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038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038A
KR20190083038A KR1020180000502A KR20180000502A KR20190083038A KR 20190083038 A KR20190083038 A KR 20190083038A KR 1020180000502 A KR1020180000502 A KR 1020180000502A KR 20180000502 A KR20180000502 A KR 20180000502A KR 20190083038 A KR20190083038 A KR 20190083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impedance
rat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518B1 (ko
Inventor
여종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유닛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다른 유닛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통신선의 불량을 판단하고, 통신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통신에 적합한 임피던스를 재설정함으로써 절연성능을 개선하고 통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유닛 간에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소수의 실내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환기장치 또는 건물내의 이동장치, 보안장치 등과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설정된 운전을 수행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제어기 또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뿐 아니라, 원격지에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각 유닛이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각 유닛이 상호 통신선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공기조화기는, 통신선의 낙후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한 통신선의 손상으로 인하여 통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통신선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는 물론, 눈과 비 등에 의해 통신선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통신선은 기본적으로 외부환경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피복과 절연구조를 포함하나,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수분이 침투하는 등의 원인으로 절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5-0103218은, 통신이상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전원 차단으로 인한 통신불능의 경우와 통신장애를 구분하여 그 결과를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통신장애인지 전원차단으로 인한 통신 불능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하여 단순 통보할 뿐, 실질적으로 통신장애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므로, 통신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통신선의 노후 또는 손상으로 인한 절연 성능의 저하 및 통신율 감소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여 통신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다른 유닛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조절부; 상기 통신부로 데이터를 인가하여 다른 유닛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닛으로 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제 1 유닛이 통신율을 테스트하는 단계; 제 1 유닛이 통신율에 대응하여 통신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단계; 변경된 통신 임피던스 설정에 따라 제 2 유닛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통신선의 불량을 판단하고, 통신 회로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통신에 적합한 임피던스를 재 설정함으로써 절연성능을 개선하고 통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닛 간의 통신방식에 따라 임피던스 변경을 위한 회로를 상이하게 연결함으로써, 통신방식에 적합한 임피던스 변경을 통해 통신성능이 향상되며, 통신선을 교체하지 않고도 통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부의 구성의 다른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설정 변경을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 이외에도 환기유닛(미도시), 공기청정유닛(미도시), 가습유닛(미도시), 제습유닛(미도시), 히터(미도시)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조명유닛(미도시), 경보유닛(미도시)과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와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를 포함한다. 제 1 실외기(11)는 제 1 실내기(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외기(11)는 제 1 내지 제 3 실내기(22, 2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와, 복수의 실내기(2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제 2 실외기(12)를 포함하고, 연결되는 실내기의 수에 따라 제 3 실외기(미도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는 연결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용량이 상이하다.
제 2 실외기(12)는 제 4 내지 제 6 실내기(24 내지 26)와 연결된다. 복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실외기는 복수의 실내기와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동일한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천장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리모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와 실내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면 실내기에서 열교환되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하고, 또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제어기(50)로 전송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리모컨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제어기(미도시)와 소정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 인접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리모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서버와 연결되어 날씨, 뉴스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유닛은, 센서부(215), 전원부(299), 구동부(280), 조작부(230), 디스플레이부(292), 메모리(256), 통신부(270), 오디오출력부(291), 오디오입력부(220),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유닛은, 실외기 또는 실내기일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기유닛, 가습유닛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유닛은, 각 유닛의 종류에 따라 구동부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기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팬 구동부가 구비되고, 실내기인 경우 실내기팬 구동부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조화기 유닛은 비젼모듈(미도시), 청소모듈(미도시), 을가습모듈(미도시) 포함할 수 있다. .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부(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92)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256)에는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공기조화기 내의 데이터 통신과 서버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상이한 통신방식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처리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270)는, RS 232, RS 422 또는 RS485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유닛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며 와이파이, 인터넷, 와이브로 등의 통신방식을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임피던스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270)는 통신율이 설정값 이하로 저하되거나 또는 통신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센서부(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센서부(215)는 근접센서(17),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하고, 물통감지부를 포함한다.
근접센서(17)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17)는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부(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다른 유닛, 또는 제어기와 통신중에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응답비율에 대응하여 통신이상을 판단한다.
제어부(240)는 통신상태를 점검하여, 소정시간 내에 수신되는 응답횟수를 바탕으로 통신율을 산출하고, 통신율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통신이상으로 판단한다.
