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867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867B1
KR102251867B1 KR1020190065773A KR20190065773A KR102251867B1 KR 102251867 B1 KR102251867 B1 KR 102251867B1 KR 1020190065773 A KR1020190065773 A KR 1020190065773A KR 20190065773 A KR20190065773 A KR 20190065773A KR 102251867 B1 KR102251867 B1 KR 10225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robot
data
coding data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9859A (en
Inventor
이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로봇
Priority to KR102019006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867B1/en
Publication of KR2020013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로봇과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함께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은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딩펜, 상기 코딩펜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마스터 로봇, 및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of controlling a master robot and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a star network to operate together by coding data, and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generates coding data by sensing a micro pattern. When the coding pen receives the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the master robot operates according to the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and the master robot is paired with the master robot on the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It may include a slave robot that operates based on the coded data.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마스터 로봇과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of controlling a master robot and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a star network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coding data.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창의력 사고, 일명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CT)를 기르기 위한 노력이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는 코딩 교육이 있다.Efforts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aka Computational Thinking (CT)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are taking place here and there. At the center of this effort is coding education.

우리 주변에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알려주기 위해 과학을 가르치듯,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원리를 가르치기 위해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고 있다.Just as science is taught to inform the natural phenomena around us, the importance of coding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day by day to teach the principles of the Internet, smartphones, and computers that we use every day.

몇 해 전부터 교육 및 기술 전문가가 협업해 코딩 교육 콘텐츠와 교수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정부나 IT기업들의 지원도 늘어나고 있다.Since several years ago, education and technology experts have collaborated to develop coding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IT companies is increasing.

한편, 어린이를 위한 코딩 교육은 프로그래밍 문법부터 기존 교육과는 다를 필요가 있다. 어린이를 위한 코딩 교육을 위해서는,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가 쉬워 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어린이는 알고리즘 원리를 놀이와 게임 등으로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복잡하거나 형식적인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용어 대신에 반복문이나 연산 원리를 알려줘야 한다.On the other hand, coding education for children needs to be different from existing education from programming grammar. For coding education for children, it should be easy to understand according to the child's eye level, so tha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Therefore, children should be able to naturally understand the algorithm principle through play and games, and should teach repetitive statements or arithmetic principles instead of most complex or formal programming terms.

따라서, 대부분의 코딩교육은 캐릭터를 활용한 게임을 이용하거나 드래그앤드롭 방식 같은 쉬운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most coding education is conducted in an easy way, such as using a game using characters or a drag-and-drop method.

최근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코딩 도구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를 조절하는 코딩 도구도 각광받고 있다. 최근에는 모듈형 기판의 형태로 코딩교육을 제공한다. 어린이들은 코딩용 카드를 가지고 로봇이나 자동차를 만들면서 소프트웨어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프로그래밍을 배우기도 한다.Recently, not only a coding tool for making software but also a coding tool for controlling hardware is in the spotlight. Recently, coding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modular board. Children learn programming so that they can move in any direction with software while making robots or cars with coding cards.

한국공개특허 제2019-0046170호 "코딩교육 컨텐츠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교육 컨텐츠 제어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46170 "Coding education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coding education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한국공개특허 제2019-0043755호 "로봇의 카드코딩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 교육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43755 "Coding education device using card coding of robot and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4587호 "다중 이동체의 동시 조작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동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2011-0124587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multiple moving objects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controllable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터 로봇과 함께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코딩 교육의 이해와 흥미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oding education by operating the master robot and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the star network by coding data.

본 발명은 코딩펜을 통해 코딩 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코딩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uitive and convenient coding education by coding through a coding pen.

본 발명은 작성한 알고리즘의 순차적인 실행 순서에 동기화하여 코딩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성한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교육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by visually confirming the created algorithm through the display of the coding pe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quential execution order of the created algorithm.

