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931B1 - 다기통 엔진 - Google Patents

다기통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931B1
KR101274931B1 KR1020060021569A KR20060021569A KR101274931B1 KR 101274931 B1 KR101274931 B1 KR 101274931B1 KR 1020060021569 A KR1020060021569 A KR 1020060021569A KR 20060021569 A KR20060021569 A KR 20060021569A KR 101274931 B1 KR101274931 B1 KR 10127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r
intake
valve case
inlet pipe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931A (ko
Inventor
사토시 스기모토
마사히로 아케타
슈이치 야마다
테츠야 코사카
유키마사 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7003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7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the intake air cooler being combined with another device, e.g. heater, valve, compressor, filter or EGR cooler, or being assembled on a special engine 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0Connections of coolers to other devices, e.g. to valves, heaters, compressors or filters; Cooler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n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2Liquid-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41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in relation to the engine, e.g. to cylinder heads, liners, spark plugs or manifold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in relation to specially adapted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4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having two or more EGR passages; EG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ngines having two or more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12Intake manifolds fo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17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 F02M26/21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with EGR valves located at or near the connection to the intak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을 제공한다.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이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흡기분배통로벽(3)은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부착되고 배기합류통로벽(4)은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부착되며, 이 배기합류통로벽(4)은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의 내면과 연통되는 내면을 갖고 있다. 이 다기통 엔진에서, 흡기입구관(5)은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세워지도록 만들어지고,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흡기입구관(5)은 전후로 EGR냉각기(6)와 나란히 배치된다.
Figure R1020060021569
다기통, 실린더, 엔진, EGR, 냉각기, 통로

Description

다기통 엔진{MULTI-CYLINDER ENG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흡기분배통로벽과 그 주위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실린더헤드와 그 주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에 채용되는 흡기분배통로벽의 설명도로서, 도 6(A)은 후부(後部)의 좌측면도, 도 6(B)은 도 6(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C)은 후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기통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기통 엔진으로서, 크랭크축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실린더헤드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흡기분배통로벽이 부착되는 한 측면과 배기합류통로벽이 부착되는 다른 측면을 가진 실린더헤드와, EGR냉각기를 통해 배기합류통로벽 내를 흡기분배통로벽 내에 연통시킨 것이 있다. 이것은 본 발명도 마찬가지이다.
이 타입의 다기통 엔진은 EGR냉각기를 통해 EGR가스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NOX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엔진들의 일부는 각각의 길이가 배기합류통로벽(배기 매니폴드)보다 긴 길이를 갖는 EGR냉각기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8973 참조).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 EGR냉각기가 손상되기 쉽다.
EGR냉각기가 배기합류통로벽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받아, 과열되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문제점> EGR냉각기가 대형화된다.
EGR냉각기가 배기합류통로벽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받기 때문에,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EGR냉각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 즉,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다기통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다기통 엔진은, 흡기분배통로벽(3)이 부착되는 한 측면과 배기합류통로벽(4)이 부착되는 다른 측면을 가진 실린더헤드(2)와, EGR냉각기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의 내면과 연통되는 내면을 가진 배기합류통로벽(4)을 포함한다.
이 다기통 엔진에서,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은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세워지도록 만들어지고,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설되며, 흡기입구관(5)은 전후로 EGR냉각기(6)와 나란히 배치된다.
