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74B1 -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74B1
KR102349374B1 KR1020210047501A KR20210047501A KR102349374B1 KR 102349374 B1 KR102349374 B1 KR 102349374B1 KR 1020210047501 A KR1020210047501 A KR 1020210047501A KR 20210047501 A KR20210047501 A KR 20210047501A KR 102349374 B1 KR102349374 B1 KR 10234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le
shaft guide
shaft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석
Original Assignee
(주)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4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서 일정량의 소화액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소화액 수용부; 상기 소화액 수용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단부를 외측으로 확장되게 한 고정판의 일측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입수구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수구를 형성하는 관형의 축 가이드; 상기 입수구는 화재 발생에 의한 열기에 의해 접속이 스위칭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수도물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체; 하단부는 상기 축 가이드의 상단부측 외주연을 따라 볼팅 체결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중앙에 승강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승강홀은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향 관통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관통홀은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상부 하우징; 하단부는 상기 소화액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 가이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면서 승강 가능하게 관형상으로 노즐축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축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관통홀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축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헤드에 걸쳐 수직의 소화액 분사홀을 형성하고, 소화액 분사홀은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하면서 각 분기홀은 수평과 함께 일정 각도로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하여 방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체; 상기 축 가이드 상부의 상기 노즐축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승강홀 내주면과 오링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게 일정 직경으로 형성하면서 입수구로부터 일정 수압으로 급수되는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면을 일정 간격으로 상향 요입되도록 하는 구동판; 상기 구동판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이 베어링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에는 승강홀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탄설되도록 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Automatic operating device of extinguisher on fire}
본 발명은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 일정 온도 이상의 열기에 의해 고압의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노즐축의 상승과 동시에 회전되게 함으로써 소화액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이 헤드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좀더 광범위한 범위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화염, 열기 또는 독성가스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와 연동되어 설치되는 화재경보장치를 통해 화재 사실을 경보음(비상벨)으로 알리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센서에 연동하도록 설치되는 소화장치의 작동에 의해 소화매체가 분사되게 함으로써, 화재발생 지역에 대한 소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 경보음이 발생하면, 이를 듣고 건물의 관리자가 화재 발생을 인지한 뒤 화재발생 장소를 탐색하여 현장을 찾아서 화재 발생여부, 소화여부 등을 확인하며, 미소화된 상태에서는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대피시키고, 소화전 또는 소화기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소화작업 등을 수행하여 화재발생에 대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중 소화기는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주택의 주방, 일반적인 요식업소의 주방과 같이 화기사용지역에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진압하여 재산은 물론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소화기는 소화약제의 형태에 따라 기체가 분사되는 소화기와 액체가 분사되는 소화기 및 분말이 분사되는 소화기로 구분되고, 분사 원리에 따라 축압식 소화기와 가압식 소화기로 구분되고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소화기는 담홍색의 가루가 분사되는 분말 소화기이면서 축압식 소화기이다.
등록특허 제2026969호(2019.09.24.)의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는 센서의 출력 신호를 판단하여 솔밸브의 작동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댐퍼에 구비되는 감열체가 녹게되면 노즐을 열어 소화액이 분출되게 하며, 녹은 감열체는 감열체 내부의 공간 혹은 댐퍼 외부 측면과 감열체 관 내의 공간을 채우면서 감열체가 존재하는 영역의 크기가 줄어들게 하여 감열체 관의 이동에 의해 밸브가 열리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소화기에서는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화재의 열에 의해 감열체가 녹게 함으로써 감열체가 녹은 공간 영역이 줄어들면서 밸브를 열어 소화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렇게 녹는 감열체에 의해 줄어들게 되는 공간의 크기가 크지 않아 밸브 작동 폭을 작게 형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작동 오류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2026969호(2019.09.