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36B1 -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36B1
KR102254936B1 KR1020190106630A KR20190106630A KR102254936B1 KR 102254936 B1 KR102254936 B1 KR 102254936B1 KR 1020190106630 A KR1020190106630 A KR 1020190106630A KR 20190106630 A KR20190106630 A KR 20190106630A KR 102254936 B1 KR102254936 B1 KR 10225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il
air
clean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187A (ko
Inventor
김상범
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유진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9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스트립이 감긴 코일에 비접촉되어 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클리너, 및 코일로부터 풀린 비코일 상의 스트립에 비접촉되어 비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클리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 오프 릴(POR: Pay Off Reel)를 이용하여 코일 상태로 감긴 스트립(strip)을 풀어내면서 예컨대, 냉간 압연, 용융금속(아연, 알루미늄 등) 도금 등의 가공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스트립(강판)을 반송시키는 롤(Roll)의 표면에 이물질(금속 칩, 금속 가루, 금속 찌꺼기 등)이 부착되면, 이물질로 인해서 스트립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게 된다.
롤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면, 스트립은 불량품이 되어 제품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이물질은 수 미크론(micron) 단위의 작은 입자일지라도 롤의 표면에 집적되어 수 밀리미터 사이즈의 돌기 형상이 되므로 롤의 표면 흠집 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롤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롤의 표면에 블레이드를 접촉시켜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롤을 통해서 스트립을 반송시킨다고 하더라도, 냉간 압연 및 용융금속 도금 등의 가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철 스케일 분말, 산화마그네슘 분말, 아연 분말 등의 미세한 분말성 이물질이 설비 주변에서 공기와 함께 날리다가 스트립에 부착되어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서, 분말상의 이물질이 스트립에 부착된 채로 냉간 압연될 경우에는, 이물질이 스트립과 함께 압축되므로 이물질이 스트립의 표면에 파고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을 에어로 불어내어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이물질로 인해 형성된 홈이 드러나게 되므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금 공정에서는 이물질이 함께 도금되므로 스트립의 표면이 매끈하지 못하게 되므로 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후속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페이 오프 릴(POR)에서 풀려나는 스트립의 상면과 하면에 근접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스트립이 감긴 코일에 비접촉되어 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클리너, 및 코일로부터 풀린 비코일 상의 스트립에 비접촉되어 비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클리너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리너는, 코일 상에서 노출된 스트립의 제1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코일 스트립 클리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리너는, 비코일 상에서 스트립에서 있어 제1 표면을 대향한 제2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비코일 스트립 클리너일 수 있다.
제1 클리너에 설치되고, 코일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면 클리너와 코일의 상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상면 간격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리너는, 코일의 외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제1 프레임, 및 상부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 제1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클리너는, 상부 제1 프레임의 일방에 구비되고, 코일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코일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상부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간격 유지부는, 상부 제2 프레임에 장착되고, 코일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부 집진기를 코일을 향해 전, 후진시키기 위한 상부 로드를 갖는 상부 엑츄에이터, 및 상부 로드와 상부 집진기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집진기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1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1 공간부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상부 집진 덕트, 상부 집진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2 공간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상부 공기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집진기는, 상부 공기 박스에 상부 집진 덕트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제2 공간부에 압축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상부 공기 유입관, 상부 집진 덕트의 타단부에 다수개 연결되고 상부 집진 덕트에 집진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1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집진기는, 상부 제1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제1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상부 매니폴드, 및 상부 매니폴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매니폴드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2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간격 유지부는, 상부 집진 덕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코일 상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상면 거리 측정센서, 및 상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상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부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면 간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공기 박스는 상부 집진 덕트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상부 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부 공기 박스의 일단부에는 제1 개방부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이 다수개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분사노즐은, 상부 공기 박스의 제2 공간부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상부 회전체, 상부 회전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됨에 따라 상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부 블레이드, 및 상부 회전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분사를 위한 상부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리너에 설치되고, 코일에서 풀려나는 상기 스트립의 각도 변화에 따라 하면 하면 클리너와 스트립의 하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하면 간격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리너는, 스트립의 하면에 일방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 및 베이스판의 일방에 배치되어 스트립의 하면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하부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간격 유지부는,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이송판을 전, 후진시키기 위한 이송부, 이송판에 일방으로 장착되어 승강판을 이송판의 상, 하 방향으로 승강하기 위한 승강부, 및 승강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샤프트가 장착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집진기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3 공간부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하부 집진 덕트, 하부 집진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4 공간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하부 공기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집진기는, 하부 공기 박스에 하부 집진 덕트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제4 공간부에 압축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하부 공기 유입관, 하부 집진 덕트의 타단부에 다수개 연결되고 하부 집진 덕트에 집진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1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집진기는, 하부 제1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하부 제1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하부 매니폴드, 및 하부 매니폴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하부 매니폴드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2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 간격 유지부는, 하부 집진 덕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스트립의 하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하면 거리 측정센서, 및 하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하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송부, 승강부, 및 회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면 간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공기 박스는 하부 집진 덕트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하부 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고, 하부 공기 박스의 일단부에는 제3 개방부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하부 분사노즐이 다수개 장착될 수 있다.