삭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EGR냉각기(6)는 배기합류통로벽(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받아 과열됨으로써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EGR냉각기(6)는 배기합류통로벽(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받을 여지가 없기 때문에, 이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없어, EGR냉각기(6)는 소형화될 수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은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세워지도록 만들어지고,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다. 또, 흡기입구관(5)은 전후로 EGR냉각기(6)와 함께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원래는 빈 공간이었던 흡기분배통로벽(3) 위의 공간이 EGR냉각기(6)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엔진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케이스(7)는 EGR냉각기(6)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EGR냉각기(6)에 의해 냉각된 EGR가스는 EGR밸브케이스(7) 안으로 흘러든다. 이로써 EGR밸브(9)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액츄에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케이스(7)는 EGR냉각기(6)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밸브액츄에이터(8)는 이 EGR밸브케이스(7)에 부착된다. 따라서 EGR냉각기(6)에 의해 냉각된 EGR가스는 EGR밸브케이스(7) 안으로 흘러들어, 이 EGR밸브케이스(7)에 부착된 밸브액츄에이터(8)는 거의 과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밸브액츄에이터(8)가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케이스(7)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 배치된다. 또, 흡기입구관(5), EGR냉각기(6) 및 EGR밸브케이스(7)는 전후로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원래는 빈 공간이었던 흡기분배통로벽(3) 위의 공간이 EGR냉각기(6) 및 EGR밸브케이스(7)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엔진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삭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9)는 수직이고 슬라이딩 가능하며 EGR밸브케이스(7) 내의 밸브축 삽입구멍(7c) 내에 끼울 수 있게 만들어진 밸브축(9a)을 갖고 있다. 따라서 EGR밸브(9)가 수평으로 만들어진 밸브축을 가진 경우와 달리, EGR밸브(9)의 밸브축이 자중에 의해 한쪽으로만 밸브축 삽입구멍에 부딪힐 가능성이 없어, EGR밸브(9)가 편심 마멸 때문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청구항 4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안으로 흡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10c)가 만들어진다. 이로 인해 EGR밸브(9)가 흡기의 유입에 의해 급냉되는 단점을 제거해, EGR밸브(9)가 급냉 때문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10c)는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안으로 EGR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이는 NOX를 효율적으로 줄이기 위해 EGR 비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2)는 수냉 재킷의 내면을 통과하는 헤드 안 EGR통로(11)가 제공되고, EGR냉각기(6)는 이 헤드 안 EGR통로(11)의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EGR가스는 헤드 안 EGR통로(11)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차례로 이 냉각 때문에 달성되는 열 감소에 대응하는 양만큼 EGR냉각기(6)의 냉각성능을 낮춰도 된다. 이것이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EGR가스는 헤드 안 EGR통로(11)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차례로 이 냉각 때문에 달성되는 열 감소에 대응하는 양만큼 EGR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NOX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삭제
(청구항 6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 EGR밸브케이스(7), EGR냉각기(6) 및 접속관(12)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기재한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 결과, 엔진을 생산하거나 정비할 때, 부품, 공구 등의 물체는 후방으로부터 EGR냉각기(6)에 접근하더라도, 이 물체가 후방으로부터 EGR냉각기(6)에 충돌하기 전에, 흡기입구관(5)과 이 흡기입구관(5)에 연결된 흡기공급파이프(18)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방으로부터 충돌하는 물체에 의해 EGR냉각기(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유사하게, 물체가 전방으로부터 접근하더라도, 이 물체가 전방으로부터 EGR냉각기(6)에 충돌하기 전에, 접속관(12)이 이 물체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충돌하는 물체에 의해 EGR냉각기(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청구항 7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조립라인에서 부품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케이스(7), EGR냉각기(6) 및 접속관(12)은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들로 만들어지고, 이들 구성요소는 가요성이 없는 강성 연결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엔진 조립라인 밖에서 일체로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들을 예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한번에 복수의 부품을 조립할 수 있고, 이것이 엔진 조립라인에서 부품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성 연결체를 쉽게 다룰 수 있다.
강성 연결체는 가요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엔진 조립라인으로 운반되거나 엔진 조립라인에서 조립될 때 전혀 변형되지 않아, 쉽게 다룰 수 있다.