본 발명은 작성한 알고리즘에 대한 디버깅(debugging)이 가능한 코딩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ding education that enables debugging of a written algorithm.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은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딩펜, 상기 코딩펜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마스터 로봇, 및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ding pen that generates coding data by sensing a micro pattern, a master robot that operates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t may include a slave robot that is paired with the master robot on the star network and operates based on the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며, 상기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하며, 상기 슬레이브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In the sla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ding data from the master robot, corrects or supplements the received coding data, and the modified or supplemented New coding data is returned to the slave robot, and the slave robot may operate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by the user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는, 상기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The new cod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transmitted to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through a star network of the IoT.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로봇에는 제2 코딩펜이 연결되고, 제2 코딩펜은 현재 생성하는 코딩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 병합 또는 대체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슬레이브 로봇은,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A second coding pen is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econd coding pen merges or replaces the currently generated coding data with the coding data received from the master robot to generate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Transmission, and the slave robot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new coding data.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복수의 식별정보 및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2차원 평면상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1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거나, 코딩카드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2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음성파일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음성파일을 출력하는 출력 처리부, 상기 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명령어를 조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딩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unit for matching and storing at least one voice file or at least one command to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device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1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micro pattern or out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ensing a second micro pattern printed on a coding card, and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 When the voice file is extracted, an output processor for outputting the extracted voice file, a coding data processor for generating coding data by combining the extracted command when the command is extracted, and the generated coding data to the master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robo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상기 음성파일에 상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하거나, 상기 코딩 데이터가 실행됨에 따른 현재 스텝에서의 명령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text corresponding to the voice file or displays a command at a current step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ding data.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nses a motion based on 3-axis acceleration, out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otion, and the extraction unit extracts the stored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do.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센싱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nses a motion based on 3-axis acceleration, and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performs any one of repetition, stop, and reset of the generated coding data based on the sensed motion. You can do i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펜은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ding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buttons, a key input unit for combining key inputs by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key input, and the extraction unit ,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펜은 복수의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조합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합된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The coding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combining key inputs by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repetition, stop, and repetition of the generated coded data based on the combined key input. And rese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RFID, 지그비(Zigbee)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mo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Bluetooth), beacon (Beaco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barcode, QR (Quick Response) code, RFID, Zigbee (Zigbee) method It can operate 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상기 로봇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제3 마이크로 패턴으로부터 출력된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로봇으로부터 수집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senses a third micropattern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nd col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ed third micropattern, and the extraction unit include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can be extracted.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코딩펜에서,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마스터 로봇에서, 상기 코딩펜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로봇에서,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coding data by sensing a micro pattern in a coding pen, and when receiving the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in a master robot,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is And operating according to, and in a slave robot, pairing with the master robot on a star network of the IoT, and operating based on the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coding data from the master robot i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and modifying or supplementing the received coding data to obtain new coding data. Generating, and returning the generated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slave robot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have.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서,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스터 로봇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requesting a master robot to transmit the new coding data from the slave robot to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through a star network of the IoT. can do.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로봇과 함께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코딩 교육의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the star network together with the master robot operate by coding data, thereby enhanc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oding educati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딩펜을 통해 코딩 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코딩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coding education can be provided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by coding through a coding pen.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성한 알고리즘의 순차적인 실행 순서에 동기화하여 코딩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성한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by visually checking the created algorithm through the display of the coding pe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quential execution order of the created algorithm.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성한 알고리즘에 대한 디버깅(debugging)이 가능한 코딩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ding education that enables debugging of a written algorithm.

도 1은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코딩펜을 통해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코딩교육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블록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코딩교육시스템에 사용되는 코딩펜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슬레이브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s coding education through a coding pen using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diagram of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 diagram of a coding pen used in a coding education system.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slave robo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between" and "just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코딩교육용 코딩펜(110)을 통해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코딩교육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100 that provides coding education through a coding pen 110 for coding education using a star network of the IoT.

마스터 로봇과 함께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코딩 교육의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coding education can be enhanced by the master robot and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the star network operated by the coding data.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는 중앙의 연결지점에 허브, 스위치, 라우터 같은 장비가 배치되며, 모든 케이블링 세그먼트가 이 중앙 지점으로 모이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IoT star network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equipment such as hubs, switches, and routers are placed at a central connection point, and all cabling segments are gathered to this central point.

본 발명에 적용된 스타네트워크는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의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각각의 노드들의 기능은 코딩로봇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star networ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can be applied as it is, and the functions of each node can be implemented through coding robots.

