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350B1 -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350B1
KR102251350B1 KR1020150106028A KR20150106028A KR102251350B1 KR 102251350 B1 KR102251350 B1 KR 102251350B1 KR 1020150106028 A KR1020150106028 A KR 1020150106028A KR 20150106028 A KR20150106028 A KR 20150106028A KR 102251350 B1 KR102251350 B1 KR 10225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urrent
current value
deriv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077A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전류도출부에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차량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에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REST LIFE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OF LAMP}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램프에 흐르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예측하고 예측한 램프 잔존수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와주는 각종 램프가 장착되어 있는데, 그 종류로는 전조등, 안개등,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램프는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전조등은 해당 차량에 다수의 전기 부하가 사용되는 상태 또는 낮은 엔진 RPM(Revolutions Per Minute)시에 교류발전기의 용량부족으로 인해 전기 부하를 배터리 전압으로 이용하게 되면서, 공급 전원의 전압강하로 인한 전조등의 밝기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큰 전류를 소모하는 전기 부하가 기동하는 경우에는 정격전력의 3-10배의 큰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교류발전기의 출력용량 대비 요구전력이 증가하여 전원 전압 강하가 두드러지게 발생함에 따라 이로 인한 전조등의 수명이 단축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램프 수명이 단축되어 불시에 램프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전조등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므로 야간운전 상황에 있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자 KR 2011-0037674 "차량 램프의 수명 연장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서도 차량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일정 수준 이하일 때, 차량 램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시켜 차량 램프를 보호할 수 있는 램프 수명 연장 방법에 대한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에 따르더라도 결국 램프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문제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램프의 수명이 다하기 이전에 운전자가 램프의 교체를 미리 적절한 시기에 할 수 있는 제어방법이 필요로 되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1-0037674 A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램프의 수명 고갈을 미리 예측하여 램프의 단선 이전에 램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은 전류도출부에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차량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에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를 포함한다.
변화율도출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의 경과시간당 변화율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단계는, 차량제어부에서 램프 ON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부에 램프 ON시간을 저장하는 시간저장단계; 및 저장한 램프 ON 시간 이후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전류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변화율도출단계는, 차량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1전류값과 제1전류값 이전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2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 및 전류차이값이 0이 아닌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를 포함한다.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 이후에는, 전류차이값이 0인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제2전류값 이전에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전류검출단계; 검출한 램프전류값이 제1전류값과 다른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2전류차이 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검출한 램프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를 포함한다.
전류저장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램프 OFF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램프전류값의 저장을 중단하는 저장중단단계;를 포함한다.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는, 차량제어부에서 전류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변화율도출단계에 의하여 도출한 전류변화율로 나누어 램프 수명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을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램프잔존수명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차량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제어부에서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알림문구를 표시하는 알림문구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 시스템은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도출하는 전류도출부; 도출한 전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고 도출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차량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은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 램프전류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램프 수명 고갈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램프 구동 기능을 강건화 할 수 있다.
둘째, 램프 수명을 운전자가 차량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램프가 단선되어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시스템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은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전류도출부(200)에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S100);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차량제어부(100)에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100)에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S500);로 진행이 된다.
전류도출단계(S100)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도출하는 단계로써 본 발명에서 램프의 잔존수명을 알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램프전류값을 도출한다. 램프는 내부를 진공으로 하거나 불활성 가스를 봉입해도 내부에 필라멘트가 연소되어 단선 후 수명을 다하게 된다. 따라서 램프의 수명은 필라멘트의 수명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필라멘트의 잔존 수명은 필라멘트로 인가되는 전류의 양으로 파악할 수 있다.
램프를 사용하게 되면 필라멘트의 산화작용 때문에 조금씩 필라멘트가 닳게 된다. 따라서 필라멘트 일부가 산화되면 빛을 발하는 정도가 줄어들어 빛이 어둡게 되고, 점점 산화가 계속되어 산화된 정도가 커지면 부하가 점점 더 크게 걸려 나중에는 전류의 흐름을 견디지 못하고 필라멘트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램프로 인가되는 전류의 값은 초반 최대값에서 램프의 사용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필라멘트가 끊어지게 되면 0이 된다.
그러므로 램프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면, 이를 기반으로 램프전류값이 0이되는 시간을 추정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램프의 잔존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전류도출단계(S100)를 두어 램프로 인가되는 램프전류값을 도출하고 있다. 램프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다양한 방식으로 도출이 가능하다. 램프에 전류를 인가하는 장치에서 감지되는 전류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전류센서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류도출단계(S100) 이후에는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거치게 된다. 메모리부(300)는 별도로 램프전류값을 저장하기 위하여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제어부(100)에 마련되어 있는 메모리부(300)를 이용하여 램프전류값을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실시간으로 램프전류값을 도출하여 메모리부(300)에 저장을 하는 것은 차량의 연비 및 메모리부(300) 활용 효율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연비 및 메모리부(300) 활용 효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램프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저장단계는 차량제어부(100)에서 램프 ON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부(300)에 램프 ON시간을 저장하는 시간저장단계(S200); 및 저장한 램프 ON 시간 이후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전류저장단계(S250);를 포함한다.
