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228B1 -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228B1
KR102250228B1 KR1020200088484A KR20200088484A KR102250228B1 KR 102250228 B1 KR102250228 B1 KR 102250228B1 KR 1020200088484 A KR1020200088484 A KR 1020200088484A KR 20200088484 A KR20200088484 A KR 20200088484A KR 102250228 B1 KR102250228 B1 KR 10225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machine room
block
unit structure
inclin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filed Critical (주)금호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0008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모듈화(modularization)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로 제작하여 기초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 각각의 단위 구조체의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기계실 PC 블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구조체; 및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어떠한 현장 조건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사용시기를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Lower drive type inclined elevator including modular hoistway}
본 발명은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모듈화(modularization)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로 제작하여 기초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 각각의 단위 구조체의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하천의 경사로, 특히 지하철 등의 경사갱도에 승강로를 마련하고 그 경사진 승강로에 카를 사행으로 승강하도록 하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비교적 단거리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적인 특성상 대부분이 하부 구동방식이 적용된다. 즉, 상 가이드레일 상에서 탑승카의 하부에 구비되는 카 롤러가, 상기 상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균형추 대차가 롤러에 의해 승강되는 하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레일 구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구축함에 있어, 먼저 경사 구간의 경사로에 기초공사인 평탄작업을 행한 후 그 평탄작업 된 경사로에 다시 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기초공사시 경사로에 단차진 부분은 메움 작업을 통하여 메운 후 경사구간 전체를 평탄작업한다.
그런 다음 상기 콘크리트층의 양측에 승강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콘크리트층 바닥면에는 레일 구조체를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특히, 상기 승강로 프레임 작업은 물론 레일 구조체의 설치작업은 현장에서 각 물품에 대하여 일일이 조립작업을 통하여 행하여 짐으로 인해 많은 인력동원과 함께 상당히 오랜 작업시간과 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기초작업은 물론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또한 지하철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됨에 따라 각종 분진은 물론 오랜 양생 기간을 거침으로 인한 공사기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아울러, 종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서 승강카 및 균형추 대차를 구동하기 위한 권상기를 포함한 각 기계부품을 구비하는 기계실 또한 승강로의 최상부 측 상부 승강장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여 시공해야 하는 제한적인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 구동방식이 적용되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96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0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7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6351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에 게시된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승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승강로는 역시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96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6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0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6351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모듈화(modularization)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로 제작하여 기초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 각각의 단위 구조체의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기계실 또한 설치 조건에 따라 승강로의 최상단 또는 승강로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승강카가 승강되는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된 승강로는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로 구간 중 최상단 또는 상기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기계실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기초작업인 평탄작업을 수행한 후 그 기계실 공간과 대응되게 제작되어 설치되는 기계실 PC 블록; 상기 기계실 PC 블록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놓일 수 있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의 양측에 측면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각각의 승강로 PC 블록, 상기 각각의 승강로 PC 블록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레일 구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구조체; 및 상기 단위 구조체의 바닥면을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 PC 블록 또는 승강로 PC 블록은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 또는 트러스(truss) 구조체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권상기에 감싸진 로프의 일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된 제1 시브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2 시브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 고정되며, 상기 권상기를 거친 로프의 타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된 제3,4 시브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5,6 시브를 거쳐 승강카의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의 최상단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권상기에 감싸진 로프의 일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된 제7 시브(sheave)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 고정되고, 상기 권상기를 거친 로프의 타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되는 제8 시브와 승강카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9 시브를 거쳐 승강카의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모듈화(modularization)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로 제작하여 기초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 각각의 단위 구조체의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어떠한 현장 조건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사용시기를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기계실 또한 설치 조건에 따라 승강로의 최상단 또는 승강로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조건에 따라 기계실 위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카가 승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승강카가 승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카가 승강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강되는 승강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경사로 구간에 기초공사인 평탄작업을 행한 후 그 평탄작업 된 경사로에 다시 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콘크리트층의 양측에 승강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콘크리트층 바닥면에는 레일 구조체를 설치하는 작업을 행한다.