하부 분사노즐은, 하부 공기 박스의 제4 공간부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하부 회전체, 하부 회전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됨에 따라 하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하부 블레이드, 및 하부 회전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분사를 위한 하부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코일(스트립)의 상면과 스트립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이탈시켜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에서 풀려나는 스트립에 철 스케일 분말, 산화마그네슘 분말과 아연 분말 등 미세한 분말성 이물질 등이 부착된 상태로 냉간압연 및 용융금속 도금 공정을 거칠 때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매니폴더 및 하부 매니폴터에 수용된 상부 필터 및 하부 필터에 의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되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클리너는 코일에서 스트립이 풀려날 때 직경이 줄어들더라도 상부 집진기를 코일 상면쪽으로 전진시키므로 상부 집진기와 코일 상면과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면 클리너는 코일에서 스트립이 풀려날 때 가변되는 스트립의 각도에 대응하여 하부 집진기의 높이 및 회동각도를 조정하여 하부 집진기와 스트립의 하면간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에 장착된 상부 집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면클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면 클리너에 장착된 하부 집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면 클리너에 장착된 상부 집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면 클리너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하면 클리너에 장착된 하부 집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스트립(S)의 상면(표면)과 하면(이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후속 공정 실행 시 이물질에 의한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스트립(S)이 감긴 코일(C)의 외측면에 마주하게 배치되고 코일(C)의 상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하는 상면 클리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코일(C)에서 풀려난 스트립(S)의 하면에 마주하게 배치되고, 스트립(S)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하는 하면 클리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클리너(100)는 제1 클리너로서 코일 스트립 클리너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상면 클리너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하면 클리너(200)는 제2 클리너로서 비코일 스트립 클리너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면 클리너로 지칭하기로 한다.
코일(C)의 상면은 코일(C) 상에서 노출된 스트립의 제1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상면으로 지칭한다.
또한, 스트립(S)의 하면은 상기 코일(C)로부터 풀린 비코일 상의 스트립(S)에 있어 제1 표면을 대향한 제2 표면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하면으로 지칭한다.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면 클리너(100)에 설치되고, 코일(C)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면 클리너(100)와 코일(C)의 상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상면 간격 유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는, 하면 클리너(200)에 설치되고, 코일(C)에서 풀려나는 스트립(S)의 각도(θ) 변화에 따라 하면 클리너(200)와 스트립(S)의 하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하면 간격 유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립(S)의 각도(θ)란, 스트립(S)이 이루는 직선과, 스트립(S)이 풀려 나오는 코일(C)의 지점에서의 코일(C)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를 가리킨다.