삭제
(청구항 8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10c)는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안으로 흡기의 유입 및 EGR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만들어진다. 이것이 EGR밸브(9)가 흡기의 유입에 의해 급냉되는 것을 단점을 제거하여, 급냉에 의해 EGR밸브(9)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10c)는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속으로 EGR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만들어진다. 이것이 NOX를 줄일 수 있도록 EGR 속도를 최적화한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안 EGR통로(11)와 헤드 밖 EGR통로(13) 양자는 높은 EGR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EGR가스를 EGR냉각기(6) 속으로 도입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NOX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삭제
(청구항 10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냉각팬(14)에 의해 생기는 엔진냉각풍은 헤드 밖 EGR통로(13)로 송풍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냉각에 의해 달성되는 열 감소에 대응하는 양만큼 EGR냉각기(6)의 냉각성능을 낮춰도 된다. 이것이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EGR가스는 헤드 밖 EGR통로(13)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 결과, 이 냉각에 의해 달성되는 열 감소에 대응하는 양만큼 EGR가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NOX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삭제
(청구항 11의 발명)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제공한다.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옆으로 기다란 EGR가스입구부(5a)는 한 쌍의 좌우 EGR가스입구(5b, 5c)가 천공된다. 따라서, 단일한 EGR가스입구가 EGR가스입구부(5a)를 통해 형성된 경우에 비해, EGR가스입구부의 직경을 확대하지 않고 EGR가스입구부의 전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NOX를 줄임에 있어 높은 EGR 속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외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EGR가스입구(5b)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가상선으로부터 그 내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에 가까이 있는 EGR가스입구(5c)의 중심선(25c)보다 더 멀리 떨어진 중심선(25b)을 갖고 있다. 흡기입구관(5)에 연결된 흡기공급파이프(18)는 실린더헤드(2)의 측면으로부터 흡기입구관(5)으로 접근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EGR가스는 각 실린더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NOX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유는 아마도 외부의 측면부에서 EGR가스입구(5b)로부터 흡기입구관(5)의 외부의 측면부 속으로 흐르는 EGR가스가 흡기입구관(5)의 외부의 측면부에 생기는 고속 흡기 흐름에 관련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EGR가스의 흡기와의 혼합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통 엔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의 다기통 디젤 엔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2)는 실린더블록(26)의 상부에 조립된다. 오일팬(oil pan, 27)은 실린더블록(26)의 하부에 조립된다. 기어케이스(28)는 이 실린더블록(26)의 하부에 조립된다. 플라이-휠 하우징(29)은 실린더블록(26)의 후방부에 조립된다.
EGR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흡기분배통로벽(3)은 실린더헤드(2)의 좌측면에 부착되고 배기합류통로벽(4)은 실린더헤드(2)의 우측면에 부착된다. 배기합류통로벽(4)은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의 내면과 연통되는 내면을 갖는다. 이 흡기분배통로벽(3)은 흡기 매니폴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어떠한 분기관도 없는 박스 모양으로 형성된다. 배기합류통로벽(4)은 배기 매니폴드 역할을 하지만, 흡기분배통로벽(3)의 부품 이름에 대응하여 그러한 부품의 명칭이 채용된다.
EGR 장치는 다음과 같이 안출된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은 흡기분배통로벽(3) 상부에 세워지며,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 전후방향으로 가설된다. 흡기입구관(5)은 전후로 EGR냉각기(6)와 나란히 배치된다. EGR냉각기(6)는 흡기분배통로벽(3) 바로 위에 배치되고,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25)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 있고 같이 겹쳐진다. EGR냉각기(6)는 실린더 중심축(25)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흡기분배통로벽(3)의 바깥쪽 측면(실린더헤드에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냉각수는 실린더블록(26) 내의 수냉 재킷으로부터 EGR냉각기(6) 안으로 도입되고 냉각수 펌프(미도시) 밖으로 안내된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EGR밸브케이스(7)는 흡기분배통로벽(3)의 위에 배치된다. 흡기입구관(5), EGR밸브케이스(7) 및 EGR냉각기(6)는 전후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EGR밸브케이스(7)는 EGR냉각기(6)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이 EGR밸브케이스(7)에 밸브액츄에이터(8)가 부착된다. 밸브액츄에이터(8)용으로 펄스 모터가 채용된다. EGR밸브케이스(7)는 흡기분배통로벽(3) 바로 위의 위치에 배치되고,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중심축(25)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흡기분배통로벽(3) 위에 배치되고 겹쳐지게 된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포핏 밸브(poppet valve)로 형성된 EGR밸브(9)는 밸브축(9a)을 갖는데, 이는 수직이고 EGR밸브케이스(7) 내의 밸브축 삽입구멍(7c) 안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으로 끼워진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케이스(10)는 EGR밸브케이스(7)와 흡기입구관(5) 사이에 배치된다. 체크밸브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10c)는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속으로 흡기의 유입 및 EGR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헤드(2)는 수냉 재킷의 내면을 통해 통과하는 헤드 안 EGR통로(11)가 제공되고 EGR냉각기(6)는 이 헤드 안 EGR통로(11)의 하류에 배치된다.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 중 엔진냉각팬(14)이 배치된 한쪽은 전방으로 하고 반대쪽은 후방으로 한다. 흡기입구관(5), EGR밸브케이스(7), EGR냉각기(6) 및 접속관(12)은 이 순서대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배치된다. 도 1 및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의 주변벽 전방부에 있는 EGR가스입구부(5a)는 EGR밸브케이스(7)의 후방부에 있는 EGR밸브케이스출구부(7a)와 연통된다. EGR냉각기(6)의 후단에 있는 냉각기-출구부(6a)는 EGR밸브케이스(7)의 전방부에 있는 EGR밸브케이스입구부(7b)에 부착되고 서로 연통된다. 접속관(12)의 후면 상부에 있는 접속관출구부(12a)는 EGR냉각기(6) 전단에 있는 냉각기입구부(6b)에 부착된다. 접속관(12)의 측면 하부에 있는 접속관입구부(12b)는 실린더헤드(2)의 측면 전방부에 있는 헤드 안 EGR통로 출구부(11a)에 부착되고 서로 연통된다.
