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47B1 -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 Google Patents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47B1
KR102246047B1 KR1020150081212A KR20150081212A KR102246047B1 KR 102246047 B1 KR102246047 B1 KR 102246047B1 KR 1020150081212 A KR1020150081212 A KR 1020150081212A KR 20150081212 A KR20150081212 A KR 20150081212A KR 102246047 B1 KR102246047 B1 KR 10224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ling water
low
connec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723A (ko
Inventor
정세호
김기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76Draining or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4Arrangements of liquid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37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2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 F02N19/04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by heating of fluids used i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2003/008Liquid cooling the liquid being water and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02Mar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02Marine engines
    • F01P2050/08Engine ro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프런트 엔드 블록에 설치되는 냉각수 유입 및 배출 관로 접속부를 모듈화 하여 냉각수 관로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한 곳에서의 집중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와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모듈화 한 냉각수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은, 고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과 저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으로서, 엔진에 설치되는 프런트 엔드 블록(11), 그리고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와 외측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연결하는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라인 접속부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과;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을 각각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연결하는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 및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가 단일의 몸통에 구비된 냉각수 접속 모듈(1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ENGINE WITH MODULARIZED CONNECTION PARTS OF COOLING WATER LINES}
본 발명은 엔진의 프런트 엔드 블록에 설치되는 냉각수 유입 및 배출 관로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 유입관로 접속부와 배출관로 접속부를 모듈화 하여 냉각수 관로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한 곳에서의 집중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와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모듈화 한 냉각수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추진용, 해양 플랜트, 육상 플랜트 등은 엔진 구조물의 설치공간은 협소하고 매우 제한적인데 비해, 엔진을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플랫폼 구조물을 비롯한 부수적인 구조물 및 설비들을 위한 공간까지 추가로 확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선박에서는 화물 적재 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엔진 및 감속기 등의 파워 트레인 및 플랫폼 구조물들을 설치하기 위한 엔진 룸의 공간은 협소해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소형의 선박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현대 및 미래의 엔진 설비는, 출력과 연비의 관점에서의 효율의 향상이라는 과제와 함께, 엔진 구조물이나 부대설비의 규모를 축소하고, 각종 배관이나 보조기기 등도 효율성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치와 정렬(arrangement)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과제들도 해결해 나가야 한다.
이른바 '클린 엔진'(CLEAN Engine ; C-Customer, L-Liability, E-Environment, A-Acceptable technology, N-No defect)은 이러한 기술적 요구와 고객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과 발명자들에 의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엔진이다.
요컨대, 클린 엔진은, 엔진 효율을 종래와 동등하게 유지하거나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엔진과 그에 부속하는 윤활유 순환계통, 냉각수 순환계통, 흡기 계통, 배기 계통, 펌프, 블로어, 모터 등을 포함하는 엔진 보조 기기들을 모듈화, 통합화, 소형화 및 단순화를 통해 합리적으로 재구성하며, 냉각수, 윤활유 및 연료의 순환 또는 공급 배관 및 통로를 기능적으로 향상시키고, 그와 함께 간결하고 가지런하게 정렬하거나 엔진 블록 내부에 형성하여 엔진의 내, 외부 구조를 간소화하며, 또한 엔진 및 부속 장치들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조립, 분해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하고, 엔진 주변 및 엔진 룸 내부를 언제나 깨끗하게 유지하여 작업자에게 쾌적한 엔진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중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엔진이다.
클린 엔진의 관점에서 종래의 엔진 냉각수 라인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엔진의 냉각수 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엔진의 프런트 엔드 블록(1)은, 엔진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블록으로서, 그 곳에는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의 보조기기가 장착되며, 이러한 보조 기기들과 연계하여 엔진으로 들어가거나 배출되는 통로 및 접속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엔드 블록(1)에 장착되는 보조 기기로서는, 고온 냉각수 펌프(2), 저온 냉각수 펌프(3), 흡기 냉각기(4), 윤활유 펌프(5), 윤활유 필터 모듈(6), 윤활유 냉각기(9) 등이 있다.
