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23B1 - 크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크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23B1
KR102291523B1 KR1020190166621A KR20190166621A KR102291523B1 KR 102291523 B1 KR102291523 B1 KR 102291523B1 KR 1020190166621 A KR1020190166621 A KR 1020190166621A KR 20190166621 A KR20190166621 A KR 20190166621A KR 102291523 B1 KR102291523 B1 KR 10229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plate
panel
slit
displa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245A (ko
Inventor
윤재성
김관오
유영은
최두선
한준세
강도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5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진행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크랙의 변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표시바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크랙의 변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표시바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바의 위치로부터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크랙 측정장치{CRACK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 다양한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진행 상태 및 진행 예측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랙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안전진단과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건물이나 교량에 크랙이 발생되면 점차적으로 그 정도가 악화되기 때문에, 평소 크랙의 진행 정도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즉, 구조물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구조물의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값을 기초로 하여 크랙의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그에 알맞은 보수를 시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발생되는 크랙은 지진 등 특수한 경우와 같이 한 번에 급속하게 발생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경우 최초 발생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크랙의 진행 상태 및 진행 예측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판별하기 어렵다.
이에 크랙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나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크랙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눈금이 마련된 제1 판을 고정시키고, 타측에는 기준선이 마련된 제2 판을 고정시키되, 제1 판 및 제2 판이 중첩되게 서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눈금에 표시되는 기준선의 이동 정도를 가지고 크랙의 변형향을 측정 및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크랙 측정장치는 측정장치에 표시되는 눈금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측정인이 측정장치에 가까이 가서 기준선이 가리키는 눈금을 확인해야 하므로, 터널이나 고가도로 등 접근성이 곤란한 구조물에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 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측정인마다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초음파 측정장치는 크랙이 발생된 위치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정확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측정장치가 상당히 고가이고, 상시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거리에서도 크랙의 변형량에 따른 측정장치의 측정값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측정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30106호(2004.05.03.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진행 상태를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랙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크랙의 변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표시바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크랙의 변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표시바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바의 위치로부터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릿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기준블럭 및 제2 기준블럭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제2 기준블럭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바의 위치로부터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제2 기준블럭의 사이의 기준간격에 대한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바 사이의 변위간격의 비율을 이용하여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바의 끝단부가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변형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고, 크랙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크랙의 변형 및 진행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시간 동안 변화되었던 표시바의 변위시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크랙의 진행 속도, 보수 가능 여부, 붕괴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예상 및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크랙 측정장치가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100)은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표시바(111)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바(111)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크랙(C)의 변형방향(A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표시바(111)의 경사각이 너무 작게 설정되면 크랙(C)의 변형 과정에서 후술되는 슬릿(211)을 통해 노출되는 표시바(111)의 위치변위가 작아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반면 측정한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표시바(111)의 경사각이 너무 크게 설정되면 크랙(C)의 변형 과정에서 슬릿(211)을 통해 노출되는 표시바(111)의 위치변위가 커서 시인성이 높아지는 반면 측정한도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바(111)의 경사각은 크랙(C)이 발생된 구조물의 종류와 최초 발생된 크랙(C)의 너비(폭)에 따라서 적절한 경사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바(111)는 고유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가지는 색상과 구별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13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랙(C)이 발생한 구조물의 일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는 제1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1 고정부(130)에는 체결공(1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130)는 체결공(131)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하여 구조물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고정부(130)가 구조물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C)을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30)에 형성되는 체결공(1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를 이용하여 제1 고정부(130)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1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재조정할 수도 있다.
