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506A -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 Google Patents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506A
KR20060104506A KR1020050026729A KR20050026729A KR20060104506A KR 20060104506 A KR20060104506 A KR 20060104506A KR 1020050026729 A KR1020050026729 A KR 1020050026729A KR 20050026729 A KR20050026729 A KR 20050026729A KR 20060104506 A KR20060104506 A KR 2006010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formwork
corn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남
Original Assignee
전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남 filed Critical 전승남
Priority to KR102005002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506A/ko
Publication of KR2006010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 E04F21/162Trowels with a blade having a notched or toothed edge

Abstract

개시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은, 절곡형성된 측판과, 이 측판과 일체로 연결되어 측판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보강판을 포함하는 측판부와; 이 측판부의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 및 측판부를 서로 대칭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에 의하면,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게와 부피를 줄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운반과 적체가 용이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을 제공할 수 있다.
거푸집, 코너

Description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A width-adjustable form for coner depar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이 연결수단에 의하여 형태가 변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측판 111... 돌출부
112, 131... 핀홀 113... 끼움홈
114... 타이바 115... 끼움홀
120... 보강판 130... 측판부
132... 연결핀 140a, 140b... 상판
150a, 150b... 하판 160a, 160b... 수평보강판
170... 연결수단 200... 코너부 거푸집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신·증축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되는 코너부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Concrete)가 경화하는 동안 정해진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과 콘크리트가 굳기 전까지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해체되는 가설물이다.
게다가,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하중 또는 동하중과 같은 각종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변형이 없어야 하며, 형상과 치수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도록 정밀성과 수용성이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은 가공·조립·해체 및 운반·취급·적치가 용이해야한다.
한편, 코너부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위해서는 "ㄱ"자형 단면을 갖는 코너부 거푸집이 필요한데, 이 코너부 거푸집은 벽체의 안쪽 코너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인코너(Incorner) 거푸집과, 벽체의 바깥쪽 코너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아웃코너(Outcorner) 거푸집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코너부 거푸집은 "ㄱ"자로 절곡된 몸체부와 측판부, 상판, 보강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각각 용접고정시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코너부 거푸집은 상기 각각의 측판부와 상판 및 하판 등 각 부분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만들기 때문에 그 작업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각부분을 용접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타설 후 거푸집의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작업공정을 단축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코너부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폭조절이 가능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 운반 및 취급 등이 용이한 폭조절이 가능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은, 절곡형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보강판을 포함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측판부를 서로 대칭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측판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코너부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이 형성된 수평보강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 각각의 상기 측판부 의 일측에 구비된 상판과 하판 및 수평보강판은, 서로 일정부분 겹쳐져 일치하는 상기 핀홀에 연결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부와 상판과 하판과 연결부재 및 수평보강판은 철 또는 알루미늄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 절곡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타이바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절곡되어 상기 측판의 각 단부와 결합하는 스프링철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측판에는 해체를 하기 위한 지렛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홀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200)은, 콘크리트 타설시 코너부의 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측판부(130)와 상판(140a, 140b)과 하판(150a, 150b) 및 상기 측판부(13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170)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부(130)에는 "ㄱ"자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측판(110)과, 상기 측판(1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110)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보강판(120)을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측판부(130)에는, 상기 상판(140a, 140b)과 하판(150a, 150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200)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판부(130)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131)이 형성된 수평보강판(160a, 160b)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170)은, 한쪽 모서리가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으로 상기 측판부(130) 2개를 서로 대칭이 되도록 연결시킨다. 그렇게 되면, 상기 측판부(130)의 일측에 구비된 상판(140a, 140b)과 하판(150a, 150b) 및 수평보강판(160a, 160b)은 서로 일정부분 겹쳐지게 되고, 이 때 서로 일치하는 각 핀홀(131)에 연결핀(132)을 삽입시켜 전체 코너부 거푸집(200)의 틀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측판(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h; 도 2참조)로 절곡 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돌출부(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1)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홈(1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13)에는 다른 거푸집과의 간격설정을 위한 타이바(114)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측판(110)에는, 인접되어지는 다른 거푸집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핀(132)이 체결되는 다수의 핀홀(112)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해체할 때 사용되는 "ㄱ"자형의 지렛대(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하여 간편하고 원활하게 상기 코너부 거푸집(200)을 해체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끼움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코너부 거푸집(200)의 측판부(130)와 상판과 하판과 연결부재 및 수평보강판은 철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재질로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140a, 140b)은 상기 연결수단(170)에 의하여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 상기 각 측판부(130)에는, 상판(140a, 140b)이 각각 결합고정되어 있으며, 이 상태의 상기 각각의 상판(140a, 140b)은 일정부분이 겹쳐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상판(140a, 140b)에서 서로 일치하는 핀홀(131)에는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연결핀(132; 도 1참조)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170)은, "ㄱ"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각 측판(110)의 단부와 연결되며, 탄력성이 있는 스프링철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110)의 일측면에는 해체시 사용되는 "ㄱ"자형의 지렛대(미도시)가 간편하게 끼워질 수 있는 다수개의 끼움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코너부 거푸집(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부(130)에 형성된 끼움홀(115;도 1참조)에 지렛대를 끼워 상기 코너부 거푸집(200)을 빼냄으로써, 편리하게 해체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거푸집(200)은, 일체로 절곡형성시킨 2개의 측판(110)을 탄력성 있는 연결수단(170)을 통해 연결하고, 상판(140a, 140b), 하판(150a, 150b) 및 수평보강판(160a, 160b)을 서로 일정부분 겹쳐지게 한 다음 서로 일치하는 핀홀(131)에 연결핀(132)을 관통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모든면을 용접고정시키는 종래의 폭조절이 가능한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판(110)에는 해체시 사용되는 지렛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끼움홀(1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끼움홀에 지렛대를 삽입하여 연결부재의 탄력으로 각 측판부를 안쪽으로 오므라지게 힘을 가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상기 코너부 거푸집(200)이 해체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거푸집(200)은, 상기 측판(110)과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으로 절곡형성시킨 보강판(12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성을 더욱더 뛰어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 거푸집(200)은, 상기 측판(110)의 돌출부(111) 사이의 폭(L)이 일반 목재합판 재질에 비하여 그 폭을 줄였기 때문에, 돌출부(111)의 끼움홈(113)에 끼워지는 타이바(114)의 길이를 10mm이상 까지 더 줄일 수 있어, 원자재를 절감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와 무게가 감소하여 취급과 운반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 측판부를 스프링철판으로 연결시켜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상판과 하판 및 보강판에 형성된 핀홀을 통해 연결핀을 삽입시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돌출부 사이의 폭을 종래에 비하여 짧게 형성시키고, 타이바의 길이를 줄여줌으로써 코너부 거푸집의 무게와 부피를 줄여 운반 및 취급등이 용이하며,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절곡형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보강판을 포함하는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의 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측판부를 서로 대칭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코너부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고정되고, 일면에 핀홀이 형성된 수평보강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 각각의 상기 측판부의 일측에 구비된 상판과 하판 및 수평보강판은, 서로 일정부분 겹쳐져 일치하는 상기 핀홀에 연결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와 상판과 하판과 연결부재 및 수평보강판은 철 또는 알루미늄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 절곡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타이바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절곡되어 상기 측판의 각 단부와 결합하는 스프링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해체를 하기 위한 지렛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홀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KR1020050026729A 2005-03-30 2005-03-30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KR20060104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29A KR20060104506A (ko) 2005-03-30 2005-03-30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29A KR20060104506A (ko) 2005-03-30 2005-03-30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937U Division KR200386934Y1 (ko) 2005-04-01 2005-04-01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506A true KR20060104506A (ko) 2006-10-09

