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74B1 -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74B1
KR102250274B1 KR1020190043356A KR20190043356A KR102250274B1 KR 102250274 B1 KR102250274 B1 KR 102250274B1 KR 1020190043356 A KR1020190043356 A KR 1020190043356A KR 20190043356 A KR20190043356 A KR 20190043356A KR 102250274 B1 KR102250274 B1 KR 10225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p
curing
wedge
mold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430A (ko
Inventor
방인식
Original Assignee
(주)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광 filed Critical (주)대광
Priority to KR102019004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7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 운반 및 설치되는 궤도구조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하는 몰드에 있어서, 궤도가 설치되는 험프 부분이 양생되는 험프몰드의 위치를 조건에 따라 수평과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한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험프몰드를 주조할 필요 없이 단일한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Hump Mold for Precast Slab Track}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 운반 및 설치되는 궤도구조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하는 몰드에 있어서, 궤도가 설치되는 험프 부분이 양생되는 험프몰드의 위치를 조건에 따라 수평과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한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험프몰드를 주조할 필요 없이 단일한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은 철로 하부의 콘크리트 패널을 공장에서 사전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고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궤도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현장타설식 궤도구조에 비해 고품질, 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이 용이하고 인력 감축 및 고속 시공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궤도 하부에 하중을 지지하는 돌출부인 험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이 설치될 수 있는 직선 및 곡선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에 형성되는 험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프레임에 미경화 콘크리트를 부어 경화시킬 때 프레임에 구비된 험프몰드에 의해 험프가 양생되며, 양생된 험프는 궤도의 하부에 형성되어 궤도에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험프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의 곡률, 경사 등의 설계에 따라 그 위치와 각도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선 궤도 구간에서 험프(H)의 배치가 다르게 설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도 3의 (a)와 (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궤도의 곡률에 따라 내외측 경사도가 상이하여 양 험프를 잇는 평활부의 기울기가 달라지도록 험프가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험프 형상이 설계되고, 양생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설계된 험프의 위치와 각도가 다른 것과 대비하여 험프몰드는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바, 고정된 험프몰드와 험프몰드를 수용하는 험프박스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험프를 양생하여야 했으며, 이에 따라 험프몰드를 주조하는 비용이 증가하였고 험프몰드의 형상과 각도에 있어서 차이가 미세함에 따라 이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관련업계에서는 궤도가 설치되는 험프 부분이 양생되는 험프몰드의 위치를 조건에 따라 수평과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한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험프몰드를 주조할 필요 없이 단일한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4913호(2004.08.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 트랙 양생 시 험프가 양생되도록 구비된 양생부, 상기 양생부를 수용하고 몰드에 위치시키는 험프박스, 상기 양생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가공하는 몰드조절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양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드조절수단은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 및/또는 험프박스를 수평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양생되는 험프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험프박스의 양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험프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과도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몰드조절수단은 수직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양생되는 험프의 수직위치 및/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양생부와 험프박스 사이에 구비된 쐐기를 포함하여 상기 쐐기의 거동에 따라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험프박스 내에 수용된 험프몰드를 손쉽게 조정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쐐기의 양생부와 접하는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쐐기의 수평이동에 따라 험프몰드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쐐기는 제1쐐기와 제2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험프몰드의 일측 수직위치를 조절하여 각도를 변화시키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중앙 부분이 함입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의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쐐기의 이동에 따른 험프몰드의 조절이 편리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일측으로부터 함입된 중앙 부분까지의 경사 각도가 균일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쐐기의 거동에 따라 일정한 높이변화를 나타내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 및/또는 제2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제2쐐기 및/또는 제1쐐기가 수평이동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이동부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갖고, 상기 통공 내부를 제2이동부가 관통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고 쐐기의 거동 조절이 정확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는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기준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험프몰드의 