제어부(240)는 통신이상을 판단한 후, 통신에러를 출력하기 전, 통신부의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선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제어부(240)는 소정횟수 임피던스 조절 후에도 통신율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통신에러를 출력한다.
제어부(240)는 임피던스 조정 후, 통신에 성공하는 경우 해당 임피던스값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다음 통신에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미도시), 전원공급제어부(미도시), 조명제어부(미도시), 오디오제어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메인제어부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70)(271))는 임피던스 조절부(272)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유닛과 유닛이 상호 통신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선(L1, L2)이 연결될 수 있다. 각 공기조화기 유닛은 통신선의 통신노드A, B에 연결된다.
이하, 제 1 실외기(11)를 제 1 유닛, 제 1 실내기(21)를 제 2 유닛으로 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도면부호가 적용된다.
제 1 유닛(11)에는 와통신부(271) 임피던스조절부(272)가 구비되어 통신선을 통해 다른 유닛과 통신한다.
임피던스조절부(272)는 제 1 통신선(L1)과 제 2 통신선(L2)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어 노드 A, B에 연결된다.
임피던스조절부(272)는 제1 유닛(11)에 구비되어 다른 유닛과의 통신상태에 따라 통신선의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임피던스조절부(272)는 복수의 저항(51 내지 53)과, 각 저항을 통신선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61 내지 63)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통신선에 각 저항을 연결함에 따라 통신선의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제 1 스위치(61)가 동작하여 온(ON)되면, 제 1 저항(51)이 제 1 통신선(L1)과 제 2 통신선(L2)에 각각 연결되어, 통신부와 병렬연결된다.
또한, 다른 유닛, 예를 들어 제 2, 3 유닛(21,22)에도 각각 통신부(273, 274)에 임피던스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을 판단하고,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통신테스트를 수행한다.
통신부는 임피던스조절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통신을 테스트하고, 통신율이 높게 산출되는 저항값을 찾는다.
통신부는 통신율이 가장 높에 산출되는 저항값을 적용하여 다른 유닛과 통신하고, 해당 저항값을 저장하여 다음 통신에도 사용하도록 한다. 다음 통신 시, 통신이상이 발생되면,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새로움 임피던스를 찾아 적용하도록 한다.
통신부는 각 저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통신율을 산출하여 비교한다. 또한 통신부는 일정 단위로 저항값을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통신율을 산출한다. 통신부는통신대상에 대응하여 특정 저항값을 연결하여 통신율을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는통신대상에 대응하여 특정 저항값 부터 저항값을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통신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통신이상 발생 시, 즉시 에러를 출력하지 안하고, 임피던스조절부를 통해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조절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테스트를 수행한다.
제어부(240)는 통신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임피던스조절부에 의해 적용되는 통신선의 임피던스 가변을 통해 각각의 통신율이 산출되면, 임피던스에 따른 통신율을 각각 저장하고, 통계를 산출하여 다음 통신시 사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제1 유닛과의 통신시 사용된 임피던스를 저장하여, 다음 제 1 유닛과 통신시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유닛과의 통신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기 적용되었던 임피던스 값을 기준으로, 통신한 후, 임피던스 조절부의 저항값을 기저장된 값을 기준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부의 구성의 다른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되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부와 임피던스 조절부가 상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 유닛(11)과 제 2 유닛(21)은 통신선(L3, L4)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제 1 유닛(11)과 제 2 유닛(21)은 각각 통신부가 구비되고, 통신부의 연결단자(71, 72)(73, 74)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된다.
제 1 유닛(11)의 제 1 는임피던스조절부(276) 제 1 연결단자(71)에 연결되고, 제 2 유닛(21)의 제 2 임피던스조절부(277)는 제 3 연결단자(73)에 연결된다.
제 1 임피던스조절부(276)는 제 4 내지 제 6저항(54 내지 56)을 포함하고, 제 4 내지 제 6 스위치(64 내지 66)을 포함하여, 통신부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온(ON)되면, 해당 저항이 통신부의 기본 저항(41)에 병렬연결된다. 일단은 통신부의 송수신단(RX, TX)(81, 82)에 연결되어 전원부(296)와 연결된다.
제 2 임피던스조절부(277)는 제 7 내지 제 9저항(57 내지 59)을 포함하고, 제 7 내지 제 9 스위치(67 내지 69)을 포함하여, 통신부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온(ON)되면, 해당 저항이 통신부의 기본 저항(42)에 병렬연결된다. 일단은 통신부의 송수신단(83, 84)에 연결된다.