EGR밸브케이스(7), EGR냉각기(6) 및 접속관(12)은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들로 생산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가요성이 없는 강성 연결체를 형성한다. 또한, 체크밸브(10)는 이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생산된다. 체크밸브케이스(10)의 전방부에 있는 체크밸브케이스입구부(10b)는 EGR밸브케이스(7)의 후방부에 있는 EGR밸브케이스(7)의 후방부에 있는 EGR밸브케이스 출구부(7a)에 부착되고 서로 연통된다. 체크밸브케이스(10)의 후면부에 있는 체크밸브케이스출구부(10a)는 흡기입구관(5)의 주변벽 전방부에 있는 EGR가스입구부(5a)에 부착된다. 체크밸브케이스(10) 내에 배치된 체크밸브(10c)는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 속으로 흡기의 유입과 EGR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밖 EGR통로(13)는 배기합류통로벽(4)의 내면으로부터 실린더헤드(2)의 외면을 통해 통과하도록 파이프가 연결되고, EGR냉각기(6)는 이 헤드 밖 EGR통로(13)의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EGR가스는 헤드 안 EGR통로(11)와 헤드 밖 EGR통로(13) 양자로부터 EGR냉각기(6) 속으로 도입된다.
도 3 내지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밖 EGR통로(13)는 엔진냉각팬(14)에 의해 생기는 엔진냉각풍이 헤드 밖 EGR통로(13)로 송풍되도록 엔진냉각팬(14)의 뒤에 배치된다.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 가설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헤드 밖 EGR통로(13)가 냉각 팬(14)에 겹쳐지는 위치에서 약간 비켜 있음에도 불구하고, 엔진냉각풍이 송풍되는 구역은 엔진냉각팬(14)의 외부 주변의 궤적 위로 펼쳐지기 때문에, 이 엔진냉각풍은 헤드 밖 EGR통로(13)로 송풍되는 것이다.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입구관(5)은 옆으로 기다란 EGR가스입구부(5a)와 함께 그 주변벽 전방부에 배치된다. 이 EGR가스입구부(5a)는 한 쌍의 좌우 EGR가스입구(5b 및 5c)를 형성하도록 천공된다. 흡기입구관(5)의 중심축선(16)에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각각의 EGR가스입구(5b 및 5c)의 중심선(25b, 25c)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17)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이 가상선(17)은 흡기입구관(5)의 중심축선(16) 위를 지나간다. 외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EGR가스입구(5b)의 중심선(25b)은 전후로 뻗은 가상선으로부터 내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에 가까이 있는 EGR가스입구(5c)의 중심선(25c)보다 더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외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EGR가스입구(5b)는, 전후로 뻗은 가상선으로부터 그 내부의 측면부에서 실린더헤드(2)에 가까이 있는 EGR가스입구(5c)의 중심선(25c)보다 더 멀리 떨어진 중심선(25b)을 가지고 있다. 흡기공급파이프(18)는 흡기입구관(5)에 연결되고, 실린더헤드(2)의 측면으로부터 흡기입구관(5)에 접근한다. 도 3 내지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공급파이프(18)는 배기합류통로벽(4)의 상부에 부착된 과급기(30)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EGR냉각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EGR냉각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엔진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액츄에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EGR밸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NOX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조립라인에서 부품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강성 연결체를 쉽게 다룰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흡기분배통로벽(3)을 설치하고,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배기합류통로벽(4)을 설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를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 내에 연통시킨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흡기입구관(5)을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서 EGR냉각기(6)를 전후방향으로 가설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 EGR밸브케이스(7)를 배치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밸브케이스(7)와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EGR냉각기(6)의 하류에 EGR밸브케이스(7)를 배치시키며, EGR밸브케이스(7)에 밸브액츄에이터(8)를 설치하고,
    EGR밸브(9)의 밸브축(9a)을 수직으로 하여 EGR밸브케이스(7) 내의 밸브축 삽입구멍(7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으로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4.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흡기분배통로벽(3)을 설치하고,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배기합류통로벽(4)을 설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를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 내에 연통시킨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흡기입구관(5)을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서 EGR냉각기(6)를 전후방향으로 가설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 EGR밸브케이스(7)를 배치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밸브케이스(7)와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EGR냉각기(6)의 하류에 EGR밸브케이스(7)를 배치시키며, EGR밸브케이스(7)에 밸브액츄에이터(8)를 설치하고,