위치조절이 편리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험프박스의 일측으로부터 험프박스를 관통하여 타측에 수용된 양생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생시 험프몰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라브 트랙 양생 시 험프가 양생되도록 구비된 양생부, 상기 양생부를 수용하고 몰드에 위치시키는 험프박스, 상기 양생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가공하는 몰드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몰드조절수단은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 및/또는 험프박스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평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에 연결된 수평조절수단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조절수단 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험프박스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험프박스의 양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몰드조절수단은 수직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양생부와 험프박스 사이에 구비된 쐐기를 포함하여 상기 쐐기의 거동에 따라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쐐기의 양생부와 접하는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쐐기는 제1쐐기와 제2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중앙 부분이 함입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의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일측으로부터 함입된 중앙 부분까지의 경사 각도가 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 및/또는 제2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제1쐐기 및/또는 제2쐐기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이동부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갖고, 상기 통공 내부를 제2이동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는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기준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험프박스의 일측으로부터 험프박스를 관통하여 타측에 수용된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라브 트랙 양생 시 험프가 양생되도록 구비된 양생부, 상기 양생부를 수용하고 몰드에 위치시키는 험프박스, 상기 양생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가공하는 몰드조절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양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몰드조절수단은 수평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 및/또는 험프박스를 수평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양생되는 험프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험프박스의 양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험프의 수평위치를 조절하여 과도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몰드조절수단은 수직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를 조절하여 양생되는 험프의 수직위치 및/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양생부와 험프박스 사이에 구비된 쐐기를 포함하여 상기 쐐기의 거동에 따라 양생부의 높이 및/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험프박스 내에 수용된 험프몰드를 손쉽게 조정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쐐기의 양생부와 접하는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쐐기의 수평이동에 따라 험프몰드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쐐기는 제1쐐기와 제2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험프몰드의 일측 수직위치를 조절하여 각도를 변화시키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중앙 부분이 함입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의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쐐기의 이동에 따른 험프몰드의 조절이 편리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일측으로부터 함입된 중앙 부분까지의 경사 각도가 균일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쐐기의 거동에 따라 일정한 높이변화를 나타내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 및/또는 제2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제2쐐기 및/또는 제1쐐기가 수평이동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갖고, 상기 통공 내부를 제2이동부가 관통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조작이 편리하고 쐐기의 거동 조절이 정확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는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기준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험프몰드의 위치조절이 편리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험프박스의 일측으로부터 험프박스를 관통하여 타측에 수용된 양생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양생시 험프몰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사시도.
도 2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이 설치될 수 있는 직선 및 곡선 트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에 형성되는 험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하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부, 험프박스,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험프박스와 수평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험프박스와 수직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쐐기와 양생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조절수단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D-D'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있어서 양생부가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있어서 양생부가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간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끼리 직접 접촉하며 체결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체결되어있지 않더라도 소정의 힘이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이 설치될 수 있는 직선 및 곡선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에 형성되는 험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는 궤도가 설치되는 험프 부분이 양생되는 험프몰드의 위치를 조건에 따라 수평과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한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험프몰드를 주조할 필요 없이 단일한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는 양생부(10), 프레임(40), 험프박스(50), 스토퍼(60) 및 상기 양생부(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몰드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몰드조절수단은 수평조절수단(70) 및 수직조절수단(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부(1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양생부(10)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양생 시 콘크리트와 접하면서 트랙에 형성되는 험프를 양생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에서 궤도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험프가 형성될 수 있다. 