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083B1 -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 Google Patents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083B1
KR102247083B1 KR1020210003669A KR20210003669A KR102247083B1 KR 102247083 B1 KR102247083 B1 KR 102247083B1 KR 1020210003669 A KR1020210003669 A KR 1020210003669A KR 20210003669 A KR20210003669 A KR 20210003669A KR 102247083 B1 KR102247083 B1 KR 10224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sides
cut
recovery devic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21000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는 지중에 매설되는 중공 형상의 매설관;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통신선을 갖는 통신 선로; 상기 통신 선로의 설정된 위치에서의 신호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매설관의 내주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일정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구 장치;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를 이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을 상기 절단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상기 복구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Equipment for failure check and recovery of communication cable}
본 발명은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일정 위치에서 신호 단선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 단선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의 단선 부위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된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신호 흐름의 유무를 해당 위치에서 검사 및 검사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 있는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전기선, 고압선 및 통신선 등 다양한 종류의 지중 케이블이 매설되거나 공동구를 형성하여 배선한다.
상기 전기선 및 통신 지중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지상에 표기판을 세워 지중 케이블을 보호하고, 또한 지중케이블의 상부에 지중 케이블 보호판을 설치하여 지중 케이블을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호판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는 데에만 치중 할 뿐, 통신 케이블의 일부가 단선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없었다.
이에 종래에는 이상이 발생된 위치를 복구하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상 위치가 일정의 다수 위치에 이르면 해당 통신 라인을 새로운 통신 라인으로 즉시 교체할 수 없었다. 또한 통신 라인 교체시 관 에서 인입출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꼬이는 등의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상이 발생된 통신 라인을 교체하는 동안에 신호의 끊김이 발생되어 일정 시간 동안에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71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일정 위치에서 신호 단선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 단선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의 단선 부위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된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신호 흐름의 유무를 해당 위치에서 검사 및 검사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 있는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는 지중에 매설되는 중공 형상의 매설관;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통신선을 갖는 통신 선로;
상기 통신 선로의 설정된 위치에서의 신호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매설관의 내주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일정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구 장치;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를 이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을 상기 절단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상기 복구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복구 장치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외주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
상기 한 쌍의 그립부 각각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기와,
상기 한 쌍의 절단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 사이를 연결하되,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통신선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외주에 형성되며 양측을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중앙판의 중앙 양측부에는 양측방을 따라 돌출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통신선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워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매설관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선로를 안내하는 안내 롤러들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 1그립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 2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그립부는,
제 1축을 갖고,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에 설치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1클램프를 갖고,
상기 제 2그립부는,
제 2축을 갖고,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축에 설치되는 제 2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2클램프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클램프를 사용하여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그립하도록 하고,
상기 제 1,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축을 잡아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가 맞닿는 방향으로 당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상기 이상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상 위치를 경계로 상기 제 1,2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그립하고,
상기 절단기를 사용하여, 설정된 상기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부재의 양측에,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 1,2실린더의 상기 제 1,2축을 잡아 당겨, 그립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가 상기 끼움 부재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에 형성된 통신선은, 상기 끼움 부재의 중앙부 양측에 돌출되는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되,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는,
상기 끼움 부재의 양측부의 홈에 억지 끼움된다.
또한 상기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일부분은,
상기 매설관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일부분을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일정 위치에서 신호 단선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 단선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의 단선 부위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된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신호 흐름의 유무를 해당 위치에서 검사 및 검사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이 발생된 통신 구간을 절단 및 복구 장치를 사용하여 복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는 지중에 매설되는 중공 형상의 매설관(100)과, 상기 매설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통신선을 갖는 통신 선로(200)와, 상기 통신 선로(200)의 설정된 위치에서의 신호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300)와, 상기 매설관(100)의 내주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일정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구 장치(400)와, 상기 복구 장치(4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와, 상기 신호 감지부(300)로부터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를 이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을 상기 절단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부(500)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상기 복구 장치(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복구 장치(400)는, 상기 이동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본체(410)와, 상기 본체(410)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200)의 외주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420)와, 상기 한 쌍의 그립부(420) 각각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410)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200)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기(430)와, 상기 한 쌍의 절단기(4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 사이를 연결하되,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통신선(210)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444)를 제공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444)는, 중앙판(444a)과, 상기 중앙판(444a)의 외주에 형성되며 양측을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 부재(444b)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판(444a)의 중앙 양측부에는 양측방을 따라 돌출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통신선(210)이 끼워지는 끼움홈(a)이 형성된 돌기(444c)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40)는, 상기 본체(410) 상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442)을 갖는 승강 실린더(441)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축(442)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 부재(444)가 자력으로 부착 및 고정되는 자석(443)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444)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매설관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선로를 안내하는 안내 롤러들이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그립부(420)는, 상기 본체(410)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 1그립부(421)와, 상기 본체(410)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 2그립부(4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그립부(421)는, 제 1축(421b)을 갖고, 상기 본체(410)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 1실린더(421a)와, 상기 제 1축(421b)에 설치되는 제 1지지대(421c)와, 상기 제 1지지대(421c)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1클램프(421d)를 갖는다.
