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95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952B1
KR102245952B1 KR1020190030897A KR20190030897A KR102245952B1 KR 102245952 B1 KR102245952 B1 KR 102245952B1 KR 1020190030897 A KR1020190030897 A KR 1020190030897A KR 20190030897 A KR20190030897 A KR 20190030897A KR 102245952 B1 KR102245952 B1 KR 10224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line
external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42A (ko
Inventor
윤선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05Reducing noise, e.g. humm, from the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접속부에 연결되는 저항 회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저항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에 따라 마스터 장치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마스터 장치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를 통신 라인에 연결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에 따라,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noise)를 적응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한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실내기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고, 실외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건물의 지하에 위치한 관리실에 배치되는 중앙제어기가 건물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외기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며, 건물의 실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실내기와 실외기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통신 라인을 통해 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노이즈(noise)를 저감하기 위해, 종단 저항(terminating resistor)과 같은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을 공기조화기의 설치 시 설치자가 통신 라인에 직접 연결하거나,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이 중앙제어기, 실외기 등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설치자가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을 직접 연결하는 경우, 설치 시 설치자가 일일이 통신 라인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설치자의 실수에 의해 노이즈 저감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종단 저항이 구비된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면, 종단 저항을 구비하는 중앙제어기의 위치가 실외기 단 통신 라인에서 실내기 단 통신 라인으로 변경되는 경우, 기존 실외기 단 통신 라인에는 종단 저항이 부재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장치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되는 장치의 개수가 증가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되는 종단 저항 등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통신 라인의 합성 임피던스(combined impedance)가 변경되어 신호의 파형이 크게 왜곡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통신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 장치들에 구비된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통신 단자에 연결된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과,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간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 통신 단자에 연결된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접속부에 연결되는 저항 회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저항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에 따라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 통신 라인에 장치가 추가되는 경우와 같이, 장치들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각각에 구비된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을 일괄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간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결정하므로, 통신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의 왜곡 및 그에 따른 통신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대한 주소 설정(auto addressing) 단계에서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을 통신 라인에 자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설치자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자의 실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의 사용 여부를, 설치자 및/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간편하게 결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하고 고비용의 회로 소자가 아닌, 저항, 릴레이 등 비교적 간단한 회로 소자를 사용하므로, 그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 및 통신 모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뎀이 연결된 통신 라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의 왜곡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실내기(130)를 천장형 실내기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제어기(11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예를 들면, 장치의 온/오프, 운전모드 전환, 온도 조절 등과 관련된 명령일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예를 들면,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는, 제어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구성들과 소정의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앙제어기(110)는, 예를 들면, 통신선을 통한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중앙제어기(110)가 실외기(120) 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기(130) 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가 실외기(120) 측에 연결되는 경우, 중앙제어기(110)는 실외기(1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실외기(120)와 연결된 실내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가 실내기(130) 측에 연결되는 경우, 중앙제어기(110)는 실내기(130)에 신호를 직접 전송하여 실내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기(1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는, 유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및/또는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미도시), 밸브(미도시), 오일회수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를 통해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를 열교환하여 실내기(130)로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 또는 실내기(130)의 요구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되는 실내기(13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120)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전원입력, 마스터 설정, 주소설정 등을 위한 입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실외기(120)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온 또는 열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실내기(130)가 하나의 실외기(12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 실내팬(미도시), 및/또는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동작, 온도설정, 풍량, 풍향, 잠금 등의 운전설정을 위한 입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동작, 온도설정, 풍량, 풍향, 잠금 등의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20) 및/또는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예를 들면, 전자식 팽창밸브(Electric Expansion Valve; EEV)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간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는, 장치 식별자(identifier; ID)를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고,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로부터 고유 식별자(ID)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기(120)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주소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는, 예를 들면, 중앙제어기(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120)는, 예를 들면, 실내기(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리모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은, 예를 들면, 실내기(130)에 연결되어, 실내기(130)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은, 동작 모드에 대한 제어명령을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리모컨은, 예를 들면, 