양생부(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주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11), 하면(13), 측면(15)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상면(11)은 콘크리트 슬라브 패널 양생시 미경화 콘크리트와 접하는 부분으로, 미경화 콘크리트가 상면(11)에 접한 채로 경화되어 상면(11)의 표면형상에 따라 상응하는 표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험프 몰드에 의해 양생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되 험프 부분이 튀어나오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상면(11)은 이와 상응하도록 험프가 양생되는 부분이 함입되도록 굴곡져 있는 것이 필요하다. 상면(11)은 굴곡부(111), 험프경계부(113), 평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111)는 미경화 콘크리트가 경화될 시 험프가 양생되도록 함입되어 굴곡진 부분이다. 궤도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돌출된 형상의 험프가 좌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상면(11)에서도 험프가 좌우로 형성되도록 굴곡부(111a, 111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굴곡부(111a, 111b)는 사전에 설계된 험프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같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양생되는 험프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호의 형태를 띄거나 험프의 구간별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는 바, 본원발명의 굴곡부(111a, 111b) 또한 이와 상응하도록 구간별로 다른 곡률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험프경계부(113)는 후술하는 평활부(115)와 굴곡부(111)를 구분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험프경계부(113a, 113b)가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평활부(115)와 각 굴곡부(111a, 111b)를 구분지으면서 양생 시 콘크리트가 소정 깊이 함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험프경계부(113)가 돌출되지 않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평활부(115)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 패널의 콘크리트 양생 시 평활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활부(115)는 전체적으로 평활한 면을 가지면 족하며, 양 굴곡부(111a, 111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면(13)은 양생부의 일면을 규정하며, 후술하는 쐐기(81) 및 수직조절수단(83)과 함께 양생부의 수직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면(13)은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31)과 체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1)은 후술하는 쐐기(81)의 수평이동에 따라 양생부(10)의 수직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1경사면(131a)과 제2경사면(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31)은 하면(13)의 양 외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양생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져 각 경사면(131a,b)이 중앙에서 만나도록 형성되어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쐐기(81)의 윗면은 그 형상이 경사면(131)과 상응하도록 구비되며, 쐐기(81)의 수평이동에 따라 양생부(10)가 밀어올려지거나 내려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생부(10)의 수직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하나의 경사면(131)은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쐐기(81)가 이동함에 따라 하면(13)과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33)는 양 경사면의 양 끝단에서 외측을 향해 대략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1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험프몰드(1)가 그 위치 조절을 완료한다면, 미경화 콘크리트를 부어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험프박스(50)와 양생부(10)를 일체로 체결하여 콘크리트 양생 시 그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을 구비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체결수단을 수용하여 험프박스(50)와 체결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13)은 길이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함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중앙을 중심으로 경사면(131a,131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때 두 경사면(131a,131b)의 경사 각도는 서로 같을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하면의 함입된 형상에 따라, 상기 양생부(10)는 후술하는 쐐기(8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직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체결부(133)와 체결공(135)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여 체결이 편리하고 경제적일 수 있다.
도 9는 하면(13)의 여러 형태에 따른 상기 양생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의 경우 본원발명과 같은 양생부(10) 단면을 가지며, (b)와 (c)의 경우에도 하면의 경사면(131)과 쐐기(81)의 상호작용에 따라 양생부(10)가 수직이동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경우와 다른 형상을 가진 하면 경사면(131)이라도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측면(15)은 상면(11) 및 하면(13)과 함께 상기 양생부(10)를 규정한다. 