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967A -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967A
KR20100024967A KR1020097027294A KR20097027294A KR20100024967A KR 20100024967 A KR20100024967 A KR 20100024967A KR 1020097027294 A KR1020097027294 A KR 1020097027294A KR 20097027294 A KR20097027294 A KR 20097027294A KR 20100024967 A KR20100024967 A KR 2010002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elf
beverage container
empty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렐 에프. 레스메이어
어니스트 디. 제이. 산데르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2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56Siphons, i.e. beverage containers under gas pressure without supply of further pressurised gas dur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가 전달될 때 중력 또는 외부의 압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한번에 비워질 수 있는, 음료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음료 용기들, 특히 다수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압축된 가스, 탭핑 장치, 어댑터

Description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BEVERAGE CAROUSEL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APPING MULTIPLE SELF-EMPTYING BEVERAGE CONTAINERS}
본 발명은 음료를 포함하는 자체-비움 음료 용기(self-emptying beverage 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음료 용기들, 특히, 다수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tapping)하기 위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beverage carousel dispens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맥주 캔들, 맥주병들 또는 나무통과 같은 음료 용기들이 종래 기술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맥주 캔들 및 맥주병들은 중력 없이는 그들이 한번에 비워질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맥주 나무통에 관하여, 맥주의 전달 동안에 외부의 가스 압력원을 이용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외부 가스 압력 공급이 중단되면 맥주의 전달이 중지된다. 또한, 중력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 외부의 가스 압력원은 맥주를 전달하는데 필요하다.
현재 맥주 전달 시스템들의 또 다른 단점은, 공기가 맥주에 접촉할 수 있어서, 맥주의 신선도 및 맛이 감퇴된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음료가 전달될 때, 중력 또는 외부의 압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한번에 비워질 수 있는 어떠한 자체 비움 맥주 용기들도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음료가 전달될 때, 중력 또는 외부의 압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한번에 비워질 수 있는 자체 비움 맥주 용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로서 지칭되는 다수의 자체 비움 맥주 용기들을 탭핑하는 맥주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기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전달될 때 중력 또는 외부의 압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한번에 비워질 수 있는, 음료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에 의해 획득되며,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음료 방출구(beverage outlet opeaning);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의 상기 음료를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한 양의 압축된 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기 음료의 최대 충만 레벨(maximum filling level)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총 내부 부피의 90 Vol.-%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음료가 중력으로 인해 음료 용기로부터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 내부의 압축된 가스의 양이 음료를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음료의 전달 전에 상기 음료 용기 내부에 포함된 가스 양으로 인해 음료 용기가 자체로 비워지기 때문에, 음료가 전달되는 시간 동안에 가스를 음료 용기에 계속해서 부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 외부로 음료를 밀어내는 중력 및/또는 외부 가스원에 의해 음료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음료 용기 내의 가스의 양은 음료를 한번에 방출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임의의 부가적인 정의가 없다면, 용어 "음료 용기"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 및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외부"는, 음료를 방출하는데 필요한 가스 압력이 음료 용기 또는 음료 용기 내에 배치된 음료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에, 본 발명이 기재된 장치들의 특정 구성요소 부분들 또는 기재된 방법들의 프로세스 단계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러한 장치들 및 방법들이 변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이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기재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문맥이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다면, 문맥이 단수의 형태들 "하나", "한" 및 "상기"가 단일 및/또는 복수의 참조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이용은, 소비자에 의한 소비의 시간에 음료를 전달하기 위해 중력뿐만 아니라 외부의 가스 압력원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또 다른 이점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가 어떠한 외부의 가스 압력원을 갖지 않는 음료 디스펜싱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가 1 인분의 음료 용기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1 인분(single-portion)"은 용기가 200ml 이상 1000 ml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ml 이상 500 ml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30 ml의 음료 양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200 ml 이상 10 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ml 이상 6 ℓ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 ml 이상 5 ℓ 이하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ml 이상 3 ℓ 이하의 음료량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1 인분의 음료 용기는 통상적인 단일의 음료에 대해 상기 음료의 양을 포함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의 가스의 양 및 가스 압력은, 음료 용기 외부로 음료를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대기 압력 및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계산된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의 가스의 양, 즉,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총 내부 부피와 비교하여 적어도 1.1 배 이상 10 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 1.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배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 내의 실내 온도, 즉, 23℃에서 압축된 가스의 압력은 적어도 1,5 바(bar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바 이상 10 바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 바 이상 7 바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바 이상 5 바 이하일 수 있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음료 및 압축된 가스를 포함한다.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 대 압축된 가스의 비는,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 부피의 양이 상기 음료 용기 내부의 가스의 부피보다 더 크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음료의 충만 레벨은,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총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10 vol.-% 이상 90 vol.-%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vol.-% 이상 85 vol.-% 이하, 또한, 바람직하게는 30 vol.-% 이상 70 vol.-% 이하 및 더 바람직하게는 40 vol.-% 이상 60 vol.-% 이하일 수 있다.
