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690B1 -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 Google Patents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690B1
KR102251690B1 KR1020190159092A KR20190159092A KR102251690B1 KR 102251690 B1 KR102251690 B1 KR 102251690B1 KR 1020190159092 A KR1020190159092 A KR 1020190159092A KR 20190159092 A KR20190159092 A KR 20190159092A KR 102251690 B1 KR102251690 B1 KR 10225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slot
clip member
slab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김성훈
김규식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15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런너는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을 포함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웨브부의 상기 관통슬롯을 향하는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런너본체와,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부가 걸리게 마련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와 상기 조립부가 서로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RUNNER AND WAL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내진성능이 향상된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칸막이벽체는 구조체를 이루는 요소 예를 들어, 슬라브, 기둥, 보 등에 고정못(Connections)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지진하중과 같은 외력이 약할 때는 구조체를 통해 칸막이벽체로 하중이 전달되어도 자체 강성으로 견디지만, 외력이 강할 때에는 고정못이 하중을 벽체로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부서지거나 고정못과 연결되어 있는 벽체가 파손될 위험이 크다.
기존에는 슬라브와 슬라브 사이에 고정된 칸막이벽체에 대해서는 내진성능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내진기술 또한, 가새 설치 이외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2019.03 이전의 건축구조기준에 따르면 1.8m 이상의 칸막이벽체에 한하여 가새 보강 및 구조체 지지에 대한 내진설계가 이루어졌다. 단, 구조체와 구조체 사이에 양단 접합되는 칸막이벽체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내진설계를 따로 하지 않았다. 이후 2019.03에 건축구조기준이 개편된 후에는 피난경로상의 칸막이벽체는 내진성능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 및 해당 책임구조기술사의 승인이 이루어져야 하는 내진설계로 강화되었다. 또한, 발주자의 재량에 따라 피난경로 이외의 칸막이벽체도 내진설계 대상이 될 수도 있게 되었다.
따라서 칸막이 벽체와 같은 비구조체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켜서, 지진에 의한 비구조체의 파괴 및 마감재와 부착물 등의 탈락을 방지하여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개편된 건축구조기준에도 부합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런너본체와 스터드 및 마감부재가 클립부재와 별도로 거동하여 외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하는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변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비구조체인 벽체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벽체시스템이 파괴되거나 마감부재 등과 같은 부착물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런너는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을 포함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웨브부의 상기 관통슬롯을 향하는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런너본체와,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부가 걸리게 마련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와 상기 조립부가 서로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시스템은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고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 및, 상기 스터드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런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을 포함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스터드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런너본체 및,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본 발명은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본체의 레일부와 클립부재의 조립부에 의해 런너본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런너본체와 스터드 및 마감부재가 클립부재와 별도로 거동하여 외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런너는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변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비구조체인 벽체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벽체시스템이 파괴되거나 마감부재 등과 같은 부착물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런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런너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런너본체와 클립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시스템은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터드(미도시)와 스터드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고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터드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라브는 구조체를 구성하고 각 층의 천장과 바닥을 구성할 수 있다. 런너(100)는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스터드는 천장과 바닥 슬라브에 설치된 런너(100)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마감부재는 스터드에 부착되는 내장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벽체시스템은 스터드와 런너(100) 및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건식 벽체일 수 있고, 이러한 건식 벽체는 칸막이 벽체와 같은 비구조체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벽체시스템은 칸막이 벽체와 같은 건식벽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런너(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런너(100)는 런너본체(200)와 클립부재(300)를 포함한다.
