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54B1 - 탄산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54B1
KR102252354B1 KR1020180133715A KR20180133715A KR102252354B1 KR 102252354 B1 KR102252354 B1 KR 102252354B1 KR 1020180133715 A KR1020180133715 A KR 1020180133715A KR 20180133715 A KR20180133715 A KR 20180133715A KR 102252354 B1 KR102252354 B1 KR 10225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bon dioxide
raw material
inject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838A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ublication of KR2019005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79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01F15/04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3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Arrangements, e.g. comprisin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4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using security elements, e.g. valves, for relieving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01F23/237621Carbon dioxide in beverages
    • B01F3/0481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3Flow control by valves, e.g. opening intermittently
    • B01F2003/04822
    • B01F2003/04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탄산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제1원료 및 제2원료가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물과 상기 제1원료 및 상기 제2원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주입되는 물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생성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제1용기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 생성되는 탄산수가 저장되는 제2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장치{A carbonated water 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원료들의 화학반응을 이용, 고가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개인이 저렴하고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탄산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가정에서 개인 사용자가 직접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장치들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들의 탄산수 제조방식은 크게 다음과 같다.
우선, 정수기 및/또는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포함되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고압의 저장용기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밀폐된 음료용기에 주입시키는 방식이 있다.
또는 소형의 이산화탄소 저장 캡슐을 터뜨려, 팽창되는 고압의 이산화탄소를 밀폐된 음료용기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소형화된 가정용 탄산수 제조장치들에서 볼 수 있는 방식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의 방식의 경우, 저장용기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모두 소진되면 저장용기 자체를 교체하거나, 저장용기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야만 한다. 그러나 고압의 이산화탄소 저장용기의 가격이 높아 교체 비용이 크며, 저장용기의 중량과 압력으로 인해 운반,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어 전문인원에게 의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는 저장용기에 이산화탄소를 재주입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일반 사용자가 직접 하기에는 높은 위험이 있어 전문 기술자가 필수적인 실정이다.
후자의 경우, 일반 사용자도 큰 위험 없이 용이하게 이산화탄소 저장용기를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저장캡슐 자체의 단가가 높아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생성, 주입하여 용이하게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830659, "탄산수 제조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물에 의해 쉽게 화학반응이 발생하면서, 시중에서 간편하게 구할 수 있는 원료들(예컨대, 구연산, 베이킹 소다)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용이하게 물에 주입,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발생, 주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여 일반 사용자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는, 제1원료 및 제2원료가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물과 상기 제1원료 및 상기 제2원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주입되는 물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생성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제1용기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 생성되는 탄산수가 저장되는 제2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는, 상기 물이 주입되는 주입라인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제1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라인은, 단부가 상기 조절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라인을 통해 주입되는 물이 상기 조절 실린더로 수용되고, 상기 배출라인은, 단부가 상기 제2용기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용기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실린더는, 상단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나머지가 조절판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입라인의 단부가 상기 조절판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는, 상기 물이 주입되는 주입라인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제1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산수 제조장치는, 상기 제1용기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분배라인이 구비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라인과 상기 제2용기가 연결되어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용기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라인은, 상기 베이스 내에서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계 또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외부 배출을 위한 임계압력 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의 취급이 어렵고 위험한 이산화탄소 탱크나 고가의 이산화탄소 캡슐, 이에 따른 고가의 장비 및 별도의 전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원료들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발생시키고, 또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용이하게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별도의 전용 용기 