상면 클리너(100)는 반송장치(10)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C)의 외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제1 프레임(110), 및 상부 제1 프레임(11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부 제1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클리너(100)는 상부 제1 프레임(110)의 일방에 구비되고, 코일(C)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코일(C)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 등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상부 집진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간격 유지부(300)는 상부 제2 프레임(120)에 장착되고, 코일(C)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부 집진기(500)를 코일(C)을 향해 전, 후진시키기 위한 상부 로드(311)를 갖는 상부 엑츄에이터(310), 및 상부 로드(311)와 상부 집진기(500)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엑츄에이터(310)는 상부 로드(311)를 전, 후진시킬 수 있는 리니어 모터 또는 에어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로드(311)의 전진이라 함은 도 3의 X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키며, 상부 로드(311)의 후진이라 함은 도 3의 X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부 연결 프레임(320)은 상부 로드(311)의 길이 방향(도 3의 X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 프레임(320)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부 제1 프레임(110)을 따라 상부 로드(311)의 전, 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330)는 상부 로드(311)의 전, 후진 안내를 위하여 상부 제1 프레임(110)에 상부 로드(311)의 길이 방향(도 3의 X방향)을 따라 장착된 상부 레일(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로드(311)와 상부 연결 프레임(320)은 상부 제1 고정 브라켓트(321) 및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 프레임(320)와 상부 집진기(500)는 복수개의 상부 제2 고정 브라켓트(323) 및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집진기(500)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1 개방부(511) 및 내부가 비워 있는 제1 공간부(512)를 갖고, 제1 개방부(511)를 통하여 이물질 등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상부 집진 덕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집진기(500)는 상부 집진 덕트(5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2 공간부(521)에 공기 등이 충전되는 상부 공기 박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집진 덕트(510)는 코일(C)의 원주 방향(도 3의 Y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체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방부(511)는 상부 집진 덕트(510)의 코일(C)을 향하는 일방(도 4의 하방)이 개방될 수 있다.
상부 공기 박스(520)는 상부 집진 덕트(510)의 내측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상부 연결바(523)에 의하여 상부 집진 덕트(510)의 내측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공기 박스(520)의 일단부에는 제1 개방부(511)를 향하여 공기 등을 분사하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530)이 다수개 설정된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부 공기 박스(520)에는 상부 집진 덕트(510)를 관통하여 상부 공기 박스(520)의 제2 공간부(521)에 압축 공기 등을 유입하기 위한 상부 공기 유입관(540)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집진 덕트(510)의 타단부에 상부 집진 덕트(510)에 집진된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1 배출관(550)이 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집진 덕트(510)의 타단부라 함은, 상부 집진 덕트(510)의 제1 개방부(511)가 위치한 반대측을 가리킨다.
상부 제1 배출관(550)의 타단부에는 상부 제1 배출관(550)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상부 매니폴드(5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매니폴드(560)의 내부에는 상부 매니폴드(560)를 통과하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기 위한 상부 필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매니폴드(560)의 타단부에는 상부 매니폴드(560)를 통과한 공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2 배출관(570)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제2 배출관(570)에는 진공펌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 집진 덕트(510)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흡입하여 상부 제1 배출관(550), 상부 매니폴더(560)을 거쳐 상부 제2 배출관(5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부 공기 박스(520)의 제1 개방부(511)를 향하는 일면에는 상부 관통구멍(525)이 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관통구멍(525)에는 상부 분사노즐(530)을 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상부 베어링(527)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분사노즐(530)은 상부 공기 박스(520)의 제2 공간부(521)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원통형의 상부 회전체(5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분사노즐(530)은 상부 회전체(531)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상부 공기 박스(520)에 충전된 압축 공기 등이 통과됨에 따라 상부 회전체(5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부 블레이드(5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분사노즐(530)은 상부 회전체(533)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등의 분사를 위한 상부 분사구(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체(531)의 일단부 외측면에는 상부 회전체(53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회전체(531)의 내부와 연결된 상부 분사 공간부(536)을 갖는 상부 아암(5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분사구(535)는 상부 아암(537)의 일단부에 다수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분사량의 필요에 따라 상부 분사구(535)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 분사구(535)의 개수를 증가시켜 코일(C)의 상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상면 간격 유지부(300)는, 상부 집진 덕트(5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코일(C) 상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상면 거리 측정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면 간격 유지부(300)는 상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상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면 클리너(100)와 코일(C)의 상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엑츄에이터(3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면 간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클리너(200)는 반송장치(20)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트립(S)의 하면에 수직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면 클리너(200)는 베이스판(210)의 일방에 배치되어 스트립(S)의 하면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스트립(S)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 등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하부 집진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베이스판(21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이송판(411)을 전, 후진시키기 위한 이송부(410), 이송판(411)에 수직 방향(도 5의 Z 방향)으로 장착되어 승강판(421)을 이송판(411)의 상, 하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승강하기 위한 승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승강부(420)에 나란하게 배치된 샤프트(431)가 장착되고 샤프트(43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판(411)의 전진이라 함은 도 5의 Z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키며, 이송판(411)의 후진이라 함은 도 5의 Z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이송부(4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210)의 일측면에는 이송판(411)의 이송 방향(전, 후진 방향)으로 이송 레일(413)이 부착되고, 이송 레일(413)과 나란하게 배치된 랙(415)이 베이스판(2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판(411)에는 이송 레일(413)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이송 롤러(417)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이송 롤러(417)는 이송 레일(413)에 걸리게 장착되어 이송 레일(413)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랙(415)은 치차가 상부를 향하도록 장착되고, 랙(415)에 치합되는 피니언(미도시)이 이송판(411)에서 이송 롤러(417)가 장착된 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송판(411)에 제1 구동모터(419)가 장착되고, 제1 구동모터(419)는 피니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모터(419)의 정, 역 회전에 따라서 이송판(411)은 전, 후진 가능하게 된다.