후술하는 험프박스(50)는 상기 양생부(10)를 수용하고, 수용하는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측면(15)은 바람직하게는 평탄하도록 형성되어 양생부(10)의 4개의 옆면을 형성하여 양생부(10)의 평면이 직사각형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15)은 그 일부가 상면(11)의 경계를 넘어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형상을 유지하도록 거푸집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151), 상면의 경계를 넘지 않고 상면(11)과 하면(13) 사이에서 형성되는 부분(153)은 상기 양생부(10)의 부피 또는 형태를 규정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40)은 미경화 콘크리트를 수용하고 콘크리트의 경화 시 전체적으로 평평한 패널을 형성하도록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되, 중간에 양생부(10)와 후술하는 험프박스(50), 스토퍼(60) 등을 수용하여 해당 부분에서 험프가 양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40)은 몰드플레이트(41)와 외측패널(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플레이트(41)는 프레임(40)의 주된 구성요소로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양생 시, 몰드플레이트(41)의 상부에 미경화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를 양생하게 되고, 소정 부위에 공동을 형성하여 해당 부분에서 양생부(10), 험프박스(50), 스토퍼(60)를 수용하여 굴곡이 있는 험프를 양생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측패널(43)은 바람직하게는 양생부(10) 및 이를 수용하는 험프박스(50)의 측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패널(43)은 C형 강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몰드플레이트(41)와 소정의 결합방법을 통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몰드플레이트(41)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외측패널(43)은 통공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71),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831) 및 제2이동부(833)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부(10), 험프박스(50), 스토퍼(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상기 험프박스(50)는 상기 양생부(10)를 수용하고 험프몰드(1)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생부(10)는 주조로 형성됨에 따라 단일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양생부(10)가 바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설계조건에 따라 양생부(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양생부(10)를 수용하는 험프박스(50)를 구비하되, 험프박스(50) 내에서 양생부(10)가 이동하거나, 또는 양생부(10)를 수용한 험프박스(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에서 설계한 여러 조건의 험프를 양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험프박스(50)는 몸체(51), 수용부(53), 박스단부(55), 체결공(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51)는 험프박스(50)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몸체(51)가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구비됨에 따라 수용부(53)를 형성하면서 양생부(10)를 수용할 수 있다. 몸체(51)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윗면이 개구부인 직육면체 형상을 띌 수 있다. 그러나 직육면체 형상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험프박스(50)에 수용되는 양생부(10)의 형상에 따라 몸체(51)의 형상도 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수용부(53)는 험프박스(50) 내에 형성된 공간으로, 양생부(10)를 수용하여 그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53)는 그 깊이가 양생부(10)보다는 어느 정도 깊을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생부(10)의 높이보다 수용부(53)의 깊이가 22mm 이상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박스단부(55)는 몸체(51)의 상단에 절곡되어 구비되며, 그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스단부(55)는 최소한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스토퍼(60)와의 작용에 있어서 험프박스(50)가 스토퍼(60)가 안내하는 가동범위 내에서 거동하며 해당 범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57)은 바람직하게는 험프박스 몸체(51)의 하면에 형성되며, 일측에서 체결수단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체결공(57)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단면도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험프박스 몸체(51)의 하면 중 네 귀퉁이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험프몰드(1)에 있어서 양생부(10)의 위치 조절을 완료한다면, 미경화 콘크리트를 부어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험프박스(50)와 양생부(10)를 일체로 체결하여 콘크리트 양생 시 그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공(57)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을 구비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체결수단을 수용하여 양생부(10)와 체결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무방하다.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험프박스(50)의 양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스토퍼(60)는 험프박스(50)의 양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스토퍼(60)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 인하여 험프박스(50)가 해당하는 범위만큼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양생되는 험프의 수평위치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토퍼(60)간의 거리가 험프박스의 길이보다 8mm 길도록 구비됨으로써 험프박스(50)는 8mm의 범위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범위만큼 험프의 수평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0)는 스토퍼플레이트(61)와 단턱(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플레이트(61)는 스토퍼(60)의 몸체를 이루며,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프레임(40) 중 몰드플레이트(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험프박스(50)의 박스단부(55)는 몰드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지 않고 스토퍼(60)의 여유공간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63)은 스토퍼플레이트(61)의 일단에서 턱을 이루고, 험프박스(50) 또는 박스단부(55)가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여유공간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토퍼(60)가 여유공간을 8mm 구비하고 있다면, 단턱(63)은 그 길이가 8mm 이상이 되도록 연장되어 험프박스(50) 또는 박스단부(5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수단(70)은 양생부(10) 또는 험프박스(50)를 수평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가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경우, 양생부(10)가 수용된 험프박스(50)는 몰드 플레이트에 부착된 스토퍼(60)가 안내하는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 프레임은 그 크기와 하중이 매우 크므로 프레임(40)의 밑에서 험프박스(50)를 포함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수평조절수단(70)을 통하여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조절수단(70)은 이동부(71)와 가이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험프박스(50), 이동부(7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71)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형태를 