제2 패널(200)은 제2 플레이트(210) 및 제2 고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110)와 대응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와 중첩되도록 제1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에는 슬릿(2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슬릿(211)은 크랙(C)의 변형방향(A1)에 교차하는 방향(A2)으로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0)가 제1 플레이트(110)에 중첩된 상태에서 슬릿(211)을 통하여 표시바(111)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로 결합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230)는 제2 플레이트(2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크랙(C)이 발생한 구조물의 타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30)는 제2 플레이트(2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2 고정부(230)에는 체결공(2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230)는 체결공(231)을 관통하는 체결구를 통하여 구조물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고정부(230)가 구조물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0)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C)을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30)에 형성되는 체결공(2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크랙(C)의 변형방향(A1)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결구를 이용하여 제2 고정부(230)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2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재조정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구조물에 발생된 크랙(C)을 중심으로 구조물의 일측단에 제1 패널(100)의 제1 고정부(130)를 고정하고, 크랙(C)을 중심으로 구조물의 타측단에 제2 패널(200)의 제2 고정부(230)를 고정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는 중첩되는 구조로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 (a)에서와 같이, 제2 플레이트(210)의 슬릿(211)을 통하여 표시바(111)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렇게 크랙 측정장치의 초기 설치 상태에서 슬릿(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바(111)의 노출부분(111a)은 슬릿(211) 상에서 제1 높이(h1)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도 2 (b)에서와 같이, 일정 시간이 지나 크랙(C)의 변형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벽면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 역시 부착된 구조물의 벽면의 변형량과 동일하게 위치가 변경되고, 결국 슬릿(2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바(111)의 노출부분(111a)은 슬릿(211) 상에서 제2 높이(h2)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관측자는 초기 설치 상태에서 슬릿(211) 상에 위치하는 노출부분(111a)의 제1 높이(h1)와, 크랙(C) 진행된 후 슬릿(211) 상에 위치하는 노출부분(111a)의 제2 높이(h2)를 비교하여, 크랙(C)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시간 동안 변화되었던 노출부분(111a)의 변위시점을 고려하여 크랙(C)의 진행 속도, 보수 가능 여부, 붕괴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예상 및 진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슬릿(211)을 통하여 확인되는 표시바(111)의 위치정보 및 표시색상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크랙(C)의 변형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슬릿(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관측자는 슬릿(211)을 통해 노출된 표시바(111)의 노출부분(111a)의 위치를 눈금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장치는 관측자에 의한 현장 확인이 아니더라도, 구조물 주변에 설치된 촬영장비(CCTV 등)를 통하여 촬영된 슬릿(211) 및 표시바(111)의 영상 정보를 통해서도 크랙(C)의 진행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써, 관측자의 접근이 곤란한 위험 지역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장치는 휴대 가능한 휴대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하여, 슬릿(211) 및 표시바(111)를 촬영하고, 촬영된 슬릿(211) 및 표시바(111)의 영상 정보로부터 크랙(C)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프로그램이 포함된 안전진단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다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아파트 등의 공공 구조물에 대한 구조물 안전 진단을 생활화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슬릿(211)의 길이방향으로 슬릿(211)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기준블럭(215) 및 제2 기준블럭(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블럭(215) 및 제2 기준블럭(216)은 제2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기준블럭(215) 및 제2 기준블럭(216)은 제2 플레이트(210)과 구별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제1 기준블럭(215)에서 제2 기준블럭(216)까지의 거리인 기준간격(SL)과, 크랙(C)의 변형이 진행된 후 제1 기준블럭(215) 또는 제2 기준블럭(216)에서 슬릿(211)을 통해 노출되는 표시부(111)의 노출부분(111a)까지의 변위간격(h)의 비율을 통하여, 크랙(C)의 변형량을 정량화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간격(SL)과 변위간격(h)의 비율을 이용하여 크랙(C)의 변형량을 정량화하는 과정은 표시바(111), 슬릿(211), 제1 기준블럭(215), 제2 기준블럭(216)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미지 처리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더불어 크랙(C)의 진행에 따른 기준간격(SL)과 변위간격(h)의 비율을 지속적으로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간별 변화되는 표시바의 변위시점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크랙의 진행 속도, 보수 가능 여부, 붕괴 위험성 등을 종합적으로 예상 및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랙 측정장치는 패널분리유닛(300)을 더 포함한 것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구별된다
패널분리유닛(300)은 크랙(C)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을 파단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패널분리유닛(300)은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블럭(310)은 제1 플레이트(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토퍼블럭(330)은 제2 플레이트(2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조물에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을 결합하는 초기 설치 상태에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3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후 크랙(C)의 변형량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210)가 상대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표시바(111)의 끝단부분이 슬릿(2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랙 측정장치의 최대 측정한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접촉되고, 이후 계속해서 크랙(C)의 변형이 지속하여 발생되면,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1 스토퍼블럭(310)으로 서로 결속된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에 인장력이 발생되며, 인장력에 의하여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은 파단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분리유닛(300)은 분리유도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유도부(350)는 제1 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유도부(350)는 제2 패널(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0) 및 제1 고정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유도부(350)는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분리유도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가공된 복수개의 펀칭홀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의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인장력이 낮은 연질의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스토퍼블럭(310) 및 제2 스토퍼블럭(330)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크랙의 변형이 계속되면, 인장력에 의하여 제1 패널(100) 및 제2 패널(200)의 다른 영역이 파단되기에 앞서 분리유도부(350)가 먼저 파단될 수 있다.
