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153B1 - 안경모듈 - Google Patents

안경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153B1
KR102246153B1 KR1020190154872A KR20190154872A KR102246153B1 KR 102246153 B1 KR102246153 B1 KR 102246153B1 KR 1020190154872 A KR1020190154872 A KR 1020190154872A KR 20190154872 A KR20190154872 A KR 20190154872A KR 102246153 B1 KR102246153 B1 KR 10224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gnet
fixing part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936A (ko
Inventor
유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케이
Publication of KR2020006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모듈은 메인 안경모듈 및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안경모듈 및 상기 서브 안경모듈은 서로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경모듈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안경모듈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된 제2 고정부, 상기 제1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자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모듈{GLASSES MODULE}
본 발명은 안경모듈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색약을 교정하게 위한 서브 안경모듈이 탈/부착이 가능한 안경모듈에 관한 것이다.
적녹색약인 사람들을 위해서, 렌즈의 표면에 특수한 코팅층들이 도포된 색약교정용 렌즈 및 안경들이 개발되고 있다.
렌즈에 입사되는 광 중 적색과 녹색 사이의 광을 반사시키고 나머지 광만을 입사시키는 경우, 적녹색약인 사람들이 적색과 녹색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안경테는 한쌍의 렌즈만을 고정한다. 따라서, 기존의 안경테를 통해서,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와 색약교정용 렌즈를 동시에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시력교정용 렌즈와 색약교정용 렌즈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안경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은 메인 안경모듈 및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경모듈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안경모듈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안경모듈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사용자의 코에 접촉하기 위한 코받침부, 상기 제1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된 제2 고정부, 상기 제1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각각은 원시 및 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각각은 원시 및 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코받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상부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하부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3 상부 자석 및 상기 제3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제3 상부 자석 및 상기 제3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1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1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지 않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1 측은 에워싸지 않고, 상기 제3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서로 부착되면,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제1 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제2 측을 에워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은 메인 안경모듈 및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경모듈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안경모듈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고 제1 측 형성된 제1 상부 홈 및 제2 측에 형성된 제2 상부 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1 상부 홈에 삽입된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2 상부 홈에 삽입된 제2 상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되고 제1 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홈 및 제2 측에 형성된 제2 하부 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1 하부 홈에 삽입된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2 하부 홈에 삽입된 제2 하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모듈은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상기 제1 상부 자석, 상기 제2 상부 자석, 상기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된 제1 모드 및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서로 분리된 제2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은 메인 안경모듈 및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안경모듈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안경모듈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고 상부 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된 상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되고 하부 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하부 홈에 삽입된 하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모듈은 상기 상부 자석 및 상기 하부 자석이 서로 접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상부 자석 및 상기 하부 자석이 서로 분리된 제2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력교정용 렌즈와 색약교정용 렌즈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안경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모듈이 메인 안경모듈과 서브 안경모듈로 분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안경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안경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GM)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경모듈(GM)이 메인 안경모듈(MG)과 서브 안경모듈(SG)로 분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안경모듈(GM)은 메인 안경모듈(MG)과 서브 안경모듈(SG)의 관계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는 메인 안경모듈(MG)과 서브 안경모듈(SG)이 서로 부착되어 있으며, 제2 모드에서는 메인 안경모듈(MG)과 서브 안경모듈(SG)이 서로 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은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도, 도 2는 안경모듈(GM)이 제2 모드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기 위해서, 서브 안경모듈(SG)은 메인 안경모듈(MG)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안경모듈(MG)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메인 안경모듈(MG)은 제1 렌즈(RS1), 제2 렌즈(RS2), 및 제1 프레임(FRM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는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 각각은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 각각은 선글라스용 렌즈 일 수 있다.