런너본체(200)는 슬라브에 접하며 수평하게 구비되고 웨브부(210)와 플랜지부(250)와 레일부(230)를 포함한다. 웨브부(210)는 런너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220)을 포함한다. 플랜지부(250)는 웨브부(2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스터드에 결합된다. 레일부(230)는 웨브부(210)로부터 돌출되고 관통슬롯(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웨브부(210)의 관통슬롯(220)을 향하는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런너본체(200)는 길게 형성되고, 관통슬롯(220)은 런너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될 수 있다. 플랜지부(250)는 웨브부(210)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스터드를 지지할 수 있다. 스터드는 수직하게 구비되되 런너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클립부재(300)는 런너본체(200)에 조립되고 관통슬롯(220)을 관통하여 슬라브에 고정되며, 레일부(230)가 걸리게 마련되는 조립부(320)를 포함한다. 레일부(230)와 조립부(320)가 서로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본체(200)는 클립부재(3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부재(300)는 관통슬롯(220)을 통해 노출된 슬라브에 고정되고, 런너본체(200) 에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런너(100)가 슬라브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런너본체(200)는 클립부재(3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즉 클립부재(300)와 런너본체(200)가 서로 걸리는 구조 등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되, 소정의 경우 런너본체(200)가 클립부재(3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런너본체(200)가 클립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런너본체(200)에 결합된 스터드 및 마감부재와, 클립부재(300)가 고정된 슬라브와 별개로 거동할 수 있다. 런너본체(200)는 스터드와 결합되고 마감부재는 스터드에 부착되므로 런너본체(200)의 이동은 클립부재(300)를 제외한 벽체시스템 전체의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력 등이 발생하는 소정의 경우 벽체시스템은 자유롭게 이동하여 슬라브와 별도로 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런너(100)를 이용하면, 지진 등이 발생하여 슬라브가 포함된 구조체가 진동 또는 파손될 때 구조체의 거동과 별개로 벽체시스템이 움직이게 됨으로써, 벽체가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한 영향을 덜 받게 되어 파손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변형을 흡수함으로써 비구조체인 벽체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해 비구조체의 파괴 및 마감부재 등과 같은 부착물의 탈락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레일부(230)는 웨브부(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관통슬롯(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클립부재(300)의 양 단부에 관통슬롯(2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런너본체(200)의 길이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웨브부(210) 상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웨브부(210)에서 슬라브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할 때, 런너본체(200)가 클립부재(3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부재(300)의 양 단부에는 조립부(320)가 형성되고, 레일부(230)는 조립부(320)에 걸리게 구비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레일부(230)와 조립부(320)는 서로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와 같이 복수로 이격 배치된 클립부재(300)가 레일부(230)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클립부재(300)가 슬라브에 고정되므로 레일부(230)와 조립부(320)의 조립 형태에 의해 런너본체(200)가 고정된 클립부재(300)에 대하여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본체(200)는 레일부(230)와 조립부(320)의 조립 구조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 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런너본체(200)와 스터드 및 마감부재가 클립부재(300)와 별도로 거동하여 외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레일부(230)는 관통슬롯(220)의 제2 방향(관통슬롯(2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양 측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웨브부(210)의 관통슬롯(220)을 향하는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슬롯(220)과 레일부(230)는 웨브부(210)의 일부를 절개하여 양측의 플랜지부(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절개되어 관통된 부분은 관통슬롯이 되고 절곡 시킨 부분은 레일부가 될 수 있다. 다만, 관통슬롯(220)과 레일부(230)의 제작방식은 상기한 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레일부(23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웨브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230)는 웨브부(210)의 관통슬롯(220) 방향의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측벽(231)과, 내측벽(231)에서 절곡되어 플랜지부(250)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232)과, 수평판(232)에서 웨브부(210) 방향(제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외측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23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웨브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레일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설명과 도시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클립부재(300)의 조립부(320)에 걸리게 마련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클립부재(300)는 고정부(310)와 조립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슬라브에 고정되도록 관통슬롯(220)을 관통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10)에는 고정못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체결 가능하도록 관통된 고정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재(300)는 관통슬롯(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에 복수 개가 이격 되어 연결되는데, 고정부재인 고정못의 전단강도, 인장강도, 마찰력 등에 따라 클립부재(300)의 배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조립부(320)는 고정부(310)의 제2 방향의 양 단부에서 플랜지부(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부(230)가 끼워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부(320)는 날개부(330)와 걸림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30)는 고정부(310)에서 플랜지부(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340)는 날개부(330)의 단부에서 웨브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일부(230)가 끼워지게 구부러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230)가 걸림부(340)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됨으로써 레일부(230)가 클립부재(300)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날개부(330)는 고정부(310)에서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날개(331)와 경사날개(331)에서 플랜지부(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날개(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날개(331)는 고정부재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4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이 웨브부(2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230)에 맞물려 걸리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340)는 수평날개(332)에서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판(341)과, 제1 걸림판(341)에서 고정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걸림판(342)와, 제2 걸림판(342)에서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걸림판(3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걸림부(340)는 웨브부(21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340)와 레일부(2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걸리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걸림부(340)와 레일부(230)가 서로 걸리게 마련됨으로써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런너본체(200)가 이동 시에 런너본체(200)가 클립부재(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본체(200)는 레일부(230)와 조립부(32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런너본체(200)와 스터드 및 마감부재가 클립부재(300)와 별도로 거동하여 외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런너본체는 레일부와 조립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런너본체와 스터드 및 마감부재가 클립부재와 별도로 거동하여 외력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런너는 외력에 의한 구조체의 변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비구조체인 벽체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해 벽체시스템이 파괴되거나 마감부재 등과 같은 부착물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런너
200: 런너본체
210: 웨브부
220: 관통슬롯
230: 레일부
231: 내측벽
232: 수평판
233: 외측벽
250: 플랜지부
300: 클립부재
310: 고정부
311: 고정홀
320: 조립부
330: 날개부
331: 경사날개
332: 수평날개
340: 걸림부
341: 제1 걸림판
342: 제2 걸림판
343: 제3 걸림판

Claims (6)

  1.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을 포함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웨브부의 상기 관통슬롯을 향하는 단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런너본체; 및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게 마련되고, 상기 레일부가 걸리게 마련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와 상기 조립부가 서로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런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게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런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구부러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런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웨브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웨브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와 상기 걸림부가 맞물려 걸리게 마련되는 런너.