제1 구동모터(419)는 회전축의 회전각의 조정이 자유로운 서버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강부(4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 레일(423)은 이송판(411)에서 이송 롤러(417)가 장착된 반대면에 이송판(411)의 상, 하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승강 레일(423)에 장착되어 이송판(411)의 상하 방향으로 구르는 승강 롤러(425)가 승강판(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승강 롤러(425)는 승강 레일(423)에 걸리게 장착되어 승강 레일(423)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송판(411)에 수직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 로드(426)를 이송판(411)의 상, 하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하부 엑츄에이터(42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액츄에이터(427)는 하부 로드(426)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니어 모터 또는 에어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액츄에이터(427)의 구동에 의해서 승강판(421)은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회동부(4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강판(421)에는 회전축이 이송판(411)과 수직 방향으로 제2 구동모터(433)가 장착되며, 제2 구동모터(433)는 회전축의 회전각의 조정이 자유로운 서버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구동모터(433)의 회전축에는 샤프트(431)가 제2 구동모터(433)와 수평하게 연결되고, 샤프트(431)는 승강판(421)에 고정 결합된 제2 베어링(4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집진기(600)는, 그 길이 방향(도 5의 Z 방향)이 샤프트(4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결되므로, 하부 집진기(600)의 길이 방향이 스트립(S)의 폭(V)방향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집진기(600)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611) 및 내부가 비워 있는 제3 공간부(612)를 갖고, 제3 개방부(611)를 통하여 이물질 등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하부 집진 덕트(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집진기(600)는 하부 집진 덕트(610)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4 공간부(621)에 공기 등이 충전되는 하부 공기 박스(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집진 덕트(610)는 스트립(S)의 폭(V)방향(도 5의 Z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체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개방부(611)는 하부 집진 덕트(610)의 스트립(S)의 하면을 향하는 일방(도 7의 상방)이 개방될 수 있다.
하부 공기 박스(620)는 하부 집진 덕트(610)의 내측면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하부 연결바(623)에 의하여 하부 집진 덕트(610)의 내측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공기 박스(620)의 일단부에는 제3 개방부(611)를 향하여 공기 등을 분사하기 위한 하부 분사노즐(630)이 다수개 설정된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하부 공기 박스(620)에는 하부 집진 덕트(610)를 관통하여 하부 공기 박스(620)의 제4 공간부(621)에 압축 공기 등을 유입하기 위한 하부 공기 유입관(640)이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집진 덕트(610)의 타단부에 하부 집진 덕트(610)에 집진된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1 배출관(650)이 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집진 덕트(610)의 타단부라 함은, 하부 집진 덕트(610)의 제3 개방부(611)가 위치한 반대측을 가리킨다.