제1 프레임(FRM1)은 제1 고정부(FX1), 지지부(SP), 코받침부(NS), 제1 상부 자석(MH1), 제2 상부 자석(MH2), 및 제3 상부 자석(M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FX1)는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FX1)의 제1 고정 홈(HM-FX1)에 제1 렌즈(RS1) 및 제2 렌즈(RS2)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FX1)에는 제1 상부 홈(HMH1), 제2 상부 홈(HMH2), 및 제3 상부 홈(HMH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홈(HMH1)은 제1 렌즈(RS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홈(HMH1)은 제1 고정부(FX1)의 제1 측에서 제3 방향(DR3)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상부 홈(HMH2)은 제2 렌즈(RS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 홈(HMH2)은 제1 고정부(FX1)의 제2 측에서 제3 방향(DR3)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상부 홈(HMH3)은 제1 렌즈(RS1)와 제2 렌즈(R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상부 홈(HMH3)은 제1 고정부(FX1)의 제1 측 및 제2 측의 중간 부분에서 제3 방향(DR3)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고정부(FX1)에서 연장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안경모듈(GM)이 사용자에게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받침부(NS)는 제1 고정부(FX1)에서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코에 접촉할 수 있다. 코받침부(NS)는 안경모듈(GM)이 사용자에게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상부 자석(MH1)은 제1 상부 홈(HMH1)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상부 자석(MH1)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1 상부 홈(HMH1)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상부 자석(MH2)은 제2 상부 홈(HMH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상부 자석(MH2)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2 상부 홈(HMH2)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상부 자석(MH3)은 제3 상부 홈(HMH3)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상부 자석(MH3)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3 상부 홈(HMH3)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안경모듈(SG)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서브 안경모듈(SG)은 제3 렌즈(RS3), 제4 렌즈(RS4), 및 제2 프레임(FRM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는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 각각은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 각각은 선글라스용 렌즈 일 수 있다.
제2 프레임(FRM2)은 제2 고정부(FX2), 제1 하부 자석(ML1), 및 제2 하부 자석(M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FX2)는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FX2)의 제2 고정 홈(HM-FX2)에 제3 렌즈(RS3) 및 제4 렌즈(RS4)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FX2)에는 제1 하부 홈(HML1), 제2 하부 홈(HML2), 및 제3 하부 홈(HML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홈(HML1)은 제3 렌즈(RS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홈(HML1)은 제2 고정부(FX2)의 제1 측에서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하부 홈(HML2)은 제4 렌즈(RS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부 홈(HML2)은 제2 고정부(FX2)의 제2 측에서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하부 홈(HML3)은 제3 렌즈(RS3)와 제4 렌즈(RS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부 홈(HML3)은 제2 고정부(FX2)의 제1 측 및 제2 측의 중간 부분에서 제3 방향(DR3)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인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인 경우, 제3 방향(DR3) 상에서 제1 하부 홈(HML1)은 제1 상부 홈(HMH1)과 중첩하고, 제2 하부 홈(HML2)은 제2 상부 홈(HMH2)과 중첩하며, 제3 하부 홈(HML3)은 제3 상부 홈(HMH3)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하부 자석(ML1)은 제1 하부 홈(HML1)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하부 자석(ML1)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1 하부 홈(HML1)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하부 자석(ML2)은 제2 하부 홈(HML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하부 자석(ML2)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2 하부 홈(HML2)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하부 자석(ML3)은 제3 하부 홈(HML3)에 수용될 수 있다. 제3 하부 자석(ML3)을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3 하부 홈(HML3)의 깊이를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하부 자석(ML1)은 제1 상부 자석(MH1)과 대응되고, 제2 하부 자석(ML2)은 제2 상부 자석(MH2)과 대응되며, 제3 하부 자석(ML3)은 제3 상부 자석(NH3)과 대응될 수 있다.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인 경우, 제3 방향(DR3)에서 제1 하부 자석(ML1)은 제1 상부 자석(MH1)과 중첩하고, 제2 하부 자석(ML2)은 제2 상부 자석(MH2)과 중첩하며, 제3 하부 자석(ML3)은 제3 상부 자석(NH3)과 중첩할 수 있다.
렌즈들(RS1, RS2, RS3, RS4) 각각은 제1 측(또는 상측) 및 제2 측(또는 하측)을 포함할 수 있다.
안경모듈(GM)이 제2 모드인 경우, 제1 고정부(FX1)는 제1 렌즈(RS1)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싸고, 제2 측(또는 하측)은 에워싸지 않을 수 있다. 제1 고정부(FX1)는 제2 렌즈(RS2)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싸고, 제2 측(또는 하측)은 에워싸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안경모듈(GM)이 제2 모드인 경우, 제2 고정부(FX2)는 제3 렌즈(RS3)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싸지 않고, 제2 측(또는 하측)은 에워쌀 수 있다. 제2 고정부(FX2)는 제4 렌즈(RS4)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싸지 않고, 제2 측(또는 하측)은 에워쌀 수 있다.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인 경우, 제1 고정부(FX1)는 제3 렌즈(RS3)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싸고, 제4 렌즈(RS4)의 제1 측(또는 상측)을 에워쌀 수 있다.
또한,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인 경우, 제2 고정부(FX2)는 제1 렌즈(RS1)의 제2 측(또는 하측)을 에워싸고, 제2 렌즈(RS2)의 제2 측(또는 하측)을 에워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자석(MH1) 및 제1 하부 자석(ML1)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제2 상부 자석(MH2) 및 제2 하부 자석(ML2)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제3 상부 자석(MH3) 및 제3 하부 자석(ML3)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모듈(GM)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서브 안경모듈(SG)이 메인 안경모듈(MG)의 전면에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경모듈(GM)을 착용한 사용자의 눈을 기준으로 서브 안경모듈(SG)과 사용자의 눈의 이격거리가 메인 안경모듈(MG)과 사용자의 눈의 이격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GM: 안경모듈 MG: 메인 안경모듈
SG: 서브 안경모듈 FRM1: 제1 프레임
FRM2: 제2 프레임 RS1, RS2, RS3, RS4: 렌즈
FX1: 제1 고정부 FX2: 제2 고정부