시간저장단계(S200)는 램프 ON 신호를 수신한 경우 램프 ON된 시간을 저장하는데, 이는 이후에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데 이용할 경과시간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즉, 램프가 ON된 이후 시점부터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단계에서 램프 ON 된 시간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한다.
램프 ON 시간을 저장한 이후에는 전류저장단계(S250)를 통하여 ON 시간 이후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게 된다. 본 단계에 의하여 차량의 연비 및 메모리부(300)의 활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저장단계는 실시간으로 램프전류값을 도출하여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반면에 본 단계에 의할 경우 램프가 ON된 시간 이후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기 때문이다. 램프가 ON되기 이전에는 램프전류값을 측정하여도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램프가 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램프전류값은 항상0이 될 수 밖에 없다.), 램프가 ON 된 이후에도 실시간으로 램프전류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램프가 ON 신호가 된 이후의 램프전류값만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메모리부(300)에 저장함으로써 메모리부(300)의 저장 공간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연비 향상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전류저장단계(S250)에서의 일정한 시간 간격은 램프의 종류 및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존재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에 있어서 항상 활용되는 방향지시등 및 브레이크등은 일정 시간 간격을 넓게 설정하여 메모리부(300)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향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방향지시등 및 브레이크등에 비해 비교적 덜 사용되는 전조등 및 안개등은 일정 시간 간격을 짧게 설정하는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전조등의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크므로 다른 램프에 비해 수명이 빨리 닳으므로 일정 시간 간격을 짧게 설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램프의 종류 외에도 차량의 종류, 특히 특수차량(경찰차, 소방차, 앰뷸런스)에 대해서도 본 단계에서의 일정 시간 간격은 차량의 특징에 맞게 다양한 값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전류저장단계(S250) 이후에는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 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를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변화율 도출단계는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의 경과시간당 변화율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앞서 설명한 본 전류저장단계(S250) 이후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를 살펴보면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제어부(100)에서 메모리부(3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1전류값과 제1전류값 이전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2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램프전류값을 저장한 일정 시간 간격이 어떤 값을 가지던간에 메모리부(300)에는 무수히 많은 램프전류값이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장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램프전류값중 어떤 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할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은 램프의 잔존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해 볼 때 최근에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전에 램프가 어떤 상태에 있던지간에 향후 램프의 잔존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가장 좋은 표본은 마지막으로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S300)에서는 정확한 램프의 잔존수명 예측을 위하여 마지막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1전류값과 제1전류값 이전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2전류값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단계에서는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의 차이를 도출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이 모두 램프가 OFF 되고 난 이후의 램프전류값에 해당하여 차이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S300)를 근간으로 1전류값과 2전류값의 차이에 따라 별도의 제어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그림1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S300) 이후에는 차량제어부(100)에서 전류차이값이 0에 해당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S320)를 두고 있다. 본 단계에서 전류차이값이 0인 경우는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이 모두 램프가 0FF되고 난 이후의 램프전류값에 해당하므로 별도의 제어를 통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게 되고, 전류차이값이 0이 아니라면 전류변화율의 도출이 가능한 바, 바로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때 전류차이값이 0이 아닌 경우, 차량제어부(100)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S340);를 수행하게 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전류변화율은 램프전류값의 경과시간당 변화율을 의미하므로 전류저장단계(S250)에 의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 중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값인 제1전류값과 그 이전에 저장된 제2전류값의 차이를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전류차이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전류차이값이 0인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경우 별도의 제어방법을 두고 있는데 전류차이값이 0인 경우, 차량제어부(100)에서 제2전류값 이전에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전류검출단계(S360); 검출한 램프전류값이 제1전류값과 다른 경우, 차량제어부(100)에서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2전류차이 도출단계(S380); 및 차량제어부(100)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검출한 램프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S400);이 바로 그것이다.