    EGR밸브케이스(7)와 흡기입구관(5) 사이에 체크밸브케이스(10)를 배치하여, 이 체크밸브케이스(10) 내의 체크밸브(10c)로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로의 흡기의 유입과 EGR가스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5. 삭제
  6.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흡기분배통로벽(3)을 설치하고,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배기합류통로벽(4)을 설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를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 내에 연통시킨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흡기입구관(5)을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서 EGR냉각기(6)를 전후방향으로 가설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실린더헤드(2)에 수냉 재킷(jacket) 내를 통과하는 헤드 안 EGR통로(11)를 형성하고, 이 헤드 안 EGR통로(11)의 하류에 EGR냉각기(6)를 배치하며,
    전후방향의 임의의 한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하여,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차례로, 흡기입구관(5)과 EGR밸브케이스(7)와 EGR냉각기(6)와 접속관(12)을 배치하고,
    흡기입구관(5)의 주변벽 전방부의 EGR가스입구부(5a)에 EGR밸브케이스(7)의 후방부의 EGR밸브케이스출구부(7a)를 연통시키며, EGR밸브케이스(7)의 전방부의 EGR밸브케이스입구부(7b)에 EGR냉각기(6)의 후단의 냉각기출구부(6a)를 설치하여 이들을 연통시키고, EGR냉각기(6)의 전단의 냉각기입구부(6b)에 접속관(12)의 후면 상부의 접속관출구부(12a)를 설치하여 이들을 연통시키며, 접속관(12)의 측면 하부의 접속관입구부(12b)를 실린더헤드(2)의 측면 전방부의 헤드 안 EGR통로 출구부(11a)에 설치하여 이들을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7. 제6항에 있어서,
    EGR밸브케이스(7)와 EGR냉각기(6)와 접속관(12)을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로 하여, 이들 구성요소로 가요성이 없는 강성 연결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8. 제7항에 있어서,
    체크밸브케이스(10)도 강성 연결체의 구성요소로 하고,
    EGR밸브케이스(7) 후방부의 EGR밸브케이스출구부(7a)에 체크밸브케이스(10) 전방부의 체크밸브케이스입구부(10b)를 설치하여 이들을 연통시키며, 체크밸브케이스(10) 후면의 체크밸브케이스출구부(10a)를 흡기입구관(5)의 주변벽 전방부의 EGR가스입구부(5a)에 설치하여 이들을 연통시키고, 체크밸브케이스(10) 내의 체크밸브(10c)로 흡기입구관(5)으로부터 EGR밸브케이스(7)로의 흡기의 유입과 EGR가스의 역류를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9. 삭제
  10.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흡기분배통로벽(3)을 설치하고,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배기합류통로벽(4)을 설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를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 내에 연통시킨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흡기입구관(5)을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서 EGR냉각기(6)를 전후방향으로 가설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실린더헤드(2)에 수냉 재킷(jacket) 내를 통과하는 헤드 안 EGR통로(11)를 형성하고, 이 헤드 안 EGR통로(11)의 하류에 EGR냉각기(6)를 배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로부터 실린더헤드(2) 밖을 통과하는 헤드 밖 EGR통로(13)를 도출하고, 이 헤드 밖 EGR통로(13)의 하류에 EGR냉각기(6)를 배치하며, EGR냉각기(6)에 헤드 안 EGR통로(11)와 헤드 밖 EGR통로(13)의 양쪽으로부터 EGR가스를 도입하도록 하고,
    전후방향 중, 엔진냉각팬(14)을 배치한 쪽을 전방,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하여, 엔진냉각팬(14)의 후방에 헤드 밖 EGR통로(13)를 배치하며, 이 헤드 밖 EGR통로(13)에 엔진냉각팬(14)으로 일으킨 엔진냉각풍이 불어 부딪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11. 크랭크축(1)의 가설방향을 전후방향, 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실린더헤드(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헤드(2)의 한 측면에 흡기분배통로벽(3)을 설치하고, 실린더헤드(2)의 다른 측면에 배기합류통로벽(4)을 설치하며, 배기합류통로벽(4) 내를 EGR냉각기(6)를 통해 흡기분배통로벽(3) 내에 연통시킨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부에 흡기입구관(5)을 세워서 설치하고, 흡기분배통로벽(3)의 상방에서 EGR냉각기(6)를 전후방향으로 가설하며, 흡기입구관(5)과 EGR냉각기(6)를 전후로 나란히 배치하고,