음료 용기 내부의 압축된 가스의 부피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총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5 vol.-% 이상 50 vol.-% 미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vol.-% 이상 40 vol.-%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 vol.-% 이상 35 vol.-%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vol.-% 이상 30 vol.-%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용기 내의 음료 구역(beverage compartment)으로부터 분리된 가스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 구역의 관통에 의한 개방은 압축된 가스를 방출하여, 음료가 음료 용기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축된 가스는 음료와 직접 접촉할 수 있거나, 압축된 가스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내부 부피 내에 둘러싸인 캡슐에 저장될 수 있고, 이로써 캡슐은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의 가스 압력이 규정된 가스 압력 제한(대기 압력 이상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캡슐 내에 저장된 압축된 가스를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개구를 필요로 하여, 음료가 가스 압력에 의해 상기 용기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가스가 새나갈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 음료 전달 튜브는 음료 개구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하부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에서 확장된다. 압축된 가스의 팽창으로 인해,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는 음료 전달 튜브를 통해 용기의 외부로 떠밀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압축된 가스가 자체 비움 음료 용기로 주입될 수 있는 가스 압력 주입구(gas pressure inlet opening)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스 압력 주입구 및 음료 방출구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 상에 서로 대면하여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스 압력 주입구 및 음료 방출구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 근처에 배치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스 압력 주입구 및 음료 방출구는 동일한 밸브의 일부이다.
또한,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적어도 음료 내부에 배열되고 음료가 방출되는 수직으로 세워진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부에 배열되는 음료 방출구와 접촉하는 음료 전달 튜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음료 전달 튜브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하부로 또는 근처로 확장된다.
탭핑 장치(tapping device)와의 접속을 촉진하기 위해, 음료 방출구가 수직으로 세워진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부 상의 중앙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음료 방출구 및/또는 음료 전달 튜브의 방출구는, 탭핑 장치가 음료를 전달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어댑터 및/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요소(본원에서 어댑터로 지칭됨)는 나사의 날(screw thread), 스냅 핏(snap fit) 및/또는 푸시 핏 잠금(push fit fas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탭핑 장치는 음료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탭핑 장치 및/또는 탭핑 장치의 음료 튜브는, 음료 방출구 및/또는 음료 전달 튜브의 방출구가 접속될 수 있는 어댑터 및/또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탭핑 장치는 탭핑 장치의 어댑터를 위 및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knob)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음료 방출구의 끝 부분이 쉽게 어댑터와 접속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맥주와 같은 탄산 음료의 거품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탭핑 장치는 감압 밸브 및/또는 감압 챔버(또한 압력 방출 챔버로서 지칭됨)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탭핑 장치는 압력 방출 챔버 및/또는 음료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정용 전자 제품들에 대해, 위생의 요건들이 엄격하다. 따라서, 음료 공급 튜브가 음료 용기의 통합된 부분일 수 있고 사용 이후에 버려질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개선점이다. 또한, 음료 공급 튜브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로 확장되는 하위 섹션 및 상기 음료 용기 외부로 확장되는 상위 섹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음료 공급 튜브의 외부 상위 섹션은 탭핑 장치의 내부 채널을 통해 안내될 수 있어, 음료가 탭핑 장치와 접촉하지 않는다.
적어도 음료 전달 튜브의 상위 섹션이 가요성(flexible)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요성 튜브 섹션은 탭핑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압착될 수 있어, 예를 들면, 탭핑 장치의 핸들을 작동시킴으로써 음료 흐름이 정지 또는 강제될 수 있다.