예를 들어, 스타네트워크의 중앙의 연결지점에서 허브, 스위치, 라우터의 역할을 하는 노드는 코딩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의 코딩펜에 직접 연결된 코딩로봇으로서 마스터 로봇(120)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a node serving as a hub, switch, and router at a central connection point of the star network may be defined as a master robot 120 as a coding robot directly connected to a coding pen of a teacher in charge of coding education.

마스터 로봇(120)은 중앙의 연결지점에서 허브, 스위치,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코딩펜(110)으로부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master robot 120 may function as a hub, a switch, and a router at a central connection point. Upon receiving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110, the master robot 120 may operate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코딩펜(110)은 마이크로 패턴을 읽어 음성 파일을 출력하는 기능에 더해, 마이크로 패턴을 읽어 해당 하는 명령어를 추가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코딩로봇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딩펜(110)의 동작은 이후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or reference, the coding pen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coding robot by generating coding data by reading a micro pattern and adding a corresponding command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outputting a voice file by reading a micro pattern. . The operation of the coding pen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FIG. 3.

스타네크워크 상에는 마스터 로봇(120)과 페어링되고,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 로봇(130)이 위치할 수 있다.A slave robot 130 that is paired with the master robot 120 and operates based on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may be positioned on the Star Network.

슬레이브 로봇(130)은 코딩펜(11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120)을 통해 코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slave robot 130 may not directly receive the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110, but may receive the coding data through the paired master robot 120.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로봇(120)과 슬레이브 로봇(130)은 동일한 코딩 데이터를 통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ster robot 120 and the slave robot 130 connected to the star network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through the same coding data.

일례로, 코딩 교육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중앙에서 코딩펜을 이용해서 코딩 데이터를 생성한 뒤 자신의 코딩 로봇으로 전송하여 동작시킴과 동시에, 학생들의 코딩 로봇도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코딩 데이터에 의해서 로봇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학생들의 코딩 로봇을 통해서도 시범을 보임으로써 코딩 교육에 대한 이해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a teacher in charge of coding education generates coding data using a coding pen in the center and transmits it to his/her own coding robot to operate, and at the same time, the coding robots of students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effect of coding education by demonstrating how the robot works by coding data through the coding robots of students.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로봇(120)는 스마트폰(140)과 같은 또 다른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140)은 코딩펜(110)을 통해 작성하여 마스터 로봇(120)으로 전송한 코딩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코딩 데이터의 실행 과정에서, 현재 실행중인 루틴이나 명령어를 색깔이나 글꼴 등을 통해 달리 함으로써, 코딩 데이터에 의한 실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ster robot 12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140. For example, the smartphone 140 may visually display coding data written through the coding pen 110 and transmitted to the master robot 120.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coding data, it is possible to grasp the execution process by the coding data in real time by changing the currently executing routine or instruction through color or font.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200)의 블록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diagram of a coding edu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200)은 코딩펜(210), 마스터 로봇(220), 및 슬레이브 로봇(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ding edu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ding pen 210, a master robot 220, and a slave robot 230.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펜(210)은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ding pe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coded data by sensing a micro pattern.

코딩펜(210)은 마이크로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센싱수단으로서, 일례로 OID(Optical ID)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ding pen 210 is a sensing means for recognizing a micro pattern, and for example, an OID (Optical ID) sensor may be used.

구체적으로,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센싱수단을 통해 책 등의 2차원 평면상에 프린팅된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면,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sense a micro pattern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such as a book through a sensing means. In addition, when the micro-pattern is sensed, it can be converted in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med of a combination of numbers or characters and output.

한편,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메모리에 식별정보 및 식별정보에 매칭된 음성파일이 기록되어 있고, 현재 센싱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음성파일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voice file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recorded in a memory, and a voice fi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ns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ad out from the memory and output.

이와 더불어,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코딩교육을 위한 코딩 데이터 생성 기능을 추가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additionally provide a function of generating coding data for coding education.

구체적으로,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음성파일뿐만 아니라,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식별정도에 연관지어 기록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record not only a voice file but also a command for generating coding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and maintain it.

