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05B1 -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 Google Patents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05B1
KR102245205B1 KR1020190173474A KR20190173474A KR102245205B1 KR 102245205 B1 KR102245205 B1 KR 102245205B1 KR 1020190173474 A KR1020190173474 A KR 1020190173474A KR 20190173474 A KR20190173474 A KR 20190173474A KR 102245205 B1 KR102245205 B1 KR 10224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pipe
leaked
guard
fir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261A (ko
Inventor
이헌규
장영식
장각수
이영석
김기택
정찬영
지계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8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3Conveying liquids or viscous products by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는, 소듐이 유동하는 내부배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배관으로부터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수집하는 가드배관; 상기 가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누설된 소듐이 이동하는 배관계; 및 상기 배관계를 따라 이동한 상기 누설된 소듐을 저장하는 소듐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Passive sodium fir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듐냉각고속로(Sodium-cooled Fast Reactor, SFR)의 누설된 고온의 소듐으로 인한 소듐화재를 피동으로 방호하기 위한 소듐화재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듐배관이 파손될 경우 내부배관에서 누설된 소듐을 가드배관, 역류방지설비(Fusible Plug 및 체크밸브), 단순화된 배관계를 통해 대기중의 공기(산소)와 접촉 없이 소듐저장탱크로 직접 이송시켜 소듐 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운전원 조치 없이 소듐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듐냉각고속로(Sodium-cooled Fast Reactor, SFR)에서 소듐배관이 파손될 경우, 누설된 고온의 소듐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소듐화재와 소듐 에어로졸인 연무가 발생된다. 소듐화재는 유류화재에 비해 연소속도가 느리고 발열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화염도 거의 없어 화재의 전파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주요특성 차이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133200946-pat00001
도1은 기존 SFR에 적용된 소듐화재방호계통을 도시한 것으로, 소듐누설로 인한 화재시 감시기기(1)를 통해 소듐화재를 감지하고, 캐치팬(2), 배출배관(3), 화재진압데크(4) 등을 통해 소듐화재를 완화하고, 질소가스를 질소가스주입시스템(5)을 통하여 주입하여 소듐화재를 진압하는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에는 소듐배관(6) 파손시 격실 내로 누설된 소듐을 수집하는 캐치팬(2)과, 수집된 소듐을 이송하는 배출배관(3), 건물 최저층에 설치되어 이송된 소듐을 저장하고 소듐화재를 완화하는 화재진압데크(4) 등을 통해 소듐과 공기(산소)와의 접촉을 제한하여 소듐화재를 완화하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각 격실 내에는 누설된 소듐과 콘크리트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하여 소듐-콘크리트 반응을 방지하도록 격실 바닥과 벽체 일부에 철재 라이너(7)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온의 소듐으로 인해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라이너(7)와 콘크리트 구조물(8) 사이에는 단열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듐화재를 감지하는 감시기가 작동하여 소듐화재 발생신호를 발생한다. 이 신호로부터 소듐화재와 독성 연무의 전파를 방지하도록 환기댐퍼(11)가 닫히며, 대기중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서 소듐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질소가스주입시스템이 작동하여 소듐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은 소듐화재 사고시 격실 내 온도 및 압력에 견디도록 구조물을 설계하여야 하며, 사고시 격실 환경조건(온도, 압력, 독성 물질 등)에서 견디도록 관련안전기기를 검증하고 구매 및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력, 열 용융 등의 자연현상을 이용하고 운전원 조치가 필요 없는 피동설계 개념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피동소듐화재방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비용 상승의 원인(소듐배관에서 누설된 고온의 소듐이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소듐화재를 유발하고, 화재로 인한 격실 내 온도 및 압력의 증가를 고려한 격실 구조물을 설계하여야 하며 또한 격실내의 안전관련 기기는 사고시 환경조건(온도, 압력, 독성 물질 등)에서 견디도록 검증된 안전기기를 구매 및 설치 등)을 해결하여 제반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소듐배관으로부터 누출된 고온의 소듐을 가드배관과 역류방지설비 및 Slope배관계를 통해 외부 공기(산소)와 접촉없이 소듐저장탱크로 직접 이송시켜 소듐 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방지하여 소듐화재로 인한 위험도를 저감시켜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피동소듐화재방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소듐냉각고속로(Sodium-cooled Fast Reactor, SFR)에서 캐치팬, 배출배관, 화재진압데크, 철재 라이너, 단열재, 질소가스주입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력, 열 용융 등의 피동안전설계개념을 적용하고 시스템과 기기를 제거하고 단순화한 시스템으로, 소듐배관 손상으로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수집하는 가드배관, 소듐의 역류를 방지하는 Fusible Plug 및 체크밸브)와 누설된 소듐이 중력으로 유동하는 경사(Slope) 배관을 통해 고온의 소듐을 소듐저장탱크로 직접 이송시킴으로써 고온의 소듐이 대기중의 공기(산소)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소듐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피동소듐화재방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는, 소듐이 유동하는 내부배관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배관으로부터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수집하는 가드배관; 상기 가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누설된 소듐이 이동하는 배관계; 및 상기 배관계를 따라 이동한 상기 누설된 소듐을 저장하는 소듐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계에는, 상기 소듐의 누출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 상기 