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900B1 -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900B1
KR102250900B1 KR1020200062340A KR20200062340A KR102250900B1 KR 102250900 B1 KR102250900 B1 KR 102250900B1 KR 1020200062340 A KR1020200062340 A KR 1020200062340A KR 20200062340 A KR20200062340 A KR 20200062340A KR 102250900 B1 KR102250900 B1 KR 10225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leaning
drain pipe
sink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336A (ko
Inventor
이주하
신승일
유인기
권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06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9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제와 2제가 서로 격리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결합되어 있는 세정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1제와 상기 2제 사이의 격리 상태를 해제하여 서로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에 배치하여 상기 세정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CLEANING METHOD OF DRAIN IN THE SINK AND CLEANER CONTAIN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 발포 세정제를 싱크대의 배수관에 주입하여 세정 및 살균 처리를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거름망과 배수관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버리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잔류하며, 물에 항상 젖어 있어 미생물이 자라기 쉬운 환경이므로 쉽게 지저분해지고 심한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하지만, 거름망이나 배수관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을 청소하는 것은 불편하고 시간 및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데, 거름망이나 배수관을 교체하는 방법 이외에 특별한 대안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과산화수소를 아밀라아제 등의 과수 분해 효소로 발포하여 배관을 세정하는 이액형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과산화수소의 살균 표백력이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살균 표백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점도가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조성물과 발포제를 동시에 부어 발포시켜 배관을 세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 방법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과 발포제는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렵고, 수직으로 설치된 싱크대의 배관에 거품이 장시간 머무르지 않고 금방 배출되어 세정력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발포 세정제 조성물의 세정 효과의 지속 시간을 늘림으로써, 싱크대 배수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조성물 또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출원 제2014-529388호 특허문헌 2: 미국공개특허 제2003-0171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세정제를 혼합 발포하여 싱크대의 배수관을 세정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으로 설치된 싱크대의 배관에 거품이 장시간 머무르도록 하여 발포 세정제에 의한 세정 효과의 지속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1제와 2제가 각각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세정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에 배치하여 상기 세정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는, 1제와 2제가 서로 격리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결합되어 있는 세정 용기를 준비하고, 상기 단계 (b)에서, 물리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간의 격리부를 손상시켜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스크류 결합 또는 푸쉬 조작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상기 격리부가 파열되어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간의 결합과 함께 상기 1제와 상기 2제가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1제 및 상기 2제 중 어느 하나는 분말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세정 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제와 2제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서로 결합되어 물리력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다른 하나를 파열시켜 상기 1제와 상기 2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파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결합체가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1제와 상기 2제의 혼합에 따른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 간의 결합 구조를 이용해 1제와 2제가 편리하게 혼합 발포될 수 있으므로 취급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꾸로 세워지게 놓여진 세정 용기로부터 혼합 발포 세정제가 서서히 방출될 수 있으므로 싱크대의 배수관에 거품이 장시간 머무르도록 하여 세정 효과의 지속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세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격리부가 파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혼합 발포 세정제의 방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세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격리부가 파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혼합 발포 세정제의 방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세정 용기의 결합 전후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세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세정 용기는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 본체(100)와, 제1 수용부(101)와 상기 제2 수용부(102) 사이에 위치하는 격리부(103)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개구부를 캡핑하는 캡(105)과, 캡(105)의 스크류 결합에 따른 물리력으로 격리부(103)를 파열시키는 파열부(104)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는 1제(10)와 2제(20)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가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용기 본체(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제(10)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101)는 2제(2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102)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가깝게 위치한다. 제1 수용부(101)는 제2 수용부(10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 1제(10)는 분말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2제(20)는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1제(10)와 2제(20)는 액상, 분말, 정제 등에서 선택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1제(10)와 2제(20)는 서로 혼합되었을 때 싱크대의 배수관을 세정 및 살균할 수 있는 발포 세정제를 형성한다. 1제(10)와 2제(20)의 조성물로는 통상의 제품이 채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수용부(102)의 상단에 가까운 지점(바람직하게,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측부에는 발포 세정제의 방출을 위한 통공 형태의 배출구(1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102a)는 캡(105)이 제2 수용부(102)에서 풀려서 소정 거리만큼 상승했을 때 노출되어 혼합 발포 세정제를 방출시킬 수 있는 틈새(106)와 연통된다.