하부 제1 배출관(650)의 타단부에는 하부 제1 배출관(650)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하부 매니폴드(66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매니폴드(660)의 내부에는 하부 매니폴드(660)를 통과하는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여과하여 배출하기 위한 하부 필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매니폴드(660)의 타단부에는 하부 매니폴드(660)를 통과한 공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2 배출관(670)이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2 배출관(670)에는 진공펌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부 집진 덕트(610)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흡입하여 하부 제1 배출관(650), 하부 매니폴더(660)을 거쳐 하부 제2 배출관(6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부 공기 박스(620)의 제3 개방부(611)를 향하는 일면에는 하부 관통구멍(625)이 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관통구멍(625)에는 하부 분사노즐(630)을 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하부 베어링(627)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분사노즐(630)은 하부 공기 박스(620)의 제4 공간부(621)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원통형의 하부 회전체(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분사노즐(630)은 하부 회전체(631)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하부 공기 박스(620)에 충전된 압축 공기 등이 통과됨에 따라 하부 회전체(631)를 회전시키기 위한 하부 블레이드(6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분사노즐(630)은 하부 회전체(633)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등의 분사를 위한 하부 분사구(6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회전체(631)의 일단부 외측면에는 하부 회전체(63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회전체(631)의 내부와 연결된 하부 분사 공간부(636)을 갖는 하부 아암(637)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분사구(635)는 하부 아암(637)의 일단부에 다수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분사량의 필요에 따라 하부 분사구(635)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하부 분사구(635)의 개수를 증가시켜 스트립(S)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하부 집진 덕트(6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스트립(S) 하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하면 거리 측정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간격 유지부(400)는 하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하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면 클리너(200)와 스트립(S)의 하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송부(410), 승강부(420), 및 회동부(4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면 간격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트립(S)의 반송장치(10, 20)에 본 발명의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를 장착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클리너(100)의 상부 제1 프레임(110)이 반송장치(10)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상부 집진기(500)의 제1 개방부(511)의 중심이 코일(C)의 중심부와 마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면 클리너(200)의 베이스판(210)이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장치(20)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하부 집진기(600)의 제3 개방부(611)가 코일(C)에서 풀려난 스트립(S)의 하면과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 집진기(600)의 길이 방향이 스트립(S)의 폭(V)방향(도 5의 Z 방향)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면 간격 유지부(300)의 상부 액츄에이터(310)를 구동시켜서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이 되도록 한다.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2~3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코일(C)에서 스트립(S)이 풀려날 때 코일(C)의 직경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상면간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설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상부 집진기(500)를 코일(C) 상면쪽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부 집진기(500)의 상부 집진 덕트(510)의 일면에 장착된 상면 거리 측정센서(미도시)에서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상면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상면 간격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면, 상면 간격 제어부는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부 엑츄에이터(31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상면간의 거리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면 클리너(200)의 이송부(410)의 제1 구동모터(419)를 구동시켜 이송판(411)의 전, 후진 거리를 조정하여 하부 집진기(600)의 중심이 스트립(S)의 폭(V)방향의 중심과 대응하게 한다.
다음으로, 승강부(420)의 하부 액츄에이터(427)를 구동시켜서 승강판(421)을 이송판(411)의 상, 하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승강시켜 하부 집진기(600)와 스트립(S)의 하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회동부(430)의 제2 구동모터(433)를 동시에 구동시켜서 샤프트(431)를 중심으로 하부 집진기(600)의 회동각을 조정하여 하부 집진기(600)와 스트립(S)의 하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코일(C)에서 스트립(S)이 풀려나게 되면, 도 1의 점선과 같이, 풀려나는 스트립(S)의 각도(θ)가 가변되므로, 승강부(420)와 회동부(430)를 동시에 구동시켜 하부 집진기(600)의 제3 개방부(611)와 스트립(S)의 하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하부 집진기(600)의 하부 집진 덕트(610)의 일면에 장착된 하면 거리 측정센서(미도시)로부터 하부 집진기(600)와 스트립(S)의 하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하면 거리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거리 데이터를 하면 간격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면, 하면 간격 제어부는 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승강부(420)와 회동부(430)의 작동을 제어하여 하부 집진기(600)와 스트립(S) 하면간의 거리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에어 호스(미도시)에 연결된 상부 집진기(500)의 상부 공기 유입관(540)에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상부 공기 박스(520)의 제2 공간부(521)에 압축 공기를 설정된 압력으로 주입한다.
제2 공간부(521)에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상부 공기 박스(520)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므로, 압축된 공기는 상부 분사노즐(530)의 내부를 거쳐서 상부 분사구(535)를 통해서 코일(C)의 상면에 분사된다.
