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121B1 -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121B1
KR102254121B1 KR1020130084934A KR20130084934A KR102254121B1 KR 102254121 B1 KR102254121 B1 KR 102254121B1 KR 1020130084934 A KR1020130084934 A KR 1020130084934A KR 20130084934 A KR20130084934 A KR 20130084934A KR 102254121 B1 KR102254121 B1 KR 102254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area
sub
display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663A (ko
Inventor
강남욱
김도형
박용국
진영규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24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57885A1/en
Priority to EP20140161621 priority patent/EP2784656A1/en
Priority to US14/227,522 priority patent/US9927953B2/en
Priority to CN201410118879.XA priority patent/CN104077038A/zh
Publication of KR2014011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663A/ko
Priority to US14/882,533 priority patent/US10229258B2/en
Priority to US16/286,221 priority patent/US108247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E}
본 발명은 잠금 화면 상에 소정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스마트 폰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도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 화면에서 다양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됨으로써, 보이지 않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잠금 화면의 해제를 방지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화면상에 소정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메뉴 및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 영역 중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의 영역 중 제 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메뉴 및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 1 영역에 대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복수의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고, 제 1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 및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더블 탭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복수의 메뉴 및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고,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 영역 중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의 영역 중 제 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복수의 메뉴 및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영역에 대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복수의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2 드래그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3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이동 방향 정보에 따라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 및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메뉴, 제 1 계층 서브 메뉴,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에 대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행하는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예컨대, 1초 이하)를 의미한다.
"터치&홀드(touch & hold)"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임계 시간은 구현 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빠르게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패닝(panning)"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핀치(pinch)”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화면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낸다. 오브젝트 또는 페이지의 확대(Pinch Open) 또는 축소(Pinch Close)를 위한 제스처이며, 두 손가락의 거리에 따라 확대 값이나 축소 값이 결정된다.
“스와이프(swipe)”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로 화면 위의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동작이다. 사선 방향의 움직임은 스와이프 이벤트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10)를 표시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메뉴(10)”는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10)는 간단한 기호, 텍스트, 아이콘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하위 계층의 메뉴를 잠금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소정 메뉴(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20)를 잠금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위 계층의 메뉴를 서브 메뉴(20)로 표현하기로 한다.
한편, 서브 메뉴(20)도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계층 서브 메뉴가 제 2 계층 서브 메뉴보다는 상위 계층 메뉴이고, 제 2 계층 서브 메뉴가 제 3 계층 서브 메뉴보다 상위 계층 메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바이스(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잠금 화면 상에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2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금 화면의 일정 영역을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를 이용하여 터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의 터치 위치, 터치 유지 시간, 터치 입력의 종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예컨대, 2초)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영역 주변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일 수도 있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 목록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미디어(media), 알림(notification), 및 게임(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이 동, 서, 남, 북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네 방향 각각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이 동, 동남, 남, 남서, 서, 서북, 북, 북동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여덟 개의 방향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서버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 화면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는, 사용자,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서버에 의해 기 설정된 메뉴일 수 있다. 잠금 화면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의 수, 메뉴의 종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단계 2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드래그 입력은 구현 예에 따라서 스와이프 입력, 플릭 입력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메모리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조금만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메모리에서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유치한 채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까지 정확하게 드래그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단계 24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제 1 메뉴가 표시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의 하측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메뉴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메뉴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를 드래그한 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을 더블 탭함으로써, 제 1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를 드래그한 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을 더블 탭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트’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는, 동영상 콘텐트(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트(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 콘텐트(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웹 페이지 등), 음악 콘텐트(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잠금 패턴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소정 터치 입력에 따라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이거나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도,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소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정 콘텐트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및 서브 