특히, 상기 승강로 프레임 작업은 물론 레일 구조체의 설치작업은 현장에서 각 물품을 일일이 조립작업을 통하여 행하여 짐으로 인해 많은 인력동원과 함께 상당히 오랜 작업시간과 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기초작업은 물론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또한 지하철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수행됨에 따라 각종 분진은 물론 오랜 양생 기간을 거침으로 인한 공사기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본 발명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모듈화(modularization)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로 제작하여 기초공사가 완료된 현장에서 각각의 단위 구조체의 고정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 모듈화된 경사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승강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먼저,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로 구간 중 최상단 또는 상기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기계실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기초작업인 평탄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기계실 공간은 현상의 상황에 따라 경사로 구간 중 최상단 또는 그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 공간은 권상기와 그 권상기에 권취 된 로프를 안내하는 복수 개의 시브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면 족하다. 상기 최상단 측에는 상측 탑승장이 마련되며, 최하단 측에도 하부 탑승장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기초작업인 평탄작업은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로 구간에 후술하는 승강로 PC 블록을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공지된 방식에 의해 평탄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현장의 조건에 따라, 즉 경사로에 평탄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단차 진 공간에는 종래와 같이 메움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승강로 PC 블록의 밑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지주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최상단에 기계실을 형성하기 위한 기계실 공간은 표면에서 굴착되어 함몰될 형태이다. 또는,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기계실 공간은 표면에서 굴착된 함몰된 형태이거나 혹은 경사로로부터 단차진 공간을 종래와 같이 메움 작업할 필요없이 후술하는 승강로 PC 블록의 밑면을 받쳐지는 하는 지주와 같은 통상적인 구조를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기계실 공간이 확보된 기초작업인 평탄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기계실 공간에 그 기계실 공간과 대응되는 제작된 기계실 PC 블록(10)을 설치한다. 상기 기계실 PC 블록(10)은 별도의 제조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상태이므로 운반하여 기계실 공간에 안치한 다음 유동성을 방지하기 위한 모르타르 작업 또는 고정작업을 행하여 유동성을 방지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기계실 PC 블록(10)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놓일 수 있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의 양측에 측면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각각의 승강로 PC 블록(22)과, 상기 승강로 PC 블록(22)의 바닥면에 각각의 레일 구조체(24)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구조체(2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이 출원의 핵심 기술적 구성인 상기 단위 구조체는 통상적인 관로와 같은 형태로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놓여 고정하기 위한 바닥면과 그 바닥면의 양측에 승강카가 승강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각각의 측면이 형성되도록 별도의 제조공장에서 승강로 PC 블록을 제작한다. 상기 측면의 상부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난간 등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승강로 PC 블록(22)의 제작이 완료되면, 그 승강로 PC 블록(22)의 바닥면에 승강카(100)는 물론 균형추 대차(110)가 승강을 위한 상 가이드 레일과 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체(24) 또한 앵커 볼트나 스크류 앙카,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한다. 상기 레일 구조체는 선행기술문헌들에 개시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 하나의 단위 구조체(20)로서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한 단위 구조체(20)는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경사 구간 길이에 따라 최소 1개 또는 복수 개를 통상적인 브래킷이나 연결구 등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구조체(20)는 통상 5m를 기준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위 구조체를 상기 길이보다 짧게 할 경우, 각 단위 구조체의 연결작업이 반복 수반(隨伴)되며, 상기 길이보다 길 경우 운반 등과 같은 물류가 번거로움에 따라 상기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상기 길이 보다 더 짧거나 길게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기계실 PC 블록(10) 또는 승강로 PC 블록(22)은 거푸집 등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트러스(truss) 구조체(도시하지 않음)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 각각의 단위 구조체(20)는 그 단위 구조체의 바닥면을 평탄작업이 행하여진 경사로에 앵커 볼트, 스크류 앙카, 브래킷 등과 같은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일련의 모듈화된 승강로의 구축이 완료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카가 승강되는 승강로를 모듈화된 형태로 별도의 제조공장 등에서 제작되는 기계실 PC 블록과, 레일 구조체가 조립된 승강로 PC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위 구조체를 별도로 제작한 후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경사로 상에서 고정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승강로를 구축할 수 있다.
더욱이, 지하철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기초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모듈화된 물품을 운반과 고정작업만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승강로를 구축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로 인해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운행 또한 최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 또한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듈화된 승강로의 경우 기초공사가 수행된 어떠한 현장조건에서도 단시간 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최단시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 승강로의 구축이 완료된 시점에서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승강카(100)의 승강을 위한 기술적 구성인 제1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다시 말해서,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권상기(200)에 감싸진 로프의 일단은 기계실 PC 블록(10)에 구비된 제1 시브(sheave, 201)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2 시브(202)를 거쳐 균형추 대차(110)와 연결 고정되며, 상기 권상기(200)를 거친 로프의 타단은 기계실 PC 블록(10)에 구비된 제3,4 시브(203)(204)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5,6 시브(205)(206)를 거쳐 승강카의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기계실은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사로의 단차진 공간에 상기 단위 구조체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주가 설치된 잉여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계실 PC 블록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기계실 부스(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기계실이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되는 모듈화된 승강로에 의해 가능한 조건을 가진다. 즉,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되는 단위 구조체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기계실이 승강로의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의 승강카의 승강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승강로의 최상단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권상기(200)에 감싸진 로프의 일단은 기계실 PC 블록(10)에 구비된 제7 시브(207)를 거쳐 균형추 대차(110)와 연결 고정되고, 상기 권상기(200)를 거친 로프의 타단은 기계실 PC 블록(10)에 구비되는 제8 시브(208)와 승강카(100)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9 시브(209)를 거쳐 승강카의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최상단에 위치하는 기계실은 통상 상측 승장장으로 활용된다.