소듐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개방되는 가용성플러그; 및 상기 배관계에는 누출된 소듐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장치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관계는 상기 누설된 소듐이 중력에 의해 유동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배관과 상기 가드배관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소듐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소듐누설감지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드배관, 상기 배관계, 및 상기 소듐저장탱크는 콘크리트 격실에 수용되며, 상기 콘크리트 격실은, 구획벽에 의해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공간부에는 상기 가드배관이 수용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소듐저장탱크가 수용되며, 상기 배관계는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드배관과 상기 소듐저장탱크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드배관을 감싸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공간부에 환기용 댐퍼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배관으로부터 소듐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소듐누설감지기가 소듐의 누출신호를 제공할 때 상기 댐퍼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배관 손상으로 누설된 고온의 소듐이 외부 환경으로 누출되지 않고 가드배관 내의 하부영역에 수집되고, 상기 가드배관은 고온 소듐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매끄럽게 미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력, 열 용융 등의 자연현상을 이용하고 운전원 조치가 필요 없는 피동설계 개념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비용 상승의 원인(소듐배관에서 누설된 고온의 소듐이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소듐화재를 유발하고, 화재로 인한 격실 내 온도 및 압력의 증가를 고려한 격실 구조물을 설계하여야 하며 또한 격실내의 안전관련 기기는 사고시 환경조건(온도, 압력, 독성 물질 등)에서 견디도록 검증된 안전기기를 구매 및 설치 등)을 해결하여 제반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듐배관으로부터 누출된 고온의 소듐을 가드배관과 역류방지설비 및 Slope배관계를 통해 외부 공기(산소)와 접촉없이 소듐저장탱크로 직접 이송시켜 소듐 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방지하여 소듐화재로 인한 위험도를 저감시켜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또한 소듐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주입하는 질소가스주입시스템을 제거하고 정상시 질소가스 누설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임으로써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드배관은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내부의 소듐배관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 및 보수성을 확보하고, 외부 환경으로의 소듐 누출 방지를 통해 소듐 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종래 SFR에 적용된 능동 소듐화재방호계통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3은 도2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의 블럭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는,가드배관(10), 배관계(20), 및 소듐저장탱크(30)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배관(10)은, 소듐이 이동하는 내부배관(60)으로부터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수집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가드배관(10)은 상기 내부배관(6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드배관(10)은 고온 소듐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상기 소듐이 매끄럽게 미끌어지도록 설계되며 외부공기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배관(60)과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배관(10)은 제1 배관(12) 및 제2 배관(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배관의 일단은 상기 내부배관(60)과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내부배관(6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관(12)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배관(13)의 돌기(131)가 삽입되는 체결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배관(12,13)이 서로 끼움결합되고, 그 경계는 실링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드배관(10)의 외측은 단열재(50)로 감싸진다. 상기 단열재(50)는 고온의 소듐에 의해 과도하게 격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관계(20)는, 상기 가드배관(10)에 연결되어 상기 누설된 소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배관계(20)의 일단은 상기 가드배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소듐저장탱크(30)로 연결되어, 누설된 소듐을 상기 소듐저장탱크(30)로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계(20)는 상기 제1 배관(12)과 상기 소듐저장탱크(30)를 연결하는 수직배관(21)과, 상기 제2 배관(13)과 상기 소듐저장탱크(30)를 연결하는 경사배관(2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배관(21)은 상기 제1 배관(12)의 내부로 누설된 소듐을 중력에 의해 낙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소듐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수직배관(21)의 중간부에는 대략 상기 내부배관(60)의 연장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배관(22)은 상기 누설된 소듐이 중력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배관(22)은 상기 제2 배관(1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배관(2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배관(22)은 피트당 1/4인치 경사지게 배치되어 내부배관(60)으로부터 누출된 소듐을 중력으로 소듐저장탱크(30)로 직접 신속하게 이송시켜 소듐 화재와 독성 연무 발생을 방지한다.
도2에는 상기 제1 배관(12)의 내부에서 소듐이 누설되어 상기 수직배관(21)을 따라서 상기 소듐이 소듐저장탱크(30)로 유동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물론, 제2 배관(13)에서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 상기 소듐은 경사배관(22)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수직배관(21)을 경유한 후 소듐저장탱크(30)로 유입된다.