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에 의한 열기에 의해서 접속이 스위칭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방되는 입수구와 출수구를 통해 유동하는 수압에 의해서 일정 높이를 상승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분사 노즐체를 통해 소화액 또는 소화용 분말이 다양한 방향으로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 노즐체를 상승 및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동 수단으로 상수도물을 이용하는 동시에 출수되는 상수도물을 외부로 토출되게 하여 소화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는, 하부에서 일정량의 소화액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소화액 수용부; 상기 소화액 수용부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상단부를 외측으로 확장되게 한 고정판의 일측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입수구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수구를 형성하는 관형의 축 가이드; 상기 입수구는 화재 발생에 의한 열기에 의해 접속이 스위칭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수도물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체; 하단부는 상기 축 가이드의 상단부측 외주연을 따라 볼팅 체결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중앙에 승강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승강홀은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향 관통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관통홀은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상부 하우징; 하단부는 상기 소화액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 가이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면서 승강 가능하게 관형상으로 노즐축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축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관통홀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헤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축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헤드에 걸쳐 수직의 소화액 분사홀을 형성하고, 소화액 분사홀은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하면서 각 분기홀은 수평과 함께 일정 각도로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하여 방사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체; 상기 축 가이드 상부의 상기 노즐축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승강홀 내주면과 오링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게 일정 직경으로 형성하면서 입수구로부터 일정 수압으로 급수되는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면을 일정 간격으로 상향 요입되도록 하는 구동판; 상기 구동판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이 베어링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에는 승강홀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탄설되도록 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축 가이드의 출수구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급수 밸브체의 스위치와 솔레노이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한 열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급수 밸브체에서의 입수구 개방에 의해 상수도물이 고압으로 공급되면서 상수도물의 수압에 의해 노즐축을 일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서 상부 하우징의 관통홀 상부로 돌출되는 분사 노즐체의 헤드를 통해 소화액 수용부로부터 소화액 또는 소화용 분말이 자동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 밸브체의 입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수도물을 복수의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소화액 또는 소화용 분말과 함께 상수도물의 분사에 의해서도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축 가이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축 가이드에 형성되는 출수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급수 밸브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상부 하우징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분사 노즐체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의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소화액 수용부(10)와 축 가이드(20)와 급수 밸브체(30)와 상부 하우징(40)과 분사 노즐체(50)와 구동판(60)과 스프링 시트(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소화액 수용부(10)는 하부에서 일정량의 소화용재가 수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용재는 소화액 또는 소화분말로서 형성되도록 하면서 내부에서 일정 압력으로 압축되어 저장된다.
소화액 수용부(10)의 상부면 중앙에는 일정 높이로 관형의 축 가이드(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축 가이드(20)는 내부가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여 소화액 수용부(10)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일정 높이로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수평의 고정판(21)을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고정판(21)의 일측면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입수구(210)가 형성되도록 하며, 고정판(21)의 타측에는 하나 이상의 출수구(2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입수구(210)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출수구(211)들은 입수구(210)와는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입수구(210)와 같은 각도가 아닌 상부면과 하부면을 수직으로 관통되게 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축 가이드(20)의 고정판(21)에는 하부면으로 입수구(210)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급수 밸브체(30)가 구비되도록 한다.
급수 밸브체(30)는 도 4에서와 같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접속이 스위칭되도록 하는 스위치(31)에 솔레노이드(32)가 연결되고, 솔레노이드(32)의 작동에 의해 입수구(210)가 개폐되도록 하여 입수구(210)를 통해 고압의 상수도물 급수를 단속하도록 한다.
즉, 급수 밸브체(30)는 외부로부터 상수도관(33)이 입수구(210)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입수구(210)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솔레노이드(32)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도록 하고, 이때의 솔레노이드(32)는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일정 이상의 온도를 갖는 열기에 의해 스위치(31)가 작동 온되면서 스위치(31)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입수구(210)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스위치(31)와 솔레노이드(32)에 전달되는 전원은 솔레노이드(32)측에 연결되는 배터리(34)로부터 전달되도록 하며, 스위치(31)가 작동 오프 상태에서는 전원 공급이 단절되어 있다 스위치(31)에 일정 온도 이상의 열기가 전달되면 작동 온되면서 솔레노이드(32)를 작동시킨다.
다만, 이때의 스위치(31)는 일정 온도 이상의 열기에 의해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되게 하는 릴레이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급수 밸브체(30)는 입수구(210)의 형성 위치마다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입수구(210)를 복수 개로서 형성하는 경우 급수 밸브체(30) 또한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하며, 입수구(210)측 솔레노이드(32)에 연결되는 상수도관의 상수도물은 고압의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급수 밸브체(30)가 연결되는 축 가이드(20)의 상부는 상부 하우징(40)에 의해 커버되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40)은 외주연 하단부가 축 가이드(20)의 고정판(21) 외주연 상부면에 안착되게 하여 볼트 체결에 의해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40)의 내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직경과 높이로 하향 개방되게 승강홀(41)을 형성되도록 하되 승강홀(41)의 상부는 중앙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향 관통되도록 하여 관통홀(42)을 형성한다.