이때, 압축 공기는, 상부 분사노즐(530)을 이루는 상부 회전체(531)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상부 블레이드(533)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부 블레이드(533)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부 분사노즐(5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상부 분사노즐(530)의 회전속도는 상부 블레이드(533)의 폭과 공기압 등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되는 공기는 회전하면서 코일(C)의 상면에 분사되므로, 코일(C)의 상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보다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공기에 의해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은 이물질에 직선 방향의 분사력과 측방향의 회전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물이 분사되는 호스를 잡고서 바닥면을 청소할 때 호스를 좌우로 흔들어 주면서 분사되는 물줄기가 측방으로 진동하도록 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또한, 상부 아암(537)을 통해서 상부 분사구(535)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 분사구(535)의 개수를 증가시켜 이물질을 코일(C)의 상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부 제2 배출관(570)에 연결된 진공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코일(C)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된 이물질 등이 상부 집진 덕트(510)에 흡입된 후, 상부 제1 배출관(550), 상부 매니폴더(560)을 거쳐서 상부 제2 배출관(57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상부 집진기(500)의 상부 공기 유입관(540)에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상부 공기 박스(520) 내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하부 집진기(600)의 하부 공기 유입관(640)에 압축기 등을 이용하여 하부 공기 박스(620) 내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면 클리너(100), 하면 클리너(200), 상면 간격 유지부(300), 및 하면 간격 유지부(400)를 이용하여, 코일(C)의 상면과 스트립(S)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코일(C)의 상면과 스트립(S)의 하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켜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C)에서 풀려나는 스트립(S)에 산화마그네슘 분말과 아연 분말 등 미세한 분말성 이물질 등이 부착된 상태로 냉간압연 및 용융금속 도금 공정을 거칠 때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매니폴더(560)에 수용된 상부 필터(미도시), 하부 매니폴더(660)에 수용된 하부 필터(미도시)에 의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여과되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면 클리너(100)는 코일(C)에서 스트립(S)이 풀려날 때 직경이 줄어들더라도 상면 간격 유지부(300)에 의하여 상부 집진기(500)와 코일(C) 상면과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면 클리너(200)는 코일(C)에서 스트립(S)이 풀려날 때 가변되는 스트립(S)의 각도(θ)에 대응하여 하부 집진기(600)의 높이 및 회동각도를 조정하여 하부 집진기(600)와 스트립(S) 표면간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상면 클리너
200: 하면 클리너
300: 상면 간격 유지부
400: 하면 간격 유지부
500: 상부 집진기
600: 하부 집진기

Claims (17)

  1. 스트립이 감긴 코일에 비접촉되어 상기 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클리너, 및
    상기 코일로부터 풀린 비코일 상의 스트립에 비접촉되어 상기 비코일 상의 스트립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클리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리너는, 상기 코일의 상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코일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상부 집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집진기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1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1 공간부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상부 집진 덕트,
    상기 상부 집진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2 공간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상부 공기 박스,
    상기 상부 공기 박스에 상기 상부 집진 덕트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2 공간부에 압축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상부 공기 유입관,
    상기 상부 집진 덕트의 타단부에 다수개 연결되고, 상기 상부 집진 덕트에 집진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1 배출관,
    상기 상부 제1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제1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상부 매니폴드, 및
    상기 상부 매니폴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매니폴드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상부 제2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공기 박스는 상기 상부 집진 덕트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상부 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상부 공기 박스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개방부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상부 분사노즐이 다수개 장착되며,
    상기 상부 공기 박스의 제1 개방부를 향하는 일면에는 상부 관통구멍이 설정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상부 관통구멍에는 상기 상부 분사노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리너는, 상기 코일 상에서 노출된 스트립의 제1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코일 스트립 클리너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리너는, 상기 비코일 상에서 스트립에서 있어 상기 제1 표면을 대향한 제2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비코일 스트립 클리너인,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리너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의 직경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클리너와 상기 코일의 상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상면 간격 유지부
    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리너는,
    상기 코일의 외측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 제1 프레임, 및 상기 상부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부 제1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집진기는 상기 상부 제1 프레임의 일방에 구비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간격 유지부는,
    상기 상부 제2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집진기를 상기 코일을 향해 전, 후진시키기 위한 상부 로드를 갖는 상부 엑츄에이터, 및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상부 집진기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상부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간격 유지부는,