상기 소듐저장탱크(30)는, 상기 배관계(20)를 따라서 이동한 상기 누설된 소듐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드배관(10), 배관계(20), 상기 소듐저장탱크(30)는 콘크리트 격실(10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격실(100)은 구획벽(103)에 의해 상부공간부(101)와 하부공간부(102)로 구획된다. 상기 상부공간부(101)에는 상기 가드배관(10)이 수용되고, 상기 하부공간부(102)에는 상기 소듐저장탱크(30)가 수용된다. 상기 소듐저장탱크(30)는 격실(100)의 최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관계(20)는 상기 구획벽(103)을 관통하여 상기 가드배관(10)과 상기 소듐저장탱크(30)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소듐저장탱크(30)는 콘크리트벽으로 둘러쌓인 하부공간부(102)에 배치되므로, 누출된 소듐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누설된 소듐이 타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류방지장치(4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장치(40)에 의해 누설된 소듐은 방호시스템 외부로 확산되지 않는다. 상기 역류방지장치(40)는, 가용성플러그(41;Fusible Plug)와 체크밸브(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용성플러그(41)는, 소듐의 누출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배관계(20)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 상기 소듐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개방된다. 즉, 상기 가용성플러그(41)는, 정상상태에서는 안전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가드배관(10)의 하부영역에 수집된 고온의 누설 소듐이 중력에 의해 상기 가용성플러그(41)에 도달하면 온도가 상승(예컨대, 약 120 ℃)하여 상기 가용성플러그(41)를 녹여서 소듐의 유로를 개방한다. 상기 가용성플러그(41) 자체의 구성은 공지된 바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크밸브(41)는 상기 소듐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크밸브(41)는 상기 가용성플러그(41)보다 상기 배관계(20)의 하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크밸브(41)는 수직배관(21)의 절곡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용성플러그(41)에 의해 누설된 소듐은 배관계(20)가 개방되어 상기 소듐저장탱크(30)로 유동하므로, 상기 누설된 소듐은 타 영역으로 확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41)에 의해 누설된 소듐은 내부배관(60) 측으로 역류하지 않으며, 중력에 의해 상기 소듐저장탱크(30)로 일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여 방호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는, 화재감시기(70), 소듐누설감지기(90), 환기용 댐퍼(80), 및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화재감시기(70)는, 콘크리트 격실(100)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감시기(70)는 상부공간부(101)에 마련된다. 상기 내부배관(60)으로부터 소듐이 누출되어 화재가 발행하는 경우, 상기 화재감시기(70)는 제어부(110)는 화재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소듐누설감지기(90)는, 소듐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가드배관(10)은 상기 내부배관(60)과 이격되어 상기 내부배관(60)을 감싸고 있으므로, 상기 내부배관(60)과 상기 가드배관(10) 사이에는 소정의 환형 공간부가 마련된다. 상기 소듐누설감지기(90)는 상기 공간부에 마련되어 소듐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소듐누설감지기(90)가 소듐의 누설을 감지하면 제어부(110)에 누출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환기용 댐퍼(80)는, 상기 콘크리트 격실(100) 중 상부공간부(101)에 마련되어, 정상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간부(101)를 환기시킨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화재신호 또는 상기 누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환기용 댐퍼(80)를 폐쇄하여 소듐화재 내지 연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재감시기(70)가 상기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제공하거나 상기 소듐누설감지기(90)가 상기 내부배관(60)으로부터 소듐의 누출을 감지하여 누출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신호 또는 누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환기용 댐퍼(80)를 폐쇄한다. 상기 환기용 댐퍼(80)가 폐쇄됨으로써, 상기 상부공간부(101)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소듐 화재 및 연무의 전파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는, 기존 소듐냉각고속로에서 채택하고 있는 라이너, 캐치팬, 화재진압데크 등으로 구성된 소듐화재방호시스템에 비하여 시스템을 매우 간소화하고 소듐누설사고시 환경조건(온도, 압력, 독성 물질 등)에서 기기의 검증 비용을 없앰으로써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능동 소듐화재방호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보완하여, 중력, 열 용융 등의 피동설계 개념을 적용하므로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상기 감지기(70)와 내부배관(60)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에 의해, 상기 가드배관(10) 및 상기 내부배관(60)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방호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격실(100)이 상부공간부(101)와 하부공간부(102)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공간부(101)에 배치되는 내부배관(60)으로부터 소듐이 누출되더라고 상기 가드배관(10)에 의해 소듐이 수집되어 상기 상부공간부(101)에 소듐화재 및 독성의 연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공간부(102)에는 누설된 소듐이 저장되는 소듐저장탱크(30)가 배치되므로, 하부공간부(102)에서도 소듐화재 및 독성의 연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가드배관 12... 제1 배관
121... 체결홈 13... 제2 배관
131... 돌기 20... 배관계
21... 수직배관 22... 경사배관
30... 소듐저장탱크 40... 역류방지장치
41... 가용성플러그 42... 체크밸브
50... 단열재 60... 내부배관
70... 화재감시기 80... 환기용 댐퍼
90... 소듐누설감지기 100... 콘크리트 격실
101... 상부공간부 102... 하부공간부
103... 구획벽 110... 제어부
1... 화재감시기 2... 캐치팬
3... 배출배관 4... 화재진압데크
5... 질소가스주입시스템 6... 소듐배관
7... 라이너 8... 콘크리트 구조물
9... 단열재 11... 환기댐퍼

Claims (7)

  1. 소듐이 유동하는 내부배관을 소정의 공간부를 가지면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배관으로부터 누설된 고온의 소듐을 수집하는 가드배관;