이처럼 측정장치의 측정한도를 초과하여 크랙(C)의 변형이 지속되는 경우,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을 파단시켜 관측자에 의한 측정오류를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관측자는 제1 패널(100) 또는 제2 패널(200)이 파단된 것에 따라 측정한도를 초과하여 크랙(C)의 변형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이후 필요에 따라 새로운 측정장치로의 교체 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1 패널
110: 제1 플레이트
111: 표시바
130: 제1 고정부
200: 제2 패널
210: 제2 플레이트
211: 슬릿
230: 제2 고정부

Claims (6)

  1. 크랙의 변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표시바가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한 구조물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패널;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크랙의 변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표시바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슬릿이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크랙이 발생된 구조물의 타측단에 부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2 패널; 및
    크랙의 변형량이 측정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을 파단시키는 패널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바의 위치로부터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릿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릿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기준블럭 및 제2 기준블럭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제2 기준블럭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바의 위치로부터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제2 기준블럭의 사이의 기준간격에 대한 상기 제1 기준블럭 및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표시바 사이의 변위간격의 비율을 이용하여 크랙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바의 끝단부가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될 때 상기 제1 스토퍼블럭에 접촉되는 제2 스토퍼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블럭 및 상기 제2 스토퍼블럭이 접촉된 후 크랙의 변형에 따른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이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분리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제2 패널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부를 분리시키는 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측정장치.
KR1020190166621A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KR10229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621A KR102291523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621A KR102291523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45A KR20210076245A (ko) 2021-06-24
KR102291523B1 true KR102291523B1 (ko) 2021-08-23

Family

ID=7660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621A KR102291523B1 (ko) 2019-12-13 2019-12-13 크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3401A (ja) * 1997-01-28 1998-08-11 Shohei Senda 変位測定ゲージ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0430106B1 (ko) 2001-12-31 2004-05-03 (재)한국건설시험연구소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45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129A1 (en) Soundness determination device, soundness determination method and soundness determination program
US7819008B2 (en) Method of inspecting canopy structures
CN110651102A (zh) 用于隧道的预制段以及用于制造和监控该预制段的方法
JP2007064800A (ja) 建物診断システム
KR102291523B1 (ko) 크랙 측정장치
KR101815223B1 (ko) 파이프라인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07183166A (ja) 電柱応力評価装置、電柱応力評価システム、電柱応力評価方法及び電柱
KR101874378B1 (ko) IoT 기반의 잔교식 안벽 실시간 안전성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47935B1 (ko) 크랙 측정장치
KR101858032B1 (ko) 파이프라인 외관 검사 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092275B1 (ko) 교량안전진단장치
KR102558124B1 (ko) IoT 센서 기반 프리캐스트 운반 통합 모니터링시스템 및 모니터링방법
EP1841921B1 (en) System for monitoring level variations in a soil subjected to erosive and sedimentary agents, and monitoring method
KR101631799B1 (ko) 교량 거더의 시공중 전도 안정성 유지를 위한 시공 관리기준 설정방법
KR102489485B1 (ko) 배전 전주 편심하중 측정을 위한 각도 측정장치
JP2003065942A (ja) コンクリート損傷度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KR20220117109A (ko) 모아레 현상을 이용한 시설물 변위 측정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WO2018069897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s of a structure elements
JP5834532B2 (ja) モード解析方法およびモード解析システム
IT202000027299A1 (it) Metodo e sistema di monitoraggio di almeno una struttura di sostegno stradale e struttura di sostegno stradale
KR101815224B1 (ko) 파이프라인 외관 검사 장치 및 방법
CN217813504U (zh) 一种用于预埋钢板与异形钢套筒连接处的监测设备
KR102398241B1 (ko) 원격 균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92489A (ko) 항만 계류시설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9691B1 (ko) 원격 균열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