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11B1 -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211B1
KR102151211B1 KR1020180122258A KR20180122258A KR102151211B1 KR 102151211 B1 KR102151211 B1 KR 102151211B1 KR 1020180122258 A KR1020180122258 A KR 1020180122258A KR 20180122258 A KR20180122258 A KR 20180122258A KR 102151211 B1 KR102151211 B1 KR 10215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s
fire
vct
unit
volu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07A (ko
Inventor
이재호
김광홍
권형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2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 및 주변에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는 방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가스공급부;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방화 지역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하는 압력가스분사부; 및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가스분사부는,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체적제어탱크(VCT)를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 및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사부는 하부를 향해, 상기 제2분사부는 측면을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분사부를 통해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감지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해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 하도록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 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및 폭발 사고는 재산뿐만 아니라 인명까지도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더욱이 중요한 시설(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련계통)이 배치되어 있는 건물 및 공간 내에서의 화재 및 폭발 사고는, 발전소 내 유해물질이 외부로 누설 될 가능성을 제공하며, 재산 손실과 더불어 이를 관리하기 위해 상주하는 인명에 대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화재는 조기 진압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 내 화학 및 체적제어를 담당하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및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 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조기 진압되지 못하고 커지게 되면, 발전소 안전정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 내 안전정지 중요 기기 및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에서는 주로 소화수를 이용한 소화 설비를 사용하며, 소화 설비는 전용 소화수 탱크를 이용하고, 소화수는 소방펌프에 의해서 제공된다.
다만,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이 달라질 경우(화재 크기가 커질 경우) 종래 소화수를 이용한 소화 설비만으로는 화재를 진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특히 소화수를 이용한 화재진압은 케이블 등의 전기화재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 내 화학 및 체적제어를 담당하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및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 내 화재 발생 시, 화재 상황에 따른 빠르고 신속하게 진화 할 수 있는 별도의 추가적인 소화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358호 (2005년 06월 03일 등록)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내 안전정지 기기 및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방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가스공급부;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방화 지역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하는 압력가스분사부; 및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화 지역 내에는 안전정지 중요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는, 압력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상기 체적제어탱크(VCT)로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배관; 및 상기 메인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방화지역 내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및 주변의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가스는 질소일 수 있다.
상기 압력가스분사부는, 상기 체적제어탱크(VCT)를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 및 상기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분사부를 통해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감지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해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 하도록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가스분사부는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분사부는 하부를 향해, 상기 제2분사부는 측면을 향해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방화 지역은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방화 지역도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압력 가스 공급은, 상기 메인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 방화 지역 내 상기 CCW surge tank 및 주변의 상기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방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화지역에는 체적제어탱크(VCT)에 압력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가스공급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의 압력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화 지역은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 지역 및 추가의 방화지역 내에는 안전정지 중요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면, 상기 압력 가스를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에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내 화학 및 체적제어를 담당하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및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에 따른 압력 가스(질소)를 공급하고, 분사되는 압력 가스를 조절하여, 방화 지역 내 화재를 빠르고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시스템은, 실제 방화 지역 내에서의 화재 크기가 비약적으로 커질 시 종래 소화설비만으로는 진화 할 수 없는 경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에 따른 적절한 화재 진압을 가능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 내 안전정지 기기 및 케이블 내에서의 화재에 따른 신속한 화재 진압과 더불어, 재산 손실을 방지하며, 인명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발전소를 안전하게 유지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의 제어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가스분사부의 가스분사노즐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방화 지역은, 원자력 발전소 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체적제어탱크(VCT)는 원자력발전소 내 화학 및 체적제어계통으로서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방화지역의 주변에는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보통 안전정지 중요펌프) 및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으며, 방화 지역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다.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한 방화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 시, 기존에 설치된 물분무 소화 설비등으로 화재가 쉽게 진압되지 않을 때, 체적제어탱크(VCT)에 대한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뿐만 아니라, 주변에 위치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도 필요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 구체화 하고 있는 압력 가스를 활용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의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방화 지역은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뿐만 아니라,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에도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보통 안전정지 중요펌프) 및 케이블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정지 중요펌프의 작동에 필요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는 CCW surge tank가 위치한 방화 지역을 통과하게 된다.
