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893B1 -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893B1
KR102248893B1 KR1020190161655A KR20190161655A KR102248893B1 KR 102248893 B1 KR102248893 B1 KR 102248893B1 KR 1020190161655 A KR1020190161655 A KR 1020190161655A KR 20190161655 A KR20190161655 A KR 20190161655A KR 102248893 B1 KR102248893 B1 KR 10224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noise
vibration
vibration detection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신동민
손효석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상기 건물의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층을 구분하는 바닥에 진동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에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통신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의 바닥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THE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본 개시서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층간 소음은 다세대 주택, 다가구 주택 및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소음 공해를 의미한다. 특히 거주자의 활동 중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에 발생하는 충격음은 아래층이나 인접 세대에 쉽게 전달되어 층간 소음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층간 소음은 거주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이웃 주민 간의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층간 소음 문제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예시적으로 소음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층간 소음의 대부분이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이 대부분이므로 일반적인 소음 센서로는 층간 소음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진동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진동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바닥의 표면에 진동 센서를 설치하는 종래 방식으로는 소음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바닥의 두께, 재질, 건물의 모양, 건물의 크기 등에 따라 바닥의 진동과 층간 소음 사이의 상관 관계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물의 시공 과정에서 해당 건물에 적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층간 소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건물의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상기 건물의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층을 구분하는 바닥 내부에 진동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에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통신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a)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의 바닥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에서 측정된 소음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에 포함된 슬라브 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진동 감지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닥의 중앙 및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진동 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영역을 설정하고, 각 영역 별로 상기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각 영역 별로 결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 중 충격이 발생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건물의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층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제1 층과, 제1 층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층을 구분하는 바닥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층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진동 감지 센서의 측정 값에 기반하여 층간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의 바닥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의 반복적인 수행에 의해 획득된 상기 진동 감지 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지 센서는 상기 바닥에 포함된 슬라브 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바닥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감지 센서는 바닥의 중앙 및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진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역 중 충격이 발생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 감지 센서를 바닥 내부에 설치하고,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건물에 적응된 진동-소음 연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층간 소음에 대한 분석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 별로 적응된 진동-소음 연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충격의 발생 위치가 변하더라도 층간 소음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에 이르는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진동 감지 센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바닥 내부에 진동 감지 센서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바닥에 내장된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들(200a - 200e)과 바닥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영역들(R1, R2, R3)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2 층(F2)과 제1 층(F1)을 구분하는 바닥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200) 및 제2 층(F2)에 설치된 모니터링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모니터링 장치(100)가 제2 층(F2)의 옆벽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니터링 장치(100)가 제2 층(F2)에서 설치되는 위치 및 설치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한 수준에서 변경될 수 있다.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건물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상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의상 제1 층(F1) 및 제2 층(F2) 만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되는 건물의 층 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 센서(200) 및 모니터링 장치(100)는 층별로 설치될 수도 있고, 건물의 일부 층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고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와 모니터링 장치(1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진동 감지 센서(200)와 모니터링 장치(100) 장치를 연결하는 선이 건물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감지 센서(2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주기적으로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감지 센서(200)는 진동이 감지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감지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2 층(F2)의 거주자에게 층간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감지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층간 소음 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층간 소음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2 층(F2)의 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100)는 산출된 층간 소음 레벨이 기준 레벨 보다 높아진 경우 제2 층(F2)의 거주자에게 소리 알람 또는 시각적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른 예로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2 층(F2)의 거주자의 모바일 장치로 층간 소음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층간 소음 레벨뿐만 아니라 층간 소음 발생 빈도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100)는 소정 레벨 이상의 층간 소음이 기준 시간 동안 기준 횟수보다 많이 발생한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소정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 인터페이스부(130),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및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세서(1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세서(110)와의 