키 패드,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리모컨을 통해 목표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은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130)는, 전송된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내기(130)에 포함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30)는 수신된 목표 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중앙제어기(110) 및/또는 실외기(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리모컨은, 예를 들면, 실내기(130)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컨은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은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미도시) 및/또는 재실자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리모컨은, 예를 들면, 온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한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를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재실자 감지부는, 예를 들면, 적외선(Infrared Radiation; IR) 센서 또는 초음파(Ultrasonic)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예를 들면, 열원(예: 실내에 있는 사람; 재실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신호가 물체(재실자)에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 및 통신 모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제어장치(200) 및 통신 모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장치(예: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실내기(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 모뎀(300)은,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장치의 외부에 배치되어, 통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통신 모뎀(300)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장치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고, 통신 모뎀(300)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예를 들면, 입력부(210), 출력부(220), 메모리(230) 및/또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장치(예: 키, 터치 패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면,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예를 들면,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상태, 에러 발생 등과 관련된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버저 등의 오디오 장치을 구비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고, 에러 발생시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제어부(24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제어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예: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또는 실내기(13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30)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의 장치 식별자(ID), 통신 라인을 통한 신호 송수신을 위해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에 할당된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예: 중앙제어기(110), 실외기(120), 실내기(13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30)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장치 식별자(ID),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할당된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모듈(300)과 연결될 수 있고, 통신 모듈(3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소정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부(310)와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통신을 통해, 통신부(3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부(310)를 통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는,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구성의 종류에 따른 우선순위를 의미할 수 있고, 중앙제어기(110)가 실외기(120)보다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고, 실외기(120)가 실내기(130)보다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의 장치 식별자(ID) 및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장치 식별자(I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에 할당된 주소 및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한 장치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간 우선순위는, 예를 들면,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장치들 간의 우선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장치들의 장치간 우선순위는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의 장치 식별자(ID) 및/또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의 장치 식별자(ID)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 중에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장치들 간의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에 할당된 주소 및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 중에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장치들 간의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 및/또는 장치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통신 모뎀(300)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 및/또는 장치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 및/또는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장치(200)가 구비된 장치가 마스터(master) 장치로 결정된 경우,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어장치(200)가 구비된 장치가 슬레이브(slave) 장치로 결정된 경우,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리모컨으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전달받은 실내기(130)의 제어부(240)는,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뎀(300)은, 예를 들면, 통신부(310), 저항 회로부(320) 및/또는 접속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10)는,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 방식, 시리얼 통신 방식(예: RS-485 통신, UART 통신), 냉매 배관을 통한 유선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제어부(2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10)는, UART 통신선을 통해 제어부(240)와 연결될 수 있고,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접속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331, 332)에 접속될 수 있고,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소정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S-485 통신 방식은, 두 선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동모드(differential mode) 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하며, 두 선의 전위차가 제1 기준 값 이상이면 논리 값인 1을, 두 선의 전위차가 제2 기준 값 이하이면 논리 값인 0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예를 들면, RS-485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접속부(330)에 구비된 제1 통신 단자(331) 및 제2 통신 단자(332)에 각각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항 회로부(320)는, 예를 들면, 접속부(330)에 접속될 수 있고, 접속부(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저감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회로부(320)는, 통신부(310)와 접속부(330)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저항 회로부(320)는, 예를 들면, 접속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331, 332)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1, R2) 및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R1, R2)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뎀(300)이 RS-485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저항 회로부(320)는, 예를 들면, 풀업(pull-up) 저항 및 풀다운(pull-down)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회로부(320)는, 접속부(330)에 구비된 제1 통신 단자(331)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저항 소자(R1), 제1 저항 소자(R1)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으로 기준 전압(Vcc)가 입력되는 제1 스위칭 소자(sw1), 접속부(330)에 구비된 제2 통신 단자(332)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저항 소자(R2), 제2 저항 소자(R1)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접지단(GND)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sw2)를 구비할 수 있다.