    상기 가드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누설된 소듐이 이동하는 배관계;
    상기 배관계를 따라 이동한 상기 누설된 소듐을 저장하는 소듐저장탱크; 및
    상기 가드배관, 상기 배관계, 및 상기 소듐저장탱크는 수용하는 콘크리트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격실은, 구획벽에 의해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공간부에는 상기 가드배관이 수용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소듐저장탱크가 수용되며, 상기 배관계는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상기 가드배관과 상기 소듐저장탱크를 연결되며,
    상기 가드배관은, 일단부가 상기 내부배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내부배관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제1 배관과, 일단부가 상기 제1 배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배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계는, 상기 제1 배관의 내부로 누설된 소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 결합되는 수직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내부로 누설된 소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배관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계에는,
    상기 소듐의 누출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 상기 소듐의 온도에 의해 녹아서 개방되는 가용성플러그; 및
    상기 배관계에는 누출된 소듐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배관과 상기 내부배관의 사이의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소듐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소듐누설감지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배관을 감싸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부에 환기용 댐퍼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배관으로부터 소듐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소듐누설감지기가 소듐의 누출신호를 제공할 때 상기 댐퍼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KR1020190173474A 2018-12-28 2019-12-23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KR102245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80 2018-12-28
KR20180173080 201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61A KR20200083261A (ko) 2020-07-08
KR102245205B1 true KR102245205B1 (ko) 2021-04-28

Family

ID=7160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74A KR102245205B1 (ko) 2018-12-28 2019-12-23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2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289A (ja) * 1999-01-27 2000-08-0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ナトリウム火災消火方法
JP2005221348A (ja) * 2004-02-04 2005-08-18 Laserfront Technologies Inc リーク検出機能付配管及びリーク検出装置
KR101610359B1 (ko) * 2014-11-04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탈탄질화 소둔로의 균일 수분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308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식 소방설비를 갖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격리형 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289A (ja) * 1999-01-27 2000-08-0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ナトリウム火災消火方法
JP2005221348A (ja) * 2004-02-04 2005-08-18 Laserfront Technologies Inc リーク検出機能付配管及びリーク検出装置
KR101610359B1 (ko) * 2014-11-04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탈탄질화 소둔로의 균일 수분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61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959B2 (ja) 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KR102245205B1 (ko)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Chen et al. Analysis of a silane explosion in a photovoltaic fabrication plant
WO2015181617A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for at least one large storage tank containing a flammable liquid
EP2955719B1 (en) Nuclear power plant and reactor building gas treatment system
JP5396114B2 (ja) 消火設備
KR102590584B1 (ko) 전기차 충전소용 행거식 차수판 장치
KR20230080375A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을 위한 주입구를 가진 배터리케이스
Luster et al. Feedback from practical experience with large sodium fire accidents
KR102151211B1 (ko)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576203B1 (ko) 암모니아 방출방지 및 제거장치
KR20150069421A (ko) 원자로 냉각재 상실 사고시 증기 폭발 및 수소 폭발 저감을 위한 시스템
KR101810002B1 (ko) 건축물의 소방설비용 수격 방지 장치
KR100968064B1 (ko)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JP2001073586A (ja) 免震装置・制震装置・耐震装置等の火災防止装置
GB2536741A (en) Boiling water type nuclear power plant
KR1026077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화재대응을 위한 고정형 바닥살수장치를구비한 소화수조
JP6165029B2 (ja) ジェット燃料排出構造及びこれを用いるキャスク貯蔵建屋
KR102576205B1 (ko) 암모니아 방출방지 및 제거장치
KR200348898Y1 (ko) 제연기능성 방화문
JP4661629B2 (ja) 油煙排気装置およびその消火方法
KR102412721B1 (ko) ESS(Energy Storage System)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CN114856296B (zh) 一种防火保护帐篷及其使用方法
KR100587475B1 (ko) 방화문을 이용한 연소가스 차폐장치
RU2106025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защитной оболочки реак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водо-водя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