소통 결과에 기초해 자체적인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하거나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0)가 사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140), 출력 인터페이스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버튼, 마우스, 터치 스크린, 기타 일반적인 PC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등, 터치 스크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출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소리 알람 또는 시각적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100)의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장치(100)는 도 2에 표시된 구성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거나, 도 2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진동 감지 센서(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감지 센서(200)는 프로세서(210), 진동 감지 모듈(22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 모듈(220)은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진동 감지 모듈(220)은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 감지 모듈(220)은 진동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진동 감지 모듈(220)이 생성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진동 감지 모듈(2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닥에 설치된 진동 감지 센서(200)를 이용하여 층간 소음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값과 실제 소음 사이의 관계는 건물의 크기나 모양과 같은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 센서(200)가 바닥에 내장되기 때문에 바닥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서 진동 감지 센서(200)의 측정 값과 실제 소음 사이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부터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축 과정에서 건물에 적응된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제1 층(F1)과 제2 층(F2)을 구분하는 바닥에 진동 감지 센서(200)를 내장할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를 바닥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바닥 내부에서 전파되는 진동을 높은 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바닥에 진동 감지 센서(200)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은 모르타르 층(12), 경량기포 콘크리트 층(14), 차음재 층(16) 및 슬라브 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닥의 단면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닥은 슬라브 층(18) 아래에 마감재를 포함한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서 나타낸 층들 중 일부가 바닥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슬라브 층(18)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 센서(200)는 슬라브 층(18)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브 층(18) 아래에 다른 층(예를 들어, 마감재 층)이 더 있는 경우, 진동 감지 센서(200)는 슬라브 층(18) 아래에 있는 다른 층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바닥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의 중앙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소음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감지 센서(200)를 바닥의 중앙에 내장함으로써 층간 소음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진동 감지 센서(200)를 하나만 나타냈지만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진동 감지 센서(200)가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슬라브 층(18)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감지 센서(200)가 슬라브 층(18)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를 제2 층(F2)에 설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2 층(F2)의 옆벽에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와 진동 감지 센서(20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니터링 장치(100)와 진동 감지 센서는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S130 단계에서 제2 층(F2)의 바닥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S130 단계에 의해 제1 층(F1)에서 발생한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값과 제1 층(F1)에서 발생하는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값은 진동 가속도(mm/s2)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값은 진동 속도(mm/s)로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되는 진동 값은 기존에 존재하던 진동 표현 방식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F1)에서 측정되는 소음은 데시벨(dB)로 표현될 수 있다. S130 단계 및 S140 단계의 수행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소음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진동 레벨 구간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음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진동 가속도 값의 범위에 대한 정보 또는 진동 속도 값의 범위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층(F2)의 바닥에 대해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바닥에 충격을 가하기 위해 뱅머신(5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뱅머신을 이용하여 충격을 가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임팩트 볼이나 다른 중량체를 이용하여 제2 층(F2)의 바닥에 충격을 가할 수도 있다. 제2 층(F2)의 바닥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로 인해 제1 층(F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마이크로폰들(62, 64, 66)이 측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62, 64, 66)은 제1 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데시벨(dB)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바닥에 내장된 진동 감지 센서(200)는 뱅머신(50)이 가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진동 감지 센서(200)는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 또는 진동 속도 값을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S130 단계 및 S140 단계의 수행에 의해 획득된 진동 레벨 구간과 소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값의 범위에 대응하는 진동 레벨 구간을 저장할 수 있다. 진동 레벨 구간은 진동 가속도의 범위 또는 진동 속도의 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dB 이하의 제1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제1 진동 레벨 구간과, 40dB 초과 43dB 이하의 제2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진동 레벨 구간과 43dB 초과 47dB 이하의 제3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제3 진동 레벨 구간과 47dB 초과 50dB 이하의 제4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제4 진동 레벨 구간과 50dB 초과의 제5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제5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소음 구간의 수치와 개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범위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진동 레벨 구간은 건물의 구체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의 수행을 통해 건물의 설계 조건이나 환경에 맞는 소음-진동 레벨 연관관계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00)가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보다 정확한 층간 소음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감지 센서(200)에서 측정된 진동 레벨이 속하는 진동 레벨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진동 레벨이 속하는 진동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소음 구간을 식별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식별된 소음 구간에 기초하여 층간 소음 알람의 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소음 구간이 어느 구간인지에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다른 방식의 알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이전까지 진동 감지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가 진동 