음료 튜브는 가스 및 액체 밀폐 방식으로 음료 용기와 접속될 수 있어서, 음료가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음료 방출구로부터 누출될 수 없다.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음료 전달 튜브는 그의 외부 끝 개구에서 밀봉 수단(seal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개방을 위해 제거, 절단, 관통 및/또는 비틀어져야 한다. 이것은 낮은 수직 범위(low vertical range)의 제조를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가 이용 시간까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되고, 이는 음료의 신선도 및 맛을 보장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는,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가스 압력 주입구 및 가스 압력 주입 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스 압력 주입구는 용기가 필요한 가스 압력을 형성하는 가스 공급 소스와 접속될 수 있도록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압력 공급 튜브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요소를 가스 압력 주입구가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속 요소(또한 본원에서 어댑터로서 지칭됨)는 바람직하게 나사의 날, 스냅 핏, 및/또는 푸시 핏 잠금을 포함한다.
가스 압력 주입구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기반 음료 용기의 상부 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낮은 수직 범위의 제조를 제공하기 위해, 자체 비움 음료 용기가 어떠한 가스 압력 주입구 및/또는 가스 압력 주입 튜브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는 바람직하게는 탄산 음료, 가장 바람직하게는 맥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 압축된 가스는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및/또는 희 가스(noble gas),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가스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가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가스들의 혼합의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스 또는 가스 혼합은 음료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 가스일 수 있고, 즉, 이는 음료의 신선도 또는 맛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음료와 전혀 혼합되지 않거나 약간 혼합 가능한 가스 또는 가스 혼합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음료 용기로부터 맥주와 같은 음료를 밀어내기 위해 가스가 캡슐로부터 외부로 한번에 방출되어, 음료가 바로 직후에 소비될 수 있기 때문에, 캡슐 내부의 가스는 압축된 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음료가 방출된 공기에 의해 부패될 위험이 없다. 캡슐은 압축된 공기를 내부에 보존하여, 음료를 한번에 방출하기 위한 음료 용기의 개방 시간까지 공기가 음료에 접촉할 수 없다.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질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음료 내에 용해될 수 있고 음료의 발포성(sparkling)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발포성 음료들에 대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사용될 수 없고 질소 또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는 음료의 신선도 또는 풍미에 영향을 주는 단점을 갖는 산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이 압력 가스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이 이용되면, 질소의 양[mol]이 음료 용기 내의 이산화탄소의 양[mol]이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질소 대 이산화탄소의 비가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 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다수의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다수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 및/또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 및/또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을 수용, 확보 및 홀딩하는 홀딩 소자가 배치되고,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방출하는 탭핑 장치, 및 냉각 소자를 포함하여, 하우징이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chiller)로서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소비자가, 예를 들면, 다수의 상이한 유형들의 음료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에 저장하도록 허용하여, 소비자가 맥주와 같이 상이한 음료들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맥주 방출 캐루셀 장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세 개의 대안적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제 1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지 다수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이 음료를 외부로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한 가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어떠한 외부의 가스 압력원들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제 2 대안적인 실시예는 단지 다수의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의 외부로 음료를 방출하기 위해,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외부의 가스 압력원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제 3 대안적인 실시예는 다수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뿐만 아니라 다수의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의 외부로 음료를 방출하기 위해,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외부의 가스 압력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외부의 압력원은 가스 캡슐 및/또는 가스 펌프일 수 있다. 가스 펌프는 음료 용기 외부로 음료를 방출하는데 요구되는 가스 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수동으로 작동되는 가스 펌프, 예를 들면, 공기 펌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 및/또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을 수용, 확보 및 홀딩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홀딩 소자, 및 하우징을 갖고,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방출하는 탭핑 장치, 및 냉각 소자를 포함하여, 하우징이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chiller)로서 기능을 한다.
