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101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101B1
KR102251101B1 KR1020160127509A KR20160127509A KR102251101B1 KR 102251101 B1 KR102251101 B1 KR 102251101B1 KR 1020160127509 A KR1020160127509 A KR 1020160127509A KR 20160127509 A KR20160127509 A KR 20160127509A KR 102251101 B1 KR102251101 B1 KR 10225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ip
room
purification device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407A (ko
Inventor
김현재
이인호
권영훈
강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1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2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absorbed or adsorbed substances
    • F01N3/0842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에 의해 추진하되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없으며 팬 룸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의해 추진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에서 상방에 마련되는 엔진 케이싱; 상기 엔진 케이싱의 상방에 마련되는 연돌; 및 상기 팬 룸을 대신하여 상기 연돌의 좌우에 마련되는 팬 하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케이싱은, 일측에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선박 운항 시 배기의 처리가 문제된다. 특히 2016년부터 적용되는 Tier III 기준에 따르면,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친환경 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로는 배기를 엔진에 재순환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촉매에 의한 화학적 반응을 사용하는 탈질 장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이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은 배기를 엔진에 재순환시켜 엔진의 연소 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며, 탈질 장치는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촉매와 반응시켜서 물과 질소로 분해해 배출하는 것이다.
Tier III 적용을 받는 해역을 항해하기 위해서는, 탈질 장치 등과 같은 친환경 장치의 부가가 필요하다. 이 경우 친환경 장치의 설치를 위해서 기존의 선체 구조물을 대대적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장치의 설치를 대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친환경 장치의 부가 시에도 작업 공수 및 제조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엔진에 의해 추진하되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없으며 팬 룸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의해 추진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에서 상방에 마련되는 엔진 케이싱; 상기 엔진 케이싱의 상방에 마련되는 연돌; 및 상기 팬 룸을 대신하여 상기 연돌의 좌우에 마련되는 팬 하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케이싱은, 일측에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 케이싱은, 상기 선체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 케이싱은, 상기 선체의 좌현과의 최단거리가 상기 선체의 우현과의 최단거리와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 공간은, 상기 엔진 케이싱이 치우쳐진 좌현 또는 우현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 하우스는, 후방 및 측방에 마련되는 루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팬 룸을 대신하여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 하우스는, 상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배기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촉매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은, 상기 선체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 엔진이며, 발전을 위해 마련되는 발전 엔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돌은, 내측에 상기 발전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보조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엔진에 의해 추진하되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없는 선박에서, 상기 연돌을 좌우로 일정 폭만큼 연장하여 상기 발전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보조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은, 상기 팬 하우스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정화장치의 설치 시 상기 팬 하우스의 상방에 결합되는 덕트 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덕트 룸은, 상면이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과 나란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친환경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 하더라도 향후 친환경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구조를 개선하여 Tier III 규정 적용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박(2)은, 엔진(151)에 의해 추진하되 엔진(151, 152)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51)가 없는 선박(2)으로, Tier II의 규정을 만족하는 선박(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박(1, 2)은 벌크 캐리어(Bulk Carrier) 등일 수 있지만, 선종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의 선박(2)은, 엔진 케이싱(20)과 연돌(30), 팬 룸(41)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 케이싱(20)은 엔진(151, 152)에서의 배기관(도시하지 않음)이 연돌(30)까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좌현에 긴급발전기 룸(21), 우현에 CO2 룸(2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긴급발전기 룸(21)이나 CO2 룸(22)의 위치는 서로 변동 가능하며, 해당 위치에 다른 룸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은 다른 룸으로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엔진 케이싱(20)의 상부에서 연돌(30)의 좌우에는 팬 룸(41)이 마련된다. 