    전후방향의 임의의 한쪽을 전방으로 하여, 흡기입구관(5)의 주변벽 전방부에 옆으로 긴 EGR가스입구부(5a)를 형성하고, 이 EGR가스입구부(5a)에 좌우 한 쌍의 EGR가스입구(5b, 5c)를 천공하며, 흡기입구관(5)의 중심축선(16)과 평행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흡기입구관(5)의 중심축선(16)을 통과하는 전후방향 가상선(17)의 좌우에, 각 EGR가스입구(5b, 5c)의 중심선(25b, 25c)을 위치시키고, 실린더헤드(2)로부터 먼 바깥 근처의 EGR가스입구(5b)의 중심선(25b)이 실린더헤드(2)에 가까운 안쪽 근처의 EGR가스입구(5c)의 중심선(25c)보다, 전후방향 가상선(17)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흡기입구관(5)에 접속하는 흡기공급파이프(18)를 실린더헤드(2) 측으로부터 흡기입구관(5)에 가깝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엔진.
KR1020060021569A 2005-09-28 2006-03-08 다기통 엔진 KR101274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1753A JP4484799B2 (ja) 2005-09-28 2005-09-28 多気筒エンジン
JPJP-P-2005-00281753 2005-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931A KR20070035931A (ko) 2007-04-02
KR101274931B1 true KR101274931B1 (ko) 2013-06-17

Family

ID=3695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569A KR101274931B1 (ko) 2005-09-28 2006-03-08 다기통 엔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75526B2 (ko)
EP (1) EP1770271B1 (ko)
JP (1) JP4484799B2 (ko)
KR (1) KR101274931B1 (ko)
CN (1) CN1940281B (ko)
DE (1) DE60200600903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852B2 (ja) * 2005-09-28 2010-09-29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US7363919B1 (en) * 2007-01-05 2008-04-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and cooler system
KR100844565B1 (ko) * 2007-05-30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8형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US7942138B1 (en) 2008-03-24 2011-05-17 Brunswick Corporation Outboard motor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ing
US7625257B1 (en) 2008-03-24 2009-12-01 Brunswick Corporation 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ing system for an engine of an outboard motor
JP5362369B2 (ja) * 2009-01-13 2013-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DE102009043085A1 (de) * 2009-09-25 2011-08-04 Volkswagen AG, 38440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Abgasturbolader und einem Abgasrückführsystem
JP5575533B2 (ja) * 2010-04-28 2014-08-20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マニホールド
JP5387612B2 (ja) * 2010-06-25 2014-01-1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6168042B2 (ja) * 2014-12-26 2017-07-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ガス還流装置
KR101887750B1 (ko) * 2016-07-22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egr쿨러
DE102020000965A1 (de) 2020-02-14 2021-08-19 Daimler Ag Verbrennungskraft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JP7347326B2 (ja) 2020-05-26 2023-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Egrバル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754A (ja) * 1995-11-15 1997-05-27 Isuzu Motors Ltd 過給機を備えた内燃機関の排気ガス再循環装置
JP2002235607A (ja) * 2001-02-09 2002-08-2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排気ガス再循環クーラ
JP2003074418A (ja) * 2001-08-31 2003-03-12 Honda Motor Co Ltd Egrバルブの取付構造
JP2003090261A (ja) * 2001-09-18 2003-03-28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232B2 (ja) * 1996-10-18 2004-0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egr装置
US6334437B1 (en) * 1997-09-16 2002-01-01 Filterwerk Mann & Hummel Gmbh System for recirculating exhaust ga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38649A (en) * 1997-09-22 2000-10-31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Fast act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JP3775926B2 (ja) 1998-06-22 2006-05-1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Egr装置