저항 회로부(3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w1, sw2)는, 예를 들면,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턴-온/오프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 모뎀이 연결된 통신 라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5 통신 모뎀(300a 내지 300e)은, 예를 들면, 접속부(330a 내지 330e)에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통신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통신 모뎀(300a 내지 300e)은, 예를 들면, 통신부(310a 내지 310e), 저항 회로부(320a 내지 320e) 및 접속부(330a 내지 330e)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통신 모뎀(300a 내지 300e)은, 예를 들면,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S-485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내지 제5 통신 모뎀(300a 내지 300e)은 접속부(330a 내지 330e)에 구비된 두 통신 단자(331, 332)에 각각 연결된 통신선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 및/또는 장치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나머지 장치들은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모뎀(300a)을 구비하는 장치가 실외기(120)이고, 제2 내지 제5 통신 모뎀(300b 내지 300e)을 구비하는 장치가 실내기(130)인 경우, 제1 통신 모뎀(300a)를 구비하는 장치인 실외기(120)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중에서 가장 높으므로, 제1 통신 모뎀(300a)을 구비하는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5 통신 모뎀(300a 내지 300e)을 구비하는 장치가 모두 실외기(120)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중, 장치 식별자(ID)에 대응하는 숫자가 가장 낮은 장치, 또는 할당된 주소에 대응하는 숫자가 가장 낮은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뎀(300a)를 구비하는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된 경우, 제1 통신 모뎀(300a)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a)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온 되어, 제1 및 제2 저항 소자(R1, R2)에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제1 통신 모뎀(300a)를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뎀(300b 내지 300e)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b 내지 320e)의 스위칭 소자(sw1, sw2)는 턴-오프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S410 동작에서,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장치 식별자(ID) 및/또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할당된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예를 들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대한 주소 설정(auto addressing) 동작이 완료된 이후 S41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S420 동작에서,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 중,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보다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장치 식별자(ID) 및/또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가 중앙제어기(110)인 경우, 제어장치(200)는, S420 동작을 생략하고 S430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S430 동작에서,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보다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통신 라인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 중,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와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S440 동작에서,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와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외부장치가 통신 라인에 적어도 하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 중,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보다 장치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장치 식별자(ID) 및/또는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할당된 주소에 기초하여,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간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S450 동작에서,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보다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통신 라인에 적어도 하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보다 장치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통신 라인에 적어도 하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통신 모뎀(300)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가 실외기(120)이고, 중앙제어기(110)가 통신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어장치(200)는 통신 모뎀(300)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는, S460 동작에서, 통신 라인에서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또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장치의 장치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통신 모뎀(300)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의 스위칭 소자(sw1, sw2)가 턴-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신 라인(510)에서는,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중앙제어기(110)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실외기(121a, 122, 123)는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라인(520)에서는,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모두 동일하므로,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 중 어느 하나(예: 실외기(121a))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나머지 실외기들은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내지 제5 통신 라인(530 내지 550)에서는, 실외기(121a, 122, 123)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각 통신 라인에서 가장 높으므로, 실외기(121a, 122, 123)가 각 통신 라인의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131a 내지 131e, 132a 내지 132e, 133a 내지 133e)는 모두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라인(610)에서는, 복수의 실외기(121a, 122, 123)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모두 동일하므로,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121a, 122, 123) 중 어느 하나(예: 실외기(121a))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나머지 실외기들은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라인(620)에서는, 제1 통신 라인(61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모두 동일하므로,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 중 어느 하나(예: 실외기(121d))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나머지 실외기들은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통신 라인(630)에서는,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중앙제어기(110)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실외기(121a) 및 복수의 실내기(131a 내지 131e)는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4 및 제5 통신 라인(640 내지 650)에서는, 실외기(122, 123)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각 통신 라인에서 가장 높으므로, 실외기(122, 123)가 각 통신 라인의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132a 내지 132e, 133a 내지 133e)는 모두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장치들에 대한 통신 라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통신 라인(710)에서는, 복수의 중앙제어기(110a, 110b)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하므로,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중앙제어기(110a, 110b) 중 어느 하나(예: 중앙제어기(110a))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실외기(121a, 122, 123)는 모두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라인(720)에서는,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모두 동일하므로, 장치간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121a 내지 121d) 중 어느 하나(예: 실외기(121a))가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나머지 실외기들은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내지 제5 통신 라인(730 내지 750)에서는, 실외기(121a, 122, 123)의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각 통신 라인에서 가장 높으므로, 실외기(121a, 122, 123)가 각 통신 라인의 마스터 장치로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실내기(131a 내지 131e, 132a 내지 132e, 133a 내지 133e)는 모두 슬레이브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의 왜곡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에 의해, 신호의 파형이 왜곡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8b는, 마스터 장치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가 통신 라인에 연결됨에 따라 신호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8a 및 8b의 도면부호 (a)는, 통신 라인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측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240a)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면부호 (b)는, 통신 라인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 장치에 구비된, 통신 모뎀(300)의 제1 통신 단자(331) 및 제2 통신 단자(332)에 각각 연결된 통신선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면부호 (c)는, 통신 라인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측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240b)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에 의해, 수신측 장치의 통신 모뎀(300)에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이 왜곡되는 경우, 송신측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240a)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수신측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240b)에 입력되는 신호 간의 시간 차이가 커질 수 있다.