팬 룸(41)에는 후방과 측방에 마련되는 루버(4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의 선박(2)에서 엔진 케이싱(20), 팬 룸(41), 연돌(30)은 계단 형태로 마련되므로, 팬 룸(41)의 후방과 측방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과 측방에는 공기의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루버(4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서의 선박(2)은, 배기를 정화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MARPOL ANNEX VI에 따라, 2016.1.1부로 해상에서 Emission control area 내 질소산화물 배출(NOx emission)이 제한되는 규정을 만족시키기 못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선박(2)은 NOx 저감 장치를 새롭게 설치해야 하는데, NOx 저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마련되어 있는 엔진 케이싱(20)과 팬 룸(41), 연돌(30) 등을 모두 제거한 뒤, NOx 저감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전면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선박(2)은, Tier II 규정에 따라 설계 및 건조된 것이므로, 배기 규제가 강화되는 Tier III를 만족시키기 위한 NOx 저감 장치의 설치에 전혀 대비된 것이 아닌바, Tier III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의 대폭적인 변경이 필요하므로, 개조 비용과 운항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 엔진 케이싱(20), 연돌(30), 팬 하우스(4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엔진(151)에 의해 추진된다. 선체(10)는 선수(12)와 선미(11)를 갖고, 상면에 상갑판(13)이 놓이며, 상갑판(13)의 좌현과 우현에는 상갑판(13)에 비교적 수직하게 연결되는 선측외판(14)이 마련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부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해당 공간에 화물이 직접 수용되거나, 또는 화물을 수용하는 탱크가 해당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부에서 선미(11)측에는 엔진(151, 152)이 놓이는 엔진 룸(15)이 마련되는데, 엔진 룸(15) 내에 놓이는 엔진(151)은, 선체(10)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 엔진(151)일 수 있다. 추진 엔진(151)은 엔진 룸(15) 내에 마련되고 샤프트(161)를 통해 프로펠러(16)에 연결되어, 연료를 소모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프로펠러(16)를 회전시켜서, 프로펠러(16)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후류가 선체(10)를 전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체(10)에서 엔진 룸(15)의 내부에는, 발전 엔진(152)이 마련될 수 있다. 발전 엔진(152)은 발전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추진 엔진(151)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종류의 연료를 소모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생산된 전기는 선체(10)에서 선수(12)에 마련될 수 있는 쓰러스터(도시하지 않음)의 가동이나, 선실 내부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추진 엔진(151)과 발전 엔진(152) 모두 가동 시 배기를 방출시킨다. 다만 추진 엔진(151)에 의한 배기가 발전 엔진(152)에 의한 배기보다 양이 많을 수 있으며, 배기에는 질소산화물(NOx)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질소산화물은 촉매장치(SCR) 등인 정화장치(51)가 마련될 경우 질소와 물 등 무해한 물질로 변화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에는 정화장치(51)가 마련되기 전의 상태이지만, 도 2의 선박(1)은 정화장치(51)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정화장치(51)의 설치를 대비한 구조를 갖는다.
엔진 케이싱(20)은, 선체(10)의 선미(11)에서 상방에 마련된다. 엔진 케이싱(20)은 추진 엔진(151)이나 발전 엔진(152)에서 발생한 배기를 연돌(30)로 전달하는 배기관(도시하지 않음)을 가질 수 있으며,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이 상하로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선박(2)에서는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이 엔진 케이싱(20)에서 좌우에 마련되었는데, 본 발명은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이 엔진 케이싱(20)에서 좌현이나 우현에 치우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엔진 케이싱(20)은, 전체적으로 선체(10)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치우쳐 마련된다. 즉 엔진 케이싱(20)은, 선체(10)의 좌현과의 최단거리가 선체(10)의 우현과의 최단거리와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엔진 케이싱(20)과 선체(10)의 우현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엔진(151)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51)의 설치 공간(50)이 된다. 즉 엔진 케이싱(20)은, 일측에 정화장치(51)의 설치 공간(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치 공간(50)은, 엔진 케이싱(20)이 치우쳐진 좌현 또는 우현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엔진 케이싱(20)이 선체(10)의 상갑판(13) 상에 정화장치(51)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 공간(50)을 마련하게 됨에 따라, 종래의 선박(2)에서 정화장치(51)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긴급발전기 룸(21)이나 CO2 룸(22)을 제거 후 재배치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엔진 케이싱(2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정화장치(5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치 공간(50)을 미리 마련해둘 수 있다. Tier III에 따른 배기 규제는 ECA 지역을 운항하는 경우에만 문제되는데, ECA 지역을 운항하지 않는 선박(1)은 정화장치(51)를 처음 건조 시부터 설치하는 것이 부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처음 건조 시에는 정화장치(51)가 마련되는 대신 정화장치(51)의 설치 공간(50)만 마련되도록 하고, 향후 ECA 지역의 운항이 필요할 때, 설치 공간(50)에 정화장치(51)가 탑재되도록 하여, 간편하게 Tier III 규정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다.