위와 같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한 방화 지역에서의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과 마찬가지로,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에서의 화재 발생 시 이에 대한 소화 시스템이 필요하며, 주변에 위치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화재 진압도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 구체화 하고 있는 발전소 내 압력탱크들(예를들어 VCT 및 CCW Surge Tank 등)을 가압하기 위한 고압의 압력용기 내 압력 가스를 활용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의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구체화된 원자력 발전소 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의 제어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가스분사부의 가스분사노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 시스템(10)은 감지부(100), 압력가스공급부(200), 압력가스분사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을 감지한다.
감지부(100)는 방화 지역 내 설치 될 수 있으며, 방화 지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화재의 크기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감지부(100)가 방화 지역 내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 방화지역 내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방화지역 내 설치된 감지부(100) 및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추가 방화지역에 설치된 별도의 감지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감지부(100)는 화재 크기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CCTV 및 열화상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지역 내 온도를 체크하여 화재 크기 유무를 판단하는 열측정장치(예를 들면, 온도센서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감지부(100)는 방화 지역 내 화재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400)에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전달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방화 지역 내 분사되는 압력 가스의 압력 및 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가스공급부(200)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400)의 역할에 관한 내용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압력가스공급부(200)는 압력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압력탱크(210), 메인공급배관(220), 제1공급배관(230) 및 제2공급배관(240)을 포함한다.
압력탱크(210)에는 압력 가스인 질소가 저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가스공급부(200)는 압력탱크(210)로부터 체적제어탱크(VCT)로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배관(220)과 연결되어 있다.
압력가스공급부(200)는 평소에도 체적제어탱크(VCT)에 압력 가스인 질소를 상시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메인공급배관(220)을 통해 수행된다.
제1공급배관(230)은 메인공급배관(220)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방화지역 내 체적제어탱크(VCT) 및 주변의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제2공급배관(240)은 메인공급배관(220)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추가 방화 지역 내 상기 CCW surge tank 및 주변의 상기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발전소 내 화재 발생 시, 압력가스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압력 가스는 메인공급배관(220)으로 먼저 공급되며, 이 후 제1공급배관(230) 및 제2공급배관(24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 때 메인공급배관(220)으로부터 제1공급배관(230) 및 제2공급배관(240)으로 공급되는 압력 가스의 압력 및 유량은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가 위치한 방화지역 및 추가 방화지역 내 화재 발생 시 감지부(100)에서 화재 크기 및 온도에 따라,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공급배관(230) 및 제2공급배관(240) 내 위치하고 있는 “압력 가스 서브조절 밸브”가 열리게 되며, 메인공급배관(200)을 통해 공급되던 고압의 압력 가스가 제1공급배관(230) 및 제2공급배관(240)을 통해 공급되게 된다. 이 때 메인공급배관(220)으로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탱크(210)는 방화지역 및 추가 방화지역 내 발생되는 화재의 크기에 따라서 화재 진압을 위한 충분한 압력 가스(질소)량을 반영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압력가스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압력 가스의 압력 및 유량을 조절하여 메인공급배관(220)으로 공급된 압력 가스를 제1공급배관(230)을 통한 체적제어탱크(VCT) 및 안전 정지 케이블이 위치한 방화 지역으로의 공급 및 제2공급배관(240)을 통한 CCW surge tank 및 안전 정지 케이블이 위치한 추가 방화지역으로의 공급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제어부(400)는 원자력 발전소 내 발생되는 화재 상황 및 크기에 따라 다르게 발생되는 감지부(100)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별도의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방화 지역 및 추가의 방화 지역에 대한 소화 시스템의 작동 및 화재 진압 여부를 결정(선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를 통해 압력가스공급부(200)로부터 각각의 공급배관으로 공급되는 압력 가스(질소)의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게 되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메인공급배관(220) 내 위치하고 있는 “압력 가스 메인조절 밸브” 및 제1공급배관(230), 제2공급배관(240) 내 위치하고 있는 “압력 가스 서브조절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압력 가스가 방화지역 및 추가 방화지역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가스분사부(300)는 제1분사부(310) 및 제2분사부(320)를 포함한다.