메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300)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300)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300)을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잠금 화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3 메뉴가 표시된 방향(예컨대, 서쪽 방향)으로 드래그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제 1 드래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제 3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서쪽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동쪽 방향)에 존재하는 동쪽 영역(300)을 제외한 북쪽 영역(410), 남쪽 영역(420), 서쪽 영역(430)에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제 1 서브메뉴(3-1), 제 2 서브 메뉴(3-2), 제 3 서브 메뉴(3-3)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잠금 화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드래그 입력 방향을 따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제 3 서브 메뉴(3-3)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의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메뉴(3-1)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제 1 서브 메뉴(3-1)가 표시된 영역을 더블 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더블 탭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 1 서브 메뉴(3-1)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제 1 서브 메뉴(3-1)가 표시된 영역을 정확히 더블 탭하지 않더라도 제 1 서브 메뉴(3-1)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더블 탭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메뉴(3-1)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메뉴(3-1)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브 메뉴(3-1)가 사진 폴더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진 폴더에 포함된 사진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 입력의 일례로 화면을 두 번 탭하는 더블 탭 입력을 설명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서 더블 탭 입력은 세 번 이상 화면을 탭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두 번의 드래그 입력 및 더블 탭 입력을 통해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디바이스(100)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태이거나 시각 장애인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소정 패턴의 터치 입력을 통해 특정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의 단계 24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서브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제 3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제 1 계층 서브 메뉴보다 하위 계층의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계층 서브 메뉴가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제 1 계층 서브 메뉴가 폴더인 경우,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하위 폴더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메모리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조금만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유치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까지 정확하게 드래그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작은 화면에서 효율적으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끝 부분에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경우더라도 사용자는 터치 도구를 조금씩 움직여 제 2 계층 서브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화면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들은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볼 수 없으므로, 해당 위치까지 드래그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해당 메뉴가 표시된 일정 방향으로 터치 도구를 드래그함으로써,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시각 장애인들이 특정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각 드래그 입력 방향에 따라서 계층적으로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후 터치를 유지한 채 제 3-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예컨대, 북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3-1 서브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북쪽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남쪽 방향)에 존재하는 남쪽 영역(730)을 제외한 북쪽 영역(710), 서쪽 영역(720)에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3-1-1 서브 메뉴, 제 3-1-2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3-1 서브 메뉴의 동쪽 영역(740)에는 제 2 메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디바이스(100)는,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동쪽 영역(740)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3-1-2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3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더블 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더블 탭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 3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제 3-1-2 서브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제 3-1-2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720)을 정확히 더블 탭하지 않더라도, 제 3-1-2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더블 탭 입력에 따라,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제 3-1-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3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3-1-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3 계층 서브 메뉴를 제 3-1-2 서브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3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서쪽 방향)을 고려하여, 제 3-1-2 서브 메뉴의 서쪽 영역 및 북쪽 영역에 제 3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2 드래그 입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3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후 터치를 유지한 채 제 3-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예컨대, 북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예컨대, 북쪽 방향)을 따라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예컨대, 제 3-1-1 서브 메뉴, 제 3-1-2 서브 메뉴)를 제 3-1 서브 메뉴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한 후 터치를 유지한 채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예컨대, 남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3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3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예컨대, 제 3-1-1 서브 메뉴, 제 3-1-2 서브 메뉴)를 더 이상 잠금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제 3-3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3-3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예컨대, 제 3-3-1 서브 메뉴, 제 3-3-2 서브 메뉴)를 제 3-3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의 남쪽 영역 및 서쪽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이동 방향 정보에 따라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①),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뉴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SNS(social), 미디어(Media), 게임(Game)일 수 있다.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메뉴 중 ‘게임(Game)’이 표시된 방향(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②), 디바이스(100)는, ‘게임’에 대응하는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서쪽 방향)에 따라, ‘게임’ 메뉴의 서쪽 영역, 북쪽 영역, 남쪽 영역에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게임’에 대응하는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종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게임’ 메뉴의 서쪽 영역에 ‘BB 게임’ 메뉴를, 북쪽 영역에 ‘AA 게임’ 메뉴를, 남쪽 영역’CC 게임’ 메뉴를 제 1 계층 서브 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AA 게임’이 표시된 방향(북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③), 디바이스(100)는 채 ‘AA 게임’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북쪽 방향)에 따라 ‘AA 게임’의 북쪽 영역, 서쪽 영역에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AA 게임’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AA 게임’에서 지원되는 기능의 종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AA 게임’ 메뉴의 북쪽 영역에 ‘게임 시작(game start)’ 메뉴를, 서쪽 영역에 ‘설정(setting)’ 메뉴를 제 2 계층 서브 메뉴로 표시할 수 있다.