한편, 통신 라인에 연결되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구성(예: 저항 회로부(320))이 많아질수록, 통신 라인의 합성 임피던스가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대한 기준 값(V+, V-) 간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 중에서 마스터 장치를 결정하고, 마스터 장치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a)만 통신 라인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라인에 연결된 외부장치들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b 내지 320n) 중 하나 이상이 통신 라인에 더 연결되는 경우,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의 진폭이 작은 경우에도, 수신측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240b)에 노이즈에 의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통신 라인의 합성 임피던스가 감소함에 따라,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대한 기준 값(V+, V-) 간의 폭이 작은 경우의 도면이고, 도 9b는,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대한 기준 값(V+, V-) 간의 폭이 큰 경우의 도면이다.
또한, 도 9a 및 9b의 도면부호 (a)는, 통신 모뎀(300)의 제1 통신 단자(331) 및 제2 통신 단자(332)에 각각 연결된 두 통신선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면부호 (b)는,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따라 제어부(240)에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대한 기준 값(V+, V-) 간의 폭이 작은 경우,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뿐만 아니라,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에 의해서도, 제어부(240)에 신호가 입력될 수 있어, 이로 인해 통신 에러가 발생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두 통신선의 전위차에 대한 기준 값(V+, V-) 간의 폭이 큰 경우, 제어부(240)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가 크더라도,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에 따라 마스터 장치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마스터 장치에 구비된 저항 회로부(320)를 통신 라인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라인에 연결된 장치들의 연결 관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통신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통신 라인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의 왜곡 및 그에 따른 통신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는 저항 회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회로부는,
    상기 접속부에 구비된 제1 통신 단자와 기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와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접속부에 구비된 제2 통신 단자와 접지단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에 대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 중,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보다 상기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부와 관련된 외부장치 중,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보다 상기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높은 외부 외부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와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외부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와 동일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의 외부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와 동일한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의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치 종류별 우선순위가 동일한 외부장치와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에 대한 장치간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의 장치간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구비된 장치보다 높은 장치간 우선순위의 외부장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30897A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KR10224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97A KR102245952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97A KR102245952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42A KR20200111342A (ko) 2020-09-29
KR102245952B1 true KR102245952B1 (ko) 2021-04-28

Family

ID=7266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97A KR102245952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9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4811B2 (ja) * 2011-04-11 2015-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7588B (zh) * 2005-12-06 2012-05-30 罗姆股份有限公司 调频器以及使用该调频器的调频发送电路
EP2330828A1 (en) * 2008-09-22 2011-06-08 Daikin Industries, Lt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system and air conditioner
KR101858938B1 (ko) * 2011-09-19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40129779A (ko) * 2013-04-30 2014-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50002145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4811B2 (ja) * 2011-04-11 2015-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42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266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721558B2 (en) Multi-air conditioner and group-unit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524403A (zh)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控制器及空调器
KR201000412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91928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진단방법
KR101470539B1 (ko) 공기조화기
KR102245952B1 (ko) 공기조화기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67330B1 (ko) 공기조화기
KR1014607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288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0858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0065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04447B1 (ko) 공기조화기 및 적외선 무선 원격제어장치
KR102143347B1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2725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454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29927B1 (ko) 공기조화기
KR1022448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71264B1 (ko) 통신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