가지며, 일단은 험프박스(50) 또는 양생부(10)에 와셔 등을 이용해서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험프박스(50) 또는 양생부(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부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는 일단과 타단 그리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연장되는 봉 형태를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부(73)와의 연동을 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적어도 일정 부분 이상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경우 프레임의 밑에서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바, 이동부(71)의 이동을 통해 험프박스(50)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73)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프레임 또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패널(43)에 형성되는 중공형 관이다. 상기 가이드부(73)는 상기 이동부(71)가 관통하도록 중공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중공을 둘러싸는 내주면은 암나사산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71)는 상기 가이드부(73)를 관통하여 상기 험프박스(50) 또는 양생부(10)의 측면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71)가 상기 가이드부(73)를 관통할 때 이동부(71)의 숫나사산은 가이드부의 암나사산에 의해 나사결합을 유지한 채 회전하므로, 이동부(71)를 회전시키면 험프박스(50) 또는 양생부가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수직조절수단(80)은 험프박스(50) 내에 수용된 양생부(10)의 수직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경우 양생부(10)가 험프박스(50) 내로 수용되어 구비되고, 이를 직접 상하로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매커니즘을 가진 수직조절수단(80)을 통하여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의 수평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조절수단(80)은 쐐기(81)와 이동부(83) 및 가이드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험프박스(50), 쐐기(81), 이동부(83) 및 가이드부(8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쐐기(81)는 양생부(10)와 험프박스(5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쐐기(81)는 바람직하게는 양생부(10)와 접하는 상면이 양생부(10)의 하면(13)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됨으로써, 쐐기(81)의 수평이동에 따라 양생부(10) 하면(13)의 빗면운동을 통해 양생부(1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쐐기(81)는 제1쐐기(811)와 제2쐐기(8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생부 하면(13)은 중앙이 함입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므로, 하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경사면(131a,13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쐐기(811)는 제1경사면(131a)과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제2쐐기(813)는 제2경사면(131b)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쐐기(811) 및 제2쐐기(813)는 후술하는 수직조절수단의 이동부(83)의 조작에 따라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각 쐐기가 독립적으로 거동할 수 있음에 따라 양생부(10)는 쐐기의 수평이동에 의해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고, 나아가 그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쐐기(81) 및 양생부(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쐐기(81)는 양생부 하면(13)의 형상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양생부 하면(13)이 달라짐에 따라 그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쐐기(81)의 단면 및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4의 (a)의 경우 경사면(131)이 중앙으로 함입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본원발명과 같은 쐐기(81) 단면을 가지며, (b)와 (c)의 경우에서도 경사면(131)의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쐐기(81)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131)과 쐐기(81)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양생부(10)의 수직이동이 야기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경우와 다른 형상을 가진 쐐기(81)라도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상기 이동부(83)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부(831)와 제2이동부(83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의 D-D'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이하를 설명하면, 제1이동부(831)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형태를 가지며, 일단은 제1쐐기(811)에 와셔 등을 이용해서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쐐기(811)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부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한다. 특히, 제1이동부(831)는 앞서 본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71)와 달리 중공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이동부(831)는 일단과 타단 그리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연장되는 봉 형태를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부(85)와의 연동을 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적어도 일정 부분 이상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85)는 제1가이드부(8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851)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의 프레임(40) 또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외측패널(43)에 형성되는 중공형 관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851)는 상기 제1이동부(831)가 관통하도록 중공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중공을 둘러싸는 내주면은 암나사산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831)는 상기 제1가이드부(851)를 관통하여 제1쐐기(811)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부(831)가 상기 제1가이드부(851)를 관통할 때 제1이동부의 숫나사산은 제1가이드부의 암나사산에 의해 나사결합을 유지한 채 회전하므로, 제1이동부(831)를 회전시키면 제1쐐기(811)가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양생부의 하면의 경사면(131a)이 상기 제1쐐기의 경사면에 접하기 때문에, 제1쐐기(811)가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그 이동방향에 따라 제1쐐기와 접하는 부위의 양생부가 상측으로 상승이동을 하거나 하측으로 하강이동을 하게 된다.