음료 디스펜싱 장치들은, 예를 들면, WO 2005113345, WO 9911561 및 EP 1298088 A1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은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에는, 뚜껑으로 폐쇄될 수 있는 냉각 챔버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은 냉각 챔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경우에서, 각각의 용기에는, 외부의 가스 소스로부터의 가스 압력 라인의 접속 소자에 접속 가능한 가스 압력 주입구가 제공된다. 뚜껑의 폐쇄 시에,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가스 압력 주입구의 접속 소자는 가스 압력 라인의 가스 압력 접속 소자와 밀폐 그립으로 맞물려질 수 있고, 가스 압력 접속 요소가 뚜껑에 배치될 수 있어, 뚜껑이 잠기면 가스 밀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압력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압력 펌프는 접속 탭핑 지점에 정렬된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로써 펌프의 압력 라인은 접속 탭핑 지점에서 음료 용기의 가스 압력 주입구와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상부 커버 및/또는 도어(door)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펌프와 접속되고, 이로써 상부 커버 및/또는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가 펌프를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 및/또는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 및 후진 이동은, 내부와 접속된 음료 용기를 한번에 비우기에 충분한 펌프로부터의 가스 압력 스트로크(gas pressure stroke)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에서만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이러한 경우에, 수직 범위의 제조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홀딩 소자는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홀딩 소자는 음료 용기들을 수용 및/또는 홀딩한다.
홀딩 소자는 음료 용기를 미리 결정된 위치로 수송하기 위해, 예를 들면, 수동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홀딩 소자는 음료 용기들을 홀딩하는 암들(arms) 및/또는 음료 용기들을 수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홀딩 소자가 적어도 4 내지 10 개의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수용, 확보 및/또는 홀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홀딩 소자가 10 개 이상, 예를 들면, 10 개 이상, 16 개 이상 또는 20 개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수용, 확보 및/또는 홀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홀딩 소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하우징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홀딩 소자는 상기 하우징과 선회 또는 시프트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홀딩 소자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내부의, 접속 탭핑 지점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미리 결정된 지점으로 음료 용기를 수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접속 탭핑 지점에서, 음료 용기는 음료를 전달하기 위해 탭핑 장치와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홀딩 소자가 선택된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하우징 내부의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으로 수송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딩 소자의 작동은 접속 탭핑 지점에서 음료 용기를 또 다른 음료 용기로 대체한다. 이것은, 소비자가 빈 음료 용기를 또 다른 것으로 대체하거나 맥주 상표를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내의 홀딩 소자는 선택된 음료 용기,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탭핑 장치에 접속될 하우징 내부의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으로 수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어서, 제 1 음료 용기가 접속 탭핑 지점에서 제 2 음료 용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접속 탭핑 지점에서 음료 용기의 맥주 상표를 점검하도록 투명한 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음료를 서빙하기 위해, 음료 용기는 탭핑 장치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용기로부터 확장되는 음료 튜브는 탭핑 장치의 채널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탭핑 장치의 핸들을 작동시키는 것은 음료 튜브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예를 들면, 탭핑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음료 튜브는 단단히 압착될 수 있고, 탭핑 장치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음료 튜브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음료 용기 외부로 확장되는 음료 튜브가, 탭핑 장치의 작동에 의해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탭핑 장치는 소비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핸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음료 흐름이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시작 및/또는 정지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용기는 상기 음료 튜브의 외부 끝 및/또는 음료 개구에 배열된 어댑터를 가질 수 있다. 어댑터는 음료를 전달하기 위해 탭핑 장치와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뚜껑의 폐쇄 시에, 접속 소자로서 또한 지칭되는 음료 개구의 어댑터는 탭핑 장치의 음료 라인의 접속 소자와 밀폐 그립으로 맞물려질 수 있고, 탭핑 장치는 뚜껑에 배치될 수 있어, 뚜껑을 잠그면 액체 및 가스가 밀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의 부가적인 상세들, 피쳐들,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다. 도면들 및 각각의 도면들 및 예들의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및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의 방법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음료-충만한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거의 빈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내부에 압력 캡슐을 갖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을 위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폐쇄된 뚜껑을 갖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가스 펌프를 갖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개방된 뚜껑을 갖는 도 6의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음료 용기의 원형 구성의 상부도.
도 1은 맥주와 같은 음료(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도시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음료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로부터 전달되는 개구(8)를 갖는 음료 전달 튜브(3)를 수용하는 음료 방출구(4)를 포함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음료(2)를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한 양의 압축된 가스(5)를 포함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음료(2)의 충만 레벨은 약 70 Vol.-%이고, 압축된 가스를 포함하는 무용 부피(dead volume)는 약 30 Vol.-%이다. 압축된 가스는 이산화탄소 및 질소의 혼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양은, 맥주와 같은 음료의 맛과 탄산이 동일한 유형의 일반적인 탄산 음료와 동등하도록 선택된다.