제 1 유닛(11)과 제 2 유닛(21)은 각각 통신선에 연결되는 저항을 가변함을써, 통신선의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통신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설정 변경을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70)는 다른 유닛 또는 제어기와 통신하는 중, 통신상태를 확인한다. 통신부(270)는 소정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지정된 시간 동안 소정횟수의 통신을 시도하고, 응답이 수신되는 비율을 바탕으로 통신율을 산출한다(S320).
통신부(270)는 산출된 통신율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30),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통신 임피던스 설정을 저장하고(S370), 통신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S380).
한편, 통신율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그 횟수를 카운트 한다. 통신부(270)는 통신율이 설정값 미만인 횟수가 설정횟수(n)보다 적은 경우에는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변경한다(S350).
통신부(270)는 임피던스조절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통신선에 연결되는 저항값을 가변함으로써 통신 임피던스를 가변한다.
통신부(270)는 변경된 임피던스에 따라 통신율을 재 산출하고(S320), 통신율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재판단한다(S330).
통신부(270)는 통신 임피던스 변경을 반복하여 통신율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해당 통신 임피던스 설정을 저장하고(S370), 통신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S380).
한편, 임피던스 변경을 설정횟수(n) 반복하더라도 통신율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통신에러(360)로 판단한다.
통신에러로 판단되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92)를 통해 통신에러를 출력하고,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통신할 수 없는 경우, 각 유닛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러를 출력하기전에 임피던스 조절부를 통해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가변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1 내지 59: 저항 61 내지 69: 스위치
240: 제어부 270: 통신부
272 내지 277: 임피던스 조절부
292: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다른 유닛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선에 대한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조절부; 및
    상기 통신부로 데이터를 인가하여 다른 유닛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임피던스조절부를 제어하여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한 후 통신율을 산출하고, 상기 통신율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통신임피던스에 대한 설정을 유지하며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한 후 통신율을 산출하고, 상기 통신율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임피던스에 다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횟수를 카운트 하고, 설정횟수 변경후에도 통신율이 상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통신에러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변경된 상기 통신임피던스에 대한 설정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통신 대상인 유닛과 다음 통신 시, 상기 통신임피던스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조절부는,
    복수의 저항; 및
    상기 복수의 저항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상기 복수의 저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통신선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통신임피던스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은, 상기 통신부의 기본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 1 유닛이 제 2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닛으로 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제 1 유닛이 통신율을 테스트하는 단계;
    제 1 유닛이 통신율에 대응하여 통신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단계;
    변경된 통신 임피던스 설정에 따라 제 2 유닛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임피던스를 변경한 후, 통신율을 재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율이 설정값 이상이면 정상통신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율이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통신 임피던스를 다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임피던스를 가변하는 단계는,
    통신선에 연결되는 임피던스조절부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통신선에 대한 통신임피던스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임피던스의 변경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횟수가 설정횟수 이상이면, 통신에러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00502A 2018-01-03 2018-0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0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02A KR102080518B1 (ko) 2018-01-03 2018-0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02A KR102080518B1 (ko) 2018-01-03 2018-0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038A true KR20190083038A (ko) 2019-07-11
KR102080518B1 KR102080518B1 (ko) 2020-02-24

Family

ID=6725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502A KR102080518B1 (ko) 2018-01-03 2018-01-0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30B1 (ko) * 2019-12-27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CN114217563A (zh) * 2022-01-14 2022-03-22 华清科盛(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拣选系统的工业can总线的终端电阻调节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40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에러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2757A (ko) * 2013-03-14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5204543A (ja) * 2014-04-15 2015-1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調整システム、及び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40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에러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2757A (ko) * 2013-03-14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5204543A (ja) * 2014-04-15 2015-1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調整システム、及び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30B1 (ko) * 2019-12-27 202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성공률을 개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CN114217563A (zh) * 2022-01-14 2022-03-22 华清科盛(北京)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拣选系统的工业can总线的终端电阻调节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518B1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086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073201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236695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8051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5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0583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83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509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4367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5221A (ko) 공기조화기
KR201800116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953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15534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통신방법
KR101275561B1 (ko)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927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127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30053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288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1692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9927B1 (ko) 공기조화기
KR20240075083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