없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범용의 용기(예컨대, 페트병)로 이산화탄소를 바로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료들이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한 후 남은 잔여 부산물까지도 살균제나 천연세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크게 넓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 실린더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1)는 제1원료(10) 및 제2원료(20)가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물(30)과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40)가 생성되는 제1용기(100)와, 상기 제1용기(100) 내부에 구비되어 주입되는 물(30)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산화탄소(40)의 생성속도(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와 상기 물(30)의 반응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실린더(120), 및 상기 제1용기(100)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40)가 주입되어 생성되는 탄산수(50)가 저장되는 제2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탄산수 제조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기(1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용기(100)로부터 생성되는 이산화탄소(40)를 상기 제2용기(200) 및/또는 후술할 압력계(140) 등으로 지나도록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베이스(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는 각각 평상시 분말상태를 유지하며, 일정 비율로 섞여 물(30)과 반응시 이산화탄소(40)를 생성할 수 있는 종류의 원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는 각각 구연산(시트르산) 및 베이킹소다(탄산수소나트륨)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원료의 화학작용으로 이산화탄소(40)가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원료라면 다른 종류의 원료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가 각각 상기 구연산 및 베이킹소다의 경우, 사용자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연산 및 베이킹소다가 상기 물(30)과 섞여 반응된 이후, 부산물로 구연산나트륨 수용액이 상기 제1용기(100)에 남을 수 있는데, 이러한 구연산나트륨 수용액의 경우 살균제나 천연세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간편하고 저렴하게 탄산수(50)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남은 부산물을 부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그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연산 및 베이킹소다는 관련 화학식으로 표현할 경우 C6H8O7(aq) + 3NaHCO3(aq) → Na3C6H5O7(aq) + 3CO2(g) + 3H2O(l)로 표현할 수 있으며, 화학식에서 알 수 있듯이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가 각각 구연산 및 베이킹소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는 각각 대략 1:1의 혼합비를 가지도록 상기 제1용기(10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비는 반드시 정확하게 1:1의 비율을 맞추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서로 비슷한 양의 원료들을 상기 제1용기(100)에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원료(10)와 상기 제2원료(20)를 혼합한 분말이 약 50g인 경우, 최대 2l의 탄산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가 각각 구연산과 베이킹소다인 경우, 저렴한 가격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각각 구입할 수 있어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에 비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양의 탄산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기(100)는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의 투입 및/또는 용이한 세척을 위해 입구에 제1뚜껑부(11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뚜껑부(110)에는 물(30)이 주입될 수 있는 주입라인(111), 및 상기 제1용기(100) 내부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40)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라인(1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주입라인(111) 및/또는 상기 배출라인(112)은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통상의 호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입라인(111)의 하단부는 상기 제1용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절 실린더(1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입라인(111)을 통해 주입되는 물(30)은 우선적으로 상기 조절 실린더(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량 이상의 물(30)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면, 상기 조절 실린더(120) 내부에서 물(30)이 넘치면서 비로소 상기 제1용기(100)의 내부로 물(30)이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기(100) 내에는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가 이미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는 물(30)과 접촉하는 즉시 반응하여 이산화탄소(40)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라인(111)을 통해 물(30)이 주입되는 즉시 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와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의 예측보다 빠르게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40)가 생성되면서 상기 제1용기(100)의 폭발이나 상기 배출라인(112)의 폭발 등으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용기(100) 내부에 상기 조절 실린더(120)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라인(111)을 통해 주입되는 물(30)이 상기 조절 실린더(120)로 우선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이산화탄소(40)의 생성속도(상기 제1원료(10) 및 상기 제2원료(20)와 물(30)의 반응속도)를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조절 실린더(120)의 구현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 실린더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장치(1)에 구비되는 조절 실린더(12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작은 용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조절 실린더(120)가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따라, 주입되는 물(30)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으면서, 주입되는 물(30)의 양이 수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용이하게 넘쳐흘러 상기 제1용기(100)의 내부로 물(30)을 유입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 실린더(1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용기(100) 내부로 수납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하게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 실린더(120)의 상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조절 실린더(120) 상단부의 일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판(121)에 의해 막혀있을 수 있다.