압력가스분사부(300)는 압력가스공급부(200)로부터 압력 가스를 공급받아, 방화 지역 및 추가의 방화지역에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압력가스분사부(300)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압력가스분사부(300)가 위치한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주변으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게 된다.
제1분사부(310)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상기 CCW surge tank를 향해 압력가스를 분사하게 되며, 분사 시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에 직접적으로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압력가스분사부(300)에서 제1분사부(310)는 압력가스분사부(300)의 일단의 직경이 감소하여 형성된 부분으로, 압력 가스가 고속으로 하부로 분사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압력가스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압력가스는 제1분사부(310)를 통해 수직하향으로 노즐아래에 위치한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에 고속으로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분사부(310)의 형태가 압력가스분사부(300) 일단의 직경이 감소하여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분사부(310)의 형태는 압력가스분사부(3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부(320)는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되며, 분사 시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으로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제2분사부(320)는 압력가스분사부(300)의 일단에 압력 가스가 분사될 수 있는 구멍(구체적으로 방출공 형태)이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 압력이 가해져야만 구멍을 통해 압력 가스가 분사되는 구조이며, 압력 가스는 구멍을 통한 분사로 인하여 측면 분사되게 된다.
제1분사부(310)와 동일하게, 제2분사부(320)를 통해 가압된 압력 가스가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분사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제2분사부(320)는 일정 압력 이상이 가해져야만 구멍이 개방되면서 압력 가스가 분사되는 구조로 표현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폐신호에 따른 개방 및 퓨즈를 통한 일정 온도 이상에서의 자동 개방에 의해 압력 가스가 분사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화재 발생 시, 먼저 제1분사부(310)를 통해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주변에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 이 후 화재가 빠른 시간 안에 진압되지 않으면 고온의 연소가스가 천장에 머물러 Hot gas layer가 천장에 형성되며, 천장 근처 지역의 온도와 복사열유속값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때 급격한 온도변화 및 복사열유속값의 초과는 방화지역 및 추가 방화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00)에 의한 천장부근에서의 일정온도 및 열유속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고 판단될 시, 제2분사부(320)를 통해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에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되고, 천장부근에 위치한 안전 정지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통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방화 지역이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뿐만 아니라,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가 위치한 방화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 시, 체적제어탱크(VCT)에 대한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뿐만 아니라, 주변에 위치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소화 시스템 및 화재 진압도 필요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 구체화 하고 있는 압력 가스를 활용한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에 의해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원자력 발전소 내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와 같은 발전소 내 중요시설에 화재가 발생 시, 먼저 방화 지역 내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S1)
감지 결과에 따라 압력가스공급부를 통해 압력 가스를 공급받게 되며,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주변에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된다.(S2)
이후 감지부에서의 감지 결과가 일정 수준 이상이라고 판단될 시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에 압력 가스가 분사된다.(S3)
위와 같은 소화 시스템에 따른 화재 진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화재 발생 시 감지부를 통해 화재 감지가 수행되며,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화재가 발생된 방화 지역에 따라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시스템의 작동 및 화재 진화 여부를 결정(선택)하게 되며, 제어부를 통해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각각의 공급배관으로 공급되는 압력 가스(질소)의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를 통해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가스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가스(질소)가 분사되게 된다.
제1분사부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CCW surge tank 에 직접적으로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되며, 분사 시 압력 가스가 가압된 압력에 의해 분사된다.
제2분사부는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직접 압력 가스를 분사하게 되며, 분사 시 넓은 영역의 분사를 실시하고, 가압된 압력에 의해 압력 가스가 미분무수 형태로 분사된다.
제1분사부는 압력가스분사부의 일단의 직경이 감소하여 형성된 부분으로, 압력 가스가 하부로 분사되고, 제2분사부는 압력가스분사부의 일단에 압력 가스가 분사될 수 있는 구멍(구체적으로 방출공 형태)이 형성된 것으로서, 측면의 구멍을 통한 측면 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 내 화학 및 체적제어를 담당하는 체적제어탱크(VCT) 및 발전소 안전정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및 케이블(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이 위치한 방화 지역 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에 따른 압력 가스(질소)를 공급하고, 분사되는 압력 가스를 조절하여, 방화 지역 내 화재를 빠르고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소화 시스템은, 실제 방화 지역 내에서의 화재 크기가 비약적으로 커질 시 종래 소화설비만으로는 진화 할 수 없는 경우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상황에 따른 적절한 화재 진압을 가능케 한다.