연돌(30)은, 엔진 케이싱(20)의 상방에 마련되며, 외부로 배기를 배출한다. 정화장치(51)가 없고 설치 공간(50)만 마련되는 경우, 연돌(30)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에 질소산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Tier III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ECA 지역이 아닌 지역을 운항할 경우에는 규제가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향후 운항 지역이 ECA 지역으로 변경된다면, 배기의 정화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연돌(30)은 이를 대비하여, 엔진 케이싱(20)이 종래의 선박(2) 대비 구조가 변경된 것과 같이, 정화장치(51)가 없고 Tier II 규정만 만족하는 종래의 선박(2) 대비 좌우로 일정 폭(일례로 각각 600mm 내외)만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연돌(30)은 좌우로 폭이 확장되도록 하여, 내측에 보조정화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설치 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정화장치는, 추진 엔진(151)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51)와 달리, 발전 엔진(152)의 배기를 정화할 수 있다.
발전 엔진(152)의 배기는 추진 엔진(151)의 배기보다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보조정화장치는 정화장치(5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연돌(30) 내부에 보조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해둠으로써, 불필요한 구조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팬 하우스(40)는, 연돌(30)의 좌우에 마련되며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흡입되는 공기는 엔진 룸(15) 내부 환기에 사용되거나 또는 엔진(151, 152)의 소기로 사용될 수 있다. 팬 하우스(40)는, 종래의 선박(2)에 마련되었던 팬 룸(41)을 대신하여 마련될 수 있다.
팬 룸(4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과 측방에 마련되는 루버(4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가 이러한 팬 룸(41)을 가질 경우, 높이가 높은 추진 엔진(151)용 정화장치(51)를 엔진 케이싱(20)의 일측에 마련된 설치 공간(50)에 설치하게 되면, 측방에 마련된 루버(411)가 가려지면서 공기의 흡입이 50% 이하로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팬 하우스(40)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팬 하우스(40)가 설치 공간(50)에 설치되는 정화장치(5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후방을 통해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향후 정화장치(51)를 설치할 경우 팬 하우스(40)의 상방에 덕트 룸(43)을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팬 하우스(40)는 상방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덕트 룸(43)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팬 하우스(40)의 상면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기(42)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기(42)는 양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외부로부터 엔진(151, 152) 또는 엔진 룸(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흡입기(42)는 정화장치(51)의 설치 시, 덕트 룸(43)의 설치를 위해 (임시로) 제거될 수 있으며, 흡입기(42)가 연결되는 입구에는 덕트 룸(43)의 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고, 임시로 제거된 흡입기(42) 또는 별도의 흡입기(42)는 덕트 룸(43)의 상면에서 덕트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선박(1)에 정화장치(51)가 설치되는 것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화장치(51)는 좌현 또는 우현으로 치우친 엔진 케이싱(20)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정화장치(51)는 추진 엔진(151)의 배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추진 엔진(151)의 배기는 엔진 케이싱(20)에서 정화장치(51)를 거쳐 연돌(30)의 배기관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긴급발전기 룸(21)과 CO2 룸(22)은, 엔진 케이싱(20)에서 설치 공간(50)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정화장치(51)는, 정화장치(51)의 상단이 팬 하우스(40)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될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설치 공간(50)에 정화장치(51)를 설치하게 되면, 팬 하우스(40)의 상면은 측방이 정화장치(51)의 상단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팬 하우스(40)의 흡입기(42)가 공기를 흡입하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는, 덕트 룸(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 룸(43)은, 설치 공간(50)에 정화장치(51)가 설치될 경우, 팬 하우스(40)의 상방에 결합된다. 덕트 룸(43)은 내부에 덕트를 가질 수 있으며, 팬 하우스(40)의 상면에서 흡입기(42)가 연결되는 입구에 덕트가 연결되도록 탑재될 수 있다.
