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35B1 - 크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크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935B1
KR102247935B1 KR1020190166620A KR20190166620A KR102247935B1 KR 102247935 B1 KR102247935 B1 KR 102247935B1 KR 1020190166620 A KR1020190166620 A KR 1020190166620A KR 20190166620 A KR20190166620 A KR 20190166620A KR 102247935 B1 KR102247935 B1 KR 10224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plate
panel
slit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성
김관오
유영은
최두선
한준세
강도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변형량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부재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식별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식별부재가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크랙 측정장치{CRACK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 다양한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진행 상태 및 진행 예측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랙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안전진단과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건물이나 교량에 크랙이 발생되면 점차적으로 그 정도가 악화되기 때문에, 평소 크랙의 진행 정도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즉, 구조물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구조물의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값을 기초로 하여 크랙의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그에 알맞은 보수를 시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발생되는 크랙은 지진 등 특수한 경우와 같이 한 번에 급속하게 발생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경우 최초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크랙의 진행 상태 및 진행 예측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판별하기 어렵다.
이에 크랙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나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크랙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눈금이 마련된 제1 판을 고정시키고, 타측에는 기준선이 마련된 제2 판을 고정시키되, 제1 판 및 제2 판이 중첩되게 서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눈금에 표시되는 기준선의 이동 정도를 가지고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 및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크랙 측정장치는 측정장치에 표시되는 눈금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측정인이 측정장치에 가까이 가서 기준선이 가리키는 눈금을 확인해야 하므로, 터널이나 고가도로 등 접근성이 곤란한 구조물에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 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측정인마다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초음파 측정장치는 크랙이 발생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측정장치가 상당히 고가이고, 상시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거리에서도 크랙의 변형량에 따른 측정장치의 측정값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측정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30106호(2004.05.03.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진행 상태를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부재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식별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식별부재가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2 폭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2 폭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이웃하는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에 배치된 식별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록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색상패턴을 갖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변형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고,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크랙의 너비 내지 각도 변화 등의 크랙 변형량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시간 동안 변화되었던 식별부재의 색상 변경시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크랙의 진행 속도, 보수 가능 여부, 붕괴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예상 및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100)은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11)는 복수개의 식별부재(111a,111b,111c)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식별부재(111a,111b,111c)는 제1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인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표시부(111)는 3개의 식별부재(111a,111b,111c)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그 이상의 수량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처럼 표시부(111)가 가지는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수량은 크랙 측정장치의 측정한도에 비례하여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크랙 측정장치의 측정한도는 표시부(111)가 가지는 폭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식별부재(111a,111b,111c)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동일한 크기의 제1 폭(D1)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폭(D1)은 관측자가 확인할 수 있는 크랙의 최소 변위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제1 폭(D1)의 크기는 크랙(C)이 발생된 구조물의 종류와 최초 발생된 크랙(C)의 너비(폭)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식별부재(111a,111b,111c)는 고유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색상 선택 시에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가지는 색상과 구별되는 색상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표시부(111)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표시부(111)가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개의 표시부(111)를 구비함으로써, 후술되는 슬릿(211)을 통하여 복수개의 식별부재가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먼 거리에서도 식별부재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13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랙(C)이 발생한 구조물의 일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는 제1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1 고정부(130)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130)는 체결공(131)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하여 구조물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고정부(130)가 구조물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을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에 형성되는 체결공(1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130)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1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재조정할 수도 있다.