예를 들어, '좌회전'에 해당하는 명령어는 '010101'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록될 수 있고, '우회전'에 해당하는 명령어는 '010111'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기록될 수 있다.For example, a command corresponding to'turn left' may be recorded by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010101',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turn right' may be recorded by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010111'.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코딩카드에 프린팅되어 있는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고, 센싱된 마이크로 패턴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복수의 코딩카드를 센싱하고, 센싱된 복수의 코딩카드들에서 순차적으로 독출되는 명령어들을 조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sense a micro pattern printed on a coding card and rea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icro pattern from a memory.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sense a plurality of coding cards and generate coding data by combining commands sequentially read from the sensed coding cards.

또한,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생성된 코딩 데이터를 로봇으로 제공하여 로봇에서 코딩 데이터에 상응하는 알고리즘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provide the generated coding data to the robot so that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is driven in the robo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카드는 로봇의 이동에 대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카드로서, 시작(GO)카드, 직진(Forward)카드, 좌회전(Left Turn)카드, 우회전(Right Turn)카드, 후진(Backward)카드, 클리어(Clear)카드, 중지(Pause)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ding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ard for implementing an algorithm for the movement of a robot, and is a start (GO) card, a forward card, a left turn card, a right turn card, and a backward card. ) Cards, Clear cards, Pause cards, etc.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코딩교육용 코딩펜을 통해 시작(GO)카드, 직진(Forward)카드, 좌회전(Left Turn)카드, 후진(Backward)카드, 중지(Pause)를 순차적으로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ding data is generated by sequentially sensing a start (GO) card, a forward card, a left turn card, a backward card, and a pause through a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Can be considered.

이 경우, 로봇은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따라, 알고리즘이 시작되면 직진-좌회전-후진-멈춤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ding data, the robot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straight forward-left turn-reverse-stop when the algorithm starts.

이를 위해, 코딩카드의 각각에는 마이크로 패턴이 프린팅되어 있다. 코딩교육용 코딩펜이 코딩카드를 센싱하면 프린팅되어 있는 마이크로 패턴이 수집되고, 수집된 마이크로 패턴에 상응하는 식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o this end, micro patterns are printed on each of the coding cards. When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senses the coding card, printed micropatterns may be collecte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micropatterns may be generated.

이에,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생성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독출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식별정보와 명령어 또는 식별정보와 음성파일이 기록되므로, 식별정보가 생성되면 그에 매칭되는 명령어나 음성파일이 추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read commands stored in the memory using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i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mand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voice files are recorded in the memory,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 matching command or voice file can be extracted.

코딩카드는 명령어 입력을 위한 것이므로, 코딩카드로부터 센싱된 식별정보로부터는 명령어가 독출될 수 있다.Since the coding card is for inputting a command, the command may be rea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sed from the coding card.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이렇게 독출되는 명령어들을 조합하여 로봇 제어를 위한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generate coding data for robot control by combining the commands read in this way.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로봇(220)은 코딩펜으로부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receiving coding data from a coding pen, the master robo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마스터 로봇(220)은 스타네트워크에서의 중앙에 위치하여 슬레이브 로봇(230)들과 페어링 되는 노드로 해석될 수 있다.The master robot 220 may be interpreted as a nod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ar network and paired with the slave robots 230.

일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로봇(230)은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마스터 로봇(220)과 페어링되고,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220)으로부터 전달된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lave robo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aired with the master robot 220 on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ma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based on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220.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로봇(220)과 슬레이브 로봇(230)의 각각에는 별도의 단말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각 로봇들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보다는 로봇들에 전달된 코딩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교육 목적에서 코딩 데이터의 일부를 수정 또는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separat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master robot 220 and the slave robot 230. Rather than directly controlling each robot, these terminals visually display the coding data delivered to the robots, or perform a function of modifying or supplementing part of the coding data for educational purposes.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200)은 마스터 로봇(220)에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240)와 슬레이브 로봇(23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ding educ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r terminal 240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220 and a user terminal 250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230.

사용자 단말기(250)는 마스터 로봇(220)으로부터의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며,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슬레이브 로봇(230)으로 회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50 may receive the coding data from the master robot 220, correct or supplement the received coding data, and may return the corrected or supplemented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230.

슬레이브 로봇(230)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slave robot 230 may operate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또한, 새로운 코딩 데이터는,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로봇(220)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w coding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220 through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로봇(230)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제2 코딩펜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코딩 데이터를 수정 또는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 코딩이 가능한 또 다른 코딩펜을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ave robot 230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coding pen rather than a user terminal. That is, in order to correct or supplement the coding data, it is possible to use another coding pen capable of coding without using a user terminal.