상기 제 2그립부(422)는, 제 2축(422b)을 갖고, 상기 본체(410)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 2실린더(422a)와, 상기 제 2축(422b)에 설치되는 제 2지지대(422c)와, 상기 제 2지지대(422c)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2클램프(422d)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2클램프(421, 422)를 사용하여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를 그립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2실린더(421a, 422a)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축(421b, 422b)을 잡아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가 맞닿는 방향으로 당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이동부(500)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400)를 상기 이상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상 위치를 경계로 상기 제 1,2클램프(421d, 422d)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를 그립한다.
상기 이동부(500)는 리니어 모터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절단기(430)를 사용하여, 설정된 상기 절단 구간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연결부(440)의 상기 승강 실린더(441)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부재(444)의 양측에,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축(442)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 1,2실린더(421a, 422a) 제 1,2축(421b, 421b)을 잡아 당겨, 그립된 상기 통신 선로의(200) 양측부를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가 상기 끼움 부재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에 형성된 통신선(210)은, 상기 연결 부재(444)의 중앙부 양측에 돌출되는 끼움홈(a)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100)의 양측부는, 상기 연결 부재(444)의 양측부의 홈(a)에 억지 끼움된다.
또한 상기 절단기(430)에 의해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일부분은, 상기 매설관(100)에 연결된 배출관(미도시)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 펌프(미도시)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200)의 일부분을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기(430)는 한 쌍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연결부(440)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절단기(430) 각각은 제 1승강축(432)을 갖는 제 1승강 실린더(431)와, 제 1승강축(432)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433)과, 상기 브라켓(433)의 중심에 회전축(435)이 설치되는 모터(434)와, 상기 회전축(435)에 중심이 체결되는 원판의 절단날(436)을 갖는다. 상기 모터(436)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제 1승강축(432)에 의해 승강되면서 한 쌍의 절단날(436)은 회전축(43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절단 구간에 해당되는 통신 선로(200)의 두 위치를 절단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이 발생된 통신 구간을 절단 및 복구 장치를 사용하여 복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제어부는 이동부를 사용하여 이상 위치로 본체를 이동시킨다.
도 5를 참조 하면, 제어부(600)는 그립부(420)를 상승시켜 제 1,2클램프(421d, 422d)를 사용하여 통신 선로(200)를 클램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클램프(421d, 422d)는 한 쌍의 반원 형상의 몸체를 갖고, 이들 각각의 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힌지 연결되는 부분은 별도의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클램핑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절단날(436)을 상승시켜 절단 구간을 절단한다. 상기 절단된 부분은 상술한 배출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연결부(440)를 사용하여 연결 부재(444)를 절단 구간의 공간에 위치시킨다.