제2 패널(200)은 제2 플레이트(210) 및 제2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110)와 대응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와 중첩되도록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에는 슬릿(2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슬릿(211)은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폭(D2)은 제1 폭(D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0)가 제1 플레이트(110)에 중첩된 상태에서 슬릿(211)을 통하여 복수개의 식별부재(111a,111b,111c) 중 선택된 하나의 식별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의 표시부(111)가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 표시부(111)의 수량에 대응하여 제2 플레이트(210)의 슬릿(211) 역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각 슬릿(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색상은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릿(211)을 통하여 동일한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부재를 노출함으로써 관측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로 결합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230)는 제2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랙(C)이 발생한 구조물의 타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30)는 제2 플레이트(2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2 고정부(230)에는 체결공(2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230)는 체결공(231)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하여 구조물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고정부(230)가 구조물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0)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C)을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30)에 형성되는 체결공(2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를 이용하여 제2 고정부(230)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2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재조정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C)을 중심으로 구조물의 일측단에 제1 패널(100)의 제1 고정부(130)를 고정하고, 크랙(C)을 중심으로 구조물의 타측단에 제2 패널(200)의 제2 고정부(230)를 고정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중첩되는 구조로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 (a)에서와 같이, 제2 플레이트(210)의 슬릿(211)을 통하여 표시부(111)의 일부분 즉, 복수개의 식별부재(111a,111b,111c) 중 하나의 식별부재(111a)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렇게 크랙 측정장치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슬릿(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식별부재(111a)는 관측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후, 도 2 (b) 및 (c)에서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나 크랙(C)의 변형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벽면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 역시 부착된 구조물의 벽면의 변형량과 동일하게 위치가 변경되고, 결국 슬릿(211)을 통하여 다른 색상을 갖는 식별부재(111b)(111c)가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측자는 초기 설치 상태에서 노출되었던 식별부재(111a)와, 크랙 진행 후 변화된 식별부재(111b,111c)의 색상을 비교하여, 크랙의 너비(폭) 내지 각도 변화 등의 크랙 변형량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시간 동안 변화되었던 식별부재(111a,111b,111c)를 변화시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크랙의 진행 속도, 보수 가능 여부, 붕괴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예상 및 진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식별부재(111a,111b,111c)가 배열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크랙 변형량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만약 식별부재(111a,111b,111c)가 배열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A2)으로 크랙(C)이 발생된 구조물의 변위가 발생되더라도 슬릿(211)을 통하여 해당 식별부재(111a,111b,111c)의 노출 면적이 변화되기 때문에, 크랙(C)의 너비(폭)뿐만 아니라 크랙의 각도 등 크랙(C)의 다양한 진행 정보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슬릿(211)을 통하여 확인되는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색상을 통하여, 관측자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크랙(C)의 변형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에는 식별부재(111a,111b,111c)마다 상응하는 크랙(C)의 변형량이 표시된 변형량 알림표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측자는 슬릿(211)을 통해 노출된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색상을 확인하는 동시에, 변형량 알림표에 표시된 기준 색상정보를 기반으로,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색상과 상응되는 크랙(C)의 진행 정도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확인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장치는 시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관측자에 의한 현장 확인이 아니더라도, 구조물 주변에 설치된 촬영장비(CCTV 등)를 통하여 촬영된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영상 정보를 통해서도 크랙(C)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측자의 접근이 곤란한 위험 지역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장치는 휴대 가능한 휴대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하여, 식별부재(111a,111b,111c)를 촬영하고, 촬영된 식별부재(111a,111b,111c)의 영상 정보로부터 크랙(C)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프로그램이 포함된 안전진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다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아파트 등의 공공 구조물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 진단을 생활화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동일하되, 제1 패널(100)의 표시부(112)가 구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최대한 생략하고 구별되는 제1 패널(100)의 표시부(112)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12)를 구성하는 식별부재(112a,112b,112c)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이와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식별부재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에 교차되는 방향(A2)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크랙(C)의 변형방향(A1)뿐만 아니라 크랙(C)의 변형방향에 교차되는 방향(A2)을 따라 식별부재(112a,112b,112c)를 순차적으로 배열 및 배치함으로써, 크랙(C)의 변형량에 따라 슬릿(211)을 통하여 노출되는 식별부재(112a,112b,112c)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결국 슬릿(211)을 통하여 노출되는 식별부재(112a,112b,112c)의 색상 및 위치가 동시에 변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동일하되, 제1 패널(100)의 표시부(113)가 구별된다. 마찬가지 설명의 편의 상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부분은 최대한 생략하고 구별되는 제1 패널(100)의 표시부(113)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13)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색상패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릿(211)을 통해서는 표시부(113)의 일부분 즉,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색상패턴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표시부(113)의 색상패턴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크랙(C)의 변형량을 확인 및 측정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관측자의 육안에 의한 측정 시 개인차가 다소 발생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 주변에 설치된 촬영장비(CCTV 등)를 통하여 촬영된 표시부(113)의 색상패턴 정보를 이미지 처리한 후 크랙(C)의 변형 및 진행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고, 또한 휴대 가능한 휴대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하여 표시부(113)의 색상패턴을 촬영하고, 촬영된 표시부(113)의 색상패턴 정보를 이미지 처리한 후 크랙(C)의 변형량을 정량화할 수 있고, 측정 및 크랙(C)의 진행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패널분리유닛(300)을 더 포함한 것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패널분리유닛(300)은 크랙(C)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을 파단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패널분리유닛(300)은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블럭(310)은 제1 플레이트(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토퍼블럭(330)은 제2 플레이트(2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조물에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을 결합하는 초기 설치 상태에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후 크랙(C)의 변형량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가 상대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표시부(111)의 최외곽에 배치된 식별부재(111c)의 색상이 슬릿(2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13)가 적용될 경우에는 표시부(113)의 최외곽의 색상패턴이 슬릿(2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랙 측정장치의 최대 측정한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접촉되고, 이후 계속해서 크랙(C)의 변형이 지속하여 발생되면,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1 스토퍼블럭(310)으로 서로 결속된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에 인장력이 발생되며, 인장력에 의하여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은 파단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분리유닛(300)은 분리유도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유도부(350)는 제1 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유도부(350)는 제2 패널(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유도부(350)는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분리유도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가공된 복수개의 펀칭홀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의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인장력이 낮은 연질의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크랙(C)의 변형이 지속되면, 인장력에 의하여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의 다른 영역이 파단되기에 앞서 분리유도부(350)가 먼저 파단될 수 있다.