이는 전술한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설치되는 기계실에 비하여 로프의 연결 구조는 더 간단한다.
이는 현장 조건에 따라 기계실을 전술한 위치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10 : 기계실 PC 블록 20 : 단위 구조체
22 : 승강로 PC 블록 24 : 레일 구조체
100 : 승강카 110 : 균형추 대차
200 : 권상기 201 : 제1 시브
202 : 제2 시브 203 : 제3 시브
204 : 제4 시브 205 : 제5 시브
206 : 제6 시브 207 : 제7 시브
208 : 제8 시브 209 : 제9 시브

Claims (4)

  1. 승강카가 승강되는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된 승강로는,
    경사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로 구간 중 최상단 또는 상기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기계실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기초작업인 평탄작업을 수행한 후 그 기계실 공간과 대응되게 제작되어 설치되는 기계실 PC 블록;
    상기 기계실 PC 블록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놓일 수 있는 바닥면과 그 바닥면의 양측에 측면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각각의 승강로 PC 블록, 상기 각각의 승강로 PC 블록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레일 구조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구조체; 및
    상기 단위 구조체의 바닥면을 평탄작업이 수행된 경사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로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권상기에 감싸진 로프의 일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된 제1 시브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2 시브를 거쳐 균형추 대차와 연결 고정되며, 상기 권상기를 거친 로프의 타단은 기계실 PC 블록에 구비된 제3,4 시브를 거쳐 최상단의 단위 구조체에 구비되는 제5,6 시브를 거쳐 승강카의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PC 블록 또는 승강로 PC 블록은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 또는 트러스(truss) 구조체 중의 어느 하나인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3. 삭제
  4. 삭제
KR1020200088484A 2020-07-16 2020-07-16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225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84A KR102250228B1 (ko) 2020-07-16 2020-07-16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84A KR102250228B1 (ko) 2020-07-16 2020-07-16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228B1 true KR102250228B1 (ko) 2021-05-11

Family

ID=7591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84A KR102250228B1 (ko) 2020-07-16 2020-07-16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87B1 (ko) 2023-11-08 2024-0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76B1 (ko) 2004-03-11 2004-12-03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설치높이를 낮춘 경사형 엘리베이터
KR20050091272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침수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516514B1 (ko) 2004-03-11 2005-09-26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단거리용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1196351B1 (ko) 2012-06-15 2012-11-01 서울메트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1235674B1 (ko) 2012-06-15 2013-02-26 서울메트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76B1 (ko) 2004-03-11 2004-12-03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설치높이를 낮춘 경사형 엘리베이터
KR20050091272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침수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516514B1 (ko) 2004-03-11 2005-09-26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단거리용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0539086B1 (ko) 2004-03-11 2005-12-27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의 침수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196351B1 (ko) 2012-06-15 2012-11-01 서울메트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KR101235674B1 (ko) 2012-06-15 2013-02-26 서울메트로 경사형 엘리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87B1 (ko) 2023-11-08 2024-01-2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 출입문 방향과 기계실의 위치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경사형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567B2 (en)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an elevator
US7635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CN113891848A (zh) 建造电梯的方法及电梯
FI114458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asentamiseksi rakennuksen rakentamisvaiheessa
AU2019409113B2 (en)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CN114555509B (zh) 在建筑物建造期间使用的自爬式电梯装置
CN211058233U (zh) 一种装配式钢结构无机房电梯井道
US20220185631A1 (en) Self-climbing installation platform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CN107399656B (zh) 室外加装电梯及其施工方法
KR102250228B1 (ko) 모듈화된 승강로를 포함하는 하부 구동방식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US20220219945A1 (en) Self-climbing elevator machine room for u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JP4987313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CN117255766A (zh) 用于构造电梯的方法以及这样的电梯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JP2000086113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据付工法
JP4011722B2 (ja) 吊り階段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CN219314396U (zh) 用于高墩施工的运输结构
JP683307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改修方法
JPH08338136A (ja) 建設用の昇降装置
JP2000063060A (ja) 工事用エレベータ
JP2012136321A (ja) 揚重運搬装置
KR200256771Y1 (ko) 저 교각 시공 자동화 시스템
KR20030016510A (ko) 저 교각 시공 자동화 시스템
JP3024523U (ja) 建築工事に用いるリフト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