격리부(103)는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 사이에 위치하여 1제(10)와 2제(20)를 서로 격리시킨다. 격리부(103)는 제1 수용부(101)나 제2 수용부(102)와는 별개의 부재(예컨대, 얇은 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01)의 바닥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열부(104)는 소정 형상의 캡(105)과 일체화되어 연동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5)이 용기 본체(100)에 스크류 결합되어 하부로 전진함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파열부(104)는 회전을 하면서 격리부(103)를 파열시키고, 이에 따라 1제(10)와 2제(20)는 서로 혼합된다. 파열부(104)의 끝부분은 격리부(103)를 파열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파열부(104)는 가능한 한 격리부(103)를 넓은 면적에 걸쳐 파열시키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편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날카로운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파열부(104)는 끝부분이 뾰족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5)이 반대로 소정 거리 후진된 상태에서 캡(105)과 제2 수용부(102) 사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틈새(10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제(10)와 상기 2제(20)의 혼합에 따른 혼합 발포 세정제는 틈새(106)를 통해 용기 본체(100)의 외부로 서서히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세정 용기는, 사용자가 캡(105)을 잠그는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돌림에 따라 파열부(104)가 전진하여 격리부(103)를 파열시킴으로써 1제(10)와 2제(20) 간의 격리 상태를 해제한다. 격리부(103)가 파열되면 제1 수용부(101)에 있는 분말상의 1제(10)와 제2 수용부(102)에 있는 액상의 2제(20)가 서로 혼합되어 발포 세정제가 형성된다.
1제(10)와 2제(20)의 혼합에 의해 발포 세정제가 만들어진 후에는 캡(105)을 열리는 방향으로 살짝 돌리면, 혼합 발포 세정제가 배출구(102a)와 이와 연통되는 용기 본체(100)와 캡(105) 사이의 틈새(106)를 통해 외부 방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혼합 발포 세정제의 외부 방출이 가능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200)에 거꾸로 세워서 배치하면 혼합 발포 세정제가 장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배수관의 유입공(201)을 통해 주입되어 세정 및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세정 용기는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용기 본체(100')와,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 사이에 위치하는 격리부(103')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개구부를 캡핑하는 캡(105')과, 사용자의 푸쉬(Push) 조작에 따른 물리력으로 격리부(103')를 파열시키는 파열부(104')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01')는 제2 수용부(102')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를 위해, 제1 수용부(101')는 제2 수용부(102')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용부(101')의 측부에는 혼합 발포 세정제의 방출을 위한 통공 형태의 배출구(10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출구(101'a)는 제1 수용부(101')가 제2 수용부(102')에서 풀려서 소정 거리만큼 상승했을 때 외부와 연통된다.