제 2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게임 시작’ 메뉴가 표시된 방향(북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3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④),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⑤), 디바이스(100)는, ‘게임 시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AA 게임의 시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①),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를 터치 입력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뉴는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복수의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메뉴 중 ‘통화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방향(북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②), 디바이스(100)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북쪽 방향)에 따라,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원되는 기능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북쪽 영역에 ‘즐겨 찾기’ 메뉴를, 서쪽 영역에 ‘최근 통화’ 메뉴를, 동쪽 영역에 ‘전화 번호 목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최근 통화’ 메뉴가 표시된 방향(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③),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④), 디바이스(100)는, ‘최근 통화’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최근 통화 목록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지한 채 ‘최근 통화’ 메뉴가 표시된 방향(서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최근 통화’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최근 통화’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통화 목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예컨대, Kevin, Mom 등)를 ‘최근 통화’ 주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Kevin 이 표시된 영역으로 터치 도구를 드래그한 후 더블 탭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Kevin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100)는 드래그 입력 방향을 따라서 계층적으로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잠금 화면 상에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1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에 복수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일 수도 있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 목록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11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 영역 중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이 네 개로 분할된 영역(예컨대,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 제 4 영역)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을 제외한 제 2 영역 내지 제 4 영역에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 영역까지 정확하게 드래그하지 않더라도 제 2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15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드래그 입력 후에 터치 도구를 화면에서 떼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터치 도구를 화면에서 떼는 터치 아웃 시점에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잠금 화면 상에 메뉴 및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예컨대, 제 1 영역(1210), 제 2 영역(1220), 제 3 영역(1230), 제 4 영역(1240))에 복수의 메뉴(예컨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복수의 영역(1210, 1220, 1230, 1240) 중 제 3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12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2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가 표시되던 제 1 영역(1210)에 제 3-1 서브 메뉴를 표시하고, 제 2 메뉴가 표시되던 제 2 영역(1220)에 제 3-2 서브 메뉴를 표시하고, 제 4 메뉴가 표시되던 제 4 영역(1240)에 제 3-3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잠금 화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복수의 메뉴를 계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잠금 화면이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이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고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사용자가 제 3-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3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제 3-2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는 터치 아웃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터치 아웃 시점에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터치 아웃 시점에 제 3-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2 서브 메뉴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2 서브 메뉴가 사진 폴더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진 폴더에 포함된 사진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3 영역(143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제 3-2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2 영역(1420)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 1 드래그 입력 후 제 2 영역(1420)에 대한 터치를 유지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14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400)에 제 3-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1410)에 제 3-2-1 서브 메뉴를 표시하고, 제 3 영역(1430)에 제 3-2-2 서브 메뉴를 표시하고, 제 4 영역(1440)에 제 3-2-3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제 3-2-2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1430)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3 영역(14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410, 1420, 1440)에 제 3-2-2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제 3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바이스(100)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및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 및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5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의 메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설정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설정 창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일 수 있다.