Family

ID=3763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729A KR20060104506A (ko) 2005-03-30 2005-03-30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5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91B1 (ko) * 2007-02-15 2008-01-02 (주)베이스테크 코너용 콘크리트 거푸집
KR20120033931A (ko) * 2010-09-30 2012-04-09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CN108481527A (zh) * 2018-05-21 2018-09-04 浙江庄辰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拆装的门窗框模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91B1 (ko) * 2007-02-15 2008-01-02 (주)베이스테크 코너용 콘크리트 거푸집
KR20120033931A (ko) * 2010-09-30 2012-04-09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CN108481527A (zh) * 2018-05-21 2018-09-04 浙江庄辰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拆装的门窗框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934Y1 (ko)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003025B1 (ko) 보 구조용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4594A (ko) 보 거푸집 조립체용 밀림방지 멍에
KR20060104506A (ko)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CN107842195B (zh) 一种梁模板支撑加固体系
CN110480803B (zh) 预制梁板专用成型模具
JP200928110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階段の製造方法と型枠装置
KR20110077384A (ko) 탄성체결편이 구비된 거푸집 체결핀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397209Y1 (ko) 슬라브 전단 보강용 강판
US20170241139A1 (en) Adjustable Dap Assembly
KR20100062003A (ko) 거푸집 인코너 마감부재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WO2023174514A1 (en) Precast shoe base and precast shoe
CN209837682U (zh) 一种悬空混凝土弧形模板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200354531Y1 (ko)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KR200386804Y1 (ko) 거푸집
CN209025433U (zh) 一种建筑立柱浇筑支撑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