팬 하우스(40)의 흡입기(42)는 정화장치(51)의 설치 시 제거될 수 있으며, 흡입기(42)가 분리된 팬 하우스(40) 상면의 공기 입구에는, 팬 하우스(40)의 상면에 탑재되는 덕트 룸(43)의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덕트 룸(43)은 상면에 공기 입구가 마련될 수 있는데, 흡입기(42)가 덕트 룸(43)의 상면에서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덕트 룸(43)은, 흡입기(42)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정화장치(51)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흡입기(42)가 공기를 흡입하는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덕트를 갖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면이 정화장치(51)의 상단과 나란하거나 또는 정화장치(51)의 상단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 룸(43)의 설치로 인해 변경되는 흡입기(42)의 위치는, 정화장치(51)의 상단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덕트 룸(43)은, 팬 하우스(40)에 마련되는 흡입기(42)의 높이를 위로 끌어올려서, 정화장치(51)에 의해 공기의 흡입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정화장치(51)의 높이가 흡입기(42)를 간섭하지 않는 정도라고 한다면, 덕트 룸(43)의 설치는 생략될 수 있으며, 덕트 룸(43)이 필요한 경우 덕트 룸(43)의 높이 및 덕트 룸(43) 내부의 덕트의 크기 등은, 정화장치(51)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박(1)은, 종래의 선박(2) 대비 연돌(30)의 폭이 확장된 것이므로, 도 4의 경우 발전 엔진(152)에서 배출되는 배기의 정화를 위한 보조정화장치가 연돌(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불필요한 구조 변경(연돌(30)의 제거 및 폭이 확장된 연돌(30)의 재설치 등) 없이도 보조정화장치의 설치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Tier III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정화장치(51)의 설치를 예정에 두고 있는 경우를 대비하고자, 정화장치(51)의 설치 공간(50)을 미리 확보해둠으로써, 향후 정화장치(51)가 설치될 때의 비용이나 공수 등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선주사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2: 종래의 선박
10: 선체 11: 선미
12: 선수 13: 상갑판
14: 선측외판 15: 엔진 룸
151: 추진 엔진 152: 발전 엔진
16: 프로펠러 161: 샤프트
20: 엔진 케이싱 21: 긴급발전기 룸
22: CO2 룸 30: 연돌
40: 팬 하우스 41: 팬 룸
411: 루버 42: 흡입기
43: 덕트 룸 50: 설치 공간
51: 정화장치

Claims (12)

  1. 엔진에 의해 추진하되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없으며 팬 룸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의해 추진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에서 상방에 마련되는 엔진 케이싱;
    상기 엔진 케이싱의 상방에 마련되는 연돌; 및
    상기 팬 룸을 대신하여 상기 연돌의 좌우에 마련되는 팬 하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 케이싱은,
    상기 선체의 상갑판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선미에서 상기 상갑판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 케이싱의 좌현과 우현 중 일측의 상기 상갑판에 CO2룸 및 긴급발전기 룸을 구비하여, 상기 엔진 케이싱의 좌현과 우현 중 타측의 상기 상갑판에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 공간이 되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케이싱은,
    상기 선체에서 좌현 또는 우현으로 치우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케이싱은,
    상기 선체의 좌현과의 최단거리가 상기 선체의 우현과의 최단거리와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스는,
    후방 및 측방에 마련되는 루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팬 룸을 대신하여 상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스는,
    상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배기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촉매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상기 선체를 추진하기 위한 추진 엔진이며,
    발전을 위해 마련되는 발전 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은,
    내측에 상기 발전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보조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 9 항에 있어서,