Claims (20)

  1.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안경모듈; 및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안경모듈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사용자의 코에 접촉하기 위한 코받침부;
    상기 제1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렌즈의 일측에 인접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된 제2 고정부;
    상기 제1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코받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하고,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2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1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1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지 않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1 측은 에워싸지 않고, 상기 제3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각각은 원시 및 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인 안경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각각은 색약을 교정하기 위한 색약교정용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각각은 원시 및 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교정하기 위한 시력교정용 렌즈인 안경모듈.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상부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하부 자석을 더 포함하는 안경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향에서, 상기 제3 상부 자석 및 상기 제3 하부 자석은 서로 중첩하는 안경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제2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지며,
    상기 제3 상부 자석 및 상기 제3 하부 자석 중 어느 하나는 N극을 갖고, 다른 하나는 S극을 가지는 안경모듈.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서로 부착되면,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제1 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10.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안경모듈; 및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고, 제1 측 형성된 제1 상부 홈 및 제2 측에 형성된 제2 상부 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1 상부 홈에 삽입된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2 상부 홈에 삽입된 제2 상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되고, 제1 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홈 및 제2 측에 형성된 제2 하부 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1 하부 홈에 삽입된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제2 하부 홈에 삽입된 제2 하부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상기 제1 상부 자석, 상기 제2 상부 자석, 상기 제1 하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에 의해 서로 부착된 제1 모드 및 상기 메인 안경모듈과 상기 서브 안경모듈이 서로 분리된 제2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제1 상부 자석 및 상기 제1 하부 자석은 중첩하고, 상기 제2 상부 자석 및 상기 제2 하부 자석은 중첩하며,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1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1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지 않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1 측은 에워싸지 않고, 상기 제3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11. 삭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상부 홈 및 상기 제2 상부 홈 사이에 형성된 제3 상부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하부 홈 및 상기 제2 하부 홈 사이에 형성된 제3 하부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3 상부 홈에 삽입되는 제3 상부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하부 홈에 삽입되는 제3 하부 자석을 더 포함하는 안경모듈.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1 상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상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2 상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1 하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1 하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하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2 하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한 안경모듈.
  14. 삭제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제1 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16.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1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안경모듈; 및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 안경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와 결합되고, 상부 홈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상부 홈에 삽입된 상부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와 결합되고, 하부 홈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상부 자석과 대응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하부 홈에 삽입된 하부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자석 및 상기 하부 자석이 서로 접촉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상부 자석 및 상기 하부 자석이 서로 분리된 제2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서, 상기 상부 자석 및 상기 하부 자석은 중첩하며,
    상기 상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상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하부 홈의 깊이를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는 상기 하부 자석을 상기 제3 방향에서 측정한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1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1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지 않으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1 측은 에워싸지 않고, 상기 제3 렌즈의 제2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제1 측을 에워싸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제2 측을 에워싸는 안경모듈.
KR1020190154872A 2018-11-29 2019-11-27 안경모듈 KR102246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210 2018-11-29
KR20180151210 2018-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936A KR20200064936A (ko) 2020-06-08
KR102246153B1 true KR102246153B1 (ko) 2021-04-29

Family

ID=7108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72A KR102246153B1 (ko) 2018-11-29 2019-11-27 안경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026A (ko) * 2006-06-30 2008-01-04 이석재 장식프레임을 가지는 안경어셈블리
KR20080019918A (ko) * 2006-08-29 2008-03-05 이석재 조합형 안경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93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492B2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US9726892B2 (en) Light guide pris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40153102A1 (en) Head-mounted display
US20140327602A1 (en)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50253576A1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6165174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4581632B2 (ja) 映像表示装置
KR102246153B1 (ko) 안경모듈
KR20160145556A (ko)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안경 렌즈
WO2003010591A3 (en) Bioptic telescope system embedded into a spectacle lens
US67091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ocular muscular fatigue
US20170031178A1 (en) Spectacle frame
JP2018528472A (ja) 矯正レンズ装置及び方法
KR100455302B1 (ko) 시력 보정용 안경렌즈
US8992008B2 (en) Foldable eyewear
CN210720880U (zh) 一种ar眼镜
CN109923444B (zh) 适于面部几何形状的3d眼镜
JP3124890U (ja) 眼鏡セット
JP7349718B2 (ja) 隻眼者用眼鏡
JP5266526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8035208A (ja) アイグラスディスプレイ
JP3077165B2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3212792U (ja) ピンホール定規
JP3212577U (ja) 眼鏡
US20140313556A1 (en) Portable augmented 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