  5.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터드;
    슬라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런너; 및
    상기 스터드에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런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된 관통슬롯을 포함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양 단부에서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스터드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런너본체; 및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브에 고정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클립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벽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웨브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런너본체는 상기 레일부와 상기 클립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되어 상기 관통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벽체시스템.
KR1020190159092A 2019-12-03 2019-12-03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KR10225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92A KR102251690B1 (ko) 2019-12-03 2019-12-03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092A KR102251690B1 (ko) 2019-12-03 2019-12-03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690B1 true KR102251690B1 (ko) 2021-05-13

Family

ID=7591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092A KR102251690B1 (ko) 2019-12-03 2019-12-03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256U (ja) * 1992-04-15 1993-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引き戸付き間仕切り壁
JPH0635428U (ja) * 1992-10-13 1994-05-1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自立式パネル用のランナー部材
JP2014240583A (ja) * 2013-06-12 2014-12-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ランナー保持部材およびランナー固定構造
JP2018532917A (ja) * 2015-11-02 2018-11-08 サン−ゴバン プラコ 耐震建築要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256U (ja) * 1992-04-15 1993-11-12 松下電工株式会社 引き戸付き間仕切り壁
JPH0635428U (ja) * 1992-10-13 1994-05-1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自立式パネル用のランナー部材
JP2014240583A (ja) * 2013-06-12 2014-12-25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ランナー保持部材およびランナー固定構造
JP2018532917A (ja) * 2015-11-02 2018-11-08 サン−ゴバン プラコ 耐震建築要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8705B2 (en) Slotted M-track support
US710402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building members together that permit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uilding members
US6612087B2 (en) Building member connector allowing bi-directional relative movement
KR101814688B1 (ko)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KR20180010833A (ko)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KR102251690B1 (ko) 런너 및 이를 구비한 벽체시스템
JP2017122361A (ja) 横架材、横架材を用いた面材の取り付け構造、及び横架材を用いた面材と枠材との取り付け構造
JP5341625B2 (ja) 壁構造、及び建物
JP2015052200A (ja) 耐震補強構造体
KR101844716B1 (ko) 라운드 커팅 강재 댐퍼
KR101652621B1 (ko)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JP6791818B2 (ja) 制震構造物
JP5371390B2 (ja) 建物ユニットの補強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KR102299997B1 (ko) 엠바와 엠바브라켓의 결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6099128B2 (ja) Rc架構と筋かいとの接合構造及び筋かい付rc架構
KR101319776B1 (ko) 건물 벽체 간의 연결을 위한 철골철근콘크리트 커플링 보 구조
JP3690460B2 (ja) 制震ダンパーおよび制震構造
JP2021038651A (ja) 制震構造物
KR102495592B1 (ko) 조립형 내진보강장치
KR20210112567A (ko) 벽체형 와이어 제진 장치
JP2012188870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柱
KR101281206B1 (ko) 건물 개구부용 면진(免震)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063210B2 (ja) 建物
JP4056434B2 (ja) 最大せん断力制御型制振間柱と制振鉄骨構造物
KR101649111B1 (ko) 가변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