FR2792968B1 (fr) * 1999-04-29 2001-06-29 Westaflex Automobile Echangeur thermique en plastique et acier destine a etre dispose dans un circuit d'admission d'air d'un moteur, notamment dans un repartiteur comportant deux chambres et element du circuit d'admission d'air d'un moteur
US6186127B1 (en) * 1999-09-20 2001-02-13 Siemens Canada Limited Coolant manifold adapter for integrated mounting of EEGR valve and throttle body on an engine
US6513507B2 (en) * 2000-01-26 2003-02-04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D.C. Intake manifold module
JP3532852B2 (ja) * 2000-12-22 2004-05-3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Egr装置
JP3657524B2 (ja) 2001-03-27 2005-06-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Egrクーラの取付装置
JP3924446B2 (ja) * 2001-09-25 2007-06-06 株式会社クボタ 縦型多気筒エンジン
ITBO20010761A1 (it) * 2001-12-14 2003-06-16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Collettore di aspirazione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rovvisto di ricircolo dei gas di scarico
US6971378B2 (en) * 2002-06-13 2005-12-06 Cummins, Inc. Cylinder head having an internal exhaust gas recirculation passage
DE10341393B3 (de) * 2003-09-05 2004-09-23 Pierburg Gmbh Luftansaugkanalsystem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344217B4 (de) * 2003-09-22 2014-05-28 Mahle Filtersysteme Gmbh Frischgas führender Abschnitt einer Frischgasanlage
JP2005171961A (ja) * 2003-12-15 2005-06-30 Nissan Diesel Motor Co Ltd 過給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4074860B2 (ja) * 2004-03-19 2008-04-16 株式会社クボタ 縦型多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
FR2870893B1 (fr) * 2004-05-25 2008-08-08 Mark Iv Systemes Moteurs Sa Module d'admission d'air integ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SE528270C2 (sv) * 2005-02-02 2006-10-10 Scania Cv Ab Arrangemang för återcirkulation av avgaser hos en överladdad förbränningsmotor i ett fordon
SE528123C2 (sv) * 2005-02-02 2006-09-05 Scania Cv Ab Arrangemang för återcirkulation av avgaser hos en förbränningsmotor i ett fordon
US7182074B1 (en) * 2005-08-22 2007-02-27 Detroit Diesel Corporation Manifold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754A (ja) * 1995-11-15 1997-05-27 Isuzu Motors Ltd 過給機を備えた内燃機関の排気ガス再循環装置
JP2002235607A (ja) * 2001-02-09 2002-08-2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排気ガス再循環クーラ
JP2003074418A (ja) * 2001-08-31 2003-03-12 Honda Motor Co Ltd Egrバルブの取付構造
JP2003090261A (ja) * 2001-09-18 2003-03-28 Kubota Corp 多気筒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0281B (zh) 2011-06-08
JP2007092596A (ja) 2007-04-12
DE602006009039D1 (de) 2009-10-22
US20070068497A1 (en) 2007-03-29
EP1770271A1 (en) 2007-04-04
EP1770271B1 (en) 2009-09-09
US7275526B2 (en) 2007-10-02
CN1940281A (zh) 2007-04-04
JP4484799B2 (ja) 2010-06-16
KR20070035931A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931B1 (ko) 다기통 엔진
JP4551852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4439452B2 (ja) 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JP4768560B2 (ja) 水冷式エンジン
JP2008075506A (ja) 水冷式多気筒エンジン
JP2008075632A (ja) 多気筒エンジン
US10323614B2 (en) Supercharged engine
JP4411263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5393375B2 (ja) 内燃機関
US10640170B2 (en) Straddle-type vehicle
CN109572405B (zh) 车辆用中冷器的装配结构
JP4644574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6900806B2 (ja) エンジン冷却システム
JP6946735B2 (ja) 内燃機関のegr装置
JP2008045491A (ja) エンジン
JP4411261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6146423B2 (ja) 水冷式エンジン
JP4564932B2 (ja) 水冷エンジン
JP2008240583A (ja) エンジン
JP5146195B2 (ja) V型内燃機関の冷却装置及びv型内燃機関
JP2020197155A (ja) 内燃機関のegr装置
JP5345033B2 (ja) 内燃機関
JP4795905B2 (ja) 水冷式エンジン
WO2019073555A1 (ja) 過給機付エンジン
JP2011069255A (ja) 内燃機関の燃料デリバリ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