그리고 고온 냉각수 라인을 접속하여 고온 냉각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고온 냉각수 유입단(6)과, 엔진을 냉각하고 나온 고온 냉각수를 회수하기 위한 고온 냉각수 유출단(도시하지 않음)과, 저온 냉각수 라인을 접속하여 저온 냉각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저온 냉각수 유입단(7)과, 엔진을 냉각하고 나온 저온 냉각수를 야드(yard)로 보내기 위한 저온 냉각수 유출단(8)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 엔드 블록(1)에는 다양한 보조 기기들이 장착되는 것에 더하여 냉각수, 윤활유 배관 등, 각종의 배관들이 얽혀서 매우 복잡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고온 냉각수 유입단(6), 고온 냉각수 유출단(7), 저온 냉각수 유입단(8) 및 저온 냉각수 유출단들이 각기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들과 연계된 배관 라인들이 무질서하게 배치됨과 함께 부품별 공간 배치설계를 제한하게 되며, 조립과 정비가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055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프런트 엔드 블록에 설치되는 냉각수 유입관로 접속부와 유출관로 접속부를 모듈화 하여 냉각수 관로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한 곳에서의 집중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와 정비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은, 고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과 저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으로서, 엔진에 설치되는 프런트 엔드 블록(11), 그리고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와 외측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연결하는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라인 접속부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과;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을 각각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연결하는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 및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가 단일의 몸통에 구비된 냉각수 접속 모듈(1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는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맞대어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부(10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는,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를 프리 히터에 연통연결하기 위한 히터 공급통로(115)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는, 상기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와 연통하는 드레인 통로(134)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통로(134)에는 드레인 플러그(136)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은,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접속단을 단일체의 몸통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모듈화를 이루어내고, 이처럼 모듈화 한 냉각수 접속 모듈을 프런트 엔드 블록에 설치한다. 따라서 냉각수 관로들이 모두 한곳으로 집중하여 연결되므로, 엔진 전체의 냉각수 관로의 배치와 연결 구조가 단순화 되며, 또한 냉각수 관료를 한 곳에서 집중적인으로 연결이 가능해져 제조와 정비가 용이해진다.
또한, 냉각수 접속 모듈에 히터 공급통로 및 드레인 통로(134)까지 모듈화 함으로써 엔진 주변의 배관 구조가 더욱 단순화된다.
도 1은 종래 엔진의 프런트 엔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프런트 엔드 및 냉각수 접속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프런트 엔드 및 냉각수 접속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프런트 엔드 및 냉각수 접속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과 저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을 구비하는 엔진으로서, 엔진의 전방부에는 프런트 엔드 블록(11)이 설치되고, 프런트 엔드 블록(11)에는 흡기 냉각기(14), 윤활유 펌프(15), 윤활유 필터 모듈(16), 윤활유 냉각기(19), 냉각수 서모밸브(thermo-valve)(51), 윤활유 서모밸브(52)가 설치된다.
고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엔진의 실린더의 워터 재킷(water jacket)과 실린더 헤드를 순환하는 냉각수와 같이, 고온부를 순환하여 냉각시키는 한편, 그래서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가 연소에 적합한 소정의 온도 범위(예; 80~90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냉각 시스템이다.
이에 비해, 저온 냉각수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엔진으로 들어가는 흡기를 냉각하기 위한 흡기 냉각기나 윤활유를 냉각하기 위한 윤활유 냉각기를 순환시키는 냉각 시스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과 저온 냉각수 순환 시스템에 고온 냉각수와 저온 냉각수의 공급과 배출을 위해, 프런트 엔드 블록(11)에는 냉각수 접속 모듈(10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 접속 모듈(100)은, 외측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공급관)과 유출관(회수관)을 프런트 엔드 블록(11)과 연결하는 냉각수 라인 접속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들을 한 장소(또는 영역)에서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단일체의 몸통에 각각의 냉각수 접속단들을 모두 구비하여 집중 배치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냉각수 접속단은, 단일체의 몸통으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을 집중해서 배치한 형태이다.