제2 코딩펜은 현재 생성하는 코딩 데이터를 마스터 로봇(220)으로부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 병합 또는 대체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로봇(230)으로 전송하고, 슬레이브 로봇(230)은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coding pen merges or replaces the currently generated coding data with the coding data received from the master robot 220 to generate new coding data and transmits the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230, and the slave robot 230 uses the new coding data. Can operate according to.

일례로, 선생님이 코딩 데이터의 일부분을 고의로 누락한 후 해당 부분을 완성하여 로봇을 동작시킬 것을 수업 중 과제로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a teacher may deliberately omit a part of the coding data and then complete the part to operate the robot as an assignment during class.

이에, 슬레이브 로봇(230)에는 완성되지 않은 코딩 데이터가 전달될 것이고, 슬레이브 로봇(230)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는 전달된 코딩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학생은 표시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여 코딩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학생에 의해 가공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는 슬레이브 로봇(230)을 구동시키고, 선생님은 슬레이브 로봇(230)을 직접 확인하거나 슬레이브 로봇(230)의 동작에 따라 도달한 위치를 확인 함으로써 평가가 가능하다.Accordingly, unfinished coding data will be transmitted to the slave robot 230, and the transmitted coding data may b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230. Students can process the coding data by modifying or supplementing the displayed coding data. The new coding data processed by the student drives the slave robot 230, and the teacher directly checks the slave robot 230 or checks the position rea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lave robot 230 so that it can be evaluated.

한편, 가공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는 슬레이브 로봇(230)과 마스터 로봇(220)을 통해 선생님의 단말기(관리자 단말기)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선생님은 슬레이브 로봇(230)의 동작을 평가하지 않고, 코딩 데이터를 확인 함으로써 학생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processed new coding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acher's terminal (administrator terminal) through the slave robot 230 and the master robot 220. Accordingly, the teacher does not evaluate the operation of the slave robot 230, but can evaluate the student by checking the coding data.

도 3은 코딩교육시스템에 사용되는 코딩펜(300)의 블록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 diagram of a coding pen 300 used in a coding education system.

코딩교육시스템에 사용되는 코딩펜(300)은 OID를 기반으로 음원 파일을 출력하는 세이펜의 일반적인 기능은 그대로 제공하면서, 코딩카드에 프린팅 되어 있는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함으로써 로봇 제어를 위한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ing pen 300 used in the coding education system generates coding data for robot control by sensing the micro pattern printed on the coding card while providing the general function of the Saypen that outputs the sound source file based on the OID. can do.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을 통해 코딩 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코딩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성한 알고리즘의 순차적인 실행 순서에 동기화하여 코딩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성한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작성한 알고리즘에 대한 디버깅(debugging)이 가능한 코딩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By coding through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ding education can be provided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by visually checking the created algorithm through the display of the coding pen by synchronizing with the sequential execution order of the created algorithm,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coding education that enables debugging of the created algorithm.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은 저장부(310), 센싱부(320), 추출부(330), 출력 처리부(340), 코딩 데이터 처리부(350), 및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 sensing unit 320, an extraction unit 330, an output processing unit 340, a coding data processing unit 350, and a communication unit ( 360).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10)는 복수의 식별정보 및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First, the storage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match and store at least one voice file or at least one command with each of a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식별정보는 숫자 또는 문자 등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일종의 색인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numbers or letters, and can act as a kind of index.

음성파일은 사전에 녹음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서, mp3 파일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명령어는 코딩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일부로서, 동작의 제어를 위한 실행 명령어, 실행 명령어를 동작시킬지 판단을 위한 이벤트 명령어, 별도의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file is generated by recording in advance, and may be in the form of an mp3 file. Meanwhile, the instruction is a part of an algorithm for creating coding data, and may include an executio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an event instru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execution instruction, a separate routine, and the like.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320)는 2차원 평면상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1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거나, 코딩카드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2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sensing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nse a first micro pattern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or sense a second micro pattern printed on a coding card to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

제1 마이크로 패턴과 제2 마이크로 패턴은 형태가 다르지 않고 매칭되어 있는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되어 있는 정보가 음성파일인 경우에 해당 마이크로 패턴은 제1 마이크로 패턴으로 정의하고, 매칭되어 있는 정보가 명령어인 경우에 해당 마이크로 패턴은 제2 마이크로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first micro-pattern and the second micro-pattern are not different in shape and may be classified as matched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atched information is a voice file, the corresponding micro-pattern may be defined as a first micro-pattern, and when the matched information is a command, the corresponding micro-pattern may be defined as a second micro-pattern.