다만, 관통홀(42)은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깔때기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소화액 수용부(10)와 축 가이드(20)와 상부 하우징(40)에 걸쳐 분사 노즐체(50)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분사 노즐체(50)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단부가 소화액 수용부(10)에 삽입되고, 축 가이드(20)와 상부 하우징(40)을 관통하면서 승강 가능하게 관 형상으로 노즐축(51)이 축결합되도록 하며, 노즐축(51)의 상단부에는 상부 하우징(40)의 관통홀(42)과 동일한 각도로 헤드(5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노즐축(51)과 헤드(52)에 걸쳐 내부로는 수직의 소화액 분사홀(53)을 형성하며, 이러한 소화액 분사홀(53)의 헤드(52)측 상단부는 외측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홀(530)이 형성되도록 하되 분기홀(530)은 헤드(52)의 외주면측으로 수평 방향과 일정 각도의 상향 및 하향으로 방사홀(531)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분사 노즐체(50)의 방사홀(531)을 형성하는 헤드(52)의 외주면은 관통홀(42)의 경사진 주면과 면밀착되면서 방사홀(531)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소화액 수용부(10)에 고압의 상태로 수용되어 노즐축(51)과 헤드(52)에 형성한 소화액 분사홀(53)에 채워지게 한 수용액의 분사가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축 가이드(20)의 고정판(21) 상부에는 상부 하우징(40)의 승강홀(41) 내에 구동판(60)이 구비되도록 한다.
구동판(60)은 고정판(21)의 상부에서 내주면이 승강홀(41)을 관통하는 노즐축(51)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외주면은 승강홀(41)의 내주면과 오링(61)에 의해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런 구동판(60)의 고정판(21)에 형성되는 입수구(210)에 마주하는 하부면은 입수구(210)를 통해 급수되는 고압의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구동판(6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향 요입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입수구(210)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구동판(60)은 일정 높이를 상승하게 되는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판(60)의 상승과 회전에 의해서 구동판(60)이 일체로 연결된 노즐축(51)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헤드(52)가 상부 하우징(40)의 관통홀(42) 상부로 돌출되므로 노즐축(51)과 헤드(52)에 채워져 있던 소화액이 방사홀(531)들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판(60)의 회전에 의해서 노즐축(51)과 헤드(52)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헤드(52)를 통해 소화액이 좀더 폭넓은 범위로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구동판(60)의 상부에는 스프링 시트(70)가 연결되도록 한다.
스프링 시트(70)는 구동판(60)의 상부면과 베어링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노즐축(51)을 중심으로 승강홀(41)의 상부면과 사이에 압축 스프링(80)이 탄설되도록 한다.
압축 스프링(80)은 소화액 수용부(10)에 채워지는 소화액의 수용 압력보다는크고, 급수 밸브체(30)의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압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염과 함께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서 스위치(31)가 접속 온되면 솔레노이드(32)에 의해 입수구(210)를 개방시키게 되면 입수구(210)에 연결된 상수도관(33)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도물이 축 가이드(20)의 고정판(21) 상부로 급수되면서 고압의 수압에 의해 고정판(21)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판(60)을 도 7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로 밀어 올리는 동시에 회전시킨다.
고정판(21)과 구동판(60) 사이에 채워지게 되는 상수도물은 고정판(21)에 형성되는 출수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소화기에 가까운 곳의 화재를 진압하거나 고정판(21)의 측면측으로 형성되는 출수구(211)를 통해서는 좀더 멀리 상수도물이 분사되게 하여 화재가 진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판(60)의 상승에 의해 구동판(60)이 일체로 연결된 노즐축(51)을 일정한 높이로 상승 및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축(51) 상단의 헤드(52)가 상부 하우징(40)의 관통홀(42) 상부로 상승하면서 막혔던 방사홀(531)들이 개방되어 이들 방사홀(531)들을 통해 소화액 수용부(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압축된 소화액이 강력하게 분사된다.