제1 수용부(101')에 수용되는 1제(10)는 분말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 수용부(102')에 수용되는 2제(20)는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1제(10)와 2제(20)는 액상, 분말, 정제 등에서 선택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1제(10)와 2제(20)는 서로 혼합되었을 때 싱크대의 배수관을 세정 및 살균할 수 있는 발포 세정제를 형성한다. 1제(10)와 2제(20)의 조성물로는 통상의 제품의 채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격리부(103')는 제1 수용부(101')와 제2 수용부(102') 사이에 위치하여 1제(10)와 2제(20)를 서로 격리시킨다. 격리부(103')는 제1 수용부(101)나 제2 수용부(102)와는 별개의 부재(예컨대, 얇은 막)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01')의 바닥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열부(104')는 캡(105')과 분리되어 있고, 제1 수용부(101')에 다소 빡빡하게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5')이 제거된 상태에서 파열부(104')의 상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파열부(104')는 제1 수용부(101')의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파열부(104')는 격리부(103')를 파열시키고, 격리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1제(10)와 2제(20)는 서로 혼합된다. 파열부(104')의 끝부분은 격리부(103')를 파열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파열부(104')는 가능한 한 격리부(103')를 넓은 면적에 걸쳐 파열시키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편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날카로운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파열부(104')는 끝부분이 뾰족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01')의 스크류가 풀려서 제2 수용부(10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빠져나왔을 때 배출구(101'a)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00')에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제(10)와 상기 2제(20)의 혼합에 따른 혼합 발포 세정제는 배출구(101'a)를 통해 용기 본체(100')의 외부로 서서히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세정 용기는, 사용자가 캡(105')을 제거한 상태에서 파열부(104')의 상단에 대하여 푸쉬 조작을 하여 파열부(104')를 전진시켜 격리부(103')를 파열시킴으로써 1제(10)와 2제(20) 간의 격리 상태를 해제한다. 격리부(103')가 파열되면 제1 수용부(101')에 있는 분말상의 1제(10)와 제2 수용부(102)에 있는 액상의 2제(20)가 서로 혼합되어 발포 세정제가 형성된다.
1제(10)와 2제(20)의 혼합에 의해 발포 세정제가 만들어진 후에는 제1 수용부(101')를 열리는 방향으로 돌려서 배출구(102'a)를 외부로 살짝 노출시킴으로써 혼합 발포 세정제가 용기 본체(100')를 빠져나와 외부 방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혼합 발포 세정제의 외부 방출이 가능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200)에 거꾸로 세워서 배치하면 혼합 발포 세정제가 장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배수관의 유입공(201)을 통해 주입되어 세정 및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세정 용기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에서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 1제와 2제를 격리 수용하되, 상호 분리된 상태로 제공된다.
사용 시에는 도 10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110)에 제2 수용부(120)가 결합되어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제2 수용부(120)에 구비된 파열부(125)에 의해 제1 수용부(110)의 격리부(111)가 파열되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가 서로 연통됨으로써 1제와 2제가 서로 혼합되어 발포 세정제가 형성된다. 이때, 제1 수용부(110)의 격리부(111)는 제2 수용부(120)의 파열부(125)가 스크루 결합 또는 푸쉬 조작에 의한 물리력에 의해 제1 수용부(110)에 삽입됨에 따라 파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제2 수용부(120)의 끝부분에 소정의 격리부(격리막)가 마련되고 삽입 과정에서 손상됨으로써 파열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2제가 배출되어 제1 수용부(110)에 수용된 1제와 혼합될 수도 있다.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200)에 배치하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 사이의 틈을 통해 혼합 발포 세정제가 장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배출되면서 배수관의 유입공(201)을 통해 주입되어 세정 및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1제 20: 2제
100,100': 용기 본체 101,101',110: 제1 수용부
102,102',120: 제2 수용부 101'a,102a: 배출구
103,103',111: 격리부 104,104',125: 파열부
105,105': 캡 106: 틈새
200: 배수관 입구

Claims (8)

  1.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에 있어서,
    1제와 2제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또는 제2 수용부의 일면에 구비된 격리부; 및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서로 결합되어 물리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격리부를 파열시켜 상기 1제와 상기 2제가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파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결합체가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1제와 상기 2제의 혼합에 따른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되,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는 상호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결합되어 체결이 될 때 상기 1제와 2제가 혼합되어 발포 세정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 결합 또는 푸쉬 조작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상기 파열부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상기 2제 중 어느 하나는 분말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액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배수관 세정용 세정 용기를 사용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에 있어서,