제1 마이크로 패턴은 기존 코딩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 등의 2차원 평면상에 인쇄되어 음성파일을 출력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first micro pattern is for realizing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coding pen, and may be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such as a book and used to output a voice file.

제2 마이크로 패턴은 코딩 데이터 생성을 위한 코딩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딩카드 등에 인쇄되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second micro pattern i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a coding pen for generating coded data, and may be printed on a coding card or the like and used to generate coded data.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부(330)는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메모리로부터 기저장된 음성파일 또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xtract a previously stored voice file or command from a memory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추출되는 정보가 음성파일인지 또는 명령어인지에 따라서 이후에 구동되는 구성요소는 달라질 수 있다.Depending on whether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a voice file or a command, the components to be driven later may vary.

만약 음성파일이 추출되면, 출력 처리부(340)를 통해서 추출된 음성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If the voice file is extracted, the extracted voice file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processing unit 340.

또한, 명령어가 추출되면,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데이터 처리부(350)는 추출된 명령어를 조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mand is extracted,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coded data by combining the extracted command.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60)는 생성된 코딩 데이터를 인증된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ding data to an authenticated robot.

이를 위해 통신부(36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RFID, 지그비(Zigbee)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360 includes at least on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Beaco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barcode, QR (Quick Response) code, RFID, and Zigbee metho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an be us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싱부(320)는 3축 가속도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320 may sense a motion based on 3-axis acceleration and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otion.

즉, 코딩교육용 코딩펜의 움직임에 따라 코딩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특히, 코딩교육용 코딩펜은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That is, coding data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ding pen for coding education may perform any one of repetition, stop, and reset on the coded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ensed motion.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음성파일에 상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하거나, 코딩 데이터가 실행됨에 따른 현재 스텝에서의 명령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utput text corresponding to a voice file or may display a command at a current step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coding data.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은 키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key input unit (not shown).

일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복수의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조합하고, 조합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30)는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저장된 음성파일 또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combine key inputs by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key input. 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330 may extract a stored voice file or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데이터 처리부(350)는 조합된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execute any one of repetition, stop, and reset of the generated coded data based on a combined key input.

일실시예에 따르면,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에서는 로봇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r movement of the robot.

예를 들어, 로봇이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일련의 임무가 완수되는 경우, 코딩펜은 로봇의 임무 완수에 따른 축하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bot moves to a specific point and a series of tasks are completed, the coding pen may output a congratulatory message according to the task completion of the robot.

이를 위해, 코딩교육용 코딩펜(300)뿐만 아니라, 로봇도 OID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not only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but also the robot may be provided with an OID sensor.

로봇은 OID 센서를 이용해서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한 제3 마이크로 패턴으로부터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코딩교육용 코딩펜(300)은 통신부(360)를 통해 로봇이 인식하여 생성한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robot may sense the third micropattern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using the OID sensor. 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rom the sensed third micro pattern. The coding pen 300 for coding education may col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obo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60.

또한, 추출부(330)는 로봇으로부터 수집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저장된 음성파일 또는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unit 330 may extract a stored voice file or comman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obot.

만약 음성파일이 추출되면, 출력 처리부(340)를 통해서 추출된 음성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If the voice file is extracted, the extracted voice file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processing unit 340.

또한, 명령어가 추출되면,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 데이터 처리부(350)는 추출된 명령어를 조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mand is extracted,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generate coded data by combining the extracted command.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코딩펜에서,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401).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ding pen may sense micropatterns to generate coding data (step 401).

다음으로, 마스터 로봇에서, 코딩펜으로부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402),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단계 403).Next, when the master robot receives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step 402), it can operate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step 403).