도 2a는 303 ml의 총 내부 부피(6)를 갖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도시한다. 약 80 ml의 무용 부피는 실내 온도(실내 온도=23℃)에서 약 4.3 바의 압력을 갖는 압축된 가스(5)를 포함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음료(2)의 충만 레벨은 약 223 ml이다. 음료 방출구(4)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하부에 배열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가스의 양은 중력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음료 용기를 한번에 비우는데 충분하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도시한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압축된 가스(5)의 내부 가스 부피가 약 300 ml로 팽창되는 점에서 도 2a와 상이하며, 이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가 거의 비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음료 용기 내부의 남아있는 가스 압력은 약 1.1 바이고, 음료 방출구(4)를 통해 맥주(2)와 같은 음료를 완전히 방출하기에 충분하다.
도 2a 및 도 2b에서, 가스 부피는 동일한 음료의 상부 표면 및 접촉면 위에 놓이게 된다.
도 3은 내부에 가스 압력 캡슐(7)을 갖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를 도시한다. 압축된 가스(5)는 상기 가스 압력 캡슐(7)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캡슐(7)은,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규정된 가스 압력 제한(대기 압력 이상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캡슐(7) 내부에 저장된 압축된 가스를 방출한다. 가스 압력 캡슐(7)은 내부의 가압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 다공성 구조 및/또는 밸브를 가질 수 있다. 가압된 가스의 팽창으로 인해, 음료는 음료 개구(4)를 통해 전달된다. 음료 개구(4)는 음료 튜브 또는 라인을 통해 탭핑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될 수 있다. 음료 개구(4)는, 액체 및 가스 밀폐 방식으로 탭핑 장치와 접속될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음료 개구(4)가 이용 시간, 즉, 예를 들면, 탭핑 장치와의 접속 시에 개방될 때까지 폐쇄되는 것은 명확하다.
예를 들면,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의 음료는 맥주일 수 있고, 캡슐(7) 내부의 가압된 가스는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밸브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는, 음료의 탄산을 소비자가 수용하지 않는 레벨까지 증가시키지 않고 가스가 음료를 방출하기에 충분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10)을 갖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를 도시한다. 하우징(10)은 음료 용기들(1)을 대체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상부 뚜껑(14)으로 폐쇄된다. 개방 가능한 상부 뚜껑 대신에,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프론트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홀딩 소자(11)는 적어도 두 개의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을 수용, 확보 및 홀딩하기 위해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홀딩 소자(11)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개까지의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수용, 확보 및/또는 홀딩할 수 있다. 홀딩 소자(11)는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의 하우징(10)으로부터 확장되는 핸들을 갖는다. 핸들은, 선택된 음료 용기,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하우징(10) 내부의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12)으로 수송하고 탭핑 장치(13)에 접속되도록 홀딩 소자(11)를 회전하도록 소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 제 1 음료 용기(1a)가 또 다른 음료 용기(1b)에 의해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대체될 수 있 다.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는 탭핑 장치(13) 및 냉각 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하우징(10)이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로서 기능을 한다. 냉각 시스템(20)은 냉각제 흐름(25)이 순환되는 펠티에 소자(Peltier element) 및 채널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8)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b)의 음료 전달 튜브(3)의 상부 개구에 배열되고, 어댑터는 음료 전달 튜브(3)의 외부의 끝 부분을 밀봉하고, 자체 비움 음료 용기(1a)의 어댑터(18)는 탭핑 장치(13)에 접속된다. 탭핑 장치(13)와 자체 비움 음료 용기(1a)의 어댑터(18)를 접속하는 것은 음료를 전달하도록 어댑터(18)를 개방한다. 따라서, 어댑터(18)는 단지 밀봉 소자로서 기능을 한다. 이것은, 관통 및/또는 절단이 음료 전달 튜브(3)의 상부 개구의 어댑터를 개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접속 소자로서 또한 지칭되는, 탭핑 장치(13)의 어댑터는 관통 및/또는 절단 동작의 결과로서 어댑터(18)를 개방한다.