결과적으로 소화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 내 안전정지 기기 및 케이블 내에서의 화재에 따른 신속한 화재 진압과 더불어, 재산 손실을 방지하며, 인명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발전소를 안전하게 유지 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원자로 건물 내 체적제어탱크(VCT) 및 주변에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고 있는 방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화 지역 내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가스공급부;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방화 지역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하는 압력가스분사부; 및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가스분사부는,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체적제어탱크(VCT)를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 및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를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분사부는 하부를 향해, 상기 제2분사부는 측면을 향해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재 발생 시, 상기 제1분사부를 통해 상기 체적제어탱크(VCT)에 상기 압력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감지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화재 발생 시, 상기 제2분사부를 통해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 주변에 상기 압력 가스를 분사 하도록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를 제어하는 소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는,
    압력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압력탱크;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상기 체적제어탱크(VCT)로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메인공급배관; 및
    상기 메인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방화지역 내 상기 체적제어탱크(VCT) 및 주변의 상기 안전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제1공급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가스는 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서,
    상기 방화 지역은 CCW surge tank가 있는 추가의 방화지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방화 지역도 상기 압력가스공급부로부터 상기 압력 가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압력 가스 공급은,
    상기 메인공급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 방화 지역 내 상기 CCW surge tank 및 주변의 상기 안전 정지 케이블 트레이가 위치하는 지역에 압력 가스를 공급하는 제2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22258A 2018-10-15 2018-10-15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15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58A KR102151211B1 (ko) 2018-10-15 2018-10-15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58A KR102151211B1 (ko) 2018-10-15 2018-10-15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7A KR20200042107A (ko) 2020-04-23
KR102151211B1 true KR102151211B1 (ko) 2020-09-02

Family

ID=7047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58A KR102151211B1 (ko) 2018-10-15 2018-10-15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374B1 (ko)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53888U (zh) * 2009-05-22 2010-05-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东北电力设计院 电厂电子设备间细水雾灭火系统
CN103007466A (zh) * 2012-12-18 2013-04-03 四川威特龙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专用灭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358B1 (ko) 2002-06-05 2005-06-14 주식회사 육송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 장치
KR20100034865A (ko) * 2008-09-25 2010-04-02 장영근 질소가스 발생기를 이용한 소화설비
CN107068212A (zh) * 2012-03-16 2017-08-18 凯瑟琳·林·亨德尔 灭火系统和方法、以及使用液态氮进行灭火和防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53888U (zh) * 2009-05-22 2010-05-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东北电力设计院 电厂电子设备间细水雾灭火系统
CN103007466A (zh) * 2012-12-18 2013-04-03 四川威特龙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组专用灭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07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3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transformers from internal fire
RU221535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зрыва и пожара на электротрансформаторах
KR101089240B1 (ko) 자동확산 소화기가 설치된 배전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151211B1 (ko)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US20190091500A1 (en) Pressure maintenanc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over for use in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a related method
WO2020242428A1 (ru) Систем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взрыва и пожар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20190047206A (ko) 방재시스템
KR102252479B1 (ko) 주방소화장치의 무선경보 및 음성경보시스템
KR102084325B1 (ko)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KR20140070779A (ko) 선박의 통합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6713A (ko) 공통배관을 이용한 가스계 겸용 물분무 소화설비시스템
KR20180001218A (ko) 조기소화기능이 추가된 변압기
CA2551226C (en) Inertisation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fire
JPH0739603A (ja) 二酸化炭素消火設備
KR20130109690A (ko) 선박용 차폐형 발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7439549U (zh) 管道火花检测装置
KR102245205B1 (ko) 피동소듐화재방호장치
KR100968064B1 (ko)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CN205127202U (zh) 一种输气场站排污池主动防护系统
JP4542715B2 (ja) 消火訓練装置及びそれの燃料供給・遮断制御方法
KR101636939B1 (ko) 탈이온수를 이용한 미분무 소화설비
CN103933689B (zh) 一种灭火消防装置及灭火消防方法
KR102569669B1 (ko)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129991B1 (ko) 화재 대피 장치 및 화재 대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