감지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보관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삭제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분쟁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뿐만 아니라 충격을 가하는 위치를 달리하여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바닥에 충격이 가해지는 위치가 달라지면 충격 발생지점과 바닥 중앙에 내장된 진동 감지 센서(20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충격 발생지점이 달라짐에 따라 진동 레벨 구간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위치 포인트에 대해 진동 레벨 구간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충격의 발생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영역들을 설정하고 각 영역 별로 특정 위치를 대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각 영역 별로 설정된 대표 위치에 뱅머신(50)을 옮기고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영역 별로 적응된 진동 레벨-소음 연관관계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바닥에 내장된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들(200a 내지 200e)과 바닥에 대해 설정된 복수의 영역들(R1, R2, R3)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복수의 영역들(R1, R2, R3)의 경계를 직선으로 표시했지만 실시 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역들(R1, R2, R3)은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폐곡선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의 S110 단계에서 바닥 내부에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들(200a 내지 200e)을 설치할 수 있다. 바닥의 중앙에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가 설치될 수 있다. 바닥의 가장자리에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들(200b 내지 200e)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의 중앙과 가장자리는 건물의 설계와 건물 내부에 설치된 벽의 모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의 중앙과 바닥의 가장자리에 진동 감지 센서들(200a 내지 200e)을 내장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 장치(100)가 진동 감지 센서들(200a 내지 200e)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진동이 발생한 영역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 개의 영역들(R1, R2, R3)이 설정될 수 있다. 바닥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영역(R1), 제1 영역(R1)의 바깥 쪽에 위치하는 제2 영역(R2) 및 제2 영역(R2)의 바깥 쪽에 위치하는 제3 영역(R3)이 설정될 수 있다. 바닥의 중앙에 가까운 영역의 면적은 가장자리에 위치한 영역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R2)의 면적은 제1 영역(R1)보다 크고, 제3 영역(R3)의 면적은 제2 영역(R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바닥 중앙 영역은 바닥의 가장자리에 비해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되는 진동 레벨의 크기가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영역(R1)은 제2 영역(R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같은 크기의 충격이 서로 다른 위치에 가해졌을 때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되는 진동 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영역(R3)은 제2 영역(R2)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영역(R1)안의 임의의 지점에 뱅머신(50)을 위치시키고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1 영역(R1)에 대한 진동 레벨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R2) 안의 임의의 지점에 뱅머신(50)을 위치시키고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2 영역(R2)에 대한 진동 레벨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R3) 안의 임의의 지점에 뱅머신(50)을 위치시키고 도 4의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3 영역(R3)에 대한 진동 레벨과 소음 사이의 연관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소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a 내지 200e)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감지 센서들(200a 내지 200e)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바닥에서 충격이 발생한 영역이 어느 영역인 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또는 진동 속도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고, 가장자리의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또는 진동 속도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영역(R1)에서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과정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들(또는 진동 속도 값들) 사이의 차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의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들(또는 진동 속도 값들) 사이의 차이의 최댓값이 작을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가 제1 영역(R1)에서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1 영역(R1)에 대한 소음-진동 레벨 연관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또는 진동 속도가 어느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또는 진동 속도의 값이 상대적으로 작고, 가장자리의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또는 진동 속도의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3 영역(R3)에서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과정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들(또는 진동 속도 값들) 사이의 차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깥쪽 영역으로 갈수록 제2 내지 제5 진동 감지 센서(200b 내지 200e)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들(또는 진동 속도 값들) 사이의 차이의 최댓값이 더 커질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가 제3 영역(R3)에서 충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3 영역(R3)에 대한 소음-진동 레벨 연관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된 진동 레벨이 어느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 장치(100)가 바닥의 영역 별로 진동 레벨과 소음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각 영역 별로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바닥의 중앙에 내장된 제1 진동 감지 센서(200a)에서 측정된 진동 가속도 값 또는 진동 속도 값이 어느 소음 구간에 대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가속도 값 또는 진동 속도 값이 대응하는 소음 구간에 따라 다른 방식의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진동 감지 센서들(200a-200e)의 측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충격이 어느 영역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니터링 장치(100)가 제공하는 층간 소음 관련 정보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 감지 센서를 바닥 내부에 설치하고, 건물의 시공 단계에서 건물에 적응된 진동-소음 연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층간 소음에 대한 분석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 별로 적응된 진동-소음 연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함으로써 충격의 발생 위치가 변하더라도 층간 소음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모니터링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 인터페이스부
140: 입력 인터페이스부
150: 출력 인터페이스부
200: 진동 감지 센서
62, 64, 66: 마이크로폰

Claims (10)

  1. 건물의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층을 구분하는 바닥의 중앙 및 가장자리에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에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와 통신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a)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의 바닥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되,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는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게 설정하고, 각 영역 별로 상기 바닥에 가하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상기 a) 및 b)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충격이 발생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진동 레벨로부터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에 포함된 슬라브 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방법.