도 7을 참조 하면, 제어부(600)는 제 1,그립부(421, 42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킨다. 이에 절단된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는 서로 맞닿는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절단된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는 연결 부재(444)의 양측에 끼워지고, 각각의 끼움홈(a)에는 절단된 통신 선로(200)의 양측부 중앙의 통신선(210)의 단부가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444)는 금속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립부(420), 절단기(430), 연결부(440)는 원위치로 위치되고, 본체(410) 역시 원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케이블의 일정 위치에서 신호 단선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 단선이 발생된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의 단선 부위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된 양측의 통신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신호 흐름의 유무를 해당 위치에서 검사 및 검사 결과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매설관
200 : 통신 선로
300 : 신호 감지부
400 : 복구 장치
500 : 이동부
600 ; 제어부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는 중공 형상의 매설관;
    상기 매설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통신선을 갖는 통신 선로;
    상기 통신 선로의 설정된 위치에서의 신호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매설관의 내주 하단에 형성되는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일정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복구 장치;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로부터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위치를 이상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이상 위치를 포함하는 구간을 상기 절단 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이동시키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신호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상기 복구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구 장치는,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외주를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
    상기 한 쌍의 그립부 각각의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통신 선로의 절단 구간을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기와,
    상기 한 쌍의 절단기의 사이에 배치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 사이를 연결하되,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통신선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외주에 형성되며 양측을 따라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중앙판의 중앙 양측부에는 양측방을 따라 돌출되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통신선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축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워져 배치되되,

    상기 매설관의 내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통신 선로를 안내하는 안내 롤러들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립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 1그립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 2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그립부는,
    제 1축을 갖고, 상기 본체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에 설치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1클램프를 갖고,
    상기 제 2그립부는,
    제 2축을 갖고, 상기 본체의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축에 설치되는 제 2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제 2클램프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클램프를 사용하여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그립하도록 하고,
    상기 제 1,2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축을 잡아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가 맞닿는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복구 장치를 상기 이상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상 위치를 경계로 상기 제 1,2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그립하고,
    상기 절단기를 사용하여, 설정된 상기 절단 구간을 절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승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부재의 양측에,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고,
    상기 제 1,2실린더의 상기 제 1,2축을 잡아 당겨, 그립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를 당겨,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가 상기 끼움 부재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하고,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에 형성된 통신선은, 상기 끼움 부재의 중앙부 양측에 돌출되는 끼움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되,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양측부는,
    상기 끼움 부재의 양측부의 홈에 억지 끼움되고,
    상기 절단기에 의해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일부분은,
    상기 매설관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된 상기 통신 선로의 일부분을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3669A 2021-01-12 2021-01-12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KR10224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69A KR102247083B1 (ko) 2021-01-12 2021-01-12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69A KR102247083B1 (ko) 2021-01-12 2021-01-12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083B1 true KR102247083B1 (ko) 2021-04-30

Family

ID=7574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669A KR102247083B1 (ko) 2021-01-12 2021-01-12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156A (ko) 2005-01-19 2007-08-27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고장 진단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918B1 (ko) * 2016-08-22 2017-01-04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내진장치가 구비된 지중 배전선로
KR102147967B1 (ko) * 2020-04-20 2020-08-25 (유)광진이엔지 지중용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및 복구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156A (ko) 2005-01-19 2007-08-27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고장 진단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918B1 (ko) * 2016-08-22 2017-01-04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내진장치가 구비된 지중 배전선로
KR102147967B1 (ko) * 2020-04-20 2020-08-25 (유)광진이엔지 지중용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및 복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322B1 (ko)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2049525B1 (ko) 지중전력케이블 고장검출 및 복구장치
CA2552805C (en) Tubular running apparatus
KR101719654B1 (ko) 배전용 지중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KR102147967B1 (ko) 지중용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및 복구 설비
KR102247228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20090016399A (ko) 설비를 자동 정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계 리프트설비의 공중 로프를 안내하는 장치
KR102062819B1 (ko)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199752B1 (ko) 이동 센싱을 통한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2247083B1 (ko)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KR102045848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KR101007475B1 (ko) 동심 중성선 전력 케이블용 안전 절단기
US11913584B2 (en) Insert valve cut warning system
KR1026183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N107769070A (zh) 一种基于无人机的输电线巡检装置及方法
KR102110868B1 (ko) 공동 주택 단지용 통신 케이블 이상 검출 및 이상 복구 시스템
CN113345638B (zh) 一种电缆及其控制系统
US10479644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with elevator link having integrated control lines
CN103885370A (zh) 生产线监控系统和生产线监控方法
KR102180693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통신덕트의 모니터링과 제어 시스템
KR102149977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통합관리 시스템
KR102657347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검출 시스템
CN101430296B (zh) 钻头破损检测装置
CN112262097B (zh) 改进的管道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