    엔진에 의해 추진하되 상기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없는 선박에서, 상기 연돌을 좌우로 일정 폭만큼 연장하여 상기 발전 엔진의 배기를 정화하는 보조정화장치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은, 상기 팬 하우스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되고,
    상기 정화장치의 설치 시 상기 팬 하우스의 상방에 결합되는 덕트 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룸은,
    상면이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과 나란하거나 또는 상기 정화장치의 상단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60127509A 2016-10-04 2016-10-04 선박 KR10225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509A KR102251101B1 (ko) 2016-10-04 2016-10-04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509A KR102251101B1 (ko) 2016-10-04 2016-10-04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07A KR20180037407A (ko) 2018-04-12
KR102251101B1 true KR102251101B1 (ko) 2021-05-11

Family

ID=6196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509A KR102251101B1 (ko) 2016-10-04 2016-10-04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90B1 (ko) * 2020-04-30 2022-05-31 태솔이엔지주식회사 연통이 회전하는 선박의 연돌 설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01593B1 (ko) * 2020-04-30 2022-05-31 태솔이엔지주식회사 선박의 연돌 설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01587B1 (ko) * 2020-04-30 2022-05-31 태솔이엔지주식회사 탈취 기능을 가진 선박의 연돌 설치 방법 및 시스템
CN112644674A (zh) * 2020-12-28 2021-04-13 胡翔 一种用风电驱动的船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259A (ja) * 2004-04-23 2005-11-04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JP2013119368A (ja) * 2011-12-09 2013-06-17 Tsuneishi Shipbuilding Co Ltd 船舶の機関室への給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58B1 (ko) * 2010-05-25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259A (ja) * 2004-04-23 2005-11-04 Sumitomo Heavy Industries Marine & Engineering Co Ltd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JP2013119368A (ja) * 2011-12-09 2013-06-17 Tsuneishi Shipbuilding Co Ltd 船舶の機関室への給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407A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101B1 (ko) 선박
EP2678537B1 (en) A scrubber system for treating exhaust gas in a marine vessel and method of treating exhaust gas in scrubber system of a marine vessel
WO2017213044A1 (ja) 船体構造
JP5308179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CN106030060B (zh) 船舶的排气净化系统
JP2017036002A (ja) 船舶の装置配置構造
CN102482988A (zh) 内燃发动机装置
JP5788439B2 (ja) 船舶搭載用の排気ガス浄化装置
WO2012117980A1 (ja) 推進システム、これを備えた船舶およびこの制御方法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KR20090054818A (ko) 선박의 연소가스 배기 펀넬구조
Blatcher et al. Compliance of Royal Naval ships with nitrogen oxide emissions legislation
JP5654084B2 (ja) 船舶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503160B2 (ja) 船舶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535353B2 (ja) 船舶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90127138A (ko) Scr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90048440A (ko) 선박
CN201778871U (zh) 船用选择性催化还原减排系统的反应器
KR102283847B1 (ko) 선박
KR102283860B1 (ko) 선박
CN201778872U (zh) 新型船用选择性催化还原减排系统反应器
KR102232567B1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JP2016084818A (ja) 船舶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30032790A (ko) 후처리장치를 가진 드릴쉽
JP5667345B2 (ja) 船舶における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