    (a) 1제와 2제가 각각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세정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정 용기를 싱크대의 배수관 입구에 배치하여 상기 세정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1제와 2제가 서로 격리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결합되어 있는 세정 용기를 준비하고,
    상기 단계 (b)에서, 물리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간의 격리부를 손상시켜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스크류 결합 또는 푸쉬 조작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상기 격리부가 파열되어 상기 1제와 상기 2제를 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는 상호 분리되어 있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간의 결합과 함께 상기 1제와 상기 2제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세정 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혼합 발포 세정제를 상기 배수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KR1020200062340A 2020-05-25 2020-05-25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KR10225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0A KR102250900B1 (ko) 2020-05-25 2020-05-25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40A KR102250900B1 (ko) 2020-05-25 2020-05-25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519A Division KR102120928B1 (ko) 2017-11-06 2017-11-07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36A KR20200060336A (ko) 2020-05-29
KR102250900B1 true KR102250900B1 (ko) 2021-05-10

Family

ID=7091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40A KR102250900B1 (ko) 2020-05-25 2020-05-25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0461A (ja) 2006-12-15 2008-07-03 T Hasegawa Co Ltd 排水口またはパイプ用粘性洗浄剤
US20080276359A1 (en) * 2007-05-09 2008-11-13 Morgan Terra J Drain clog remover
KR200476070Y1 (ko) * 2013-01-14 2015-01-28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KR101505593B1 (ko)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US20170225855A1 (en) 2015-10-29 2017-08-10 Tervis Tumbler Company Drinking vessels including devices for providing a mixed liqui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491A (en) * 1989-02-28 1990-11-13 Nch Corporation Acid drain opening system
ID19143A (id) * 1996-12-14 1998-06-18 Calfarme Singapore Pte Ltd Metoda dan katup penyalur cairan
US6660702B2 (en) 2000-12-08 2003-12-09 The Clorox Company Binary foaming drain cleaner
JP2003117514A (ja) * 2001-08-08 2003-04-22 Kawai:Kk 配管の管詰り除去及び清掃機並びに配管の清掃方法並びに圧縮空気漏洩阻止部材
KR101298792B1 (ko) * 2011-07-21 2013-08-22 방도영 막힌 하수관을 뚫는 방법
CN103516838A (zh) 2012-06-29 2014-01-1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终端设备
KR20160012490A (ko) * 2014-07-24 2016-02-03 이재학 이종물질 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0461A (ja) 2006-12-15 2008-07-03 T Hasegawa Co Ltd 排水口またはパイプ用粘性洗浄剤
US20080276359A1 (en) * 2007-05-09 2008-11-13 Morgan Terra J Drain clog remover
KR200476070Y1 (ko) * 2013-01-14 2015-01-28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KR101505593B1 (ko)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US20170225855A1 (en) 2015-10-29 2017-08-10 Tervis Tumbler Company Drinking vessels including devices for providing a mixed liqui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36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8575A (ko) 액체 저장 장치
JPWO2010044442A1 (ja) 流体容器ユニット
EP118574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KR102250900B1 (ko)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FI84161C (fi) Distributions- och blandningsanordning, som kan infogas i en behaollare, speciellt en vaetskebehaollare.
KR102120928B1 (ko) 싱크대의 배수관 세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세정 용기
JP2000072185A (ja) 二液混合容器
JP2000062788A (ja) 二液混合容器
WO2004113184A3 (fr) Dispositif de liberation d'une matiere liquide ou pulverulente dans un emballage etanche et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JP2000313484A (ja) 開封時2液混合容器
EP2620383B1 (en) Device for the preservation of substances to be kept separate until their application
KR101460453B1 (ko) 버블발생부를 갖는 마개구조
KR101406591B1 (ko)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KR200425347Y1 (ko) 액상내용물의 정량 배출 용기
JP2004124433A (ja) トイレ用薬剤供給容器
JP2942173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434423Y1 (ko) 손잡이붙이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87003Y1 (ko) 파우치용 펀칭 캡
KR100891939B1 (ko) 액상용기
KR101894592B1 (ko) 브러쉬를 구비하는 클랜징크림용 용기
KR20170111726A (ko)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JPH05442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