각각의 접속단(110, 120, 130, 140)들은 일반적인 배관의 연결 플랜지에 대응하는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과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에는 각각 고온냉각수 유입관과 고온냉각수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가 연결되고,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과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에는 각각 저온냉각수 유입관과 고온냉각수 유출관의 연결플랜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단(110, 120, 130, 140)은 엔진의 전방을 향하면서, 엔진의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을 통해 프런트 엔드 블록(11)으로 들어온 고온 냉각수는 냉각수 펌프(200)(도면에 도시된 냉각수 폄프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를 나란히 펌핑 하는 복합 펌프이다)에 의해 펌핑 되어 실린더 워터 재킷 등의 용처로 보내지고, 소정의 용처를 순환 한 이후에는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을 통해 나와서 고온냉각수 유출관으로 회수된다.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을 통해 프런트 엔드 블록(11)으로 들어온 저온 냉각수는 냉각수 펌프(200)에 의해 펌핑 되어 흡기 냉각기(14) 등의 용처로 보내지고, 소정의 용처를 순환 한 이후에는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을 통해 나와서 저온냉각수 유출관으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접속단(110, 120, 130, 140)을 단일체의 몸통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모듈화를 이루어낸 냉각수 접속 모듈(100)을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냉각수 관로들이 모두 한곳으로 집중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 전체의 냉각수 관로의 배치와 연결 구조가 단순화 되며, 또한 냉각수 관료를 한 곳에서 집중적인으로 연결이 가능해지므로 제조와 정비가 용이해진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100)의 구조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에는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수 접속 모듈(100)은, 단일의 몸통부(102)로 이루어지며, 몸통부(102)에는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110, 120, 130, 140)은 외부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에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접속단(110, 120, 130, 140)은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에 대응하는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110, 120, 130, 140)은 각각, 외부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와 맞대어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14, 124, 134, 14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14, 124, 134, 144)가, 각각의 플랜지 면이 엔진의 전방을 향하고, 엔진의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랜지(114, 124, 134, 144)에는, 상기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16, 126, 136, 146)이 형성된다.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은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를 구비하고,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은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를 구비한다.
또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은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를 구비하고,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은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를 구비한다.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 및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는 몸통부(102)의 한 쪽 면으로부터 프런트 엔드 블록(11)을 향하는 면으로 독립적인 통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는데, 몸통부(102)의 한 쪽에는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맞대어 고정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부(104)가 일체로 형성된다.
장착 플랜지부(104)는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평탄한 하면에 밀착하여 접속되도록, 상부가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 및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는 장착 플랜지부(104)까지 연장되어,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냉각수 통로에 연결된다.
장착 플랜지부(104)에 의해 냉각수 접속 모듈(100)의 일부분이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아래로 들어가는 형태가 되므로 냉각수 접속 모듈(100)이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100)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몸통부(102)에는,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를 프리 히터에 연통연결하기 위한 히터 공급통로(115)가 형성된다.
즉, 냉간 시동시와 같이 엔진이 예열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 기동할 때와 같이 신속한 예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프리 히터의 밸브를 열어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로 공급되는 고온 냉각수의 일부를 프리 히터로 보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엔진으로 공급하게 된다.
위와 같이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 히터 공급통로(115)도 함께 모듈화 하여 구비함으로써 프리 히터에 연결되는 관로 및 그것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만큼 엔진 주변의 배관 구조가 단순해진다.