상기 조절판(12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라인(111)의 단부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121)에 의해, 상기 조절 실린더(120) 내부에 주입되는 물(30)이 가득 찬 경우 상기 조절 실린더(120) 상단부의 나머지 개방부(122)를 통해 물(30)이 넘쳐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조절판(121)에 의해 상기 물(30)이 흘러넘치는 방향을 소정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40)의 생성속도를 조절하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기(100) 내부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40)가 상기 배출라인(11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112)은 상기 제2용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이산화탄소(40)가 상기 제2용기(200)로 주입됨으로써 상기 제2용기(200)에 미리 저장된 물이 탄산수(50)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2용기(200)는 별도의 전용 용기를 필요로 하는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들과 달리 범용의 용기(예컨대, 페트병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존의 500ml, 1.5l 등 다양한 용량의 페트병을 그대로 사용하여 탄산수(50)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용기(200)는 탄산수(50) 제조를 위한 물은 물론이고, 콜라,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음료, 맥주 등과 같이 탄산이 함유된 주류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음료에 탄산을 보충하는 용도로 상기 탄산수 제조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탄산음료 등을 별도의 전용용기에 옮겨담는 수고를 하지 않고, 탄산음료 등이 담긴 용기를 그대로 상기 제2뚜껑부(210)와 결합하기만 하면 이산화탄소(40)의 주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용기(200)의 제2뚜껑부(210)는 일반적인 범용 페트병의 규격에 상응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뚜껑부(210)는 시중에 많이 사용되는 복수 개의 규격에 각각 상응하도록 각 규격에 따라 규격별 복수 개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 용기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2뚜껑부(210)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료 병에 이산화탄소(40)를 바로 주입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뚜껑부(210)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40)를 효과적으로 주입하기 위해, 상기 제2뚜껑부(210)의 상부에는 소정의 공기 주입구(2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구(211)는 일반적으로 자전거 타이어 등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112)의 단부 즉, 상기 공기 주입구(211)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211)와 대응되는 공기 주입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기 공기 주입기(미도시)를 상기 공기 주입구(211)와 결합시켜 상기 제1용기(100)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40)가 상기 제2용기(200)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기(100)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40)를 상기 제2용기(200)로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40)가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을 가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용기(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40)가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질 때까지 상기 이산화탄소(40)의 배출을 통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라인(112)과 상기 제2용기(200)를 연결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만 상기 제2용기(200)로 이산화탄소(40)를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출라인(112)과 상기 제2용기(200) 사이에 상기 이산화탄소(40)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미도시)는 상기 배출라인(112) 상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개폐밸브(미도시)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용기(100)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폐밸브(미도시)는 후술할 베이스(130) 또는 상기 베이스(130) 인근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0)에 대하여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130)는 상기 제1용기(100)의 하부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라인(112)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130)의 하부 또는 상기 베이스(1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산화탄소(40)가 지날 수 있는 분배라인(13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30)에 상기 제1용기(100)가 수용되고, 상기 제1뚜껑부(110)에 구비된 상기 배출라인(112)과 상기 분배라인(13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배출라인(112)과 상기 분배라인(131)의 일 단이 연결되면, 상기 분배라인(131)의 타 단은 상기 제2용기(200)의 제2뚜껑부(210) 즉, 상기 공기 주입구(2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분배라인(131)의 타 단에 전술한 공기 주입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미도시) 역시, 상기 분배라인(131)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산화탄소(40)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분배라인(131)은 상기 베이스(130) 내에서 제1분배라인(132) 및/또는 제2분배라인(133)으로 분기할 수 있다. 상기 분배라인(131)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분기라인(132) 또는 상기 제2분기라인(133) 중 어느 하나로만 분기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분기라인(132) 및 상기 제2분기라인(133)으로 모두 분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분기라인(132)은 상기 제1용기(100) 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40)의 압력을 체크할 수 있는 압력계(1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배라인(131)이 상기 배출라인(112)과 연결되어 이산화탄소(40)가 지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배라인(131)으로부터 분기되는 상기 제1분기라인(132)을 통해 연결된 상기 압력계(140)를 통해 상기 제1용기(100) 내부의 이산화탄소(40) 압력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압력계(140)는 일반적으로 기체의 압력을 체크할 수 있도록 널리 알려진 통상의 압력계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용기(200)에서 원활히 탄산수(5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이산화탄소(40) 압력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압력계(140)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이 적어도 50psi 이상인 경우에만 전술한 개폐밸브(미도시)를 개방하여 이산화탄소(40)의 