전류검출단계(S360)는 메모리부(300)에 가장 최근에 저장된 제1전류값과 다른 값을 가지는 램프전류값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의 핵심은 램프 잔존수명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램프전류값을 검출함에 있어서 제2전류값 이전에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지 않고 무작위적으로 제2전류값 이전 램프전류값을 검출하게 되면 최초로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이 검출될 수도 있게 된다. 이 같은 경우 도출된 전류변화율은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결국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정확한 램프의 잔존수명 예측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 따를 경우 제2전류값 이전에 저장된 램프전류값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전류변화율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램프 잔존수명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전류검출단계(S360) 이후에는 제2전류차이 도출단계(S380)를 두고 있다. 본 단계에 의하여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을 비교하여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전류검출단계(S36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램프전류값을 검출하며,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이 다른 경우에는 비로서 전류변화율을 도출할 수 있게 되므로 앞서 기재한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S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게 된다.
제2전류차이 도출단계(S380)이후의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S400)도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S34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출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검출한 램프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게 된다. 다만 본 단계에서의 전류차이값과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S340)에서의 전류차이값의 크기는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부(300)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전류저장단계(S250) 이후에 차량제어부(100)에서 램프 OFF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제어부(100)에서 램프전류값의 저장을 중단하는 저장중단단계(S250);를 포함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램프가 OFF된 경우에는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램프전류값이 0이 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로 램프 OFF신호를 보내 램프를 OFF하는 경우는 램프 수명이 다하여 램프가 OFF 된 것과는 상황이 다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저장중단단계(S250)를 통하여 램프전류값의 저장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메모리부(300)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제어부(100)에서 램프 OFF에 의한 램프전류값을 필라멘트 단선으로 인한 램프 OFF로 잘못 인식하는 일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S340)를 통해서든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S400)를 통해서든 간에 전류변화율이 도출되었다면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S500)는 차량제어부(100)에서 전류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변화율도출단계에 의하여 도출한 전류변화율로 나누어 램프 수명을 도출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의 도출한 램프전류값이란 변화율도출단계에서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데 이용된 가장 최근의 램프전류값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마지막에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의미할 것이다. 마지막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목적인 램프 잔존수명 예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므로 본 단계에서의 램프전류값은 메모리부(3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변화율도출단계에서 도출한 전류변화율 값으로 나누게 되면 램프 수명을 도출할 수 있다. 전류변화율이라는 것이 일정 시간 동안의 전류의 변화량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값을 램프전류값으로 나누게 되면 잔존 램프 수명이 도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일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만약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가장 최근의 램프전류값이 3.5[A]이고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이 4[A]이며 메모리부(300)에 설정되어 있는 일정 시간 간격은 1시간이라고 가정해보자. 전류변화율은 앞서 언급한 방식에 따라 (4-3.5)/3600 = 1/7200[A/s]이 된다.(본 단계에서 전류변화율의 단위는 [A/s]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1시간을 3600초로 환산하였다.) 따라서 램프 잔존수명은 3.5/(1/7200)=25,200[s]가 될 것이다. 즉 램프 잔존수명은 8시간이 될 것이다.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램프의 잔존수명이 바뀔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지속적으로 메모리부(300)에 마지막으로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때문에 램프의 이러한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대처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램프전류값을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는 것은 램프 잔존수명 예측에 있어서 좋을지언정, 차량의 연비 및 메모리부(300) 활용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므로 장단점을 고려하여 전류저장단계(S250)에서 적절한 일정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램프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방법 외에 도출한 잔존수명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S500) 이후에 수행하는 램프잔존수명 표시단계이다. 램프잔존수명 표시단계에서는 차량제어부(100)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을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라면 어느 곳이나 상관 없을 것이다. 다만 램프 잔존수명과 같은 차량의 주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서비스적 기능은 항상 운전자에게 제공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클러스터에서 표시되는 다양한 차량상태 정보중의 하나로 운전자가 원하는 경우 일정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 외에 본 발명에서는 램프 잔존수명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림문구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램프 잔존수명 도출단계(S500) 이후에 차량제어부(100)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차량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비교단계(S520); 및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제어부(100)에서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알림문구를 표시하는 알림문구 표시단계(S540);가 이에 해당한다.
