일 내구성 있는 인공암 제작방법
KR101689734B1 (ko) * 2015-12-24 2016-12-27 (주)더그린 생물콘크리트 인조암구조체를 이용한 급경사지 사면녹화 및 낙석·수해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자연경관 복원기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680A (ja) * 1987-11-30 1989-06-02 Japan Tobacco Inc ロッククライミ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018566B1 (ko) * 2010-11-10 2011-03-03 김득일 내구성 있는 인공암 제작방법
KR101689734B1 (ko) * 2015-12-24 2016-12-27 (주)더그린 생물콘크리트 인조암구조체를 이용한 급경사지 사면녹화 및 낙석·수해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자연경관 복원기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70B1 (ko) 2022-08-22 2023-03-16 주식회사 수종이엔씨 경관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51497B1 (ko) * 2022-09-21 2023-07-04 이한주 금속 조형물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389B1 (ko) 타공메탈판을 이용한 자연바위 형상의 입체형 인조암 경관옹벽구조체
KR100933660B1 (ko)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CN113417300B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182704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건물 지하층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078989B1 (ko) 발파 사면의 인공 녹화 암벽 및 그 시공방법
JPWO2016059657A1 (ja) 支柱構造体
KR100689078B1 (ko) 인공벽을 조성하는 공법
KR101356724B1 (ko)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58043B1 (ko) 친환경 옹벽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JP5638446B2 (ja) 耐震外構塀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95815B1 (ko) 보강 일체형 숏크리트 옹벽의 구축방법
JPH0960498A (ja) 支保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4100157A (ja) 擁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施工方法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JP7303169B2 (ja) 傾斜地における小段構築方法
KR100665338B1 (ko) 소일네일링(앵커)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CN210421110U (zh) 一种放坡与钢管桩锚协同支护体系
KR101035411B1 (ko)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5365B1 (ko) 터널 숏크리트 낙하 방지용 지보재
KR100264386B1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20090035951A (ko) 배수가 용이한 합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57300B1 (ko) 컬러패널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및 옹벽
JP2020100988A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CN114622577B (zh) 超高天堑崖壁建造及地貌复原治理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