이때, 헤드(52)는 상승과 동시에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헤드(52)에 형성되는 방사홀(531)을 통해 수평의 방향과 함께 상향 및 하향으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좀더 다양한 방향과 거리로 보다 광범위하게 소화액이 분사되게 함으로써 조기에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소화액 수용부(10)에는 액상의 소화용재가 수용되게 할 수도 있고, 소화분말이 수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소화액 분사를 상수도물의 고압 급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때의 상수도물 또한 화재 진화를 위한 소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력하고 광범위한 화재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소화액 수용부
20 : 축 가이드
21 : 고정판
210 : 입수구 211 : 출수구
30 : 급수 밸브체
31 : 스위치 32 : 솔레노이드
33 : 상수도관 34 : 배터리
40 : 상부 하우징
41 : 승강홀 42 : 관통홀
50 : 분사 노즐체
51 : 노즐축 52 : 헤드
53 : 소화액 분사홀 530 : 분기홀
531 : 방사홀
60 : 구동판
70 : 스프링 시트
80 : 압축 스프링

Claims (3)

  1. 하부에서 일정량의 소화액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소화액 수용부(10);
    상기 소화액 수용부(10)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내부가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고, 상단부를 외측으로 확장되게 한 고정판(21)의 일측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입수구(21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서 측면으로 관통되게 하나 이상의 출수구(211)를 형성하는 관형의 축 가이드(20);
    상기 입수구(210)는 화재 발생에 의한 열기에 의해 접속이 스위칭되면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32)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수도물의 공급이 단속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체(30);
    하단부는 상기 축 가이드(20)의 상단부측 외주연을 따라 볼팅 체결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내부에는 일정 직경과 높이로서 중앙에 승강홀(41)이 형성되도록 하며, 승강홀(41)은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향 관통되도록 관통홀(42)을 형성하면서 관통홀(42)은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하우징(40);
    하단부는 상기 소화액 수용부(10)에 삽입되어 상기 축 가이드(20)와 상기 상부 하우징(40)을 관통하면서 승강 가능하게 관형상으로 노즐축(51)을 형성하고, 상기 노즐축(51)의 상단부에는 외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관통홀(4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헤드(5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축(5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헤드(52)에 걸쳐 수직의 소화액 분사홀(53)을 형성하고, 소화액 분사홀(53)은 외측으로 분기되도록 하여 분기홀(530)을 형성하며, 각 분기홀(530)의 단부는 수평과 함께 일정 각도로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하여 방사홀(531)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체(50);
    상기 축 가이드(20) 상부의 상기 노즐축(51)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승강홀(41) 내주면과 오링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게 일정 직경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축 가이드(20)의 입수구(210)로부터 일정 수압으로 급수되는 상수도물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분사 노즐체(5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면을 일정 간격으로 상향 요입되도록 하는 구동판(60);
    상기 구동판(6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이 베어링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40)의 승강홀 상부면과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80)이 탄설되도록 하는 스프링 시트(7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47501A 2021-04-13 2021-04-13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KR10234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01A KR102349374B1 (ko) 2021-04-13 2021-04-13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01A KR102349374B1 (ko) 2021-04-13 2021-04-13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74B1 true KR102349374B1 (ko) 2022-01-12

Family

ID=7933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01A KR102349374B1 (ko) 2021-04-13 2021-04-13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93Y1 (ko) * 2001-11-05 2002-02-09 신건수 분수용 안전노즐
KR20050007211A (ko) * 2004-11-15 2005-01-17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101460169B1 (ko) * 2013-09-02 2014-11-10 (주)포트텍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KR20190048213A (ko) * 2017-10-30 2019-05-09 정민진 복합 분사구조를 갖는 세척액 분사장치
KR102026969B1 (ko) 2019-03-04 2019-09-30 김하정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20200042107A (ko) * 2018-10-15 2020-04-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93Y1 (ko) * 2001-11-05 2002-02-09 신건수 분수용 안전노즐
KR20050007211A (ko) * 2004-11-15 2005-01-17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101460169B1 (ko) * 2013-09-02 2014-11-10 (주)포트텍 주방시스템의 소화설비 전기식 감지부
KR20190048213A (ko) * 2017-10-30 2019-05-09 정민진 복합 분사구조를 갖는 세척액 분사장치
KR20200042107A (ko) * 2018-10-15 2020-04-2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026969B1 (ko) 2019-03-04 2019-09-30 김하정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AU2001274131B2 (en) A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 with valve comprising a spindle
KR102349374B1 (ko) 화재 시 소화기 자동 작동장치
AU2001274131A1 (en) A fire extinguishing installation with valve comprising a spindle
KR10178368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설비 점검 장치
KR10173887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KR101460707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장치
CN212746614U (zh) 一种具有自动灭火功能的排油烟装置
KR1017836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1590617B1 (ko)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JP2006055212A (ja) 流水検知装置および該流水検知装置が設けられた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101717845B1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KR100297918B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기의 소화재 확산장치
JP3937381B2 (ja) 屋内消火設備
JP3927217B2 (ja) 消火用散水ノズル
JP4210864B2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KR102629473B1 (ko) 수동 겸용 자동소화기
KR20070006377A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200385997Y1 (ko)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KR200495771Y1 (ko) 소화기
KR102275409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JP2005246102A (ja) 消火用散水ノズル
JP3217796U (ja) 自動消火器及び簡易スプリンク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