잔존수명과 잔존수명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520)에서의 잔존수명 기준값은 차량의 종류 및 램프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이다. 전조등같이 없어서는 안 되는 램프에 있어서는 비교적 잔존수명기준값을 크게 하여 운전자에게 램프 교체를 위한 여유시간을 넓게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밖에 안개등과 같이 비교적 사용이 적은 램프의 경우에는 잔존수명기준값을 작게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잔존수명기준값이 어떤 값을 가지든 간에 차량제어부(100)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이 되게 되면 알림문구 표시단계(S540)에 의하여 운전자는 램프의 수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알림 문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알림문구 표시단계(S540)에서 알림문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도 앞서 언급한 차량의 클러스터부분이 가장 운전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본 단계에 의한 알림문구는 램프 잔존수명과는 그 성질을 달리하므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보다는 운전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일 경우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 또는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램프 잔존수명 예측 시스템은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도출하는 전류도출부(200); 도출한 전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00); 및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고 도출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차량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전류도출부(200)와 메모리부(30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제어부(100)는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고 램프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제어부로써 램프의 구동을 위하여 따로 마련된 제어부 또는 차량의 전반적인 서비스 장치 구동을 위하여 마련된 제어부가 이에 해당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 전류도출단계 S200: 시간저장단계
S250: 전류저장단계 S340: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
S400: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 S500: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
100: 차량제어부 200: 전류도출부
300: 메모리부

Claims (11)

  1. 전류도출부에서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차량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에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를 포함하고,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는,
    전류도출단계에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변화율도출단계에 의하여 도출한 전류변화율로 나누어 램프 수명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변화율도출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의 경과시간당 변화율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단계는,
    차량제어부에서 램프 ON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부에 램프 ON시간을 저장하는 시간저장단계; 및
    저장한 램프 ON 시간 이후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도출한 램프전류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전류저장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변화율도출단계는,
    차량제어부에서 메모리부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1전류값과 제1전류값 이전에 저장된 램프전류값인 제2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 및
    전류차이값이 0이 아닌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1전류변화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전류차이 도출단계 이후에는,
    전류차이값이 0인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제2전류값 이전에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램프전류값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전류검출단계;
    검출한 램프전류값이 제1전류값과 다른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검출한 램프전류값과 제1전류값의 전류차이값을 도출하는 제2전류차이 도출단계; 및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전류차이값을 제1전류값과 검출한 램프전류값의 측정시간차이로 나누어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제2전류변화 도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전류저장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램프 OFF 신호를 수신한 경우, 차량제어부에서 램프전류값의 저장을 중단하는 저장중단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을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램프잔존수명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 이후에는,
    차량제어부에서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차량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지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도출한 램프 잔존수명이 잔존수명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제어부에서 차량 디스플레이부에 알림문구를 표시하는 알림문구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10.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도출하는 전류도출부;
    도출한 전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고 도출한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차량제어부;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시스템.
  11.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인 램프전류값을 도출하는 전류도출단계;
    램프전류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저장된 램프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류변화율을 도출하는 변화율도출단계; 및
    전류변화율을 이용하여 램프의 잔존수명을 도출하는 램프잔존수명도출단계;를 포함하는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KR1020150106028A 2015-07-27 2015-07-27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10225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28A KR102251350B1 (ko) 2015-07-27 2015-07-27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028A KR102251350B1 (ko) 2015-07-27 2015-07-27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077A KR20170013077A (ko) 2017-02-06
KR102251350B1 true KR102251350B1 (ko) 2021-05-12

Family

ID=5810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028A KR102251350B1 (ko) 2015-07-27 2015-07-27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2384B (zh) * 2019-08-08 2021-09-07 云南北方奥雷德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器寿命评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933A (ja) * 2013-08-19 2015-02-26 株式会社リコー 光源寿命判定装置、画像形成装置、光源寿命判定方法及び光源寿命判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04B1 (ko) 2009-10-07 2011-11-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램프의 수명 연장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79874B1 (ko) * 2011-06-02 2016-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램프의 잔여 수명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8933A (ja) * 2013-08-19 2015-02-26 株式会社リコー 光源寿命判定装置、画像形成装置、光源寿命判定方法及び光源寿命判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077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8431B2 (ja) 車両用負荷制御装置
US8575839B2 (en) Headlamp LED lighting apparatus and vehicle headlamp lighting system
US96446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wear of brake pads
WO20161687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wear of brake pads
IT201800006826A1 (it) Sistema e metodo di monitoraggio dell'usura di una batteria di un veicolo a motore
US20160363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wear of brake pads
KR20150104417A (ko) 신호등 불량 감지 시스템
US201802239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wear of brake pads
KR102251350B1 (ko) 램프 잔존수명 예측 방법 및 시스템
JP5315953B2 (ja) 車両エンジン始動用のバッテリーの状態検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ーおよび車両、および車両エンジン始動用のバッテリーの状態検出方法
CN108215875B (zh) 一种电源控制装置以及电源控制方法
KR101730894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9874B1 (ko) 차량 램프의 잔여 수명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62203A (ja)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JP2007237875A (ja) バッテリー上がり防止装置
JP4071214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4900338B2 (ja) 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
JP2006188122A (ja) 車載用省電力化装置および省電力化方法
JP2013220011A (ja) 車両用二次電池の低電圧警告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同装置を備える車両
KR102406492B1 (ko) 차량의 램프의 단선 알림 방법
JP2014181687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1576748B1 (ko) 배터리 방전 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8419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KR20140045208A (ko) Isg차량의 배터리센서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20040013839A (ko) 자동차용 연료센더의 고장 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