일실시예에 따른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슬레이브 로봇에서,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단계 404).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od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ave robot may be paired with a master robot on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may operate based on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step 404).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로봇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코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slave robot may receive coding data from a master robot. In addition, the received coding data may be modified or supplemented to generate new coding data, and the generated new coding data may be returned to the slave robot.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레이브 로봇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슬레이브 로봇에서는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스터 로봇에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ave robot may operate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In particular, the slave robot may request the master robot to transmit new coding data to the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through the star network of the IoT.

도 5는 슬레이브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slave robot.

예를 들어, 학생의 코딩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학생의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정의할 수 있다. 학생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스타네트워크의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선생님의 관리자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주의 사항이나 코딩 교육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a student's terminal connected to the student's coding robot may be defined as a user terminal. Students can receive precaution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ding education from the teacher's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of Star Network through the user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코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501). 또한,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 생성하고(단계 502), 생성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할 수 있다(단계 503).The method of ope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coding data from a master robot (step 501). In addition, the received coding data may be modified or supplemented to generate new coding data (step 502), and the generated new coding data may be returned to the slave robot (step 503).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마스터 로봇과 함께 스타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슬레이브 로봇이 코딩 데이터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코딩 교육의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In the end,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ll slave robots connected to the star network together with the master robot operate by coding data, so that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oding education can be enhanced.

또한, 코딩펜을 통해 코딩 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코딩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작성한 알고리즘의 순차적인 실행 순서에 동기화하여 코딩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성한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coding through a coding pen, coding education can be provided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and the written algorithm can be visually check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coding pen by synchronizing with the sequential execution order of the created algorithm to increase the education effect. .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Further,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15)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딩펜;
상기 코딩펜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마스터 로봇; 및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 로봇
을 포함하되,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는,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며, 상기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하며,
상기 슬레이브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펜을 이용하는 코딩교육시스템.
A coding pen that senses a micro pattern to generate coding data;
A master robot operating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when receiving the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And
A slave robot that is paired with the master robot on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es based on the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Including,
In the slave robot,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coding data from the master robot, modifies or supplements the received coding data, and returns the modified or supplemented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The slave robot,
A coding education system using a cod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operates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는,
상기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펜을 이용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new coding data,
Coding education system using a cod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through the star network of the I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는 제2 코딩펜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코딩펜은 현재 생성하는 코딩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 병합 또는 대체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슬레이브 로봇은,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펜을 이용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coding pen is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The second coding pen merges or replaces the currently generated coding data with the coding data received from the master robot to generate new coding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slave robot,
The slave robot,
A coding education system using a cod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new cod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펜은,
복수의 식별정보 및 상기 복수의 식별정보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2차원 평면상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1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거나, 코딩카드에 프린팅 되어 있는 제2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음성파일이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음성파일을 출력하는 출력 처리부;
상기 명령어가 추출되면, 상기 추출된 명령어를 조합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코딩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ding pen,
A storage unit for matching and storing at least one voice file or at least one comman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first micro pattern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or senses a second micro pattern printed on a coding card and out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output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extracted audio file when the audio file is extracted;
A coding data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coded data by combining the extracted commands when the command is extracted; A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ding data to the master robot
Coding edu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파일에 상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하거나, 상기 코딩 데이터가 실행됨에 따른 현재 스텝에서의 명령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 display unit that outputs text corresponding to the voice file or displays a command at the current step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ding data
Coding edu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명령어를 추출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Sensing motion based on 3-axis acceleration, out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otion,
The extraction unit,
A coding education system for extracting the stored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3축 가속도에 기반하여 움직임을 센싱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It senses motion based on 3-axis acceleration,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A coding education system that executes any one of repetition, stop, and reset of the generated coding data based on the sensed motion.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출력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 key input unit for combining key inputs by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out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key inputs
Including more,
The extraction unit,
A coding education system for extracting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using the out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에 의한 키 입력을 조합하는 키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합된 키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코딩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정지, 및 리셋 중에서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Key input unit that combines key input by multiple buttons
Including more,
The coding data processing unit,
A coding education system that executes any one of repetition, stop, and reset for the generated coded data based on the combined key inp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RFID, 지그비(Zigbee)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unit,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Bluetooth), beacon (Beaco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barcode, QR (Quick Response) code, RFID, Zigbee (Zigbee) method to operate 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thod Coding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로봇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제3 마이크로 패턴으로부터 출력된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로봇으로부터 수집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음성파일 또는 상기 명령어를 추출하는 코딩교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unit,
Sensing a third micro pattern loca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and coll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ed third micro pattern,
The extraction unit,
A coding education system for extracting the stored voice file or the comman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obot.
코딩펜에서, 마이크로 패턴을 센싱하여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마스터 로봇에서, 상기 코딩펜으로부터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코딩 데이터 상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로봇에서,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과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된 마스터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마스터 로봇으로부터의 상기 코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코딩 데이터에서 수정 또는 보완을 진행하여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슬레이브 로봇으로 회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정 또는 보완된 새로운 코딩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펜을 이용하는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
Generating coding data by sensing a micro pattern by a coding pen;
The master robot, upon receiving the coding data from the coding pen, operating according to an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coding data; And
In a slave robot, pairing with the master robot on a star network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based on the co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aired master robot
Including,
Operating based on the coded data,
In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lave robot,
Receiving the coding data from the master robot;
Generating new coded data by modifying or supplementing the received coded data; And
Returning the generated new coding data to the slave robot
Including more,
In the slave robot,
Operating according to new coding data modified or sup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Operating method of a coding education system using a cod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로봇에서,
상기 새로운 코딩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마스터 로봇에 연결되어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마스터 로봇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딩펜을 이용하는 코딩교육시스템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Operating based on the coded data,
In the slave robot,
Requesting a master robot to transmit the new coding data to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ster robot through a star network of the IoT
Operating method of a coding education system using a coding p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90065773A 2019-06-04 2019-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KR102251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3A KR102251867B1 (en) 2019-06-04 2019-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3A KR102251867B1 (en) 2019-06-04 2019-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59A KR20200139859A (en) 2020-12-15
KR102251867B1 true KR102251867B1 (en) 2021-05-14