탭핑 장치(13)는 탭핑 장치(13)의 어댑터(18)를 위 및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노브(19)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음료 전달 튜브(3)의 어댑터는 밸브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밸브 기능은 음료 전달 튜브(3)의 상부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것은, 거의 빈 자체 비움 음료 용기(1)가 가스 압력의 손실 없이 대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확장되는 내부 섹션 및 상부 개구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외부 섹션을 갖는 음료 전달 튜브를 갖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 및/또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음료 전달 튜브의 외부 부분은 탭핑 장치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이것은, 위생의 이유들로 이와 같은 탭핑 장치가 음료로 오염되지 않고 세척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음료 용기는 그 자신의 음료 전달 튜브를 갖고, 따라서, 음료 전달 튜브가 어느 쪽도 세척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종류의 음료 용기는 이미 상술되었다.
도 5는 하우징(10)을 갖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를 도시한다. 하우징(10)은, 음료 용기들(1)을 대체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상부 뚜껑(14)에 의해 폐쇄된다. 적어도 두 개의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a, 1b)을 수용, 확보 및 홀딩하는 홀딩 소자(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홀딩 소자(11)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개까지의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을 수용, 확보 및/또는 홀딩할 수 있다. 홀딩 소자(11)(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의 하우징(10)으로부터 확장되는 핸들을 갖는다. 핸들은, 선택된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하우징(10) 내부의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12)으로 수송하고 탭핑 장치(13)에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홀딩 소자(11)를 회전하도록 소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어, 제 1 음료 용기(1a)가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또 다른 음료 용기(1b)로 대체될 수 있다.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1)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는 탭핑 장치(13)를 포함한다. 또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냉각 소자(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하우징(10)이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로서 기능을 한다. 도 5의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또한 압력 펌프(15)를 포함하고, 압력 펌프는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가스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로써 펌프(15)의 압력 라인(16)은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가스 압력 주입구(17)와 접속된다. 상부 뚜껑(14)의 개방 및 폐쇄는 가스 압력 펌브(15)를 작동시킨다. 음료는 접속 탭핑 지점(12), 챔버(23) 및 음료 튜브(24)를 통해 음료 용기(1)로부터 전달되고, 이들은 냉각제에 의해 완전하게 둘러싸여 지고, 이는 냉수가 될 수 있거나, 냉각제가 냉각 소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 소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펠티에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냉각 시스템은 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동(flow through)" 냉각기로서 작동한다.
도 5는 밸브 어댑터(18)가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음료 개구(4)에서 가스 및 액체를 맞물리게 하는 것을 도시한다. 밸브 어댑터(18)의 흐름 경로는 압력 방출 챔버(23)와 접속된다. 압력 방출 챔버(23)는 탭핑 장치(13)의 탭으로의 음료 튜브(24)와 접속된다. 탭의 다운 이동은 음료 흐름을 개방하고, 탭핑 장치(13)의 상부의 핸들의 수직 위치로의 업 이동은 음료 흐름을 정지시킨다. 음료 튜브(24)가 냉수와 같은 냉각제(25)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에, 음료가 냉각된다.
도 6은 개방 뚜껑(14)를 갖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상부 커버(14)의 적어도 하나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은 펌프와 접속되는 음료 용기(1a)를 한번에 비우기에 충분한 펌프(15)로부터의 가스 압력 스트 로크를 작동시킨다.
도 7은 음료 방출 장치(13)의 크기에 따른 20 개의 음료 용기들의 원형 배열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음료 디스펜싱 장치(13)는, 예를 들면, 20 개까지의 음료 용기들을 저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음료 용기들의 최대 음료 내용물은 약 200 ml 내지 500 ml, 바람직하게는 330 ml이고, 이러한 음료 용기들은 단지 단일의 이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세부적인 실시예들에서 요소들 및 피쳐들의 특정 조합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 특허들/응용들 내의 다른 사상들을 갖는 이러한 사상들의 상호 변경 및 대체는 또한 명백히 고려된다. 당업자는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된 변경들, 수정들 및 다른 구현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는 단지 예의 방법에 의한 것이며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되고 및 그와 동등하다. 또한, 상기 기재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이용된 참조 부호들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8)

  1. 음료(2)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self-emptying beverage container)에 있어서:
    음료 방출구(4)(beverage outlet opening); 및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상기 음료(2)를 한번에 방출하기에 충분한 양의 압축된 가스(5)로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상기 음료(2)의 최대 충만 레벨(maximum filling level)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총 내부 부피(6)의 90 Vol.-% 이하인, 상기 압축된 가스(5)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대기 압력 및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계산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가스의 양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총 내부 부피(6)와 비교하여 적어도 1.1 배 이상 10 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 배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배 이상인,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23 ℃에서 상기 압축된 가스(5)의 압력 은 적어도 1.5 바(bars), 바람직하게는 2 바 이상 10 바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 바 이상 7 바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바 이상 5 바 이하인,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상기 압축된 가스(5)의 부피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총 내부 부피에 기초하여 10 vol.-% 이상 50 v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vol.-% 이상 40 vol.-%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vol.-% 이상 35 vol.-%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vol.-% 이상 30 vol.-% 이하인,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가스(5)는 상기 음료와 직접 접촉하고/접촉하거나, 상기 압축된 가스(5)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내부 부피로 둘러싸인 캡슐(7) 내부에 존재하고, 이로써 상기 캡슐(7)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이 대기 압력 이상인 규정된 가스 압력 제한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캡슐(7) 내부에 저장된 압축된 가스를 방출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압축된 가스가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로 주입될 수 있는 가스 압력 주입구(17)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 압력 주입구(17) 및 상기 음료 방출구(4)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상부(21) 또는 하부(22) 상에 서로 대면하여 배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 압력 주입구(17) 및 상기 음료 방출구(4)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상부(21) 또는 하부 근처에 배치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 압력 주입구(17) 및 상기 음료 방출구(4)는 동일한 밸브(21)의 일부인, 자체 비음 음료 용기(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적어도 상기 음료 내부에 배열된 방출구(8)를 갖고 상기 음료가 방출되는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의 상부 상에 배열된 상기 음료 방출구(4)와 접촉하는 음료 전달 튜브(3)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료 전달 튜브(3)는 적어도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의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하부(22) 근처로부터 확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달 튜브(3)의 섹션은 외부로 확장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전달 튜브(3)의 상기 음료 방출구(4) 및/또는 상기 방출구(8)는, 탭핑 장치(13)가 상기 음료를 전달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어댑터(18) 및/또는 밸브(18)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는, 200 ml 이상 10 ℓ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ml 이상 6 ℓ 이하, 또한 바람직하게는 500 ml 이상 5 ℓ 및 더 바람직하게는 700 ml 이상 3 ℓ 이하의 양의 음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탄산 음료를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맥주를 포함하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가스는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및/또는 희 가스(noble gas)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가스들의 혼합인,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 및/또는 비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A2)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음료 용기들(A1)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0) 내에 배치된 홀딩 소자(11)(holding element) 및 상기 하우징(10)을 갖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beverage carousel dispens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상기 음료 용기(A1)로부터 음료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탭핑 장치(13)(tapping device) 및 냉각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로서 기능을 하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소자(11)는 적어도 4 내지 10 개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들(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소자(11)는, 선택된 음료 용기, 바람직하게는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상기 탭핑 장치(13)에 접속될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12)으로 수송하도록 작동될 수 있어서, 제 1 음료 용기(1a)는 상기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제 2 음료 용기(1b)로 대체될 수 있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 장치는, 상기 음료 용기(1)를 상기 탭핑 장치(13)와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18), 바람직하게는 밸브 요소(18)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탭핑 장치(13)는 상기 탭핑 장치(13)의 어댑터(18)를 위 및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19)(knob)를 갖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 장치(13)는 압력 방출 챔버(23) 및/또는 음료 튜브(24)를 포함하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소자(11)는 상기 선택된 자체 비움 음료 용기(1)를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상기 미리 결정된 접속 탭핑 지점(12)으로 수송하도록 회전 가능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상기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상기 자체 비움 음료 용기(1) 내부의 가스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압력 펌프(15)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15)의 압력 라인(16)은 상기 접속 탭핑 지점(12)에서 상기 음료 용기(1a)의 가스 압력 방출구(17)와 접속되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는 상기 펌프(15)와 접속된 상부 커버(14) 및/또는 도어(1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14) 및/또는 도어(14)의 개방 또는 폐쇄는 상기 펌프(12)를 작동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커버(14) 및/또는 도어(14)의 적어도 하나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은 그와 함께 접속된 음료 용 기(1)를 한번에 비우기에 충분한 상기 펌프로부터의 가스 압력 스트로크(gas pressure stroke)를 작동시키는,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9).