주입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분배라인(131)이 상기 제2분기라인(133)까지 분기되는 경우, 상기 제2분기라인(133)에는 임계압력 밸브(15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임계압력 밸브(150)는 상기 제1용기(100) 내부의 이산화탄소(40)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배출라인(112)을 통한 배출 이상으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40)의 양이 급격히 많아지는 경우, 상기 이산화탄소(40)의 다른 배출경로로써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임계압력 밸브(15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배출라인(112)과 별도로 상기 제1용기(100) 내의 이산화탄소(4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일반 사용자의 취급이 어렵고 위험한 이산화탄소 탱크나 고가의 이산화탄소 캡슐, 이에 따른 고가의 장비 및 별도의 전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원료들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발생시키고, 또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용이하게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별도의 전용 용기 없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범용의 용기(예컨대, 페트병)로 이산화탄소를 바로 주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원료들이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한 후 남은 잔여 부산물까지도 살균제나 천연세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크게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제1원료 및 제2원료가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물과 상기 제1원료 및 상기 제2원료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생성되고, 상기 물이 주입되는 주입라인 및 상기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제1뚜껑부를 포함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 내부에 구비되어 주입되는 물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의 생성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실린더;
    상기 제1용기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어 생성되는 탄산수가 저장되는 제2용기; 및
    상기 제1용기의 하부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분배라인이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라인과 상기 제2용기가 연결되어 상기 분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용기에 상기 이산화탄소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배라인은,
    상기 베이스 내에서 분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체크하기 위한 압력계 또는 상기 이산화탄소의 외부 배출을 위한 임계압력 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 실린더는,
    상단부의 일부가 개방되고, 나머지가 조절판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입라인의 단부가 상기 조절판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라인은,
    단부가 상기 조절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라인을 통해 주입되는 물이 상기 조절 실린더로 수용되고,
    상기 배출라인은,
    단부가 상기 제2용기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제2용기로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3715A 2017-11-05 2018-11-02 탄산수 제조장치 KR102252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6360 2017-11-05
KR1020170146360 201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38A KR20190051838A (ko) 2019-05-15
KR102252354B1 true KR102252354B1 (ko) 2021-05-14

Family

ID=665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715A KR102252354B1 (ko) 2017-11-05 2018-11-02 탄산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3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466A (ja) * 2012-10-05 2014-04-24 Chihiro Yamamoto 家庭用簡易炭酸水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219A (en) * 1988-12-08 1991-06-04 The Coca-Cola Company Gas generator for a carbonated drink dispenser
KR101830659B1 (ko) 2015-12-15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산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466A (ja) * 2012-10-05 2014-04-24 Chihiro Yamamoto 家庭用簡易炭酸水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38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4717A (en) Refillable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US4040342A (en) Apparatus for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gas and the carbonation of water
US9714163B2 (en) Container for storing a liquid foodstuff and dispensing it under pressure
US20110036451A1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composite container ("liquid dispensing flair")
KR20170101916A (ko)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3방 밸브를 갖는 가압 액체 디스펜서
US20150034674A1 (en) Dispenser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JP2011506209A5 (ko)
CN103249984A (zh) 填充气体存储容器的方法
EP2258629B1 (en) Container for a pressurized beverage, in particular beer, and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with a pressurized beverage
WO2016203611A1 (ja) 水素溶解液体吐出ポットおよび加圧された水素溶解液体を生成する方法
JP2023156428A (ja) 周囲温度充填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119049A (ko) 수소수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보관방법
KR102252354B1 (ko) 탄산수 제조장치
KR20100110269A (ko)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장치
CN107428519B (zh) 用于将氮引入饮料的方法和系统
JP3898291B2 (ja) エアゾール製品
WO1992000802A1 (en) Disposable gas generator cartridge and vessel therefor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er
KR20100024967A (ko)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CN105772126A (zh) 一种防水防气的容器
JP2018154375A (ja) 炭酸飲料サーバ
KR101434901B1 (ko)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CN102140417B (zh) 一种酒的醇化方法及装置
CN202169033U (zh) 一种内胆式贮液罐
JP2018154376A (ja) 炭酸飲料サーバ
JPS612033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