제2이동부(833)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형태를 가지며, 일단은 제2쐐기(813)에 와셔 등을 이용해서 자유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제2쐐기(813)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부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가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제2이동부(833)는 일단과 타단 그리고 일단과 타단 사이에 연장되는 봉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부(831)의 중공을 관통하며 후술하는 제2가이드부(853)와의 연동을 위하여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적어도 일정 부분 이상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85)는 제2가이드부(85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853)는 상기 제2이동부(833)가 관통하도록 중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공을 둘러싸는 내주면은 암나사산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853)는 바람직하게는 험프박스(50)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2이동부(833)가 상기 제2가이드부(853)를 관통하여 제2쐐기(81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부(833)는 상기 제2가이드부(853)를 관통하여 제2쐐기(813)에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부(833)가 상기 제2가이드부(853)를 관통할 때 제2이동부의 숫나사산은 제2가이드부의 암나사산에 의해 나사결합을 유지한 채 회전하므로, 제2이동부(833)를 회전시키면 제2쐐기(813)가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양생부의 하면의 경사면(131b)이 상기 제2쐐기의 경사면에 접하기 때문에, 제2쐐기(813)가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 그 이동방향에 따라 제2쐐기와 접하는 부위의 양생부가 상측으로 상승이동을 하거나 하측으로 하강이동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이동부(831)와 제2이동부(833)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1쐐기(811)와 제2쐐기(813)의 수평이동 정도가 달라지고, 각각의 제1쐐기와 제2쐐기에 접하는 양생부의 경사면(131a)과 경사면(131b)의 수직상승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다양한 각도를 가진 슬라브 트랙을 하나의 몰드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에 있어서 양생부(10)가 하강하도록 수직위치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상기 양생부(10)가 상승하도록 수직위치를 조절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제1쐐기(811)와 제2쐐기(813)를 중앙 부분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제1이동부(831) 및 제2이동부(833)를 회전하여 조절하면, 양생부 하면(13)이 각 쐐기(811,813)의 이동에 따라 하강하게 되고, 제1쐐기(811)와 제2쐐기(813)을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면 양생부 하면(13)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양생부(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체결수단을 통해 험프박스(50)와 양생부(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미경화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써 험프의 위치, 높이, 기울기가 설계된 조건대로 다양하게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간의 결합 내지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1)는 궤도가 설치되는 험프 부분이 양생되는 험프몰드의 위치를 조건에 따라 수평과 수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한 조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험프몰드를 주조할 필요 없이 단일한 험프몰드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을 양생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생부 11: 상면
111: 굴곡부 113: 험프경계부
115: 평활부 13: 하면
131: 경사면 133: 체결부
135: 체결공 15: 측면
40: 프레임
41: 몰드플레이트 43: 외측패널
50: 험프박스
51: 몸체 53: 수용부
55: 박스단부 57: 체결공
60: 스토퍼
61: 스토퍼플레이트 63: 단턱
70: 수평조절수단
71: 이동부 73: 가이드부
80: 수직조절수단
81: 쐐기 83: 이동부
831: 제1이동부 833: 제2이동부
85: 가이드부 851: 제1가이드부
853: 제2가이드부

Claims (14)

  1. 철로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에 있어서,
    슬라브 트랙 양생 시 험프가 양생되도록 구비된 양생부, 상기 양생부를 수용하고 몰드에 위치시키는 험프박스, 상기 양생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의 험프를 양생하는 몰드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조절수단은 상기 양생부와 험프박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조절수단, 상기 양생부의 높이와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수직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조절수단은 상기 양생부와 험프박스 사이에 구비된 쐐기를 포함하여 상기 쐐기의 거동에 따라 양생부의 높이와 각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수단은 일단이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에 연결된 수평조절수단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조절수단 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험프박스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험프박스의 