단계 15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메뉴 설정 창을 통해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잠금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 각각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선택 받을 수도 있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 목록을 선택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미디어(media), 알림(notification), 및 게임(g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15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선택된 메뉴가 카테고리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메뉴가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메뉴 및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일례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환경 설정(settings)에서 잠금 화면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잠금 화면 설정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금 화면 설정 창에서 이지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설정 창(1600)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메뉴 설정 창(1600)을 통해 잠금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역을 표시하고, 복수의 영역 중에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포함되는 제 1 영역(1610), 제 2 영역(1620), 제 3 영역(1630), 제 4 영역(16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1610), 제 2 영역(1620), 제 3 영역(1630)에는 기 선택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아직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제 4 영역(1640)에는 메뉴를 추가할 수 있는 아이콘(예컨대, +)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4 영역(1640)에 표시된 아이콘(예컨대, +)을 터치함으로써, 메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 4 영역(1640)에 표시된 아이콘(예컨대, +)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4 영역(1640)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카테고리 명(예컨대, communication)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메뉴(예컨대, communication)가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서브 메뉴 선택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메뉴는 복수의 영역(1710, 1720, 1730, 1740) 중 선택된 메뉴가 표시된 영역(174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710, 1720, 1730)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영역(1710), 제 2 영역(1720), 제 3 영역(1730)에 표시될 서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영역(1720)에 표시된 추가 아이콘(예컨대, +)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서브 메뉴로 선택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예컨대, Call, SMS, KaKao Talk, Skyp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SMS)을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1720)에 표시되는 서브 메뉴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는, Communication 메뉴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로서,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TALK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도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munication 메뉴가 제 4 영역(1840)에 표시되므로, 서브 메뉴(예컨대, ‘통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TALK 애플리케이션’) 각각은, 제 4 영역(1840)을 제외한 제 1 영역(1810), 제 2 영역(1820), 제 3 영역(1830)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설정’ 버튼(19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통화 설정’ 버튼(1910)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통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설정’ 항목(1920)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설정’ 항목(1920)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메뉴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창(193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메뉴가 존재하는 영역(예컨대, 제 1 영역(1901), 제 2 영역(1902))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사용자는 제 3 영역(1903) 및 제 4 영역(190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4 영역(1904)을 선택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제 4 영역(1904)에 통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메뉴, 제 1 계층 서브 메뉴,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를 잠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내지 제 7 메뉴를 잠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을 잠금 화면에 터치한 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잠금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를 스크롤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경계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메뉴를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와 제 2 메뉴 경계, 제 2 메뉴와 제 3 메뉴 경계에서, 제 3 메뉴와 제 4 메뉴 경계 등에서 진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하고 있는 메뉴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중 제 3 메뉴(20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제 3 메뉴(2010)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20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3-1 서브 메뉴, 제 3-2 서브 메뉴, 제 3-3 서브 메뉴, 제 3-4 서브 메뉴, 제 3-5 서브 메뉴, 제 3-6 서브 메뉴, 제 3-7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제 3-1 서브 메뉴(2020)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터치 도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3 메뉴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스크롤할 수도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서브 메뉴 경계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제 3-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제 3-1-1 서브 메뉴, 제 3-1-2 서브 메뉴, 제 3-1-3 서브 메뉴, 제 3-1-4 서브 메뉴, 제 3-1-5 서브 메뉴, 제 3-1-6 서브 메뉴, 제 3-1-7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제 3-1-2 서브 메뉴(2030)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터치 아웃 시점에 사용자에 의해 제 3-1-2 서브 메뉴(2030)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제 3-1-2 서브 메뉴(2030)가 표시된 방향으로 터치 도구를 드래그하는 한 후 제 3-1-2 서브 메뉴(2030)가 표시된 영역을 더블 탭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3-1-2 서브 메뉴(2030)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0(d)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2 드래그 입력 또는 더블 탭 입력에 기초하여, 제 3-1-2 서브 메뉴(2030)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제 3-1-2 서브 메뉴(203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에 대한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21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해 소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12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소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메뉴들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편집 모드에서,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표시된 메뉴를 삭제하거나, 제 1 영역에 표시된 메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제 1 영역에 표시된 메뉴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 213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복수의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의 배열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 상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메뉴(예컨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중 제 2 메뉴 또는 제 2 메뉴가 표시된 제 2 영역(2220)에 대한 소정 시간(예컨대, 3초) 이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100)는, 제 2 메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편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2 메뉴를 터치한 채 제 4 메뉴가 표시된 제 4 