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440B1 -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 Google Patents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440B1
KR102247440B1 KR1020200012429A KR20200012429A KR102247440B1 KR 102247440 B1 KR102247440 B1 KR 102247440B1 KR 1020200012429 A KR1020200012429 A KR 1020200012429A KR 20200012429 A KR20200012429 A KR 20200012429A KR 102247440 B1 KR102247440 B1 KR 10224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owder
mongdol
copper powder
pe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102020001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2Partial coating or impreg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C04B41/4576Inlaid coatings, i.e. resulting in a plan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1Metallising, e.g. infiltration of sintered ceramic preforms with molten metal
    • C04B41/5127Cu, e.g. Cu-CuO eutec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은, 석재 모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과 석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우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각 패턴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 수행시 상기 석분에 동분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표면이 산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 모재에 형성된 음각 패턴 내에 몽돌과 석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운 다음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고 코팅하거나, 몽돌과 석분 혼합 과정에서 동분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동분의 산화에 따른 색으로 석재 장식품을 가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PEBBLE INLAID METHOD OF STONE}
본 발명은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몽돌 등을 이용하여 석재를 상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는 건축물과 다양한 장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재는 인조석, 화강암, 안산암, 사암, 점판암, 대리석, 사문석 등이 있으며, 외장재료는 화강암, 안산암, 점판암, 인조석 등이 주로 쓰이고, 내장재로는 대리석, 사문암 등이 주로 쓰이고 있다.
석재의 가공 방법 중 하나인 상감(象嵌/inlaid, damascening)이라 함은 서로 다른 이질적인 석재나 다른 재료를 평면적인 형 또는 입체적인 형의 표면에 음각으로 조각한 다음, 이질적인 재료를 그 부분과 똑같이 만들어 꼭 맞게 끼워 넣어 장식효과와 예술성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상감에는 상감하려는 면과 상감하려는 문양에 따라 평면적인 상감, 평면곡선 상감, 평면자유형 상감, 곡면직선 상감, 곡면곡선 상감, 곡면자유형 상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석재 상감 방법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92446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석재만을 사용하므로 제한적 재료에 따른 장식품 표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924461호(2018.1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몽돌의 다양한 색과 형상 그리고 석분과 동분에서 나타나는 색으로 아름다운 석재 장식품을 가공 가능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은, 석재 모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과 석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우는 제2 단계; 및 상기 음각 패턴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 수행시 상기 석분에 동분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표면이 산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분이 상기 석분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석재 모재의 표면에 코팅재로 코팅하는 제4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상기 동분이 상기 석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석재 모재의 표면을 코팅재로 코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동분은 소금물에 의해 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 모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과 석분 및 동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우는 제2 단계; 상기 음각 패턴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 중 몽돌과 석분을 제외한 동분만 부식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 중 일 부분과 상기 일 부분을 제외한 타 부분 중, 상기 일 부분의 동분만 산화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일 부분을 코팅하여 상기 타 부분의 동분만이 부식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 모재에 형성된 음각 패턴 내에 몽돌과 석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운 다음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고 코팅하거나, 몽돌과 석분 혼합 과정에서 동분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동분의 산화에 따른 색으로 석재 장식품을 가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품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품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품을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품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은 음각 패턴 형성 단계(S10-1), 몽돌 및 석분 혼합 단계(S20-1), 음각 패턴 내 채움 단계(S30-1), 평탄화 단계(S40-1) 및 코팅 단계(S50-1)를 포함한다.
음각 패턴 형성 단계(S10-1)는 석재 모재(100)에 표현하고자 하는 음각 패턴(10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음각 패턴(102)은 그림이나 글씨 등이 이에 적용 가능하며, 이외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홈 등의 형태로도 가공 가능하다. 더욱이, 음각 패턴(102)은 내벽에 홈을 형성하여 홈에 의해 건조된 몽돌 및 석분 혼합물(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음각 패턴(102)은 공구 또는 기계 등에 의해 타격하여 형성하거나, 레이저 등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몽돌 및 석분 혼합 단계(S20-1)는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110)과 석분(120)을 접착제(130)와 혼합하여 몽돌 및 석분 혼합물(A)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편, 접착제(130)는 석재용 순간접착제 등이 이에 사용 가능하다.
음각 패턴 내 채움 단계(S30-1)는 몽돌(110)과 석분(120)을 접착제(130)와 혼합하여 제조된 몽돌 및 석분 혼합물(A)을 음각 패턴(102)의 내부에 틈 없이 채우는 단계이다.
평탄화 단계(S40-1)는 건조 과정에서 음각 패턴(102)의 외부로 돌출된 석분 혼합물(A)의 몽돌(110) 등을 석재 모재(100)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평탄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평탄화 단계(S40-1)는 그라인더 등과 같은 공구(T)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거나, 세라믹 등의 연마를 통해서도 구현 가능하다.
코팅 단계(S50-1)는 평탄화된 석분 혼합물(A)의 표면과 석재 모재(100)의 표면을 코팅재로 코팅하여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코팅 단계(S50-1) 수행시 사용되는 코팅재는 접착제 또는 석재용 광택제 등이 적용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은 음각 패턴 형성 단계(S10-2),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 단계(S20-2), 음각 패턴 내 채움 단계(S30-2), 평탄화 단계(S40-2) 및 동분 부식 단계(S50-2)를 포함하며, 음각 패턴 형성 단계(S10-2) 및 평탄화 단계(S40-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은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코팅 단계를 생략 가능하다. 이는 동분(120b)이 산소와 접촉되면서 표면이 산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 단계(S20-2)는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110)과 석분(120a) 및 동분(120b)을 접착제(130)와 혼합하여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A)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편, 접착제(130)는 석재용 순간접착제 등이 이에 사용 가능하다.