도 6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접속 모듈(100)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냉각수 접속 모듈(100)의 몸통부(102)에는,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의 한 지점으로부터 연통하는 드레인 통로(134)가 형성된다. 드레인 통로(134)는 정비 시와 같이 필요한 경우 냉각수를 인위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이러한 드레인 통로(134)에는 드레인 플러그(136)가 체결된다. 드레인 플러그(136)는 드레인 통로(13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통로(134)까지 냉각수 접속 모듈(100)에 함께 모듈화 함으로써 별도의 드레인 통로나 드레인 관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에 따라 엔진 주변의 배관 구조가 더욱 단순화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1 : 프런트 엔드 블록
14 : 흡기 냉각기
16 : 윤활유 필터 모듈
51 : 냉각수 서모밸브
100 : 냉각수 접속 모듈
102 : 몸통부
104 : 장착 플랜지부
110 :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
112 : 고온냉각수 유입통로
115 : 히터 공급통로
120 :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
122 : 고온냉각수 유출통로
130 :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
132 : 저온냉각수 유입통로
140 :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
142 : 저온냉각수 유출통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엔진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는 프런트 엔드 블록(11)에 장착되어 외부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접속하기 위한 냉각수 접속 모듈로서,
    몸통부(102)를 포함하여 전체가 단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102)의 전방 측에는, 상기 외부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을 접속하기 위한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이 형성되는데, 이 접속단(110, 120, 130, 140)은 각각, 상기 외부의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와 맞대어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14, 124, 134, 144)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4, 124, 134, 144)는, 각각의 플랜지 면이 엔진의 전방을 향하고, 엔진의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고온 및 저온 냉각수 유입관과 유출관의 연결 플랜지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16, 126, 136, 146)을 포함하며,
    상기 몸통부(102)의 후방 측에는,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평탄한 하면에 맞대어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부가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하면을 마주보는 평탄한 면(106)을 가진 장착 플랜지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부(104)에는, 상기 프런트 엔드 블록(11)의 하면에 맞대어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08)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102)의 내부에는,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접속단(110), 고온냉각수 유출접속단(120), 저온냉각수 유입접속단(130) 및 저온냉각수 유출접속단(140)으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상기 몸통부(102)를 지나 상기 장착 플랜지부(104)까지 관통연장되는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 고온냉각수 유출통로(122),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 및 저온냉각수 유출통로(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접속 모듈.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02)에는, 상기 고온냉각수 유입통로(112)를 프리 히터에 연통연결하기 위한 히터 공급통로(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접속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02)에는, 상기 저온냉각수 유입통로(132)와 연통하는 드레인 통로(134)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통로(134)에는 드레인 플러그(13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접속 모듈.
KR1020150081212A 2015-06-09 2015-06-09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KR10224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12A KR102246047B1 (ko) 2015-06-09 2015-06-09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12A KR102246047B1 (ko) 2015-06-09 2015-06-09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23A KR20160144723A (ko) 2016-12-19
KR102246047B1 true KR102246047B1 (ko) 2021-04-28

Family

ID=5773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212A KR102246047B1 (ko) 2015-06-09 2015-06-09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015B1 (ko) * 2018-02-06 2023-03-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흡기 릴리프 밸브 하우징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엔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663B1 (ko) 2013-06-24 201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의 예열 및 냉각 시스템
KR101899168B1 (ko) * 2013-10-17 2018-09-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조기기 모듈을 가지는 디젤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23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520B1 (en) Cooling system for an outboard motor having both open and closed loop portions
US8997483B2 (en) Engine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plit cooling and integrated exhaust manifold applications
KR101274931B1 (ko) 다기통 엔진
JP2016125404A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還流装置
KR101951970B1 (ko) 트윈 터보차저용 다목적 에어 쿨러 케이싱 조립체
US9228479B2 (en) Marine diesel engines
JP2015190416A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還流装置
US9695721B2 (en) Water cooled exhaust manifold
KR102246047B1 (ko) 모듈화 한 냉각수 라인 접속부를 구비하는 엔진
JP2014190296A (ja) 内燃機関
US201100113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urface Temperatures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A1065711A (en) Engine heater
JPS61175217A (ja) シリンダヘツドの冷却構造
JP2009180109A (ja) 排気マニホールド一体型シリンダヘッドの冷却構造
JP2005299393A (ja) 過給機付エンジン
US20050109293A1 (en) Liquid-cooled engine
US10253693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manifold
KR102517015B1 (ko) 다기능 흡기 릴리프 밸브 하우징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엔진
JP6488411B2 (ja) 給気冷却器装置
US7086356B2 (en) Engine cooling structure
KR20220094073A (ko) 연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엔진 냉각 장치
US9206731B2 (en) Manifold for use with water-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3352767B (zh) 一种柴油机冷却系统
KR20150092912A (ko) 간소화된 냉각수 순환 경로를 구비하는 클린 엔진
KR200190850Y1 (ko) 선박엔진의 익스팬션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