    상기 상부 집진 덕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 상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상면 거리 측정센서, 및
    상기 상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상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엑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면 간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사노즐은,
    상기 상부 공기 박스의 제2 공간부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상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부 블레이드, 및
    상기 상부 회전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분사를 위한 상부 분사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리너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서 풀려나는 상기 스트립의 각도 변화에 따라 하면 상기 제2 클리너와 상기 스트립의 하면과의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하는 하면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리너는,
    상기 스트립의 하면에 일방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일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하면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상기 스트립의 하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물질을 집진하여 배출하기 위한 하부 집진기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간격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이송판을 전, 후진시키기 위한 이송부,
    상기 이송판에 일방으로 장착되어 승강판을 상기 이송판의 상, 하 방향으로 승강하기 위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샤프트가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집진기는,
    일단부가 개방된 제3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3 공간부로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박스형상의 하부 집진 덕트,
    상기 하부 집진 덕트의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가 비워 있는 제4 공간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하부 공기 박스,
    상기 하부 공기 박스에 상기 하부 집진 덕트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4 공간부에 압축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하부 공기 유입관,
    상기 하부 집진 덕트의 타단부에 다수개 연결되고, 상기 하부 집진 덕트에 집진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1 배출관,
    상기 하부 제1 배출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제1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집합하기 위한 하부 매니폴드, 및
    상기 하부 매니폴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매니폴드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부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간격 유지부는,
    상기 하부 집진 덕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트립의 하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하면 거리 측정센서, 및
    상기 하면 거리 측성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하면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회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면 간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기 박스는 상기 하부 집진 덕트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하부 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하부 공기 박스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3 개방부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하부 분사노즐이 다수개 장착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노즐은,
    상기 하부 공기 박스의 제4 공간부를 향하여 개방된 단부를 갖고 내부가 비워 있는 하부 회전체,
    상기 하부 회전체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됨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하부 블레이드, 및
    상기 하부 회전체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공기 분사를 위한 하부 분사구를 포함하는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0190106630A 2019-08-29 2019-08-29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25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30A KR102254936B1 (ko) 2019-08-29 2019-08-29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30A KR102254936B1 (ko) 2019-08-29 2019-08-29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87A KR20210026187A (ko) 2021-03-10
KR102254936B1 true KR102254936B1 (ko) 2021-05-21

Family

ID=7514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30A KR102254936B1 (ko) 2019-08-29 2019-08-29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9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52B1 (ko) * 2017-09-27 2019-04-01 주식회사포스코 리더 스트립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47B1 (ko) * 2013-01-24 2014-09-23 한국기계연구원 스월링 노즐
KR101778393B1 (ko) * 2015-12-15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52B1 (ko) * 2017-09-27 2019-04-01 주식회사포스코 리더 스트립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187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812B2 (ja) スリットノズル清掃装置および塗布装置
KR101461739B1 (ko) 도금욕조의 부유 이물질 포집장치
KR101957229B1 (ko) 용기 에어 세척장치
US20130327105A1 (en) Shot-processing apparatus
KR102254936B1 (ko) 스트립 이물질 제거 장치
DK161941B (da) Pulverpaafoeringsanlaeg til paafoering af overfladebelaegninger
JP3947893B2 (ja) 乾式電気集塵機の洗浄装置
KR100391341B1 (ko) 글래스 패키지용 에어 브라스트 머쉬인 어셈블리
CN107720170A (zh) 陶瓷底部除釉传输装置
JP3317477B2 (ja) ブランク材洗浄ブース及びブランク材洗浄装置
CN210938433U (zh) 一种表面打磨设备
CN111994666A (zh) 一种散料清理装置
KR102135156B1 (ko) 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439312B1 (ko) 휴대폰 케이스 도장라인의 세척시스템
CN207607988U (zh) 一种带有清理器的输送装置
KR100525647B1 (ko) 연속소둔라인의 스트립 부착 간지 제거장치
KR101483516B1 (ko) 비정질 리본 권취장치
KR20230062365A (ko) 컨베이어 타입 분체도장 필터 포집기
KR20160076398A (ko) 코팅롤 표면 청소장치
KR100467796B1 (ko) 탈지설비의 스와프 유입 방지장치
CN116587048B (zh) 用于角码加工后处理的输送装置
CN219292106U (zh) 一种金属检测机
CN215745523U (zh) 一种用于板材轧制的轧机导卫装置
CN218638150U (zh) 一种适用于烟箱盖的清灰装置
CN218639386U (zh) 一种轨道式抛丸清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