영역(2240)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메뉴를 제 4 영역(22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2(c)를 참조하면, 제 2 메뉴가 제 4 영역(2240)으로 이동됨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 3 메뉴를 제 2 영역(2220)으로 이동시키고, 제 4 메뉴를 제 3 영역(22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메뉴가 제 4 영역(2240)으로 이동됨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 4 메뉴를 제 2 영역(2220)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1),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제어부(130) 이외에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 및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복수의 영역 중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잇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제 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제 1 영역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은, 제 1 영역에 표시된 메뉴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는, 잠금 화면 상에 복수의 메뉴 또는 복수의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 1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복수의 영역 중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고,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복수의 영역 중 제 3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메모리(1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에서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더블 탭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메뉴 및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드래그 입력에 따라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1 계층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터치 아웃 시점에 제 2 영역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잠금 화면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복수의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100)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 마이크로폰(154), 카메라(15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메뉴,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모듈(173)은, 복수의 메뉴 경계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메뉴를 터치한 후 위로 드래그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와 제 2 메뉴 경계, 제 2 메뉴와 제 3 메뉴 경계에서, 제 3 메뉴와 제 4 메뉴 경계 등에서 진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하고 있는 메뉴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및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특정 기능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화면을 볼 수 없는 사용자(예컨대,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이거나 회의 중인 상황)가 잠금 화면에 대한 터치 입력(예컨대, 드래그 입력, 더블 탭 입력)을 통해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디바이스(100)에서 제공되는 특정 기능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디바이스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출력부 121: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센싱부
150: 통신부 160: A/V 입력부
170: 메모리

Claims (37)

  1. 디바이스가 잠금 화면에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메뉴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메뉴가 표시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잠금 화면의 영역에 상기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에서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상기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에서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상기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분류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는,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메뉴 및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3. 디바이스가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레벨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벨 메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2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벨 메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2 영역과 구분되는 제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제3 레벨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은 잠금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미리 결정되고,
    상기 제2 레벨 메뉴는 상기 제1 레벨 메뉴에 포함된 상기 제 1 메뉴에 대한 하위 계층 메뉴이고, 상기 제2 레벨 메뉴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제1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3 레벨 메뉴는 상기 제2 레벨 메뉴에 포함된 상기 제 2 메뉴에 대한 하위 계층 메뉴이고, 상기 제3 레벨 메뉴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제2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3 레벨 메뉴가 표시되는, 메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 및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 메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제공 방법.
  20. 잠금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유지 한 채 복수의 메뉴 중 제 1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메뉴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제 1 메뉴가 표시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잠금 화면의 영역에 상기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에서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상기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 및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한 더블 탭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블 탭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 터치를 유치한 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중에서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를 상기 제 2 드래그 입력의 이동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서브 메뉴가 표시된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영역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7. 삭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 1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메뉴 및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0.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1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2 영역과 구분되는 제3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제 2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레벨 메뉴를 표시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된 제 1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벨 메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1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된 제 2 메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벨 메뉴를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 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표시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제3 레벨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잠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은 잠금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미리 결정되고,
    상기 제2 레벨 메뉴는 상기 제1 레벨 메뉴에 포함된 상기 제 1 메뉴에 대한 하위 계층 메뉴이고, 상기 제2 레벨 메뉴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제1 메뉴가 표시되며,