  4. 삭제
  5. 삭제
  6. 건물의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제1 층과, 제1 층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층을 구분하는 바닥의 중앙 및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층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 감지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진동 감지 센서의 측정 값에 기반하여 층간 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되,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크기는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게 설정하고, 각 영역 별로 상기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세기를 달리하여 상기 제2 층에서 상기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에서 상기 제2 층의 바닥에 대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의 반복적인 수행에 의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소음 레벨 구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레벨 구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모니터링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충격이 발생한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진동 레벨로부터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감지 센서는 상기 바닥에 포함된 슬라브 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바닥에 내장되는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1655A 2019-12-06 2019-12-06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KR10224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55A KR102248893B1 (ko) 2019-12-06 2019-12-06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55A KR102248893B1 (ko) 2019-12-06 2019-12-06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93B1 true KR102248893B1 (ko) 2021-05-04

Family

ID=7591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655A KR102248893B1 (ko) 2019-12-06 2019-12-06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754A (ja) * 1998-01-08 1999-07-30 Takahiro Yamashita 床衝撃音体感方法及び装置
JP2004053776A (ja) * 2002-07-17 2004-02-19 Yamaha Corp 床透過騒音シミュレータ
JP2006029859A (ja) * 2004-07-13 2006-02-02 Ando Corp 騒音検知システム
KR101307172B1 (ko) *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KR101479976B1 (ko) * 2013-09-04 2015-0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5144A (ko) *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2754A (ja) * 1998-01-08 1999-07-30 Takahiro Yamashita 床衝撃音体感方法及び装置
JP2004053776A (ja) * 2002-07-17 2004-02-19 Yamaha Corp 床透過騒音シミュレータ
JP2006029859A (ja) * 2004-07-13 2006-02-02 Ando Corp 騒音検知システム
KR101307172B1 (ko) *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KR101479976B1 (ko) * 2013-09-04 2015-0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층간 소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5144A (ko) * 2014-03-07 2015-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 층간소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andez-Garcia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hange detection in uncertain chain-like systems
JP2010189100A (ja) 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KR101345603B1 (ko)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JP2008003043A (ja) 損傷検出方法、損傷検出装置、損傷検出システム
US20150106041A1 (en) Notification based on an event identified from vibration data
JP201721515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転倒予測システム
CN107852569A (zh) 用于测量终端的位置的终端及其方法
US11695865B2 (en) Control of a user device under wet conditions
KR102248893B1 (ko)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층간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방법
US10520356B2 (en) Apparatus,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JP6386174B2 (ja) 構造物評価システム、構造物評価装置及び構造物評価方法
JP6604199B2 (ja) 振動解析システム、振動解析装置および振動解析方法
CN114091611A (zh) 设备负载重量获取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Hammoud et al. Ultrasense: A self-calibrating ultrasound-based room occupancy sensing system
JP6609403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JP6389663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Shin et al. Sound prediction based on footstep-induced vibrations in concrete building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O2016092536A1 (en) Earthquake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earthquakes
JP2016017848A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US89020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device displacement and tampering
KR102197812B1 (ko) 위치 지정을 통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3765B1 (ko) 진동특성을 활용한 지능형 층간소음 자가진단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6286264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JP2021144433A (ja) 構造物の異常判別方法及び異常判別システム
US202000291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and transmitting combined external data from one or more sources to a central data portal for processing, storage, and visu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