이처럼 측정장치의 측정한도를 초과하여 크랙(C)의 변형이 지속되는 경우,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을 파단시켜 관측자에 의한 측정오류를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관측자는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이 파단된 것에 따라 측정한도를 초과하여 크랙(C)의 변형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후 필요에 따라 새로운 측정장치로의 교체 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1 패널
110: 제1 플레이트
111,112,113: 표시부
130: 제1 고정부
200: 제2 패널
210: 제2 플레이트
211: 슬릿
230: 제2 고정부

Claims (12)

  1.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부재가 순차적으로 배열된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식별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식별부재가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1 폭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폭과 상기 제2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식별부재의 색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동시에 이웃하는 식별부재는 크랙의 변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에 배치된 식별부재가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8.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색상패턴을 갖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을 기반으로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슬릿은 크랙의 변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부의 색상패턴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의 최외곽 영역이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KR1020190166620A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KR10224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620A KR102247935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620A KR102247935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35B1 true KR102247935B1 (ko) 2021-05-06

Family

ID=7591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620A KR102247935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0053B1 (en) * 1998-08-26 2002-1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KR100430106B1 (ko) 2001-12-31 2004-05-03 (재)한국건설시험연구소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KR200368329Y1 (ko) * 2004-08-16 2004-11-20 (주) 장맥엔지니어링 토사의 침식을 측정하는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JP2008170407A (ja) * 2007-01-15 2008-07-24 Takashi Soma 目盛読取方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0053B1 (en) * 1998-08-26 2002-1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KR100430106B1 (ko) 2001-12-31 2004-05-03 (재)한국건설시험연구소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KR200368329Y1 (ko) * 2004-08-16 2004-11-20 (주) 장맥엔지니어링 토사의 침식을 측정하는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JP2008170407A (ja) * 2007-01-15 2008-07-24 Takashi Soma 目盛読取方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935B1 (ko) 크랙 측정장치
EP3457105B1 (en) Optical fiber sensing method
KR102230165B1 (ko)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JP2018189493A (ja) レーザ照射を用いた試験体の曲げ試験方法及び曲げ試験装置
KR102230168B1 (ko)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CN114127533A (zh) 边缘强度测试方法及设备
KR102291523B1 (ko) 크랙 측정장치
JP4370471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径計測装置
KR100430106B1 (ko)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KR102092275B1 (ko) 교량안전진단장치
KR101337954B1 (ko) 금속 재료의 이축 인장 변형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67076B1 (ko)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
US10067665B2 (e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and display method of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KR100930504B1 (ko) 교량 상판의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 시설
KR100786221B1 (ko) 강박스 거더교 슬래브의 안전진단 장치
KR200413891Y1 (ko) 수평게이지가 부착된 교량받침
KR102398241B1 (ko) 원격 균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9242B1 (ko) 콘크리트 배부름 손상 계측장치
KR20040057174A (ko) 비접촉식 좌굴모드 측정장치
JP2005072227A (ja) 多層回路板および多層回路板の層間位置ずれ検査方法
KR101068952B1 (ko) 교량의 상판 처짐을 측정하기 위한 안전진단장치
KR200265796Y1 (ko) 레이저 장치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점검시스템
WO2019186790A1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Al-Salih An Investigation of Distortion-Induced Fatigue Cracks in Steel Highway Bridges: From Crack Detection to Fatigue Retrofit
KR102364861B1 (ko) 선택적 수평 조절에 따른 내부 트래킹 정보를 통한 매설 파이프 관경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