양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의 하면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쐐기의 양생부와 접하는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제1쐐기와 제2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중앙 부분이 함입되도록 경사지어 형성되고,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의 상면은 양생부의 하면과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의 하면은 경사면의 외측 일단으로부터 함입된 중앙 부분까지의 경사 각도가 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쐐기와 제2쐐기는 각각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 및/또는 제2이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제1쐐기 및/또는 제2쐐기가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을 갖고, 상기 통공 내부를 제2이동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수평조절수단의 이동부, 수직조절수단의 제1이동부 및 제2이동부는 상기 험프박스의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패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험프박스와 양생부는 하면에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험프박스의 일측으로부터 험프박스를 관통하여 타측에 수용된 양생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KR1020190043356A 2019-04-12 2019-04-12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KR10225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6A KR102250274B1 (ko) 2019-04-12 2019-04-12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6A KR102250274B1 (ko) 2019-04-12 2019-04-12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30A KR20200120430A (ko) 2020-10-21
KR102250274B1 true KR102250274B1 (ko) 2021-05-10

Family

ID=7303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56A KR102250274B1 (ko) 2019-04-12 2019-04-12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551Y1 (ko) 2003-05-21 2003-09-19 (주)국민유로폼 거푸집 수평 조절 장치
KR100642301B1 (ko) * 2005-06-08 2006-11-02 은성맨홀 주식회사 인조석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517B1 (ko) * 2012-10-08 2012-11-30 (주)대우건설 비정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제작용 거푸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103B1 (ko) * 2009-11-18 2012-07-20 성윤모 형태변형이 가능한 거푸집을 이용한 부유식 함체 제작방법 및 장치
KR101434913B1 (ko) 2014-07-04 2014-08-2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551Y1 (ko) 2003-05-21 2003-09-19 (주)국민유로폼 거푸집 수평 조절 장치
KR100642301B1 (ko) * 2005-06-08 2006-11-02 은성맨홀 주식회사 인조석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517B1 (ko) * 2012-10-08 2012-11-30 (주)대우건설 비정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제작용 거푸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30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219413U (zh) 一种桥梁支座垫石可调节模板装置
CN110394883A (zh) 预制混凝土板的支模结构
US6431254B2 (en) Apparatus for casting a molded part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102250274B1 (ko)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험프몰드
KR200386934Y1 (ko)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KR102255900B1 (ko) 경량 험프몰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몰드
RU26708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тья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KR102257385B1 (ko) 프리캐스트 슬라브 트랙용 경량 험프몰드
CN209937202U (zh) 一种可调弧度预制混凝土成型模具
KR100619466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측면 보강시설
US1521526A (en) Nozzle of the ladle for steel casting
KR20060104506A (ko)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TW202128312A (zh) 配置於冶金容器出口之用於變換裝置之耐火鑄造噴嘴
KR101906200B1 (ko) 거푸집 반개폐 안전 스토퍼
KR200326551Y1 (ko) 거푸집 수평 조절 장치
CN205369911U (zh) 构造柱钢模板
JP2974605B2 (ja)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2578180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609755B1 (ko) 중량 조절이 가능한 주물틀
CN209653424U (zh) 墙体纵筋位置处的楼板用的标高控制装置
CN209665708U (zh) 一种降低耗材的承重梁模具
KR200397246Y1 (ko)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
KR200291493Y1 (ko) 벽거푸집과 슬래브거푸집 연결구조
JPS5953983B2 (ja) 滑揚型枠用ヨ−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