    상기 제3 레벨 메뉴는 상기 제2 레벨 메뉴에 포함된 상기 제 2 메뉴에 대한 하위 계층 메뉴이고, 상기 제3 레벨 메뉴가 잠금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 2 영역에 대해 제2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3 레벨 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화면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2. 삭제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 및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 메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대해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 1 메뉴가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됨에 따라 상기 제 1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뉴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레벨 메뉴의 배열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7.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4 항 및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메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84934A 2013-03-27 2013-07-18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25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2443 WO2014157885A1 (en) 2013-03-27 2014-03-2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EP20140161621 EP2784656A1 (en) 2013-03-27 2014-03-25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14/227,522 US9927953B2 (en) 2013-03-27 2014-03-27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CN201410118879.XA CN104077038A (zh) 2013-03-27 2014-03-27 用于提供菜单界面的方法和设备
US14/882,533 US10229258B2 (en) 2013-03-27 2015-10-14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16/286,221 US10824707B2 (en) 2013-03-27 2019-02-26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5632P 2013-03-27 2013-03-27
US61/805,632 2013-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663A KR20140118663A (ko) 2014-10-08
KR102254121B1 true KR102254121B1 (ko) 2021-05-20

Family

ID=51991466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785A KR102164454B1 (ko) 2013-03-27 2013-07-11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82462A KR20140120803A (ko) 2013-03-27 2013-07-1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30082464A KR20140119609A (ko) 2013-03-27 2013-07-1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130084934A KR102254121B1 (ko) 2013-03-27 2013-07-18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89825A KR102216123B1 (ko) 2013-03-27 2013-07-29 타스크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92242A KR102139662B1 (ko) 2013-03-27 2013-08-0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130106302A KR20140120243A (ko) 2013-03-27 2013-09-0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30121506A KR20140120246A (ko) 2013-03-27 2013-10-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32992A KR20140119617A (ko) 2013-03-27 2013-11-04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사용자 단말.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785A KR102164454B1 (ko) 2013-03-27 2013-07-11 개인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82462A KR20140120803A (ko) 2013-03-27 2013-07-1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30082464A KR20140119609A (ko) 2013-03-27 2013-07-1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825A KR102216123B1 (ko) 2013-03-27 2013-07-29 타스크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0092242A KR102139662B1 (ko) 2013-03-27 2013-08-0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130106302A KR20140120243A (ko) 2013-03-27 2013-09-0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30121506A KR20140120246A (ko) 2013-03-27 2013-10-1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32992A KR20140119617A (ko) 2013-03-27 2013-11-04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9) KR102164454B1 (ko)
BR (2) BR112015024689A2 (ko)
RU (2) RU263504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4398B1 (en) 2012-08-06 2017-06-20 Google Inc. Executing a default action on a touchscreen device
KR102343365B1 (ko) * 2015-01-26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표시 방법
CN104821329A (zh) * 2015-05-04 2015-08-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
CN107850975B (zh) * 2015-07-28 2021-07-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应用程序功能进行定制用户访问的方法和用户界面(ui)
US10747554B2 (en) 2016-03-24 2020-08-18 Google Llc Contextual task shortcuts
KR20180048158A (ko) 2016-11-02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90071540A (ko) 2017-12-14 2019-06-2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들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KR102464527B1 (ko) * 2018-01-15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터치 인터페이스 방법
WO2020022815A1 (en) 2018-07-25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ntext-based actions
US11893399B2 (en) 2021-03-22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routine based on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WO2024090787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생체 인증 ui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355A (ja) *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US7823077B2 (en) * 2003-03-24 2010-10-2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r modification of metadata in a shell browser
GB2411331A (en) * 2004-02-19 2005-08-24 Trigenix Ltd Rendering user interface using actor attributes
KR101143786B1 (ko) * 2005-06-16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그의 제어방법
KR20080043764A (ko) * 2005-06-28 2008-05-19 초이스스트림, 인코포레이티드 타게팅 광고용 통계 시스템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101526965B1 (ko) * 2008-02-29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3838B1 (ko) *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55924B1 (ko) * 2009-05-26 2011-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8612883B2 (en) * 2009-06-08 2013-12-1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the display of multiple display regions
KR101651134B1 (ko) * 2010-06-24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US8776124B2 (en) * 2010-11-04 2014-07-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Thumbnail publication
KR101781858B1 (ko) * 2010-12-22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 공유 방법
EP3734406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20209413A1 (en) * 2011-02-14 2012-08-16 Microsoft Corporation Background Audio on Mobile Devices
KR101801577B1 (ko) * 2011-06-28 201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454B1 (ko) 2020-10-13
BR112015024689A2 (pt) 2017-07-18
KR102216123B1 (ko) 2021-02-16
KR20140119617A (ko) 2014-10-10
KR20140119609A (ko) 2014-10-10
KR20140119611A (ko) 2014-10-10
KR20140120243A (ko) 2014-10-13
RU2635045C2 (ru) 2017-11-08
KR20140118663A (ko) 2014-10-08
KR20140119608A (ko) 2014-10-10
KR20140120803A (ko) 2014-10-14
KR20140118664A (ko) 2014-10-08
KR20140120246A (ko) 2014-10-13
RU2015145945A (ru) 2017-05-04
BR112015024830A2 (pt) 2017-07-18
KR102139662B1 (ko) 2020-07-31
RU2015145969A (ru) 2017-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121B1 (ko)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11907013B2 (en) Continuity of applications across devices
US99279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US99526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US20140235222A1 (en)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KR102380228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AU2015100490C4 (en) Contin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