음각 패턴 내 채움 단계(S30-2)는 몽돌(110)과 석분(120a) 및 동분(120b)을 접착제(130)와 혼합하여 제조된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A)을 음각 패턴(102)의 내부에 틈 없이 채우는 단계이다.
동분 부식 단계(S50-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분(120b)이 산화하면서 녹색 등으로 변하여 자연스러운 표면색이 나타나도록 부식시켜 부식층(A')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렇게, 동분 부식 단계(S50-2)를 통해 몽돌(110)의 다양한 색과 형상 그리고 석분(120a)과 동분(120b)에서 나타나는 색으로 아름다운 석재 장식품을 가공 가능하다.
한편, 동분 부식 단계(S50-2)는 동분(120b)의 자연스런 산화를 위해 소금물 등을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동분 부식 단계(S50-2) 수행 전에 동분의 부식 상태를 유지하도록 코팅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 단계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부만 산화되도록 일부분에만 코팅이 수행되어 코팅이 되지 않은 부분만 산화가 진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석재 모재 102: 음각 패턴
110: 몽돌 120, 120a: 석분
120b: 동분 130: 접착제
140: 코팅층

Claims (4)

  1. 석재 모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원하는 색을 갖는 몽돌과 석분 및 동분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음각부위를 채우는 제2 단계;
    상기 음각 패턴 외부로 돌출된 몽돌을 평탄화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 중 몽돌과 석분을 제외한 동분만 부식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 수행 전에, 상기 몽돌, 석분 및 동분 혼합물 중 일 부분과 상기 일 부분을 제외한 타 부분 중, 상기 일 부분의 동분만 산화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일 부분을 코팅하여 상기 타 부분의 동분만이 부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분은 소금물에 의해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KR1020200012429A 2020-02-03 2020-02-03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KR10224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9A KR102247440B1 (ko) 2020-02-03 2020-02-03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9A KR102247440B1 (ko) 2020-02-03 2020-02-03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440B1 true KR102247440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429A KR102247440B1 (ko) 2020-02-03 2020-02-03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323B1 (ko) 2021-09-28 2023-02-08 이창호 원석 상에 자연석 느낌을 표현하기 위한 석재 표면부식 가공방법
KR20230045175A (ko) * 2021-09-28 2023-04-04 이창호 동가루를 이용한 조형물 표면부식 가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62B1 (ko) * 1996-10-25 1999-07-15 윤석효 동제 조형물의 이색 표현방법
KR20070081292A (ko) * 2006-02-10 2007-08-16 이재영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KR101518387B1 (ko) * 2013-08-07 2015-05-07 박창용 현무암 간판
KR20180015332A (ko) * 2016-08-03 2018-02-13 김로조 입체무늬 판석 제조방법
KR101924461B1 (ko) 2018-07-18 2018-12-03 주식회사 줌톤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962B1 (ko) * 1996-10-25 1999-07-15 윤석효 동제 조형물의 이색 표현방법
KR20070081292A (ko) * 2006-02-10 2007-08-16 이재영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KR101518387B1 (ko) * 2013-08-07 2015-05-07 박창용 현무암 간판
KR20180015332A (ko) * 2016-08-03 2018-02-13 김로조 입체무늬 판석 제조방법
KR101924461B1 (ko) 2018-07-18 2018-12-03 주식회사 줌톤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323B1 (ko) 2021-09-28 2023-02-08 이창호 원석 상에 자연석 느낌을 표현하기 위한 석재 표면부식 가공방법
KR20230045175A (ko) * 2021-09-28 2023-04-04 이창호 동가루를 이용한 조형물 표면부식 가공방법
KR102529197B1 (ko) * 2021-09-28 2023-05-03 이창호 동가루를 이용한 조형물 표면부식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440B1 (ko)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US10649406B2 (en) Process for decorating a timepiece component and timepiece component obtained by such a process
CN104830156B (zh) 一种能产生拨釉效果的墨水
US5866225A (en) Mosaic reproductions on a tile substrate
CN109231824A (zh) 一种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KR101613915B1 (ko) 축광 장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광장식품
CN104892034B (zh) 一种具有拨釉效果的陶瓷及其制备方法
KR101924461B1 (ko) 채색 석재 장식품 및 상감 세공방법
KR102247441B1 (ko) 동을 이용한 석재의 상감 방법
CN106083212A (zh) 一种渗透墨水新型大理石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CN105330341A (zh) 原生态立体图案瓷砖及其制作方法
CN104761294A (zh) 青花瓷镶嵌金属的工艺
KR101963540B1 (ko) 장식용 유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도트스크린
CN107627780A (zh) 浮雕装饰墙面形成方法
JP4746895B2 (ja) 化粧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CN111976359A (zh) 一种在建水紫陶器上镶嵌金银装饰的方法
CN111516421A (zh) 一种瓷砖画加工方法
CN106186654A (zh) 电镀立体玻璃马赛克工艺流程
KR102224455B1 (ko)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291039A (zh) 具有立体视觉效果的瓷质砖及其制备方法
KR20010068157A (ko) 석화 제조방법
JP7475044B2 (ja) 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267603A (zh) 一种大理石画及海贝画的制作方法
JPH08268779A (ja) 透光性セラミック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