KR1020097027294A 2007-05-30 2008-05-26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KR20100024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9173.0 2007-05-30
EP07109173 200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967A true KR20100024967A (ko) 2010-03-08

Family

ID=4007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294A KR20100024967A (ko) 2007-05-30 2008-05-26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87264A1 (ko)
EP (1) EP2158153A2 (ko)
JP (1) JP2010527862A (ko)
KR (1) KR20100024967A (ko)
CN (1) CN101679012A (ko)
WO (1) WO20081462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480A2 (en) * 2010-04-14 2011-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losure for use with a gravity fed fluid dispens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13947T3 (es) * 2015-12-09 2021-03-25 Welbilt Inc Sistema y procedimiento híbrido de producción de bebidas con infusión de gas sustancialmente no espumosas y espumosas
EP3481250B1 (en) * 2016-07-08 2024-05-01 Clics, LLC Dye dispensing system
KR101783367B1 (ko) 2016-09-12 2017-09-29 김종명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CN110329977A (zh) * 2019-08-12 2019-10-15 塔罗斯控股有限公司 一种啤酒分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653A (en) * 1976-12-20 1980-03-25 Brown Joe L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S56500817A (ko) * 1979-07-02 1981-06-18
US4752018A (en) 1985-04-17 1988-06-21 The Coca-Cola Company Micro-gravity pre-mix package
US4846234A (en) * 1987-11-03 1989-07-11 The Coca-Cola Company Microgravity dispenser with agitator, metering device and cup filler
US5240144A (en) * 1989-01-06 1993-08-31 Joseph Feldma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4940212A (en) * 1989-01-12 1990-07-10 Burton John W Compact carbonated beverage making system
US5244117A (en) * 1992-03-24 1993-09-14 Lombardo Samuel 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
US5363671A (en) * 1993-07-12 1994-11-15 Multiplex Company, Inc. Modular beverage cooling and dispensing system
US5913454A (en) * 1998-04-09 1999-06-22 Mchale; Jay T. Drink dispensing machine
JP3447228B2 (ja) * 1998-04-18 2003-09-16 株式会社ツキオカ 箔保存容器
DK173743B1 (da) * 2000-02-14 2001-08-27 Gram Inventa As Anlæg til automatisk regulering af kuldioxidindholdet i øl i et fadølsanker
KR101202628B1 (ko) * 2004-02-27 2012-11-19 비피 코포레이션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플라스틱 포장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조절기의 사용
DE102004017171A1 (de) * 2004-04-02 2005-10-20 Huber Verpackungen Gmbh & Co K Vorrichtung zur Ausgabe eines Fluides aus einem Hohlraum eines Behälters
US7040514B2 (en) 2004-04-21 2006-05-09 Mihail Octavian Colan Membrane activated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EP1789360B1 (en) * 2004-09-13 2010-05-12 Micro Matic A/S A dispensing device for a dispensing system
NL1031412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US7448517B2 (en) * 2006-05-31 2008-11-11 The Clorox Company Compressed gas propellants in plastic aeroso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480A2 (en) * 2010-04-14 2011-10-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losure for use with a gravity fed fluid dispensing system
WO2011130480A3 (en) * 2010-04-14 2012-0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losure for use with a gravity fed fluid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7862A (ja) 2010-08-19
EP2158153A2 (en) 2010-03-03
CN101679012A (zh) 2010-03-24
US20100187264A1 (en) 2010-07-29
WO2008146237A2 (en) 2008-12-04
WO2008146237A3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5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rozen alcoholic beverage
US4040342A (en) Apparatus for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gas and the carbonation of water
AU2008226514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8070023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110036451A1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composite container ("liquid dispensing flair")
US5118009A (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CA1145303A (en)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US4984717A (en) Refillable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US4735348A (en) Apparatus for making a carbonated beverage
US20090140006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0217615A2 (en) Aerated liquid storage/dispensing apparatus
KR20100024967A (ko) 다수의 자체―비움 음료 용기들을 탭핑하기에 적합한 음료 캐루셀 디스펜싱 장치
RU25602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ов
US10160560B2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US20090261129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080217362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JP2005187075A (ja) ワイン保存システム
JP2023516557A (ja) 穴あけ手段及び圧力調整器を備えた加圧ガス源
US20090302038A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NL8303513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een koolzuurhoudende drank.
AU2016202023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U2011101499B4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U2011101498A4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JP2002347894A (ja) 飲料注出装置
AU2014202558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