Family

ID=737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73A KR102251867B1 (en) 2019-06-04 2019-06-0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8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832A (en) * 2021-04-30 2022-11-09 주식회사 다비다 English learning platform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mart pe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based on IoT sta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4004050A (en) * 2001-10-31 2004-09-06 Mattel Inc Master and slave toy vehicle pair.
KR101094465B1 (en) 2010-05-11 2011-12-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manipulating multiple moving objects,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computer readable programs performing the same
KR101378362B1 (en) * 2012-06-29 2014-03-28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Robot controlled by optical identification
KR20150002448A (en)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different electronic device
KR20150044562A (en) * 2013-10-17 2015-04-27 한국과학기술원 Population robot system for master-slave relationships co-working and robot for the same
US10086299B2 (en) * 2014-08-15 2018-10-02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ride vehicles
KR101987128B1 (en) 2017-10-19 2019-06-10 주식회사 토이트론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card coding of robot and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46170A (en)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뉴딘미다트 Device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content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859A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96B1 (en) Apparatus for direct remote control of physical device
KR1013447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bot
CN103456203B (en) A kind of portable entity programmed method and system
US20170053550A1 (en) Education System using Connected Toys
KR101843831B1 (en) Unplugged Real Coding Block
CN108052277A (en) A kind of AR positioning learning methods and device
KR101676676B1 (en) Robot programing kit using card key and board having resistor and magnet and method thereof
KR1022518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education using star topology in Internet of things
KR1021666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training for synchronizing execution of coding data in robots
KR102197753B1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haracter control game through arrangement of coding block based on vr/ar
WO2022025357A1 (en) Block coding processing method for programming education
KR1020868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using robot
KR102186719B1 (en) Block type apparatus for wirelessly inputting coding command and method using thereof
KR102213354B1 (en) Saypen to provide coding training by pairing with robot and method of the same
KR102410923B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coding education applying ar technology to book
KR20180046242A (en) Nfc block,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074340A (en) Smart Toy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Multiple Coding Sources
KR1022782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ding training using pe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cloud platform
CN211979874U (en) Programming auxiliary jigsaw component and auxiliary programming system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KR10243802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ding edu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2203829B1 (en) Coding boar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a coding robot using a coding card
KR1020841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y platform service for infants in 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s-mathmatics based on cloud service, and storeage medium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is recorded
KR20200077664A (en) Smart Toy System For Coding Training By Using RFID Tag
US20200312177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Electronic To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